KR101150175B1 - 싱크대 거름통의 소제 장치 - Google Patents

싱크대 거름통의 소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0175B1
KR101150175B1 KR1020100090606A KR20100090606A KR101150175B1 KR 101150175 B1 KR101150175 B1 KR 101150175B1 KR 1020100090606 A KR1020100090606 A KR 1020100090606A KR 20100090606 A KR20100090606 A KR 20100090606A KR 101150175 B1 KR101150175 B1 KR 101150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sink
manure
cleaning devic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8632A (ko
Inventor
염동빈
안태근
김영구
박종락
조성호
김인철
성문기
하헌영
이시영
이기훈
강세선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90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0175B1/ko
Publication of KR20120028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의 배수구에 장착된 거름통에 고착된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한 싱크대 거름통의 소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거름통의 상단에 거치되는 본체; 브러쉬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대;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며 상호 연결된 제1 내지 제3피니언기어;
상기 제3피니언기어와 연결된 제1 및 제2베벨기어;
상기 제2베벨기어와 연결된 제4피니언기어; 및 승강작동되며 상기 제4피니언기어와 연결된 랙기어를 갖는 작동봉; 및 상기 작동봉에 탄지되는 탄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작동봉의 연속 승강작동에 의해 다수의 기어 회전과 지지대의 회전에 의해 브러쉬를 회전시켜 소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싱크대 거름통의 소제 장치{CLEANER FOR THE DRAIN IN THE SINK}
본 발명은 싱크대 거름통의 소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싱크대의 배수구에 장착된 거름통에 고착된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한 싱크대 거름통의 소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공간에 설치되는 싱크대에는 배수구가 형성되고, 이 배수구에는 물에 포함된 찌꺼기를 거르기 위한 거름통이 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거름통이 장착대 싱크대 및 거름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종래의 싱크대용 거름통(1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에 다수의 배수공(110a)이 형성된 것으로, 싱크대(50)의 배수구(50a)에 결합된다.
따라서 찌꺼기를 포함하는 물을 흘러 보내면, 물에 포함된 찌꺼기 중 음식물 찌꺼기 등 큰 것은 배수공(110a)을 통과하지 못하고 거름통(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쌓이게 된다.
걸러진 찌꺼기가 많아지면 거름통(110)을 배수구(50a)로부터 분리한 후 걸러진 찌꺼기를 버리고, 다시 전술한 방법으로 배수구(50a)에 장착시켜 사용한다.
그러나 오랜 시간이 경과되면 거름통(110)의 내벽면에 물때와 찌거기 부유물이 고착되므로 털어 내더라도 여전히 남아 있게 된다.
따라서 이를 제거하려면 세제를 뿌리면서 솔로 문질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지저분하여 기피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에서 간단한 스위치 조작에 의해 소제구가 작동되어 거름통의 벽면에 고착된 찌꺼기를 제거하도록 하여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고, 위생이 청결해질 수 있도록 한 싱크대 거름통의 소제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간편하게 소제될 수 있으므로 자주 청소할 수 있도록 하여 위생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싱크대 거름통의 소제 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거름통의 상단에 거치되는 환턱을 포함한 본체; 브러쉬가 외부에 형성된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의 일측에 형성된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내에 결합되는 제1피니언기어가 형성된 중심바를 포함한 지지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상기 제1피니언기어와 치차 결합되는 제2 및 제3피니언기어; 상기 제3피니언기어와 동일한 축 상에 형성되며 수평으로 장착된 제1베벨기어; 상기 제1베벨기어와 직각되게 치차 결합되는 제2베벨기어; 상기 제2베벨기어와 동일한 축 상에 형성되며 수직으로 장착된 제4피니언기어; 상기 케이스의 통공을 통해 수직으로 삽입되며, 외면에 상기 제4피니언기어와 치차 결합되는 랙기어가 형성된 작동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형태의 싱크대 거름통의 소제 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거름통의 상단에 거치되는 환턱을 포함한 본체; 브러쉬가 외부에 형성된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의 일측에 형성된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내에 결합되는 제1베벨기어가 형성된 중심바를 포함한 지지대; 상기 제1베벨기어와 직각되게 치차 결합되는 제2베벨기어가 축에 장착된 모터; 상기 모터의 온/오프를 제어하도록 본체에 형성된 스위치; 및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대의 수평바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조절부재가 형성된다.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수평바가 2개로 분할되어, 일단에 일정 길이의 끼움부가 형성된 제1바; 상기 끼움부가 삽입되는 끼움공이 형성된 제2바; 및 상기 제2바의 외측에 결합된 조임나사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수평바가 2개로 분할되어, 일단에 일정 길이의 끼움부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의 외주면에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된 제1바; 상기 끼움부가 삽입되는 끼움공이 형성된 제2바; 및 상기 끼움공의 내벽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에 걸리는 볼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볼스토퍼는 내벽의 홈에 삽입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지지되며 외부로 일부분이 노출된 볼을 포함한다.
상기 작동봉의 하단에는 작동봉을 상승시키는 탄발력을 발휘하는 탄발수단이 장착된다.
본 발명의 싱크대 거름통의 소제 장치는 외부에서 간단한 스위치 조작에 의해 소제구가 작동되어 거름통의 벽면에 고착된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이러한 편리함에 의해 자주 청소할 수 있어 위생 상태가 향상될 수 있으므로 주부들의 고민인 냄새발생원인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거름통이 장착대 싱크대 및 거름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거름통의 소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거름통의 소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그 상세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서술될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정도의 변경은 당업자에게 충분히 실현가능한 정도로 간주되어야 하며 이러한 변경 실시도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실시예 1]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거름통의 소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거름통의 소제 장치(A)는 수동 조작에 의해 브러쉬(43)가 회전되면서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구체적인 구성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22)와, 상기 케이스(22)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거름통(100)의 상단에 거치되는 환턱(24)을 포함한 본체(2);
브러쉬(43)가 외부에 형성된 수직바(42)와, 상기 수직바(42)의 일측에 형성된 수평바(44)와, 상기 수평바(44)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22) 내에 결합되는 제1피니언기어(P1)가 형성된 중심바(46)를 포함한 지지대(4);
상기 케이스(22) 내에 설치되며 상기 제1피니언기어(P1)와 치차 결합되는 제2 및 제3피니언기어(P2,P3);
상기 제3피니언기어(P3)와 동일한 축 상에 형성되며 수평으로 장착된 제1베벨기어(V1);
상기 제1베벨기어(V1)와 직각되게 치차 결합되는 제2베벨기어(V2);
상기 제2베벨기어(V2)와 동일한 축 상에 형성되며 수직으로 장착된 제4피니언기어(P4);
상기 케이스(22)의 통공을 통해 수직되게 삽입되며, 외면에 상기 제4피니언기어(P4)와 치차 결합되는 랙기어(62)가 형성된 작동봉(6)
을 포함한다.
지지대(4)는 수직바(42)와 수평바(44)가 대략 "┠"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수평바(44)의 단부 상방으로 중심바(46)가 형성된다.
중심바(46)는 케이스(22)의 내측 하부로 결합되며 그 상부에는 제1피니언기어(P1)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수평바(44)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조절부재가 형성된다. 따라서 거름통(100)의 직경에 적합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의 일 예는 도 1의 확대도 중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바(44)가 2개로 분할되어
일단에 일정 길이의 끼움부(443)가 형성된 제1바(441);
상기 끼움부(443)가 삽입되는 끼움공(446)이 형성된 제2바(442); 및
상기 제2바(442)의 외측에 결합된 조임나사(449)
를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1바(441)의 끼움부(443)가 제2바(442)의 끼움공(446)에 끼워져 슬라이드됨으로써 길이를 설정하게 되고, 설정된 길이는 조임나사(449)를 조여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조절부재의 다른 예는 도 1의 확대도 중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바(44)가 2개로 분할되어
일단에 일정 길이의 끼움부(443')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443')의 외주면에 다수의 걸림홈(443-1')이 형성된 제1바(441');
상기 끼움부(443')가 삽입되는 끼움공(446')이 형성된 제2바(442'); 및
상기 끼움공(446')의 내벽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443-1')에 걸리는 볼스토퍼(448')를 포함하며,
상기 볼스토퍼(448')는 내벽의 홈에 삽입된 스프링(448-2')과, 상기 스프링(448-2')에 지지되며 외부로 일부분이 노출된 볼(448-1')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1바(441')를 잡아당기거나 집어넣는 동작만으로 조절된 길이가 자동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1 및 제2베벨기어(V1,V2)는 수직의 회전력을 수평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기어조합이며, 제2 및 제3피니언기어(P2,P3)는 제2베벨기어(V2)의 회전력을 제1피니언기어(P1)에 전달하기 위해 중간 매개체이다.
이러한 기어조합에 의한 회전력의 변경은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더라도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가능할 기술사상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작동봉(6)은 상부에서 손가락으로 눌렀을때 하강하면서 제1 및 제2베벨기어(V1,V2)를 회전시키는 회전 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수단이다.
그러므로 작동봉(6)을 눌렀을때 하강한 후 다시 원래 상태로 상승되는 복원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복원력을 얻기 위해 작동봉(6)의 하단에 별도의 탄발수단(7)을 형성한다.
즉, 탄발수단(7)의 탄성에 의해 눌려졌던 작동봉(6)이 다시 상승할 수 있게 되므로 작동봉(6)의 연속적인 승강작동이 구현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연속적인 회전동력이 발휘될 수 있다.
탄발수단(7)은 코일스프링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체(2) 및 그 외주의 환턱(24)을 거름통(100)의 상단에 거치시켜 지지대(4)의 브러쉬(43)가 거름통(100)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장착한다.
이때 지지대(4)의 브러쉬(43)가 정확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조절부재를 이용하여 길이를 조절한다. 이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한 바 있다.
이후 작동봉(6)의 상단 버튼(64)을 손으로 누르면 작동봉(6)이 하강하게 되고, 랙기어(62)와 치치 결합된 제2베벨기어(V2)가 회전되며, 이에 종동되어 제1베벨기어(V1)가 회전된다. 즉 제1 및 제2베벨기어(V1,V2)의 회전에 의해 종방향의 직선운동이 횡방향의 회전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후 제1베벨기어(V1)에 연속 결합된 제1 내지 제3피니언기어(P1~P3)가 회전될 수 있고, 제1피니언기어(P1)와 연결된 지지대(4)가 회전하게 되므로 브러쉬가 거름통(100)의 내벽을 소제하게 된다.
일정 길이 이상 하강하면 작동봉(6)은 하단의 탄발수단(7)의 저항에 의해 하강이 제한되고, 다시 손을 떼면 탄발수단(7)의 팽창에 의해 자동으로 상승되고, 위에서 열거한 회전운동력은 반대방향으로 생성된다. 이또한 브러쉬(43)를 회전시키는 동력이 되므로 거름통(100)의 내벽을 소제하게 된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기 동력에 의해 브러쉬를 회전시켜 소제토록 하는 것이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거름통의 소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 거름통의 소제 장치(A')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22)와, 상기 케이스(22)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거름통(100)의 상단에 거치되는 환턱(24)을 포함한 본체(2);
브러쉬(43)가 외부에 형성된 수직바(42)와, 상기 수직바(42)의 일측에 형성된 수평바(44)와, 상기 수평바(44)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22) 내에 결합되는 제1베벨기어(V1)가 형성된 중심바(46)를 포함한 지지대(4);
상기 제1베벨기어(V1)와 직각되게 치차 결합되는 제2베벨기어(V2)가 축에 장착된 모터(8);
상기 모터(8)의 온/오프를 제어하도록 본체(2)에 형성된 스위치(72); 및
상기 모터(8)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를 포함한다.
상기 제1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은 동력이 발생하는 수단이 모터(8)인 것에 차이가 있으며 나머지 구성요소는 제1실시예와 대동소이하다.
또한 지지대(4)의 수평바(44)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조절부재가 형성된다.
상기 조절부재의 일 예는 도 2의 확대도 중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바(44)가 2개로 분할되어
일단에 일정 길이의 끼움부(443)가 형성된 제1바(441);
상기 끼움부(443)가 삽입되는 끼움공(446)이 형성된 제2바(442); 및
상기 제2바(442)의 외측에 결합된 조임나사(449)
를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1바(441)의 끼움부(443)가 제2바(442)의 끼움공(446)에 끼워져 슬라이드됨으로써 길이를 설정하게 되고, 설정된 길이는 조임나사(449)를 조여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조절부재의 다른 예는 도 2의 확대도 중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바(44)가 2개로 분할되어
일단에 일정 길이의 끼움부(443')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443')의 외주면에 다수의 걸림홈(443-1')이 형성된 제1바(441');
상기 끼움부(443')가 삽입되는 끼움공(446')이 형성된 제2바(442'); 및
상기 끼움공(446')의 내벽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443-1')에 걸리는 볼스토퍼(448')를 포함하며,
상기 볼스토퍼(448')는 내벽의 홈에 삽입된 스프링(448-2')과, 상기 스프링(448-2')에 지지되며 외부로 일부분이 노출된 볼(448-1')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1바(441')를 잡아당기거나 집어넣는 동작만으로 조절된 길이가 자동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체(2) 및 그 외주의 환턱(24)을 거름통(100)의 상단에 거치시켜 지지대(4)의 브러쉬(43)가 거름통(100)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장착한다.
이때 지지대(4)의 브러쉬(43)가 정확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조절부재를 이용하여 길이를 조절한다. 이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한 바 있다.
이후 스위치(72)를 온(ON)작동시켜 모터(8)가 회전되면, 제2베벨기어(V2) 및 제1베벨기어(V1)가 회전하게 된다.
즉 제1 및 제2베벨기어(V1,V2)의 회전에 의해 종방향의 직선운동이 횡방향의 회전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후 제1베벨기어(V1)에 결합된 지지대(4)가 회전하게 되므로 브러쉬(43)가 거름통(100)의 내벽을 소제하게 된다.
지지대(4) 및 브러쉬(43)의 회전동작은 스위치(72)를 오프(OFF)시킬때까지 실행되므로 보다 손쉽게 소제가 가능해진다.
2 : 본체 4 : 지지대
6 ; 작동봉 7 : 탄발수단
8 : 모터 22 : 케이스
24 : 환턱 42 : 수직바
43: 브러쉬 44 : 수평바
46 : 중심바 P1~P4 : 제1 ~ 제 4피니언기어
V1, V2 : 제1 및 제2베벨기어

Claims (9)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거름통의 상단에 거치되는 환턱을 포함한 본체;
    브러쉬가 외부에 형성된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의 일측에 형성된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내에 결합되는 제1피니언기어가 형성된 중심바를 포함한 지지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상기 제1피니언기어와 치차 결합되는 제2 및 제3피니언기어;
    상기 제3피니언기어와 동일한 축 상에 형성되며 수평으로 장착된 제1베벨기어;
    상기 제1베벨기어와 치차 결합되는 제2베벨기어;
    상기 제2베벨기어와 동일한 축 상에 형성되며 수직으로 장착된 제4피니언기어;
    상기 케이스의 통공을 통해 수직으로 삽입되며, 외면에 상기 제4피니언기어와 치차 결합되는 랙기어가 형성된 작동봉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거름통의 소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수평바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조절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거름통의 소제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수평바가 2개로 분할되어
    일단에 일정 길이의 끼움부가 형성된 제1바;
    상기 끼움부가 삽입되는 끼움공이 형성된 제2바; 및
    상기 제2바의 외측에 결합된 조임나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거름통의 소제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수평바가 2개로 분할되어
    일단에 일정 길이의 끼움부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의 외주면에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된 제1바;
    상기 끼움부가 삽입되는 끼움공이 형성된 제2바; 및
    상기 끼움공의 내벽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에 걸리는 볼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볼스토퍼는 내벽의 홈에 삽입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지지되며 외부로 일부분이 노출된 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거름통의 소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봉의 하단에는 탄발력을 발휘하는 탄발수단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거름통의 소제 장치.
  6.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거름통의 상단에 거치되는 환턱을 포함한 본체;
    브러쉬가 외부에 형성된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의 일측에 형성된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내에 결합되는 제1베벨기어가 형성된 중심바를 포함한 지지대;
    상기 제1베벨기어와 치차 결합되는 제2베벨기어가 축에 장착된 모터;
    상기 모터의 온/오프를 제어하도록 본체에 형성된 스위치; 및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거름통의 소제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수평바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조절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거름통의 소제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수평바가 2개로 분할되어
    일단에 일정 길이의 끼움부가 형성된 제1바;
    상기 끼움부가 삽입되는 끼움공이 형성된 제2바; 및
    상기 제2바의 외측에 결합된 조임나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거름통의 소제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수평바가 2개로 분할되어
    일단에 일정 길이의 끼움부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의 외주면에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된 제1바;
    상기 끼움부가 삽입되는 끼움공이 형성된 제2바; 및
    상기 끼움공의 내벽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에 걸리는 볼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볼스토퍼는 내벽의 홈에 삽입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지지되며 외부로 일부분이 노출된 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거름통의 소제 장치.
KR1020100090606A 2010-09-15 2010-09-15 싱크대 거름통의 소제 장치 KR101150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606A KR101150175B1 (ko) 2010-09-15 2010-09-15 싱크대 거름통의 소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606A KR101150175B1 (ko) 2010-09-15 2010-09-15 싱크대 거름통의 소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632A KR20120028632A (ko) 2012-03-23
KR101150175B1 true KR101150175B1 (ko) 2012-05-25

Family

ID=46133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606A KR101150175B1 (ko) 2010-09-15 2010-09-15 싱크대 거름통의 소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01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0610B (zh) * 2017-09-29 2020-03-20 台州中知英健机械自动化有限公司 洗碗池
CN108372166B (zh) * 2018-02-12 2020-11-24 义乌市根号三科技有限公司 一种施工机械用挖土机斗子内部清洗设备
CN110747951B (zh) * 2019-10-23 2021-04-30 安徽星元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手持式洗碗槽垃圾清理器
CN110897571B (zh) * 2019-11-22 2023-04-14 南京智慧阳光科技有限公司 一种旋转式洗碗槽冲洗清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485U (ko) * 1998-03-06 1999-10-05 이용기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JP2003119864A (ja) * 2001-10-12 2003-04-23 San-Ei Faucet Mfg Co Ltd 流しのゴミ受け用排水カゴの洗浄ブラシ
KR20110087408A (ko) * 2010-01-26 2011-08-03 곽숙정 싱크대용 배수구 마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485U (ko) * 1998-03-06 1999-10-05 이용기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JP2003119864A (ja) * 2001-10-12 2003-04-23 San-Ei Faucet Mfg Co Ltd 流しのゴミ受け用排水カゴの洗浄ブラシ
KR20110087408A (ko) * 2010-01-26 2011-08-03 곽숙정 싱크대용 배수구 마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632A (ko) 201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63320B2 (ja) 電動モップ用収納台を自動掃除する汚水排水システム
CN204033270U (zh) 一种多功能扫把
KR101150175B1 (ko) 싱크대 거름통의 소제 장치
CN111214190A (zh) 冲洗式净污分离电动拖把清洁工具
CN110115554A (zh) 一种刷锅机
CN110506955A (zh) 一种大豆加工用清洗设备
CN108814495A (zh) 一种用于茶楼茶杯的清洗装置
KR20110000730U (ko) 누름회전 설거지 브러시
KR102261147B1 (ko) 착즙망 세척용 브러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주서기
CN203970293U (zh) 一种自动清洁机器人的拖地板改良结构
CN205617507U (zh) 水槽下水器沥渣篮
CN205683051U (zh) 一种机械自动化简易玻璃杯擦洗器
JP3153895U (ja) 回転可能なモップ構造
JP3237948U (ja) モップ洗浄システム
CN211933945U (zh) 冲洗式净污分离电动拖把清洁工具
CN207887560U (zh) 一种led灯手动清洗装置
CN202436886U (zh) 一种豆浆机清洗器
CN111214186A (zh) 储水式电动拖把清洁工具
CN210276957U (zh) 带排水开关的叶菜清洗装置
CN205868892U (zh) 多功能组合式清洁器
CN202437051U (zh) 一种豆浆机自动清洁器
KR101210109B1 (ko) 밀대형 청소도구
CN219253573U (zh) 饮水杯内部自动清洗装置
CN203492599U (zh) 电动鱼缸洗缸机
CN104000516A (zh) 手摇洗菜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