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3561A - 식기 세척을 위한 자동 브러쉬장치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을 위한 자동 브러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3561A
KR20220133561A KR1020210038831A KR20210038831A KR20220133561A KR 20220133561 A KR20220133561 A KR 20220133561A KR 1020210038831 A KR1020210038831 A KR 1020210038831A KR 20210038831 A KR20210038831 A KR 20210038831A KR 20220133561 A KR20220133561 A KR 20220133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disposed
case
protrusion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1281B1 (ko
Inventor
박정규
Original Assignee
(주)블루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루베리 filed Critical (주)블루베리
Priority to KR1020210038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281B1/ko
Publication of KR20220133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3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95Brushes with a feature for storage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01Cylindrical or annular brush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95Removable or interchangeable brush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4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terchangeably removable bristle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33Household brush, i.e. brushes for cleaning in the house or dish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에 고정되는 본체거치대; 상기 거치대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와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브러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수평방향으로 상기 본체거치대에 탈착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본체의 자중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상기 본체거치대와 상호 걸림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브러쉬의 탈착이 용이하고 작동이 용이하다.

Description

식기 세척을 위한 자동 브러쉬장치{Automatic brushing apparatus for washing dishes}
본 발명은 식기 세척을 위한 자동 브러쉬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아용 젖병은 물론 우리들의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되는 유리병 등의 각종 용기를 세척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음식을 담아 놓는 그릇은 특별한 세척공구를 사용하지 않는 세척방법으로도 크게 어려움은 없으나 입구가 좁고 내부가 깊어 사람의 손이 쉽게 닿지 않는 젖병이나 플라스틱병, 유리병 등의 용기 내부를 세척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특히, 유아들이 사용하는 젖병은 유아들의 건강을 위하여 다른 용기들 보다 깨끗한 세척이 요구되고 있으나 젖병 세척을 위한 효율성있는 세척구는 아직 개발되지 않고 있다.
종래에도 다양한 용기 세척수단이 고안되어 왔다.
종래의 용기 세척수단은 직접 손으로 세척수단을 돌려가며 세척하게되어 사용자의 체력소모는 물론 용기 속 구석구석의 미세한 물때나 찌꺼기, 악취 등을 용이하고 깨끗하게 세척작업할 수 없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44944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한다)에는 전동모터를 이용하여 브러쉬를 회전시키는 구조의 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장치는 외부전원을 통해 전동모터가 작동되기 때문에, 휴대 및 작동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장치는 브러시의 탈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4494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8370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42591호
본 발명은 브러쉬의 탈착이 용이하고 작동이 용이한 식기 세척을 위한 자동 브러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거치가 용이한 식기 세척을 위한 자동 브러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벽면에 고정되는 본체거치대; 상기 거치대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와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브러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수평방향으로 상기 본체거치대에 탈착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본체의 자중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상기 본체거치대와 상호 걸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배터리;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작동되는 모터;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와 결합되어 회전되며, 상기 케이스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샤프트; 상기 케이스의 단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에 대해 회전되며,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어 회전되고, 상기 브러시가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본체거치대와의 결합을 위한 제 1 거치홈 및 제 2 거치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거치홈 및 제 2 거치홈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거치대는,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을 감싸게 형성되는 홀드부; 상기 홀드부에서 일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1 거치홈에 삽입되는 제 1 돌출부; 상기 홀드부에서 일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2 거치홈에 삽입되는 제 2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거치홈에 영구자석 또는 상자성체 중 어느 하나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돌출부에 상기 영구자석 또는 상자성체 중 다른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에 영구자석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거치홈에 상자성체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자성체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은닉되고, 상기 상자성체는 상기 배터리 및 제 1 거치홈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가 상기 제 2 돌출부 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돌출부가 상기 제 1 돌출부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러쉬는 상기 제 1 어댑터와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 어댑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어댑터는, 상기 샤프트의 하단과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 1 어댑터바디; 상기 제 1 어댑터바디의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걸림홈; 상기 제 1 어댑터바디에 배치되는 영구자석 또는 상자성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어댑터는, 상기 제 1 어댑터바디가 삽입되도록 내측에 제 2 어댑터공간이 형성된 제 2 어댑터바디; 상기 제 1 어댑터의 걸림홈과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걸림돌기; 상기 제 2 어댑터바디에 배치되어 자기력에 의한 인력을 형성시키는 상기 영구자석 또는 상자성체 중 다른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브러쉬의 탈착이 용이하고 작동이 용이한 식기 세척을 위한 자동 브러쉬장치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본체거치대 및 본체가 자기력에 의한 인력 및 끼움결합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거치 및 분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으 브러쉬 및 본체가 자기력에 의한 인력 및 끼움결합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 브러쉬장치의 본체가 거치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우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본체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본체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평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8의 우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8의 우측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본체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제 1 어댑터 확대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브러쉬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제 2 어댑터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거치대에 브러쉬가 거치된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 브러쉬장치의 본체가 거치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좌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우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본체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배면도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본체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8의 평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8의 우측면도이고, 도 13은 도 8의 우측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본체의 하부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제 1 어댑터 확대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브러쉬의 하부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제 2 어댑터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거치대에 브러쉬가 거치된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정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을 위한 자동 브러쉬장치는 내장된 배터리를 통해 모터가 작동되어 식기를 자동을 세척할 수 있다.
상기 식기 세척을 위한 자동 브러쉬장치는 거치대(100)와, 상기 거치대(10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와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브러쉬(3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브러쉬(300)는 다수개의 브리슬이 배치되고, 상기 브리슬들이 방사상으로 배치된 형태이며, 도면상에서는 간략하게 원통형으로 표시되었다.
상기 본체(200)는 자중에 의해 상기 거치대(100)에 거치되고, 상기 거치대(100)에서 상측으로 상기 본체(200)가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거치대(100)는 상기 본체(200)가 분리가능하게 거치되는 본체거치대(110)와, 상기 브러쉬(300)가 분리가능하게 거치되는 브러시거치대(12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거치대(110)는 실내의 벽에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브러시거치대(120)는 싱크대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브러시거치대(120)에 거치된 브러시(300)는 상하 방향으로는 분리가능하고, 좌우 방향으로는 상호 걸림을 형성한다.
상기 브러시(300)는 상기 브러시거치대(120)에 끼움결합될 수 있고, 상기 브러쉬(300)가 상측으로 분리가능하게 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거치대(110)는 주방의 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본체거치대(110) 및 본체(200)는 자기력을 통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자력에 의해 자기력에 의해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본체거치대(110) 및 본체(200)에 자기력을 제공하는 제 1 자기력부재 및 제 2 자기력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브러쉬(300)는 식기와 접촉되어 상기 식기의 표면을 청소한다. 상기 브러쉬(300)는 상기 본체(200)에 장착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본체(200) 및 브러쉬(300)는 원터치로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200) 및 브러쉬(300)는 자기력 및 끼움결합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자기력은 영구자석 및 상자성체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200) 및 브러쉬(300)는 자기력 및 끼움결합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조립되기 때문에, 자기력 또는 끼움결합 중 어느 하나가 유효하지 않더라도 나머지 하나가 상기 본체(200) 및 브러쉬(300)의 결합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본체(200)에 탈착가능하게 조립된 브러쉬(300)가 본체(200)에서 분리되어 의도치 않게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체(200) 및 브러쉬(300)는 본체(200)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브러쉬(300)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고, 용도에 따라 각기 달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브러쉬(300)는 실리콘 재질의 브리슬이 배치된 브러쉬, 합성수지 재질의 브리슬이 배치된 브러쉬, 스폰지 재질의 브러쉬 등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200)는 케이스(210)와, 상기 케이스(210) 내부에 배치된 배터리(220)와, 상기 케이스(21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220)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작동되는 모터(230)와, 상기 케이스(21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230)와 결합되어 회전되며, 상기 케이스(210)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샤프트(240)와, 상기 케이스(210)의 단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210)에 대해 회전되며, 상기 샤프트(240)에 결합되어 회전되고, 상기 브러시가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 어댑터(25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210)는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사용자가 쥘 수 있는 바 또는 몽둥이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케이스(210)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조작력을 입력받는 버튼(211)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버튼(211)의 조작을 통해 상기 모터(230)가 회전 또는 정지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10)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배터리(220)는 상기 케이스(210) 내부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케이스(210)의 상측에 상기 배터리(220)의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단자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충전단자는 캡(21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10)는 상기 본체거치대(110)와의 결합을 위한 제 1 거치홈(2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거치홈(214)은 외부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거치홈(214)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거치홈(214)의 내측에 영구자석 또는 상자성체 중 어느 하나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본체거치대(110)에 상기 영구자석 또는 상자성체 중 다른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거치홈(214)의 내측에 상자성체(216)가 배치되고, 상기 본체거치대(110)에 상기 영구자석(116)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거치홈(214)의 내측에 상기 배터리(220)가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상기 제 1 거치홈(214)의 내측에 상자성체를 배치하여 상기 배터리(220)와의 전자기적 간섭을 최소화한다.
상기 상자성체(216)는 상기 배터리(220) 및 제 1 거치홈(214)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상자성체(216)를 상기 케이스(210) 내부에 은닉시켜 부식 등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본체거치대(110)는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부(112)와, 상기 고정부(112)와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210)의 외측면을 감싸게 형성되는 홀드부(113)와, 상기 홀드부(113)에서 일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1 거치홈(214)에 삽입되는 제 1 돌출부(114)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112)는 벽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타측면이 평평하게 형성되고, 평평한 타측면에 접착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드부(113)는 상기 고정부(112)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210)의 외측면 일부를 감싸게 형성된다. 상기 홀드부(113)는 벽면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돌출부(114)는 상기 홀드부(113)의 좌우 중간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돌출부(114)는 상기 제 1 거치홈(214)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거치홈(214)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돌출부(114)의 내측에 상기 영구자석(116)이 은닉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영구자석(116)이 외부로 노출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배터리(220)의 하측에 상기 모터(230)가 배치된다. 상기 모터(230)는 상기 버튼(211)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샤프트(24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샤프트(24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되고, 상기 모터(230)의 모터축에 결합된다. 상기 샤프트(240)의 상단이 상기 모터(230)와 결합되고, 하단(242)이 상기 케이스(210) 밖으로 돌출된다.
상기 하단(242)이 상기 제 1 어댑터(250)와 결합되고, 상기 제 1 어댑터(2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어댑터(250)는 상기 샤프트(240)를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어댑터(250)는 상기 브러시(300)에 배치된 제 2 어댑터(350)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어댑터(250)가 상기 제 2 어댑터(350)로 삽입되어 원터치로 분리가능하게 조립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2 어댑터(350)가 상기 제 1 어댑터(250)로 삽입되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되는 상기 브러쉬(300) 측에서 이물질 또는 물이 비산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 2 어댑터(350)가 상기 제 1 어댑터(250)를 감싸 상기 샤프트(24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 1 어댑터(250)는 상기 샤프트(240)의 하단(242)과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 1 어댑터바디(252)와, 상기 제 1 어댑터바디(252)의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걸림홈(254)와, 상기 제 1 어댑터바디(252)에 배치되는 영구자석 또는 상자성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어댑터(350)는 상기 제 1 어댑터바디(252)가 삽입되도록 내측에 삽입공간이 형성된 제 2 어댑터바디(352)와, 상기 걸림홈(254)과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걸림돌기(354)와, 상기 제 2 어댑터바디(352)에 배치되는 상기 영구자석 또는 상자성체 중 다른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어댑터바디(252)는 한쪽이 개구되고, 본 실시예에서 하측으로 개구되며, 내측에 제 1 어댑터공간(251)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어댑터바디(352)는 한쪽이 개구도고, 본 실시예에서 상측으로 개구되며, 내측에 제 2 어댑터공간(351)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어댑터바디(252)가 상기 제 2 어댑터공간(351)으로 삽입되고, 상기 브러쉬(300)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 1 어댑터공간(251)이 상기 제 2 어댑터공간(351)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어댑터바디(252)는 상기 제 2 어댑터공간(35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브러쉬(300)가 본체(200)에 결합될 때, 상기 제 1 어댑터공간(251) 및 제 2 어댑터공간(351)이 상호 폐쇄된되고, 상기 제 1 어댑터바디(252)는 상기 제 2 어댑터바디(352)의 내측면에 밀착되며, 물 또는 이물질이 상기 제 2 어댑터공간(351)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브러쉬(300)의 회전 시 슬립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제 2 어댑터공간(351)의 평단면은 원형이 아닌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어댑터(250)는 상기 제 1 어댑터바디(252)의 내부 상측벽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설치부(256)가 더 배치되고, 상기 설치부(256) 내부에 영구자석(258)이 배치된다.
상기 제 2 어댑터바디(352)의 내부에 상자성체(358)가 배치되고, 상기 설치부(256)의 영구자석(258)과 자기력에 의한 인력을 형성한다.
상기 브러쉬(300)가 본체(200)에 결합될 때, 상기 설치부(256)가 상기 상자성체(358)에 밀착됨으로서 자기력을 통한 인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354)는 상기 제 2 어댑터바디(352)의 내부 하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돌기(354)는 제 1 걸림돌기(354a) 및 제 2 걸림돌기(354b) 2개가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걸림돌기 및 제 2 걸림돌기는 좌우 대칭이다.
상기 걸림돌기들에 대응하도록 상기 걸림홈(254)도 2개가 배치된다.
상기 걸림홈(254)은 상기 제 1 걸림돌기(354a)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제 1 걸림홈(254a)과, 상기 제 2 걸림돌기(354b)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제 2 걸림홈(254b)를 포함한다.
제 1 걸림홈(254a) 및 제 2 걸림홈(254b)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걸림홈(254a) 및 제 2 걸림홈(254b)은 상기 제 1 어댑터바디(252)를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어댑터공간(251)과 외부를 연통시킨다.
상기 제 1 어댑터바디(252)는 상기 제 1 걸림홈(254a)이 형성된 좌측면(252a)과, 상기 제 2 걸림홈(254b)이 형성된 우측면(252b)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어댑터바디(252)의 좌측면(252a) 및 우측면(252b)은 평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걸림홈(254a) 및 제 2 걸림홈(254b)이 각각의 평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걸림홈(254a) 및 제 2 걸림홈(254b)과의 상호 걸림 시 작동신뢰성이 향상된다.
상기 제 1 어댑터바디(252)의 나머지 측면(252c)은 곡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걸림돌기(354a) 및 제 2 걸림돌기(354b)는 상기 제 2 어댑터바디(352)의 내측면에서 안쪽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 1 걸림돌기(354a) 및 제 2 어댑터바디(352) 사이로 상기 제 1 어댑터바디(252)가 삽입되어 끼움결합된다.
제 1 걸림돌기(354a) 및 제 2 어댑터바디(352) 사이의 공간을 제 1 끼움공간(351a)이라 정의하고, 상기 제 1 끼움공간(351a)은 상기 제 2 어댑터공간(351)과 연통된다.
상기 제 1 걸림돌기(354a)는 상기 제 1 끼움공간(351a) 측으로 돌출된 후크가 더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후크가 상기 제 1 걸림홈(254a)과 상호 걸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걸림돌기(354b) 및 제 2 어댑터바디(352) 사이로 상기 제 1 어댑터바디(252)가 삽입되어 끼움결합된다.
제 2 걸림돌기(354b) 및 제 2 어댑터바디(352) 사이의 공간을 제 2 끼움공간(351b)이라 정의하고, 상기 제 2 끼움공간(351b)은 상기 제 2 어댑터공간(351)과 연통된다.
상기 제 2 걸림돌기(354b)는 상기 제 2 끼움공간(351b) 측으로 돌출된 후크가 더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후크가 상기 제 2 걸림홈(254b)과 상호 걸림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자성체(358)는 상기 제 1 걸림돌기(354a) 및 제 2 걸림돌±(354b)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걸림돌기(354a) 및 제 2 걸림돌기(354b) 사이로 상기 제 1 어댑터(250)의 설치부(256)가 삽입되고, 상기 설치부(256)에 배치된 영구자석(258)과 상기 상자성체(358)가 자기력에 의한 상호 인력을 형성시킨다.
상기 설치부(256)는 상기 제 1 걸림돌기(354a) 및 제 2 걸림돌기(354b)와 끼움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걸림돌기(354a) 및 제 2 걸림돌±(354b)는 상기 제 1 어댑터바디(252)와 상호 끼움결합될 뿐만 아니라 상기 설치부(256)와도 상호 끼움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어댑터(250) 및 제 2 어댑터(350)는 자기력 및 끼움결합을 통해 서로 결합되기 때문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걸림돌기(354a) 및 제 2 어댑터바디(352)이 부러지더라도 자기력을 통해 상기 브러쉬(300)가 상기 본체(20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브러쉬(300) 중 본체(200)에 결합되지 않은 나머지는 상기 브러시거치대(120)에 거치되어 보관될 수 있다.
상기 브러시거치대(120)는 상기 제 2 어댑터바디(350)가 삽입되는 거치홈(121)과, 상기 거치홈(121)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브러쉬(300)의 제 2 어댑터공간(351)으로 삽입되는 거치보스(124)를 더 포함한다.
상기 거치홈(121)은 복수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거치보스(124)도 상기 거치홈(121)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거치대 110 : 본체거치대
120 : 브러쉬거치대 200 : 본체
210 : 케이스 220 : 배터리
230 : 모터 240 : 샤프트
250 : 제 1 어댑터 300 : 브러쉬
350 : 제 2 어댑터

Claims (10)

  1. 벽면에 고정되는 본체거치대;
    상기 거치대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와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브러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수평방향으로 상기 본체거치대에 탈착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본체의 자중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상기 본체거치대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식기 세척을 위한 자동 브러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배터리;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작동되는 모터;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와 결합되어 회전되며, 상기 케이스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샤프트;
    상기 케이스의 단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에 대해 회전되며,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어 회전되고, 상기 브러시가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 어댑터;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을 위한 자동 브러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본체거치대와의 결합을 위한 제 1 거치홈 및 제 2 거치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거치홈 및 제 2 거치홈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식기 세척을 위한 자동 브러쉬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체거치대는,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을 감싸게 형성되는 홀드부;
    상기 홀드부에서 일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1 거치홈에 삽입되는 제 1 돌출부;
    상기 홀드부에서 일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2 거치홈에 삽입되는 제 2 돌출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을 위한 자동 브러쉬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거치홈에 영구자석 또는 상자성체 중 어느 하나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돌출부에 상기 영구자석 또는 상자성체 중 다른 하나가 배치된 식기 세척을 위한 자동 브러쉬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에 영구자석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거치홈에 상자성체가 배치된 식기 세척을 위한 자동 브러쉬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자성체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은닉되고, 상기 상자성체는 상기 배터리 및 제 1 거치홈 사이에 배치된 식기 세척을 위한 자동 브러쉬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가 상기 제 2 돌출부 보다 상측에 배치된 식기 세척을 위한 자동 브러쉬장치.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2 돌출부가 상기 제 1 돌출부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된 식기 세척을 위한 자동 브러쉬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는 상기 제 1 어댑터와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 어댑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어댑터는, 상기 샤프트의 하단과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 1 어댑터바디;
    상기 제 1 어댑터바디의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걸림홈;
    상기 제 1 어댑터바디에 배치되는 영구자석 또는 상자성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어댑터는,
    상기 제 1 어댑터바디가 삽입되도록 내측에 제 2 어댑터공간이 형성된 제 2 어댑터바디;
    상기 제 1 어댑터의 걸림홈과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걸림돌기;
    상기 제 2 어댑터바디에 배치되어 자기력에 의한 인력을 형성시키는 상기 영구자석 또는 상자성체 중 다른 하나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을 위한 자동 브러쉬장치.
KR1020210038831A 2021-03-25 2021-03-25 식기 세척을 위한 자동 브러쉬장치 KR102601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831A KR102601281B1 (ko) 2021-03-25 2021-03-25 식기 세척을 위한 자동 브러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831A KR102601281B1 (ko) 2021-03-25 2021-03-25 식기 세척을 위한 자동 브러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561A true KR20220133561A (ko) 2022-10-05
KR102601281B1 KR102601281B1 (ko) 2023-11-10

Family

ID=83597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831A KR102601281B1 (ko) 2021-03-25 2021-03-25 식기 세척을 위한 자동 브러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28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944Y1 (ko) 2009-02-13 2009-06-18 신광민 젖병 세척구
KR101542591B1 (ko) 2014-02-20 2015-08-06 김철 젖병 세척 장치
KR200483705Y1 (ko) 2016-03-11 2017-06-14 김철 젖병 세척기구
KR200485550Y1 (ko) * 2017-11-29 2018-01-24 김예나 식기 전용 전동 세척기
CN210696484U (zh) * 2019-09-29 2020-06-09 浙江好卫仕日用品有限公司 一种便于更换清洁球的防漏清洁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944Y1 (ko) 2009-02-13 2009-06-18 신광민 젖병 세척구
KR101542591B1 (ko) 2014-02-20 2015-08-06 김철 젖병 세척 장치
KR200483705Y1 (ko) 2016-03-11 2017-06-14 김철 젖병 세척기구
KR200485550Y1 (ko) * 2017-11-29 2018-01-24 김예나 식기 전용 전동 세척기
CN210696484U (zh) * 2019-09-29 2020-06-09 浙江好卫仕日用品有限公司 一种便于更换清洁球的防漏清洁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1281B1 (ko) 2023-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71260A (en) Toothbrush support with recharger stand
EP2497443A2 (en) Mobile sink for brushing teeth for children
US7260862B1 (en) Baby bottle and nipple cleaning apparatus
US20110100865A1 (en) Hygienic Container
KR200483042Y1 (ko) 화장용 브러시 세척키트
CN209220554U (zh) 悬挂式电动牙刷
US20210204685A1 (en) Folding self-cleaning toothbrush
KR200405861Y1 (ko) 칫솔걸이
KR20220133561A (ko) 식기 세척을 위한 자동 브러쉬장치
KR101626354B1 (ko) 안전콘센트
US8671491B1 (en) Cleaning and storage unit for pacifiers
US20130206162A1 (en) Portable Oral Hygiene System
US20200179090A1 (en) Universal serial bus (usb) powered toothbrush
KR101784337B1 (ko) 쿠션 콤팩트 용기
KR101543550B1 (ko) 칫솔용 커버
JP3195399U (ja) 洗浄用ブラシセット
CN210300000U (zh) 一种便携牙刷
CN106176190B (zh) 一种电动按摩洗眼器
CN216822691U (zh) 一种收纳装置
CN218999225U (zh) 宠物自动洗脚足疗杯
CN215192491U (zh) 一种电动牙刷
CN212553944U (zh) 一种振动结构及电子装置
CN211610158U (zh) 一种防污易清洁结构的电动牙刷
CN204336564U (zh) 一种脚垫
CN211049210U (zh) 具有按摩功能的香皂盒及其构成的按摩香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