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481Y1 - 수저 받침용 구조 - Google Patents

수저 받침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481Y1
KR200483481Y1 KR2020150004007U KR20150004007U KR200483481Y1 KR 200483481 Y1 KR200483481 Y1 KR 200483481Y1 KR 2020150004007 U KR2020150004007 U KR 2020150004007U KR 20150004007 U KR20150004007 U KR 20150004007U KR 200483481 Y1 KR200483481 Y1 KR 2004834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hole
present
receiving portion
spo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0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4470U (ko
Inventor
변경섭
Original Assignee
변경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경섭 filed Critical 변경섭
Priority to KR20201500040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481Y1/ko
Publication of KR201600044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4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4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4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저 받침용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수저 받침 구조는 일 영역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식탁과 접촉되는 몸체부와; 상기 관통 구멍의 위쪽을 소정의 공간을 두고 감싸면서 수저가 놓이도록 구성된 수저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저 받침용 구조{STRUCTURE FOR SPOON AND CHOPSTICKS PROP}
본 고안은 수저 받침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당 등에서 위생적으로 수저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저 받침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생활환경의 개선과 외식문화의 발달로 고객들이 가정보다는 밖에서 외식을 즐기는 문화가 발달되고 있다. 그러나 외식을 하는 식당의 청결 상태에 대해서는 장담을 하지 못하니 고객들은 숟가락, 젓가락, 포크 및 나이프 등과 같은 식사 도구(이하 "수저"라 함)를 식탁위에 그냥 올려놓는 것에 대해 많은 부담을 느끼고 있다.
고급식당과 같은 곳에서는 도자기류의 수저 받침을 제공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인 식당에서는 이러한 수저 받침이 제공되지 않아 고객들은 냅킨 종이를 활용하거나 번거로움에 아예 아무것도 사용하지 않는 실정이다.
고객들은 수저 받침이 없는 경우에는 수저의 사용에 있어서 위생과 관련하여 찝찝한 마음을 가지고 식사를 할 수 밖에 없어서 식당에서 기본적으로 수저 받침을 제공하기를 기대하고 있지만, 막상 일반 식당에서는 수저 받침을 보관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수저 받침의 제공에 따른 경제적 이익이 없고 인건비 등의 부담만 증가하는 것이어서, 이를 제공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2052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보관 및 배포가 용이하고 배포에 따른 경제적 이득을 발생시키는 수저 받침용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수저 받침 구조는, 일 영역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식탁과 접촉되는 몸체부와; 상기 관통 구멍의 위쪽을 소정의 공간을 두고 감싸면서 수저가 놓이도록 구성된 수저 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수저 받침 구조는 상기 수저 받침부에 의해 감싸진 상기 관통 구멍 위쪽의 소정의 공간은 다른 수정 받침 구조의 수저 받침부가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 통과하여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수저 받침 구조는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관통 구멍의 좌우측으로 사용자가 상기 수저 받침 구조를 이동시키기 위해 잡을 수 있는 크기의 손잡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수저 받침 구조는 상기 몸체부와 상기 수저 받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광고용 문구 또는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수저 받침 구조는 상기 몸체부의 일 영역에는 고객 제공용 쿠폰이 더 표시되고, 상기 고객 제공용 쿠폰의 주변으로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고객 제공용 쿠폰을 상기 몸체부의 나머지 영역과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절취선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수저 받침 구조는 상기 수저 받침부의 일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 구멍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식당 등에서 고객들이 위생적으로 수저를 사용할 수 있고, 특히 고객들에게 광고가 노출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수저 받침 구조를 적층으로 쌓는 경우 관통 구멍을 통해 수저 받침부가 삽입됨으로써 그 적층된 전체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 고안과 같이 수저 받침부가 돌출 형성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고객들이 굳이 수저 받침을 위해 접거나 조립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저 받침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저 받침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수저 받침 구조가 복수 개 적층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수저 받침 구조에 광고가 표시되고 수저가 놓여져 있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저 받침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수저 받침 구조의 수저 받침부에 절개 영역이 형성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고안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고안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또는 개별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이하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수저(40)는 숟가락 또는 젓가락 또는 포크 또는 나이프 등과 같이 식사 도구 각각을 의미하거나 이들의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수저 받침 구조(1)는 숟가락이나 젓가락을 이용하여 식사하는 중에 숟가락 또는 젓가락의 입에 닿는 부분이 식탁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저 받침 구조(1)는 도 1에 도시되었고, 도 2는 이러한 수저 받침 구조(1)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러한 수저 받침 구조(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인 용지나 책 표지와 같은 두꺼운 종이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고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수저 받침 구조(1)의 각 구성요소들은 종이 이외에도 고무,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수저 받침 구조(1)의 각 구성요소들이 종이류로 구성되는 경우 제조 방법이 저렴하고 무게가 무겁지 않아 보관 및 이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수저 받침 구조(1)가 식당 등에 이용되는 일종의 테이블 세팅지에 해당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다만 기종의 테이블 세팅지는 수저 또는 접시를 올려놓을 수 있는 평평한 면 만을 가지고 있는 것이나, 본 발명에 따른 세팅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저를 올려 놓을 수 있는 돌출 구조를 세팅지 일부에 가지고 있다는 것이 종래와 다른 점이다.
동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저 받침 구조(1)는 몸체부(10)와, 수저 받침부(20), 손잡이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부(10)는 식탁과 접촉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몸체부(10)의 일 영역에는 관통 구멍(1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관통 구멍(1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른 수저 받침 구조(1)가 적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관통 구멍(11)의 형상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수저 받침부(20)는 실제 수저(40)가 놓이는 것으로서, 관통 구멍(11)의 위쪽을 소정의 공간(30)을 두고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수저 받침부(20)는 가로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이 가로 방향의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접혀 위쪽으로 돌출된 상태로 몸체부(10)에 부착 또는 형성된 것을 일 예로 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수저 받침부(20)의 가로 길이와 관통 구멍(11)의 가로 길이는 서로 일치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으나, 수저 받침부(20)의 가로 길이가 관통 구멍(11)의 가로 길이보다 더 작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수저 받침부(20)는 몸체부(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수저 받침부(20)의 일 영역이 몸체부(10)의 윗면 또는 아랫면에 접착부재 예를 들어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저 받침부(20)의 말단에는 접착제의 도포를 위한 소정 면적의 접착부가 더 형성될 수 있는데, 본 고안의 도면에서는 편의상 이러한 접착부의 표시를 편의상 생략하였다. 다만 이러한 접착부의 형태의 일 예를 후술하는 도 7(b) 및 도 7(c)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접착부재에는 액체 형태의 접착제는 물론이고, 종이류가 포함된 양면 테이프도 포함된다.
수저 받침부(20)에 의해 감싸진 관통 구멍(11) 위쪽의 소정의 공간(30)은 다른 수정 받침 구조의 수저 받침부(20)가 관통 구멍(11)을 통해 통과하여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제1 수저 받침 구조(1)와 제2 수저 받침 구조(1')가 있는 경우, 제2 수저 받침 구조(1')의 수저 받침부(20')는 제1 수저 받침 구조(1)의 관통 구멍(11)을 아래쪽에서 위쪽 방향으로 관통함으로써, 제1 수저 받침 구조(1)와 제2 수저 받침 구조(1')가 적층 구조로 쌓일 때 그 적층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렇게 제1 수저 받침 구조(1)와 제2 수저 받침 구조(1')가 적층으로 쌓일 때 제2 수저 받침 구조(1')의 수저 받침부(20') 윗면은 제1 수저 받침 구조(1)의 수저 받침부(20) 아랫면과 맞닿을 수도 있다.
상술한 몸체부(10)와 수저 받침부(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광고용 문구 또는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이처럼 몸체부(10) 또는 수저 받침부(20)의 일 영역에 광고용 이미지 또는 광고용 문구가 표시되는 경우 도 4와 같이 수저(40) 받침용으로 본 고안에 따른 수저 받침 구조(1)를 이용하는 경우 식사하는 내내 광고용 이미지(50)가 고객에게 노출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광고용 문구나 이미지 이외에도 시각 장애인용 점자가 더 표시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수저 받침 구조(1)의 몸체부(10) 일 영역에는 광고용 이미지뿐만 아니라 고객 제공용 쿠폰이 더 표시될 수도 있다. 여기서 광고용 이미지에는 광고를 위한 식별 가능한 문구 또는 이미지는 물론이고 바코드 또는 QR 코드 등 다차원 식별 이미지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때 고객 제공용 쿠폰의 주변으로는 사용자에 의해 고객 제공용 쿠폰을 몸체부(10)의 나머지 영역과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절취선(미 도시함)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절취선은 가위 등으로 오려 낼 수 있도록 프린트된 선 또는 사용자가 쉽게 뜯을 수 있도록 일점쇄선 간격으로 절개된 선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손잡이부(12)는 몸체부(10)의 관통 구멍(11)의 좌우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각각 사용자가 수저 받침 구조(1)를 이동시키기 위해 잡을 수 있는 크기를 갖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저 받침 구조(1)는 식당 등에서 구비하여 종업원 등에 의해 각 손님들에게 서비스로 제공될 수 있는데, 이때 종업원은 수저 받침 구조(1)의 손잡이부(12)를 잡아서 손님 앞 테이블에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만일 본 실시예와 같이 관통 구멍(11)의 좌우측에 손잡이부(12)가 형성되어 있지 없으면, 종업원은 수저 받침부(20)를 잡거나 또는 몸체부(10)의 상부 영역(13)과 하부 영역(14)을 동시에 잡을 수밖에 없는데, 이는 수저(40)와 맞닿는 부분에 종업원이 먼저 손을 대는 것으로서 위생을 생각하면 바람직하지 않다.
종업원이 수저(40)와 맞닿지 않는 몸체부(10)의 상부 영역(13)만 잡을 수는 있으나, 이 경우에는 수저 받침 구조(1)를 이동하거나 테이블에 배치하는데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수저 받침부(20)로 감싸진 관통 구멍(11)의 좌우측에 손잡이부(12)를 형성하고, 이 손잡이부(12)를 종업원 등이 잡을 수 있도록 하게 되면 본 고안에 따른 수저 받침 구조(1)에 대한 보다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손잡이부(12)는 세로 방향의 직사각형 형상의 몸체부(10)에서 좌우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손잡이부(12)가 몸체부(10)의 일 영역에 해당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관통 구멍(11)의 좌우측으로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영역(12)이 몸체부(10)에 존재한다면 그 몸체부(10)의 해당 영역이 상술한 손잡이부(12)에 해당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수저 받침부(20)의 일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 구멍(21)이 형성도리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의 일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서는 수저 받침부(20)에 절개 구멍(21)이 2개 형성된 것을 일 예로 하고 있는데, 도 6(a)는 수저 받침 구조(1)의 평면도에 해당하고, 도 6(b)는 수저 받침 구조(1)를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바라보았을 때 보이는 수저 받침부(2)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절개 구멍(21)에 의해 형성된 함몰 영역은 수저(40) 거치 부분으로 이용될 수 있다.
즉, 함몰 영역에 의해 수저(40)가 거치되는 영역(21)은 도 6(b)와 같이 마치 분지와 같은 형상을 갖게 되어 거치된 숟가락 또는 젓가락이 거치된 상태에서 작은 외력으로도 수저 받침부(20)를 벗어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상술한 수저 받침부(20)의 다른 예가 도시되었다.
우선 도 7(a)는 도 6(b)와 비교되는 수저 받침부(20)의 일종의 정면도에 해당하는 것이고, 도 7(b)는 도 7(a)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c)는 도 7(b)를 완전히 펼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도 7(a)를 살펴보면, 수저 받침부(20)의 좌우측 끝단(22)은 위쪽으로 갈수록 안쪽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되고, 수저 받침부의 절개 구멍에 의한 단턱의 좌우측 끝단(23)은 위쪽으로 갈수록 바깥쪽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저 받침 구조(1)에 의하면 제1 수저 받침 구조의 수저 받침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제2 수저 받침 구조의 수저 받침부가 제1 수저 받침 구조 몸체부의 관통 구멍을 통해 삽입되어 서로 층층이 쌓일 수 있다.
이처럼 수저 받침 구조(1)를 층층이 쌓아 놓고 이용하는 경우, 무게 또는 외부의 압력 등에 의해 각 수저 받침 구조(1)들은 밀착하게 되어 추후 제일 위에 놓인 수저 받침 구조(1)를 빼내려고 할 때 잘 빠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데, 도 7과 같은 구조로 수저 받침부(20)를 형성하는 경우 이러한 문제점을 대폭 경감시킬 수 있다.
즉, 수저 받침부(20)의 좌우측 끝단(22)과 절개 구멍에 의한 단턱의 좌우측 끝단(23)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하게 되면 수저 받침 구조(1)가 쌓여있는 상태에서 그 중 어느 하나를 빼내려고 할 때 기존보다 훨씬 잘 빠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는 경사구조에 의해 각 수저 받침 구조(1)가 쌓일 때의 각각의 밀착도가 수직 구조에 의한 경우보다 낮도록 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수저 받침 구조를 빼낼 때 약간의 외력에 의해서도 서로 간의 밀착도를 쉽게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고안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 : 수저 받침 구조 10 : 몸체부
20 : 수저 받침부 30 : 수저 받침부가 감싸는 공간
40 : 수저 50 : 광고
11 : 관통 구멍 12 : 손잡이부
13 : 몸체부 상부 영역 14 : 몸체부 하부 영역
21 : 절개 구멍

Claims (7)

  1. 일 영역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식탁과 접촉되는 몸체부와;
    상기 관통 구멍의 위쪽을 소정의 공간을 두고 감싸면서 수저가 놓이도록 구성된 수저 받침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저 받침부의 일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저 받침부의 좌우측 끝단은 위쪽으로 갈수록 안쪽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저 받침부의 절개 구멍에 의한 단턱의 좌우측 끝단은 위쪽으로 갈수록 바깥쪽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저 받침부에 의해 감싸진 상기 관통 구멍 위쪽의 소정의 공간은 다른 수정 받침 구조의 수저 받침부가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 통과하여 삽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받침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관통 구멍의 좌우측으로 사용자가 상기 수저 받침 구조를 이동시키기 위해 잡을 수 있는 크기의 손잡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받침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수저 받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광고용 문구 또는 이미지가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받침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 영역에는 고객 제공용 쿠폰이 더 표시되고,
    상기 고객 제공용 쿠폰의 주변으로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고객 제공용 쿠폰을 상기 몸체부의 나머지 영역과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절취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받침 구조.
  6. 삭제
  7. 삭제
KR2020150004007U 2015-06-18 2015-06-18 수저 받침용 구조 KR2004834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007U KR200483481Y1 (ko) 2015-06-18 2015-06-18 수저 받침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007U KR200483481Y1 (ko) 2015-06-18 2015-06-18 수저 받침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470U KR20160004470U (ko) 2016-12-28
KR200483481Y1 true KR200483481Y1 (ko) 2017-05-19

Family

ID=57709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007U KR200483481Y1 (ko) 2015-06-18 2015-06-18 수저 받침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481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155Y1 (ko) 2003-10-08 2004-02-18 김정희 종이 위생 받침대
KR200451893Y1 (ko) 2010-05-20 2011-01-17 김만득 일회용 수저받침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936Y1 (ko) * 1987-06-13 1990-03-12 이원순 자동차 백미러용 공기 와이퍼
KR20130002052U (ko) 2011-09-23 2013-04-02 김조영 일회용 수저 받침대
KR20150000595U (ko) * 2013-07-29 2015-02-06 백종원 일회용 수저받침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155Y1 (ko) 2003-10-08 2004-02-18 김정희 종이 위생 받침대
KR200451893Y1 (ko) 2010-05-20 2011-01-17 김만득 일회용 수저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470U (ko) 201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8171B2 (en) Utensil rest
US6604714B1 (en) Reusable support for displaying display articles
CN110267887B (zh) 设置有防热板的纸杯
US20070131697A1 (en) Plate with utensil pocket
KR200483481Y1 (ko) 수저 받침용 구조
KR200451893Y1 (ko) 일회용 수저받침대
KR200454727Y1 (ko) 수납박스
KR20100004238U (ko) 일회용 수저 받침대
KR200487023Y1 (ko) 일회용 수저 받침대
KR200398986Y1 (ko)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수저 받침대
KR20090010765A (ko) 광고판이 구성된 절첩식 수저 받침대
KR20150000595U (ko) 일회용 수저받침대
KR200497799Y1 (ko) 수저 받침 겸용 포장지
KR20130006657U (ko) 접시
KR200496375Y1 (ko) 일회용 수저 받침과 이를 수용하는 일회용 수저 받침 박스
KR20130007155U (ko) 사용이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젓가락
KR200435785Y1 (ko) 위생 수저 받침대
JP2009247717A (ja) 飲食物容器用指掛具
KR101033334B1 (ko) 일회용 위생 수저 받침대
KR200484348Y1 (ko)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KR20130011009A (ko) 수저 좌대그릇
JP3002570U (ja) 小物置き台
KR200168663Y1 (ko) 위생 수저 받침대
JP6186551B2 (ja) ペットボトル用食品容器連結ホルダー
US20200156825A1 (en) Food takeout bag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