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023Y1 - 일회용 수저 받침대 - Google Patents

일회용 수저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023Y1
KR200487023Y1 KR2020180001633U KR20180001633U KR200487023Y1 KR 200487023 Y1 KR200487023 Y1 KR 200487023Y1 KR 2020180001633 U KR2020180001633 U KR 2020180001633U KR 20180001633 U KR20180001633 U KR 20180001633U KR 200487023 Y1 KR200487023 Y1 KR 2004870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urface
external protrusion
slit
protrus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6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두민
Original Assignee
고두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두민 filed Critical 고두민
Priority to KR20201800016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0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0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0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09F23/1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on paper articles, e.g. booklets, newspap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위생적이고 간편하게 수저를 괼 수 있는 일회용 수저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식탁 표면에 선으로 접촉되는 전 접촉면(3) 및 후 접촉면(4); 식탁 표면에 선으로 접촉되는 좌 접촉면(5) 및 우 접촉면(6); 상기 전 접촉면(3)과 좌 접촉면(5) 사이에 볼록 형성된 제1외접돌기(11)와, 상기 후 접촉면(4)과 좌 접촉면(5) 사이에 볼록 형성된 제2외접돌기(12)와, 상기 제1외접돌기(11)와 제2외접돌기(12)가 만나는 지점과 좌 접촉면(5)의 중심점에 오목 형성된 제1내접홈(13)을 포함하는 좌 세움부(10); 상기 전 접촉면(3)과 우 접촉면(6) 사이에 볼록 형성된 제4외접돌기(21)와, 상기 후 접촉면(4)과 우 접촉면(6) 사이에 볼록 형성된 제5외접돌기(22)와, 상기 제4외접돌기(21)와 제5외접돌기(22)가 만나는 지점과 우 접촉면(6)의 중심점에 오목 형성된 제2내접홈(23)을 포함하는 우 세움부(20); 상기 제1외접돌기(11)와 제2외접돌기(12)가 만나는 부분에 세로로 일정 길이로 절취된 제1슬릿(31)과, 상기 제4외접돌기(21)와 제5외접돌기(22)가 만나는 부분에 세로로 일정 길이로 절취된 제2슬릿(32)과, 상기 제3외접돌기(14)와 제6외접돌기(24)와 평행선상에 형성되고 제1슬릿(31)과 제2슬릿(32)의 중심선에 오목 형성된 제3내접홈(35)과, 상기 제1슬릿(31)과 제2슬릿(32)의 시작점에서 평행선상에 볼록 형성된 제7외접돌기(33)와, 상기 제1슬릿(31)과 제2슬릿(32)의 끝점에서 평행선상에 볼록 형성된 제8외접돌기(34)를 포함하는 받침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좌 세움부(10), 우 세움부(20) 및 받침부(30)를 접기 전에 평판형상의 시트(2)로 제공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식당에서 시트의 형태로 제공된 수저받침대를 사용자가 스스로 간편하게 접어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복수의 시트를 케이스에 적재하여 보관하여 관리가 간편하며, 시트 표면에 식당정보, 음식정보, 캠페인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인쇄하여 광고나 알림 효과를 제공하고, 시트 표면에 비닐지가 코팅 처리되어 위생과 더불어 수저받침대의 강성을 도모하여 수저받침대의 이용에 편의를 제공한 것이다.

Description

일회용 수저 받침대{Disposable Fork and Knife Saddle}
본 고안은 수저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생적이고 간편하게 수저를 괼 수 있는 일회용 수저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저는 숟가락과 젓가락을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수저는 통상 동양에서만 사용하는 것으로 대부분 밥을 주식으로 하는 나라나 지방에서 밥이나 국을 떠먹기 위한 도구로 숟가락을 사용하고, 젓가락은 반찬을 집어먹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차림에서는 반드시 이 2가지를 함께 상에 놓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수저를 이용하여 식사 중에 음식물 찌꺼기가 묻어 있는 채 수저를 밥상이나 식탁에 놓게 되면 밥상이나 식탁이 더러워지거나 수저에 이물질이 묻는 등 위생상 좋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식사 위생을 위하여 수저를 받칠 수 있는 수저받침대가 사용되었다. 수저받침대는 도자기를 비롯하여 목질이나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숟가락이나 젓가락 또는 수저 모두를 거치할 수 있는 형상이나 모양으로 제작되어 사용하고 있다. 더욱이 수저받침대로 종이 등을 접어 일회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종래의 수저받침대는 다양한 형상과 모양의 도자기나 합성수지 또는 목질로 이루어진 것은 음식점에서 도우미가 수저받침대를 운반하거나 식탁에 배열하기 위하여 손이 많이 갈 뿐만 아니라 수저받침대를 비치하는 공간도 많이 차지하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수저의 보관을 위한 수저받침대 케이스를 별도로 사용하거나 수저받침대를 쌓아둘 수 있도록 하는 바스켓 등의 용기를 사용하였다. 더욱이 사용한 수저받침대를 세척한 후에 재사용을 위하여 케이스나 용기에 담아 두게 되면 쉽게 건조가 되지 않아 위생을 저해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특허문헌1은 각각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가로변바닥형성부 및 세로변바닥형성부; 상기 가로변바닥형성부 및 세로변바닥형성부에 둘러쌓여 있으며, 상기 가로변바닥형성부와 가로변접지라인을 가지고, 상기 세로벽바닥형성부와 절개통공라인에 의하여 분리되며, 상기 세로변바닥형성부를 접어서 길이를 줄이는 과정에서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안치부; 및 상기 안치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가로변바닥형성부 쪽으로 접혀지는 세로변바닥고정부를 상기 가로변바닥형성부와 상기 안치부 사이에 끼우는 끼움부를 포함하는 일회용 수저받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2는 중앙에 절곡선이 형성되어 상기 절곡선을 기준으로 양단부가 서로 포개지는 제1경사부 및 제2경사부; 상부에서 누르는 힘에 의해 제1경사부 및 제2경사부의 양단부가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벌어지며 제1경사부 및 제2경사부의 상부 영역이 함몰되도록 절단선이 형성된 받침부; 및 상기 제1경사부와 제2경사부의 양단부가 이루는 각도를 제한하도록 제1경사부와 제2경사부의 내측 소정 영역을 연결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일회용 수저 받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3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형태의 종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종이의 양단변의 중간 부위를 연결하는 선을 따라 제1절곡선을 형성하며, 상기 제1절곡선을 수직하게 횡단하되 상기 단변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두 개의 절개선을 상기 양단변으로부터 각각 일정한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하고, 상기 두 개의 절개선의 서로 마주보는 끝점을 각각 잇는 두 개의 제2절곡선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수저 받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4는 중앙에 제1절곡선(10)이 형성되어 제1절곡선(10)을 기준으로 양단부가 서로 포개지는 제1빗면부(50) 및 제2빗면부(52); 제1빗면부(50) 및 제2빗면부(52)의 상부 영역에서 일부분을 절개부(20)모양으로 절개한다. 지지날개부(30)와 고정날개부로 나누어진 2개의 날개부를 1개로 줄여 결합하면 지지날개부가 평면이 되는 것이 특징인 포개어 결합되는 적층이 가능한 일회용 수저받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1996호(2015.08.04. 공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4238호(2010.04.23.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50218호(2010.05.13. 공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5-0000595호(2015.02.06. 공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목질의 종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접어서 수저받침대를 완성한 후 식탁위에 놓고 여기에 수저를 올려놓고 받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편하고 위생적인 수저의 사용을 위한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고안은 접는 선, 절취선 또는 점착면이 구비된 목질의 종이로 이루어진 수저받침대를 복수로 적층하기 위한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회용 수저받침대에 있어서, 식탁 표면에 선으로 접촉되는 전 접촉면 및 후 접촉면; 식탁 표면에 선으로 접촉되는 좌 접촉면 및 우 접촉면; 상기 전 접촉면과 좌 접촉면 사이에 볼록 형성된 제1외접돌기와, 상기 후 접촉면과 좌 접촉면 사이에 볼록 형성된 제2외접돌기와, 상기 제1외접돌기와 제2외접돌기가 만나는 지점과 좌 접촉면의 중심점에 오목 형성된 제1내접홈을 포함하는 좌 세움부; 상기 전 접촉면과 우 접촉면 사이에 볼록 형성된 제4외접돌기와, 상기 후 접촉면과 우 접촉면 사이에 볼록 형성된 제5외접돌기와, 상기 제4외접돌기와 제5외접돌기가 만나는 지점과 우 접촉면의 중심점에 오목 형성된 제2내접홈을 포함하는 우 세움부; 상기 제1외접돌기와 제2외접돌기가 만나는 부분에 세로로 일정 길이로 절취된 제1슬릿과, 상기 제4외접돌기와 제5외접돌기가 만나는 부분에 세로로 일정 길이로 절취된 제2슬릿과, 상기 제3외접돌기와 제6외접돌기와 평행선상에 형성되고 제1슬릿과 제2슬릿의 중심선에 오목 형성된 제3내접홈과, 상기 제1슬릿과 제2슬릿의 시작점에서 평행선상에 볼록 형성된 제7외접돌기와, 상기 제1슬릿과 제2슬릿의 끝점에서 평행선상에 볼록 형성된 제8외접돌기를 포함하는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 세움부, 우 세움부 및 받침부를 접기 전에 평판형상의 시트로 제공되는 일회용 수저 받침대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고안은, 일회용 수저받침대에 있어서, 식탁의 표면에 면으로 접촉되는 전 접촉면과 후 접촉면; 상기 전 접촉면과 후 접촉면 내측에 각각 평행하게 오목 형성된 제8내접홈과 제9내접홈; 상기 전 접촉면과 후 접촉면 사이의 중심선상 좌측에 볼록 돌출된 제9외접돌기와, 상기 제9외접돌기 전방과 후방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오목 형성된 제4내접홈과 제5내접홈과, 상기 제9외접돌기와 제6내접홈 및 제7내접홈 배면에 고착된 제1점착제와, 상기 제4내접홈 및 제5내접홈 사이와 제1점착제가 고착된 부분 우측으로 절취된 제3슬릿과, 상기 전 접촉면과 후 접촉면 사이와 제3슬릿의 중심선상에서 우측방향으로 볼록 형성된 제10외접돌기를 포함하는 좌 세움부; 상기 전 접촉면과 후 접촉면 사이의 중심선상 좌측에 볼록 돌출된 제11외접돌기와, 상기 제11외접돌기 전방과 후방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오목 형성된 제6내접홈과 제7내접홈과, 상기 제11외접돌기와 제6내접홈 및 제7내접홈 배면에 고착된 제2점착제와, 상기 제6내접홈 및 제7내접홈 사이와 제2점착제가 고착된 부분 좌측으로 절취된 제4슬릿과, 상기 전 접촉면과 후 접촉면 사이와 제2슬릿의 중심선상에서 좌측방향으로 볼록 형성된 제12외접돌기를 포함하는 우 세움부; 상기 제10외접돌기와 제12외접돌기 사이에 타원형상으로 볼록 형성된 제13외접돌기를 포함하는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 세움부, 우 세움부 및 받침부를 접기 전에 평판형상의 시트로 제공되는 일회용 수저 받침대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전 접촉면과 후 접촉면은 전후로 각각 일정 길이로 확장 형성되되, 전 접촉면이 후 접촉면보다 더 길게 확장 형성되고, 상기 전 접촉면 상부 배면에 제3점착제가 고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일회용 수저받침대에 있어서, 식탁의 표면에 면으로 접촉되는 전 접촉면과 후 접촉면; 상기 전 접촉면과 후 접촉면 내측에 각각 평행하게 오목 형성된 제10내접홈과 제11내접홈; 상기 전 접촉면과 후 접촉면 사이의 중심선상 좌측에 절취된 제1체결돌기와, 상기 전 접촉면 또는 후 접촉면 사이에 제1체결돌기에 대응하여 제1체결돌기를 삽입 고정하기 위하여 관통 형성된 제1체결공과, 상기 제10내접홈 및 제11내접홈 사이에 세로로 절취된 제5슬릿과, 상기 전 접촉면과 후 접촉면 사이와 제5슬릿의 중심선상에서 우측방향으로 볼록 형성된 제14외접돌기를 포함하는 좌 세움부; 상기 전 접촉면과 후 접촉면 사이의 중심선상 우측에 제2절취선으로 절취된 제2체결돌기와, 상기 전 접촉면 또는 후 접촉면 사이에 제2체결돌기에 대응하여 제2체결돌기를 삽입 고정하기 위하여 관통 형성된 제2체결공과, 상기 제10내접홈 및 제11내접홈 사이에 세로로 절취된 제6슬릿과, 상기 전 접촉면과 후 접촉면 사이와 제6슬릿의 중심선상에서 좌측방향으로 볼록 형성된 제15외접돌기를 포함하는 우 세움부; 상기 제14외접돌기와 제15외접돌기 사이에 타원형상으로 볼록 형성된 제16외접돌기를 포함하는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 세움부, 우 세움부 및 받침부를 접기 전에 평판형상의 시트로 제공되는 일회용 수저 받침대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받침부는 좌우로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수저받침대를 접기 전에 복수의 시트를 케이스에 적재하여 보관하고, 시트 표면에 식당정보, 음식정보, 캠페인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인쇄 처리하며, 시트 표면에 비닐지가 코팅 처리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식당에서 시트의 형태로 제공된 수저받침대를 사용자가 스스로 간편하게 접어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복수의 시트를 케이스에 적재하여 보관하여 관리가 간편하며, 시트 표면에 식당정보, 음식정보, 캠페인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인쇄하여 광고나 알림 효과를 제공하고, 시트 표면에 비닐지가 코팅 처리되어 위생과 더불어 수저받침대의 강성을 도모하여 수저받침대의 이용에 편의를 제공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 예로, 일회용 수저받침대의 접기 전의 전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수저받침대의 접은 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 예로, 일회용 수저받침대의 접기 전의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수저받침대의 접은 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의 변형 예를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 예로, 일회용 수저받침대의 접기 전의 전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수저받침대의 접은 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제4실시 예로, 일회용 수저받침대의 접기 전의 전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수저받침대의 접은 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고안의 일회용 수저받침대를 접기 전의 시트를 케이스에 넣고 보관하는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수저받침대에 관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일회용 수저받침대(1)는 대략 사각형으로 일정 두께의 종이나 합성수지의 시트(2) 형태로 제작되고, 바깥으로 돌출되게 접을 수 있도록 된 외접돌기와, 안쪽으로 오목하게 접을 수 있도록 된 내접홈, 그리고 절취된 절취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외접돌기와 내접홈은 일정 두께의 시트(2)를 가압하여 외접돌기와 내접홈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는 종래에 수저받침대를 단순히 접을 수 있도록 하는 선만 인쇄된 경우에 사용자가 선을 따라 접어야 하므로 예상할 수 없는 모양이나 형상이 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일회용 수저받침대(1)의 시트(2)에 쉽게 접을 수 있는 외접돌기와 내접홈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시트(2)를 힘들이지 않고 누르거나 오므리는 과정을 거쳐 일회용 수저받침대(1)를 접을 수 있다.
(제1실시 예)
도 1 및 도 2에서, 사각형의 시트(2)는 상하좌우 단부가 식탁의 표면에 선으로 접촉되는 직선의 전 접촉면(3) 및 후 접촉면(4)과, 식탁의 표면에 선으로 접촉되는 직선의 좌 접촉면(5) 및 우 접촉면(6)으로 형성된다. 더욱이 좌 접촉면(5)과 우 접촉면(6)은 평면의 시트(2)에서는 전 접촉면(3)과 우 접촉면(6)의 모서리에서 각각 중심 내측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진 형태인 것이 좋다. 이는 평면의 시트(2)를 입체적인 수저받침대(1)로 접을 때에 좌 접촉면(5)과 우 접촉면(6)이 식탁 표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좌 세움부(10)는 전 접촉면(3)과 좌 접촉면(5) 사이에 제1외접돌기(11)가 볼록 형성되고, 후 접촉면(4)과 좌 접촉면(5) 사이에 제2외접돌기(12)가 볼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1외접돌기(11)와 제2외접돌기(12)가 만나는 지점과 좌 접촉면(5)의 중심점에는 제1내접홈(13)이 오목 형성된다.
우 세움부(20)는 좌 세움부(10)와 대칭적인 구조로, 전 접촉면(3)과 우 접촉면(6) 사이에 제4외접돌기(21)가 볼록 형성되고, 후 접촉면(4)과 우 접촉면(6) 사이에 제5외접돌기(22)가 볼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4외접돌기(21)와 제5외접돌기(22)가 만나는 지점과 우 접촉면(6)의 중심점에 제2내접홈(23)이 오목 형성된다.
받침부(30)는 제1외접돌기(11)와 제2외접돌기(12)가 만나는 지점에서 세로로 일정 길이로 제1슬릿(31)이 절취되고, 또, 제4외접돌기(21)와 제5외접돌기(22)가 만나는 지점에서 세로로 일정 길이로 제2슬릿(32)이 절취된다. 그리고 제1슬릿(31)과 제2슬릿(32)의 중심선에 제3내접홈(35)이 오목 형성된다. 또, 제1슬릿(31)과 제2슬릿(32)의 시작점에서 평행선상에 제7외접돌기(33)가 볼록 형성된다. 또, 제1슬릿(31)과 제2슬릿(32)의 끝점에서 평행선상에 제8외접돌기(34)가 볼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제1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시트(2)로 이루어진 수저받침대(1)의 좌 세움부(10)의 제1내접홈(13)과 우 세움부(20)의 제2내접홈(23)을 양쪽 손으로 각각 누르면, 좌 세움부(10)의 제1외접돌기(11)와 제2외접돌기(12)가 돌출되게 세워지고, 우 세움부(20)의 제4외접돌기(21)와 제5외접돌기(22)가 돌출되게 세워진다.
그리고 절취된 제1슬릿(31)과 제2슬릿(32) 사이의 제3내접홈(35)을 누르면 제7외접돌기(33)와 제8외접돌기(34)가 세워지면서 받침부(30)가 형성된다. 이후, 받침부(30)에 숟가락 및/또는 젓가락을 올려놓으면 일회용 수저받침대(1)가 된다.
(제2실시 예)
도 3 및 도 4에서, 사각형의 시트(2)는 상하에 식탁의 표면에 면으로 접촉되는 전 접촉면(3) 및 후 접촉면(4)이 형성된다. 그리고 전 접촉면(3)과 후 접촉면(4) 내측에 각각 평행하게 제8내접홈(62)과 제9내접홈(63)이 오목 형성된다.
좌 세움부(40)는 전 접촉면(3)과 후 접촉면(4) 사이의 중심선상 좌측에 제9외접돌기(41)가 볼록 형성되고, 제9외접돌기(41) 전방과 후방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제4내접홈(42)과 제5내접홈(43)이 오목 형성된다. 그리고 제9외접돌기(41)와 제4내접홈(42) 및 제5내접홈(43) 배면에 제1점착제(44)가 고착된다. 또한, 제4내접홈(42) 및 제5내접홈(43) 사이와 제1점착제(44)가 고착된 부분 우측으로 제3슬릿(45)이 절취된다. 또, 전 접촉면(3)과 후 접촉면(4) 사이와 제3슬릿(45)의 중심선상에서 우측방향으로 제10외접돌기(46)가 볼록 형성된다.
우 세움부(50)는 좌 세움부(40)와 대칭적인 구조로, 전 접촉면(3)과 후 접촉면(4) 사이의 중심선상 좌측에 제11외접돌기(51)가 볼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11외접돌기(51) 전방과 후방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제6내접홈(52)과 제7내접홈(53)이 오목 형성된다. 또한, 제11외접돌기(51)와 제6내접홈(52) 및 제7내접홈(53) 배면에 제2점착제(54)가 고착된다. 또, 제6내접홈(52) 및 제7내접홈(53) 사이와 제2점착제(54)가 고착된 부분 좌측으로 제4슬릿(55)이 절취된다. 또, 전 접촉면(3)과 후 접촉면(4) 사이와 제4슬릿(55)의 중심선상에서 좌측방향으로 제12외접돌기(56)가 볼록 형성된다.
좌 세움부(40)의 제1점착제(44)와 우 세움부(50)의 제2점착제(54)는 여러 번 붙였다 떼었다를 반복할 수 있는 점착성분이 포함된 것이 좋다. 케이스 등에 보관될 때에 적재된 시트(2)가 모두 상하 일체로 점착된다. 따라서 케이스에 적재된 시트(2)의 가장 위에 위치한 시트(2)를 떼어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점착제(44)와 제2점착제(54)에는 이형지를 부착하여 이형지를 떼기 전에 무단으로 점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받침부(60)는 제10외접돌기(46)와 제12외접돌기(56) 사이에 타원형상으로 제13외접돌기(61)가 볼록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의 변형 예로, 도 5 및 도 6에서, 제10외접돌기(46)와 제12외접돌기(56) 사이에 타원형상으로 형성된 받침부(60) 일측에 타원형상의 외접돌기(65)가 형성된 제2의 받침부(64)를 형성하여 숟가락과 젓가락을 각각 구분하여 거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1의 받침부(60)와 제2의 받침부(64) 사이에 제3외접돌기(66)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제2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시트(2)로 이루어진 수저받침대(1)의 좌 세움부(40)의 배면에 제1점착제(44)가 고착된 제9외접돌기(41)와 우 세움부(50)의 배면에 제2점착제(54)가 고착된 제11외접돌기(51)를 각각 양쪽 손가락으로 잡고 오므리면, 좌 세움부(40)의 제4내접홈(42)과 제5내접홈(43)이 접히면서 배면의 제1점착제(44)끼리 점착이 이루어지고, 우 세움부(50)의 제6내접홈(52)과 제7내접홈(53)이 접히면서 배면의 제2점착제(54)끼리 점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 접촉면(3)의 제8내접홈(62)과 후 접촉면(4)의 제9내접홈(63)을 각각 오므린다. 또한, 제10외접돌기(46)와 제12외접돌기(56)를 세운 뒤, 받침부(60)를 누르면 제13외접돌기(61)를 타원형으로 세워지면서 숟가락 및/또는 젓가락을 거치할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일회용 수저받침대(1)가 된다. 더욱이 제1점착제(44)와 제2점착제(54)의 점착과 더불어 절취된 제3슬릿(45)과 제4슬릿(55)에 의하여 입체적인 모양이 만들어지게 된다.
(제3실시 예)
도 7 및 도 8에서, 사각형의 시트(2)는 상하에 식탁의 표면에 면으로 접촉되는 전 접촉면(3) 및 후 접촉면(4)이 형성된다. 그리고 전 접촉면(3)과 후 접촉면(4) 내측에 각각 평행하게 제10내접홈(92)과 제11내접홈(93)이 오목 형성된다.
좌 세움부(70)는 전 접촉면(3)과 후 접촉면(4) 사이의 중심선상에 제1체결돌기(72)가 절취 형성되고, 전 접촉면(3) 또는 후 접촉면(4) 사이에 제1체결돌기(72)에 대응하여 제1체결돌기(72)를 삽입 고정하기 위하여 제1체결공(73)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제10내접홈(92) 및 제11내접홈(93) 사이에 제5슬릿(74)이 절취 형성된다. 또한, 전 접촉면(3)과 후 접촉면(4) 사이와 제5슬릿(74)의 중심선상에서 우측방향으로 제14외접돌기(75)가 볼록 형성된다.
우 세움부(80)는 전 접촉면(3)과 후 접촉면(4) 사이의 중심선상에 제2체결돌기(82)가 절취 형성되고, 전 접촉면(3) 또는 후 접촉면(4) 사이에 제2체결돌기(82)에 대응하여 제2체결돌기(82)를 삽입 고정하기 위하여 제2체결공(83)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제10내접홈(92) 및 제11내접홈(93) 사이와 제6슬릿(84)이 절취 형성된다. 또한, 전 접촉면(3)과 후 접촉면(4) 사이와 제6슬릿(84)의 중심선상에서 좌측방향으로 제15외접돌기(85)가 볼록 형성된다.
받침부(90)는 제14외접돌기(75)와 제15외접돌기(85) 사이에 타원형상으로 제16외접돌기(91)가 볼록 형성된다. 또한, 받침부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제3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시트(2)로 이루어진 수저받침대(1)의 좌 세움부(70)의 제5슬릿(74)에서 분리된 제1체결돌기(72)를 제1체결공(73)에 삽입하여 고정시키고, 우 세움부(80)의 제6슬릿(84)에서 분리된 제2체결돌기(82)를 제2체결공(83)에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그리고 전 접촉면(3)의 제10내접홈(92)과 후 접촉면(4)의 제11내접홈(93)을 각각 오므린다. 또한, 제14외접돌기(75)와 제15외접돌기(85)를 세운 뒤, 받침부(90)를 누르면 제16외접돌기(91)가 타원형으로 세워지면서 숟가락 및/또는 젓가락을 거치할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일회용 수저받침대(1)가 된다. 더욱이 제1체결돌기(72) 및 제1체결공(73)의 체결과 제2체결돌기(82) 및 제2체결공(83)의 체결과 더불어 제5슬릿(74)과 제6슬릿(84)에 의하여 입체적인 모양이 만들어지게 된다.
(제4실시 예)
도 9 및 도 10에서, 사각형의 시트(2)는 대략 3부분으로 구분된다. 즉, 도 3 및 도 4의 제2실시 예의 변형 예이다.
전 접촉면(3)은 전방으로 일정 길이로 확장 형성되고, 후 접촉면(4)은 후방으로 일정 길이로 확장 형성된다. 더욱이 전 접촉면(3)은 후 접촉면(4)보다 더 길게 확장 형성된다. 그리고 전 접촉면(3) 상부 배면에는 제3점착제(38)가 고착된다. 제3점착제(38)는 복수 장의 시트(2), 예컨대, 50 내지 100장을 적층하여 각각의 시트들이 제3점착제(38)에 의하여 상하로 점착되도록 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시트(2) 한 장씩을 떼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좌 세움부(40)와 우 세움부(50)는 제2실시 예와 동일한 구조이되, 받침부(60)의 제13외접돌기(61)가 수평의 직선으로 돌출되도록 접히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제4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시트(2)로 이루어진 수저받침대(1)의 좌 세움부(40)의 배면에 제1점착제(44)가 고착된 제9외접돌기(41)와 우 세움부(50)의 배면에 제2점착제(54)가 고착된 제11외접돌기(51)를 각각 양쪽 손가락으로 잡고 오므리면, 좌 세움부(40)의 제4내접홈(42)과 제5내접홈(43)이 접히면서 배면의 제1점착제(44)끼리 점착이 이루어지고, 우 세움부(50)의 제6내접홈(52)과 제7내접홈(53)이 접히면서 배면의 제2점착제(54)끼리 점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 접촉면(3)의 제8내접홈(62)과 후 접촉면(4)의 제9내접홈(63)을 각각 오므린다. 또한, 받침부(60)의 제13외접돌기(61)를 세워 숟가락 및/또는 젓가락을 거치할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일회용 수저받침대(1)가 된다. 더욱이 제1점착제(44)와 제2점착제(54)의 점착과 더불어 절취된 제3슬릿(45)과 제4슬릿(55)에 의하여 입체적인 모양이 만들어지게 된다. 또한, 확장된 전 접촉면(3) 위에 숟가락 및/또는 젓가락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11에서, 수저받침대(1)를 접기 전에 복수의 시트(2)를 케이스(100)에 적재하여 보관함으로써, 사용자가 임의로 한 장씩 뽑아내어 일회용 수저받침대(1)를 접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케이스(100)는 적재된 시트(2)를 손으로 꺼내기 쉽게 양측에 개구부(101, 102)가 형성된다.
더욱이 도 12에서, 케이스(100)는 식탁 위에 놓는 것이 좋지만, 케이스(100) 일측면에만 개구부(101)를 형성하고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은 면에 고정부재(110), 예컨대, 양면테이프를 부착하여 식탁 측면이나 벽면에 고정시켜 둘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케이스(100)에 고리를 부착하거나 또는 걸이공을 형성하여 별도의 고정부재에 부착하거나 걸어둘 수도 있다.
또한, 시트(2) 표면에 식당정보, 음식정보, 캠페인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인쇄함으로써, 광고나 알림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시트(2) 표면에 비닐지가 코팅 처리되어 위생과 더불어 수저받침대(1)의 강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시트(2)는 플라스틱 재질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수저받침대 2: 시트 3: 전 접촉면 4: 후 접촉면 5: 좌 접촉면 6: 우 접촉면 10: 좌 세움부 11: 제1외접돌기 12: 제2외접돌기 13: 제1내접홈 20: 우 세움부 21: 제4외접돌기 22: 제5외접돌기 23: 제2내접홈 30: 받침부 31: 제1슬릿 32: 제2슬릿 33: 제7외접돌기 34: 제8외접돌기 35: 제3내접홈 36: 제17외접돌기 38: 제3점착제 40: 좌 세움부 41: 제9외접돌기 42: 제4내접홈 43: 제5내접홈 44: 제1점착제 45: 제3슬릿 46: 제10외접돌기 50: 우 세움부 51: 제11외접돌기 52: 제6내접홈 53: 제7내접홈 54: 제2점착제 55: 제4슬릿 56: 제12외접돌기 60: 받침부 61: 제13외접돌기 62: 제8내접홈 63: 제9내접홈 64: 받침부 70: 좌 세움부 72: 제1체결돌기 73: 제1체결공 74: 제5슬릿 75: 제14외접돌기 80: 우 세움부 82: 제2체결돌기 83: 제2체결공 84: 제6슬릿 85: 제15외접돌기 90: 받침부 91: 제16외접돌기 92: 제10내접홈 93: 제11내접홈 100: 케이스 101: 개구부

Claims (6)

  1. 일회용 수저받침대에 있어서,
    식탁 표면에 선으로 접촉되는 전 접촉면(3) 및 후 접촉면(4);
    식탁 표면에 선으로 접촉되는 좌 접촉면(5) 및 우 접촉면(6);
    상기 전 접촉면(3)과 좌 접촉면(5) 사이에 볼록 형성된 제1외접돌기(11)와, 상기 후 접촉면(4)과 좌 접촉면(5) 사이에 볼록 형성된 제2외접돌기(12)와, 상기 제1외접돌기(11)와 제2외접돌기(12)가 만나는 지점과 좌 접촉면(5)의 중심점에 오목 형성된 제1내접홈(13)을 포함하는 좌 세움부(10);
    상기 전 접촉면(3)과 우 접촉면(6) 사이에 볼록 형성된 제4외접돌기(21)와, 상기 후 접촉면(4)과 우 접촉면(6) 사이에 볼록 형성된 제5외접돌기(22)와, 상기 제4외접돌기(21)와 제5외접돌기(22)가 만나는 지점과 우 접촉면(6)의 중심점에 오목 형성된 제2내접홈(23)을 포함하는 우 세움부(20);
    상기 제1외접돌기(11)와 제2외접돌기(12)가 만나는 부분에 세로로 일정 길이로 절취된 제1슬릿(31)과, 상기 제4외접돌기(21)와 제5외접돌기(22)가 만나는 부분에 세로로 일정 길이로 절취된 제2슬릿(32)과, 상기 제3외접돌기(14)와 제6외접돌기(24)와 평행선상에 형성되고 제1슬릿(31)과 제2슬릿(32)의 중심선에 오목 형성된 제3내접홈(35)과, 상기 제1슬릿(31)과 제2슬릿(32)의 시작점에서 평행선상에 볼록 형성된 제7외접돌기(33)와, 상기 제1슬릿(31)과 제2슬릿(32)의 끝점에서 평행선상에 볼록 형성된 제8외접돌기(34)를 포함하는 받침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좌 세움부(10), 우 세움부(20) 및 받침부(30)를 접기 전에 평판형상의 시트(2)로 제공되는, 일회용 수저 받침대.
  2. 일회용 수저받침대에 있어서,
    식탁의 표면에 면으로 접촉되는 전 접촉면(3)과 후 접촉면(4);
    상기 전 접촉면(3)과 후 접촉면(4) 내측에 각각 평행하게 오목 형성된 제8내접홈(62)과 제9내접홈(63);
    상기 전 접촉면(3)과 후 접촉면(4) 사이의 중심선상 좌측에 볼록 돌출된 제9외접돌기(41)와, 상기 제9외접돌기(41) 전방과 후방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오목 형성된 제4내접홈(42)과 제5내접홈(43)과, 상기 제9외접돌기(41)와 제6내접홈(42) 및 제7내접홈(43) 배면에 고착된 제1점착제(44)와, 상기 제4내접홈(42) 및 제5내접홈(43) 사이와 제1점착제(44)가 고착된 부분 우측으로 절취된 제3슬릿(45)과, 상기 전 접촉면(3)과 후 접촉면(4) 사이와 제3슬릿(45)의 중심선상에서 우측방향으로 볼록 형성된 제10외접돌기(46)를 포함하는 좌 세움부(40);
    상기 전 접촉면(3)과 후 접촉면(4) 사이의 중심선상 좌측에 볼록 돌출된 제11외접돌기(51)와, 상기 제11외접돌기(51) 전방과 후방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오목 형성된 제6내접홈(52)과 제7내접홈(53)과, 상기 제11외접돌기(51)와 제6내접홈(52) 및 제7내접홈(53) 배면에 고착된 제2점착제(54)와, 상기 제6내접홈(52) 및 제7내접홈(53) 사이와 제2점착제(54)가 고착된 부분 좌측으로 절취된 제4슬릿(55)과, 상기 전 접촉면(3)과 후 접촉면(4) 사이와 제2슬릿(55)의 중심선상에서 좌측방향으로 볼록 형성된 제12외접돌기(56)를 포함하는 우 세움부(50);
    상기 제10외접돌기(46)와 제12외접돌기(56) 사이에 타원형상 또는 수평으로 볼록 형성된 제13외접돌기(61)를 포함하는 받침부(60)를 포함하고,
    상기 좌 세움부(40), 우 세움부(50) 및 받침부(60)를 접기 전에 평판형상의 시트(2)로 제공되는, 일회용 수저 받침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 접촉면(3)과 후 접촉면(4)은 전후로 각각 일정 길이로 확장 형성되되, 전 접촉면(3)이 후 접촉면(4)보다 더 길게 확장 형성되고, 상기 전 접촉면(3) 상부 배면에 제3점착제(38)가 고착된, 일회용 수저 받침대.
  4. 일회용 수저받침대에 있어서,
    식탁의 표면에 면으로 접촉되는 전 접촉면(3)과 후 접촉면(4);
    상기 전 접촉면(3)과 후 접촉면(4) 내측에 각각 평행하게 오목 형성된 제10내접홈(92)과 제11내접홈(93);
    상기 전 접촉면(3)과 후 접촉면(4) 사이의 중심선상 좌측에 절취된 제1체결돌기(72)와, 상기 전 접촉면(3) 또는 후 접촉면(4) 사이에 제1체결돌기(72)에 대응하여 제1체결돌기(72)를 삽입 고정하기 위하여 관통 형성된 제1체결공(73)과, 상기 제10내접홈(92) 및 제11내접홈(93) 사이에 세로로 절취된 제5슬릿(74)과, 상기 전 접촉면(3)과 후 접촉면(4) 사이와 제5슬릿(74)의 중심선상에서 우측방향으로 볼록 형성된 제14외접돌기(75)를 포함하는 좌 세움부(70);
    상기 전 접촉면(3)과 후 접촉면(4) 사이의 중심선상 우측에 제2절취선(81)으로 절취된 제2체결돌기(82)와, 상기 전 접촉면(3) 또는 후 접촉면(4) 사이에 제2체결돌기(82)에 대응하여 제2체결돌기(82)를 삽입 고정하기 위하여 관통 형성된 제2체결공(83)과, 상기 제10내접홈(92) 및 제11내접홈(93) 사이에 세로로 절취된 제6슬릿(84)과, 상기 전 접촉면(3)과 후 접촉면(4) 사이와 제6슬릿(84)의 중심선상에서 좌측방향으로 볼록 형성된 제15외접돌기(85)를 포함하는 우 세움부(80);
    상기 제14외접돌기(75)와 제15외접돌기(85) 사이에 타원형상으로 볼록 형성된 제16외접돌기(91)를 포함하는 받침부(90)를 포함하고,
    상기 좌 세움부(70), 우 세움부(80) 및 받침부(90)를 접기 전에 평판형상의 시트(2)로 제공되는, 일회용 수저 받침대.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60, 90)는 좌우로 복수로 형성된, 일회용 수저 받침대.
  6.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저받침대를 접기 전에 복수의 시트(2)를 케이스(100)에 적재하여 보관하고, 시트(2) 표면에 식당정보, 음식정보, 캠페인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인쇄 처리하며, 시트(2) 표면에 비닐지가 코팅 처리된 일회용 수저 받침대.
KR2020180001633U 2018-04-12 2018-04-12 일회용 수저 받침대 KR2004870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633U KR200487023Y1 (ko) 2018-04-12 2018-04-12 일회용 수저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633U KR200487023Y1 (ko) 2018-04-12 2018-04-12 일회용 수저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023Y1 true KR200487023Y1 (ko) 2018-07-26

Family

ID=63047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633U KR200487023Y1 (ko) 2018-04-12 2018-04-12 일회용 수저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0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096A (ko) 2019-07-31 2021-02-10 박수연 휴대폰 모든 면을 보호하는 부착형 보호 필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238U (ko) 2008-10-15 2010-04-23 이시창 일회용 수저 받침대
KR20100050218A (ko) 2008-11-05 2010-05-13 장태현 일회용 수저 받침대
KR20150000595U (ko) 2013-07-29 2015-02-06 백종원 일회용 수저받침대
KR101541996B1 (ko) 2014-02-24 2015-08-04 박우순 일회용 수저받침대
KR20160004057U (ko) * 2015-05-18 2016-11-28 유지원 일회용 수저받침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238U (ko) 2008-10-15 2010-04-23 이시창 일회용 수저 받침대
KR20100050218A (ko) 2008-11-05 2010-05-13 장태현 일회용 수저 받침대
KR20150000595U (ko) 2013-07-29 2015-02-06 백종원 일회용 수저받침대
KR101541996B1 (ko) 2014-02-24 2015-08-04 박우순 일회용 수저받침대
KR20160004057U (ko) * 2015-05-18 2016-11-28 유지원 일회용 수저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096A (ko) 2019-07-31 2021-02-10 박수연 휴대폰 모든 면을 보호하는 부착형 보호 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3464B2 (en) Combination a food plate having detachable, re-attachable eating utensils
US20130087664A1 (en) Disposable utensil rest
TWI620693B (zh) 用於外賣杯的環保紙杯提
KR200487023Y1 (ko) 일회용 수저 받침대
US10624482B2 (en) Non-slip container with hidden suction cup
US10111542B2 (en) Simple holder
US20070131697A1 (en) Plate with utensil pocket
KR200449275Y1 (ko) 일회용 이쑤시개 겸용 식사도구 받침대
KR200297567Y1 (ko) 판촉물용 접이식 수저 받침대
KR101859810B1 (ko) 일회용 접이식 지기 수저 받침대
KR200480315Y1 (ko) 수저 받침 제작 시트
KR20150003578U (ko) 수저받침대의 적층 구조
KR101951546B1 (ko) 보강부가 형성되는 일회용 접이식 지기 수저 받침대
KR200496375Y1 (ko) 일회용 수저 받침과 이를 수용하는 일회용 수저 받침 박스
KR200435785Y1 (ko) 위생 수저 받침대
KR20130007155U (ko) 사용이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젓가락
KR20090010765A (ko) 광고판이 구성된 절첩식 수저 받침대
KR101947898B1 (ko) 분리가능한 일회용 접이식 지기 수저 받침대
KR200483481Y1 (ko) 수저 받침용 구조
CN215383287U (zh) 一种便携式锅架
KR200476318Y1 (ko) 컵 캐리어
JP3053819U (ja) 箸置き機能を有する使い捨て箸袋
JP2511589Y2 (ja) 紙コップ等の筒状容器携行具
KR101707585B1 (ko) 수저받침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물티슈 포장체
KR101033334B1 (ko) 일회용 위생 수저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