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595U - 일회용 수저받침대 - Google Patents

일회용 수저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595U
KR20150000595U KR2020130006324U KR20130006324U KR20150000595U KR 20150000595 U KR20150000595 U KR 20150000595U KR 2020130006324 U KR2020130006324 U KR 2020130006324U KR 20130006324 U KR20130006324 U KR 20130006324U KR 20150000595 U KR20150000595 U KR 201500005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portion
supporting
spoon
wing
beve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63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종원
김동진
Original Assignee
백종원
김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종원, 김동진 filed Critical 백종원
Priority to KR20201300063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0595U/ko
Publication of KR201500005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59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47G2400/025Avoiding contact with unclean surface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회용 수저받침대는 중앙에 지지날개부와 고정날개부로 나누어진 2개의 날개부를 1개로 줄여 결합하면 지지날개부가 평면이 되어 진다.
지지날개부에 숟가락과 젓가락을 올려놓을 수 있는 일회용 수저받침대이다.
결합되어진 일회용 수저받침대는 많은 수의 적층이 쉽고 용이하면 또한, 사용할 때
적층된 수저받침대를 수저받침대케이스에서 쉽게 꺼내어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개어 결합되는 적층이 가능한 일회용 수저받침대{ Spoon Holder }
본 고안은 일회용 수저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숟가락 및 젓가락 등을 받쳐주는 일회용 수저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중 음식점이나 레스토랑 등에서 식사를 하는 경우에는 대부분 테이블에 숟가락과 젓가락을 이용하여 식사를 하고, 식사 중에 음식물이 묻은 숟가락과 젓가락을 테이블 위에 올려 두고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 숟가락과 젓가락에 묻어 있는 음식물이 테이블 위에 옮겨 붙게 되어 테이블을 오염시키거나 그와는 반대로 테이블을 깨끗하게 청소하지 않은 경우에는 테이블에 묻어 있는 오염물이 숟가락 또는 젓가락에 옮겨 붙게 되어 위생적으로 청결을 유지하기가 어렵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일회용 수저 받침대는 끼우거나 접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테이블에 미리 올려놓을 경우, 손님이 일일이 끼워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하며, 미리 조립하여 테이블에 올려놓을 경우, 그 부피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보관하기가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손님의 수에 대응하는 개수의 조립된 수저 받침대를 운반하여 테이블 위해 배치하고 있지만, 테이블에 추가로 손님이 올 경우 손님 수에 대응되도록 수저 받침대를 반복적으로 운반해야되기 때문에 운반에 따른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공개실용신안 20-2010-004238의 선행 일회용 수저받침대는 숟가락과 젓가락을 올려놓으면 숟가락과 젓가락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지지구조가 없어 일회용 수저받침대가 무너진다.
상가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수저받침대케이스 적층하여 보관하기가 용이한 일회용 수저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회용 수저 받침대는 중앙에 제1절곡선이 형성되어 제1절곡선을 기준으로 양단부가 서로 포개지는 제1빗면부 및 제2빗면부로 구성된다. 제1빗면부 및 제2빗면부의 상부 영역에서 일부분을 절개부모양으로 절개한다. 지지날개부과 고정날개부로 나누어진 2개의 날개부를 1개로 줄여 결합하는 것이다.
날개부는 지지날개부과 이탈방지부가 있는 고정날개부로 구성되고 고정날개부를 지지날개부의 제1절곡선이 제3절곡선과 일치하게 하고 고정날개부가 제2빗면부의 제2절개부에 삽입된다. 고정날개부가가 제2절개부에 삽입되면 이탈방지부가 있어 제2절개부로부터 이탈을 방지해 준다. 지지날개부위에 숟가락과 젓가락을 올려놓으면 숟가락과 젓가락에 누르는 힘에 의해 고정날개부가 제2절개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제1빗면부 및 제2빗면부의 상부 영역에서 일부분을 절개부모양으로 절개한다. 지지날개부와 고정날개부로 나누어진 2개의 날개부를 1개로 줄이는 방법에 있어, 고정날개부의 위쪽과 지지날개부의 아래쪽을 포개어 접착한다. 접착력에 의해 숟가락과 젓가락 누르는 힘에 의해 고정날개부가 지지날개부로 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게 하는 일회용 수접받침대이다.
본 고안의 적층이 가능한 일회용 받침대는 많은 수의 수저받침대가 적층 할 수 있도록 지지날개부와 고정날개부가 평면상태로 결합되어 상부 뚜껑이 없는 직사각형 상자모양의 수저받침대케이스에 쉽게 적층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고정날개부을 제2개 절개부에 삽입함으로써 간단하게 숟가락과 젓가락을 올려놓아도 지탱되어 튼튼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숟가락과 젓가락을 올려놓은 포개어 결합되는 일회용 수저받침대 사시도이다
도 2는 고정날개부가 제2절개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방법의 전개도이다.
도3은 지지날개부의 위쪽과 고정날개부의 아래쪽을 포개어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지지날개부의 위쪽과 고정날개부의 아래쪽을 포개어 결합한 전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한다.
도 1은 숟가락과 젓가락을 올려놓은 포개어 결합되는 일회용 수저받침대 사시도이고, 도 2는 고정날개부가 제2절개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방법의 전개도이고, 도 3은 지지날개부의 위쪽과 고정날개부의 아래쪽을 포개어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지지날개부의 위쪽과 고정날개부의 아래쪽을 포개어 결합한 전개도이다.
도 1 과 도 2를 참조하면, 중앙에 제1절곡선(10)이 형성되어 제1절곡선(10)을 기준으로 양단부가 서로 포개지는 제1빗면부(50) 및 제2빗면부(52)가 있다.
제1빗면부(50) 및 제2빗면부(52)의 상부 영역에서 일부분을 절개부(20)모양으로 절개한다. 지지날개부(30)와 고정날개부로 나누어진 2개의 날개부를 1개로 줄여 결합하면 지지날개부가 평면이 된다.
날개부는 지지날개부(30)와 이탈방지부(36)가 있는 고정날개부(31)로 구성되고 고정날개부(31)를 지지날개부의 제1절곡선(10)이 제3절곡선과 일치하게 하고 고정날개부가 제2빗면부(52)의 제2절개부(40)에 삽입되면 지지날개부가 평면이 형성된다. 고정날개부가가 제2절개부에 삽입되면 이탈방지부(36)가 있어 제2절개부로부터 이탈을 방지해 준다. 지지날개부위에 숟가락과 젓가락을 올려놓으면 숟가락(90)과 젓가락(91)에 누르는 힘에 의해 고정날개부가 제2절개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3 과도 4를 참조하면, 중앙에 제1절곡선(10)이 형성되어 절곡선을 기준으로 양단부가 서로 포개지는 제1빗면부 및 제2빗면부가 있다.
제1빗면부 및 제2빗면부의 상부 영역에서 일부분을 절개부(20)모양으로 절개한다. 지지날개부(30)와 고정날개부로 나누어진 2개의 날개부를 1개로 줄이는 방법에 있어, 고정날개부(31)의 위쪽과 지지날개부의 아래쪽을 포개어 접착하면 지지날개부가 평면이 되어진다. 평면이 된 지지날개부위에 숟가락과 젓가락을 올려놓으면 숟가락(90)과 젓가락(91)에 누르는 힘에 의해 고정날개부가 지지날개부로 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10: 제1절곡선 11: 제2절곡선
12: 제3절곡선 20: 제1절개부
30: 고정날개부 31: 접힘선
31: 지지날개부 35:외곽절단선
36 :이탈방지부 40:제2절개부
50: 제1빗면선 52: 제2빗면부
90: 숟가락 91: 젓가락

Claims (3)

  1. 중앙에 제1절곡선(10)이 형성되어 제1절곡선(10)을 기준으로 양단부가 서로 포개지는 제1빗면부(50) 및 제2빗면부(52);
    제1빗면부(50) 및 제2빗면부(52)의 상부 영역에서 일부분를 절개부(20)모양으로 절개한다. 지지날개부(30)와 고정날개부로 나누어진 2개의 날개부를 1개로 줄여 결합하면 지지날개부가 평면이 되는 것이 특징인 포개어 결합되는 적층이 가능한 일회용 수저받침대.
  2. 청구항1에 있어서
    날개부는 지지날개부(30)와 이탈방지부(36)가 있는 고정날개부(31)로 구성되고 고정날개부(31)를 지지날개부의 제1절곡선(10)이 제3절곡선과 일치하게 하고 고정날개부가 제2빗면부(52)의 제2절개부(40)에 삽입되면 지지날개부가 평면이 형성된다. 고정날개부가가 제2절개부에 삽입되면 이탈방지부(36)가 있어 제2절개부로부터 이탈을 방지해 준다. 지지날개부위에 숟가락과 젓가락을 올려놓으면 숟가락(90)과 젓가락(91)에 누르는 힘에 의해 고정날개부가 제2절개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개어 결합되는 적층이 가능한 일회용 수저받침대.
  3. 중앙에 제1절곡선(10)이 형성되어 절곡선을 기준으로 양단부가 서로 포개지는 제1빗면부 및 제2빗면부;
    제1빗면부 및 제2빗면부의 상부 영역에서 일부분을 절개부(20)모양으로 절개한다. 지지날개부(30)와 고정날개부로 나누어진 2개의 날개부를 1개로 줄이는 방법에 있어, 고정날개부(31)의 위쪽과 지지날개부의 아래쪽을 포개어 접착하면 지지날개부가 평면이 되어진다. 평면이 된 지지날개부위에 숟가락과 젓가락를 올려놓으면 숟가락(90)과 젓가락(91)에 누르는 힘에 의해 고정날개부가 지지날개부로 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개어 결합되는 적층이 가능한 일회용 수법받침대.
KR2020130006324U 2013-07-29 2013-07-29 일회용 수저받침대 KR2015000059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324U KR20150000595U (ko) 2013-07-29 2013-07-29 일회용 수저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324U KR20150000595U (ko) 2013-07-29 2013-07-29 일회용 수저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595U true KR20150000595U (ko) 2015-02-06

Family

ID=52571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6324U KR20150000595U (ko) 2013-07-29 2013-07-29 일회용 수저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059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470U (ko) * 2015-06-18 2016-12-28 변경섭 수저 받침용 구조
KR200487023Y1 (ko) 2018-04-12 2018-07-26 고두민 일회용 수저 받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470U (ko) * 2015-06-18 2016-12-28 변경섭 수저 받침용 구조
KR200487023Y1 (ko) 2018-04-12 2018-07-26 고두민 일회용 수저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69311S1 (en) Modular food containment system
US20120248124A1 (en) Disposable plates and bowls with attached utensils
JP3202643U (ja) 飲料用の支持部を備えた食品コンテナ
TWI620693B (zh) 用於外賣杯的環保紙杯提
EP3309092A1 (en) Environmental-friendly paper carrier for takeout cup
KR20150000595U (ko) 일회용 수저받침대
US20070131697A1 (en) Plate with utensil pocket
US20080110901A1 (en) Plate Pack
CA2907997C (en) Simple holder
KR101200164B1 (ko) 컵 캐리어
KR200451893Y1 (ko) 일회용 수저받침대
KR20100004238U (ko) 일회용 수저 받침대
KR100765935B1 (ko) 일회용 위생 식사도구 받침구조
KR20130114838A (ko) 수저받침대 적층이 가능한 케이스
CN214207992U (zh) 一种自助取餐器托盘架
KR200302962Y1 (ko) 식탁
JP3212176U (ja) 簡易カップ兼紙皿
KR200483481Y1 (ko) 수저 받침용 구조
JP3097980U (ja) 立食パーティー等の際に使用する片手用トレイ
KR200382689Y1 (ko) 제기
JP5081344B2 (ja) スライス済みの食パンを2等分するための器具
KR200431708Y1 (ko) 요식업소용 반찬 보관대
JP3177220U (ja) 弁当箱用蓋
JP3175249U (ja) 食品容器の支持脚台
KR20210002954U (ko) 일회용 수저 받침 및 이를 수용하는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