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578U - 수저받침대의 적층 구조 - Google Patents

수저받침대의 적층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578U
KR20150003578U KR2020140002253U KR20140002253U KR20150003578U KR 20150003578 U KR20150003578 U KR 20150003578U KR 2020140002253 U KR2020140002253 U KR 2020140002253U KR 20140002253 U KR20140002253 U KR 20140002253U KR 20150003578 U KR20150003578 U KR 2015000357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n
sole
upper portion
protrusion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2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웅
Original Assignee
김대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웅 filed Critical 김대웅
Priority to KR20201400022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3578U/ko
Publication of KR201500035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57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수의 수저받침대를 비치, 운반, 건조 및 적재가 용이하도록 적층할 수 있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 수저를 거치할 수 있는 상부(10)와 상부 아래에 내측으로 적재공간부(21)가 형성된 하부(20)로 일체 구성되고, 상부(10)와 하부(20) 사이의 외주에 단턱(18)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10) 표면 좌측에 제1돌출부(11)가 형성되고, 상부(10) 중심에 제2돌출부(12)가 형성되며, 상부(10) 우측에 제3돌출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10) 표면에 돌출 형성된 제1돌출부(11)와 제2돌출부(12) 사이에 수저를 거치할 수 있는 라운드 형상의 제1안착홈(14)이 형성되고, 제2돌출부(12)와 제3돌출부(13) 사이에 수저를 거치할 수 있는 라운드 형상의 제2안착홈(15)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단턱(18) 위로 형성된 상부(10)가 상기 단턱(18) 아래로 형성된 하부(20)의 적재공간부(21)에 삽입 결합되어 복수의 수저받침대(1)를 적재하여 적층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본 고안은 복수의 수저받침대를 적재하여 적층시킬 수 있어 수저받침대의 비치, 운반, 건조 및 적재가 용이하고, 세척 후에 용이하게 건조시킬 수 있으며, 하부 중앙에 파지홈이 형성된 수저받침대를 집기가 쉽고, 수저받침대 표면 양측으로 동일한 크기의 홈을 형성하여 숟가락과 젓가락 위치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수저받침대의 사용자의 사용에 편의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수저받침대의 적층 구조{Carrying Structure of Prop for Spoon and Chopsticks}
본 고안은 숟가락과 젓가락을 받치는 수저받침대의 적층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수저받침대를 비치, 운반, 건조 및 적재가 용이하도록 적층할 수 있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저는 숟가락과 젓가락을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수저는 통상 동양에서만 사용하는 것으로 대부분 밥을 주식으로 하는 나라나 지방에서 밥이나 국을 떠먹기 위한 도구로 숟가락을 사용하고, 젓가락은 반찬을 집어먹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차림에서는 반드시 이 2가지를 함께 상에 놓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수저를 이용하여 식사 중에 음식물 찌꺼기가 묻어 있는 채 수저를 밥상이나 식탁에 놓게 되면 밥상이나 식탁이 더러워지거나 수저에 이물질이 묻는 등 위생상 좋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식사 위생을 위하여 수저를 받칠 수 있는 수저받침대가 사용되었다. 수저받침대는 도자기를 비롯하여 목질이나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숟가락이나 젓가락 또는 수저 모두를 거치할 수 있는 형상이나 모양으로 제작되어 사용하고 있다. 더욱이 수저받침대로 종이 등을 접어 일회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종래의 수저받침대는 위생과 더불어 다양한 형상이나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적재하여 적층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지 않아 음식점에서 도우미가 수저받침대를 운반하거나 식탁에 배열하기 위하여 손이 많이 갈 뿐만 아니라 수저받침대를 비치하는 공간도 많이 차지하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수저의 보관을 위한 수저받침대 케이스를 별도로 사용하거나 수저받침대를 쌓아둘 수 있도록 하는 바스켓 등의 용기를 사용하였다. 더욱이 사용한 수저받침대를 세척한 후에 케이스나 용기에 담아 두게 되면 쉽게 건조가 되지 않아 위생을 저해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특허문헌 1은 숟가락과 젓가락을 받쳐 지지하는 받침몸체와, 상기 받침몸체의 저면에 결합되어 받침몸체의 전방에 위치되며, 식탁 위에 안착되어 받침몸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평판 형태의 지지판을 포함하되, 상기 받침몸체와 지지판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상면은 거울기능을 갖도록 표면이 연마 처리된 수저받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는 전후방향으로 위치된 판 형상으로 상면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숟가락안착홈과 젓가락안착홈이 좌우 나란히 근접되게 형성되어 있는 받침대몸체와, 상기 받침대몸체의 전방에 하향 경사진 상태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받침대몸체의 전방을 받침지지하면서 하면부가 식탁이나 밥상위에 맞닿도록 되어 있고 전방끝단에는 수직상방으로 차단판이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숟가락안착홈의 전방외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는 숟가락의 헤드부와 상기 젓가락안착홈의 전방외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는 젓가락의 전방끝부분이 바닥면에 닿지 않고 일정간격 이격된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면서 상기 차단판에 의해 숟가락의 헤드부와 젓가락의 전방끝단이 전방 외측으로 이탈되거나 위치 이동되지 않고 일정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전방수납부와, 상기 받침대몸체의 후방끝단에 수직하방으로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 받침대몸체의 후방을 받침지지하면서 하면부가 식탁이나 밥상 위 맞닿아 유동되거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후방받침부로 구성되어 있는 위생 수저받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은 종이재질로 이루어진 베이스판 상면에 일정높이로 돌출된 다수의 받침턱이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각 받침턱에는 다수의 개소에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각 받침턱 사이에는 절개가 용이하도록 절취선이 형성되고, 베이스판 저면에는 슬립 방지를 위한 논슬립패드가 구비된 일회용 수저받침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6449호(2013.11.07. 공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3483호(2012.05.21.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06273호(2012.09.26. 공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복수의 수저받침대를 적재하여 적층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고안은 수저받침대 표면 양측으로 동일한 크기의 홈을 형성하여 숟가락과 젓가락 위치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본 고안은 적층되어 있는 수저받침대를 집거나 이동시키거나 복수의 수저받침대를 한 번에 운반하기 용이하게 함과 더불어 세척 및 건조의 용이성에 의한 위생과 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 또 다른 목적이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저받침대의 적층 구조에 있어서, 수저를 거치할 수 있는 상부와 상부 아래에 내측으로 적재공간부가 형성된 하부로 일체 구성되고, 상부와 하부 사이의 외주에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표면 좌측에 제1돌출부가 형성되고, 상부 중심에 제2돌출부가 형성되며, 상부 우측에 제3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표면에 돌출 형성된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 사이에 수저를 거치할 수 있는 라운드 형상의 제1안착홈이 형성되고, 제2돌출부와 제3돌출부 사이에 수저를 거치할 수 있는 라운드 형상의 제2안착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단턱 위로 형성된 상부가 상기 단턱 아래로 형성된 하부의 적재공간부에 삽입 결합되어 복수의 수저받침대를 적재하여 적층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수저받침대의 적층 구조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제1안착홈 중심에 일정 깊이의 라운드 형상으로 제1거치홈이 형성되고, 제2안착홈 중심에 일정 깊이의 라운드 형상으로 제2거치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하부 저면 중심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파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복수의 수저받침대를 적재하여 적층시킬 수 있어 수저받침대의 비치, 운반, 건조 및 적재가 용이하고, 세척 후에 용이하게 건조시킬 수 있으며, 하부 중앙에 파지홈이 형성된 수저받침대를 집기가 쉽고, 수저받침대 표면 양측으로 동일한 크기의 홈을 형성하여 숟가락과 젓가락 위치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수저받침대의 사용자의 사용에 편의성을 향상시킨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로서, 수저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저받침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저받침대를 적층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저받침대를 복수로 적층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저받침대에 숟가락과 젓가락을 올려놓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수저받침대에 자루가 짧은 숟가락을 올려놓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수저받침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수저받침대의 적층 구조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수저받침대(1)는 대략 좌우 및 전후방향으로 대칭적인 모양 및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수저받침대(1)는 도자기, 합성수지 또는 목질로 구성되거나 하나 이상이 재질이 조합될 수 있다.
수저받침대(1)는 설명의 편의상 상부(10)와 하부(20)로 구분한다. 즉 일체로 형성된 상부(10)와 하부(20)는 상부와 하부 사이의 외주에 형성된 단턱(18)을 중심으로 구분한다. 단턱(18)은 상부(10)의 표면적보다 넓게 확장되어 하부(20)로 이어진다. 따라서 상부(10)의 표면적보다 하부의 표면적이 넓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부(10)는 표면 좌측에 제1돌출부(11)가 형성되고, 상부(10) 중심에 제2돌출부(12)가 형성되며, 상부(10) 우측에 제3돌출부(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10) 표면에 돌출 형성된 제1돌출부(11)와 제2돌출부(12) 사이에 수저를 거치할 수 있는 라운드 형상의 제1안착홈(14)이 형성되고, 제2돌출부(12)와 제3돌출부(13) 사이에 수저를 거치할 수 있는 라운드 형상의 제2안착홈(15)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돌출부(11)의 좌측면은 단턱(18)으로부터 표면까지 대략 직각이고, 제1돌출부(11)에서 제2돌출부(12) 사이에는 원호 형상, 즉 라운드 형상으로 제1안착홈(14)이 형성되며, 제3돌출부(13)의 우측면은 단턱(18)으로부터 표면까지 대략 직각이고, 제3돌출부(13)에서 제2돌출부(12) 사이에는 원호 형상, 즉 라운드 형상으로 제2안착홈(15)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부(10) 표면은 제1돌출부(11)에서는 수평면이고 제1안착홈(14)에서는 원호면이며, 제2돌출부(12)에서는 수평면이고 제2안착홈(15)에서는 원호면이며, 제3돌출부(13)에서는 수평면이 된다. 더욱이 제1돌출부(11) 내지 제3돌출부(13)와 제1안착홈(14) 및 제2안착홈(15)은 전후방향으로 돌출되거나 홈이 형성된다.
또한, 제1안착홈(14) 중심에 일정 깊이의 원호 형상으로 라운드 형성된 제1거치홈(16)이 형성되고, 제2안착홈(15) 중심에 일정 깊이의 원호 형상으로 라운드 형성된 제2거치홈(17)이 형성된다.
제1안착홈(14)과 제2안착홈(15)은 동일한 너비 및 원주율로 이루어지고 숟가락이나 젓가락을 선택적으로 올려놓을 수 있다. 또한, 제1안착홈(14) 중심에 형성된 제1거치홈(16)과 제2안착홈(15) 중심에 형성된 제2거치홈(17)은 숟가락 머리부의 뒤쪽으로 돌출된 부분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2에서, 수저받침대(1)의 하부(20)는 상부(10)보다 확장된 단턱(18)으로 인하여 넓게 형성되고, 하부(20) 내측으로는 상부(10)가 삽입되는 적재공간부(21)가 형성된다.
또한, 하부(20) 저면 중심에는 전후방향으로 파지홈(23)이 관통된다. 파지홈(23)은 수저받침대(1) 사이의 통공 기능과 더불어 수저받침대(1)의 세척 후에 물기가 배출될 수 있는 통로 기능을 겸할 수 있다. 또한, 파지홈(23)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어 수저받침대(1)를 지면으로부터 집어 올리거나 복수로 적층된 수저받침대(1)로부터 일정 개수를 용이하게 집을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수저받침대(1)를 적층시킬 때에 상부(10)가 하부(20) 내측에 형성된 적재공간부(21)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하부(20) 저면의 테두리부(22)가 단턱(18)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부(10)의 높이보다 하부(20) 내측에 형성된 적재공간부(21)의 높이가 동일하거나 다소 높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제1돌출부(11) 내지 제3돌출부(13)는 수저받침대(1)를 적층할 때에 적재공간부(21) 표면과의 마찰로 인하여 수저받침대(1)를 더 많이 그리고 더 높이 적재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수저받침대(1) 위 또는 아래에 복수의 제2수저받침대(2)가 적재되어 적층되어 있다. 수저받침대(1)의 상부(10)가 제2수저받침대(2) 하부(20)에 형성된 적재공간부(21)에 삽입되어 적층된다. 따라서 식탁 일측에 수저받침대(1) 위나 아래로 복수의 제2수저받침대(2)가 적층시켜 적재하였다가 사용자가 필요할 때에 하나씩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수저받침대(1)를 세척한 후에 적재시켜 적층시키면 수저받침대(1)에 묻은 물기가 용이하게 건조시킬 수 있고, 복수의 수저받침대(1)를 보관할 때에도 공간 확보가 용이하다. 또한, 적층된 수저받침대(1)를 이동하거나 운반할 때에도 편의성이 제공된다.
도 5에서, 수저받침대(1)에 숟가락(3)과 젓가락(4)을 올려놓은 것으로, 상부(10)의 제1안착홈(14)과 제2안착홈(15)에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원하는 곳에 숟가락과 젓가락을 올려놓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왼손잡이인 경우에도 수저 사용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6에서, 수저받침대(1)의 제1안착홈(14) 또는 제2안착홈(15)에 자루가 짧은 숟가락(5)을 올린 상태로서, 자루가 짧은 숟가락(5)은 일본식 음식점에서 우동 등의 국물을 먹을 때 사용하는 것이다. 자루가 짧은 숟가락(5)의 등 부분이 제1거치홈(16)이나 제2거치홈(17)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루가 짧은 숟가락(5)이 수저받침대(1)로부터 미끄러지지 않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도 7에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서, 수저받침대(1)를 물고기의 모양으로 형상화한 것이다. 즉 수저받침대(1)의 상단면에 물고기 이미지를 넣고 제1안착홈과 제2안착홈, 그리고 제1거치홈과 제2거치홈이 형성된 것이다. 더욱이 물고기 형상의 수저받침대(1)를 복수로 적재하여 적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도 8에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수저받침대(1)를 하트(Heart)의 모양으로 형상화한 것이다. 즉 수저받침대(1)의 상단면에 하트 이미지를 넣고 제1안착홈과 제2안착홈, 그리고 제1거치홈과 제2거치홈이 형성된 것이다. 더욱이 하트 형상의 수저받침대(1)를 복수로 적재하여 적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도 7 및 도 8과 같이 수저받침대(1)는 다양한 이미지로 형상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로 적재하여 적층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과 세척 및 보관 등의 편의성을 구현한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2, 6, 7: 수저받침대 3, 5: 숟가락 4: 젓가락 10: 상부 11: 제1돌출부 12: 제2돌출부 13: 제3돌출부 14: 제1안착홈 15: 제2안착홈 16: 제1거치홈 17: 제2거치홈 18: 단턱 20; 하부 21: 적재공간부 22: 테두리부 23: 파지홈

Claims (3)

  1. 수저받침대의 적층 구조에 있어서,
    수저를 거치할 수 있는 상부(10)와 상부 아래에 내측으로 적재공간부(21)가 형성된 하부(20)로 일체 구성되고, 상부(10)와 하부(20) 사이의 외주에 단턱(18)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10) 표면 좌측에 제1돌출부(11)가 형성되고, 상부(10) 중심에 제2돌출부(12)가 형성되며, 상부(10) 우측에 제3돌출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10) 표면에 돌출 형성된 제1돌출부(11)와 제2돌출부(12) 사이에 수저를 거치할 수 있는 라운드 형상의 제1안착홈(14)이 형성되고, 제2돌출부(12)와 제3돌출부(13) 사이에 수저를 거치할 수 있는 라운드 형상의 제2안착홈(15)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단턱(18) 위로 형성된 상부(10)가 상기 단턱(18) 아래로 형성된 하부(20)의 적재공간부(21)에 삽입 결합되어 복수의 수저받침대(1)를 적재하여 적층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수저받침대의 적층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홈(14) 중심에 일정 깊이의 라운드 형상으로 제1거치홈(16)이 형성되고, 제2안착홈(15) 중심에 일정 깊이의 라운드 형상으로 제2거치홈(17)이 형성된 수저받침대의 적층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20) 저면 중심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파지홈(23)이 형성된 수저받침대의 적층 구조.
KR2020140002253U 2014-03-21 2014-03-21 수저받침대의 적층 구조 KR2015000357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253U KR20150003578U (ko) 2014-03-21 2014-03-21 수저받침대의 적층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253U KR20150003578U (ko) 2014-03-21 2014-03-21 수저받침대의 적층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578U true KR20150003578U (ko) 2015-10-02

Family

ID=54342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253U KR20150003578U (ko) 2014-03-21 2014-03-21 수저받침대의 적층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357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321Y1 (ko) * 2019-10-10 2020-09-16 김정희 일회용 수저 받침구
KR20220170167A (ko) 2021-06-22 2022-12-29 백종원 수저 받침대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321Y1 (ko) * 2019-10-10 2020-09-16 김정희 일회용 수저 받침구
KR20220170167A (ko) 2021-06-22 2022-12-29 백종원 수저 받침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7453B2 (en) Combination dish drying mat and rack
US9386886B2 (en) Over sink kitchen work station
US20140246445A1 (en) Angled collapsible container
US20070039971A1 (en) Article baskets for a dishwasher
US8418971B2 (en) Utensil holding kit
US20040079713A1 (en) Dishwasher utility basket
US20140239000A1 (en) Party Plate
KR20140122631A (ko)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
KR20150003578U (ko) 수저받침대의 적층 구조
US10342387B1 (en) Cutting board
CN209376935U (zh) 一种便携套装餐具盒
CN107007859B (zh) 一种嵌入式消毒柜
KR101668223B1 (ko) 일회용 식판
KR20140002574A (ko) 수저 고정홈을 구비한 밥 그릇
KR200245989Y1 (ko) 위생 수저 받침대
KR20090008658U (ko) 일회용 이쑤시개 겸용 식사도구 받침대
US20120228188A1 (en) Food Tray With Non-Slip Inserts
CN218127941U (zh) 餐盘
US10602862B2 (en) Secure-grip disposable dish for food
CN209629369U (zh) 一种组合式餐盘
CN211883294U (zh) 一种多用途卫生端碗器
KR200287246Y1 (ko) 위생 수저 받침대
KR20130006657U (ko) 접시
CN208176448U (zh) 一种酱料碟
KR20240018966A (ko) 접을 수 있는 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