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2631A -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 - Google Patents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2631A
KR20140122631A KR20130039562A KR20130039562A KR20140122631A KR 20140122631 A KR20140122631 A KR 20140122631A KR 20130039562 A KR20130039562 A KR 20130039562A KR 20130039562 A KR20130039562 A KR 20130039562A KR 20140122631 A KR20140122631 A KR 20140122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n
mounting groove
chopsticks
rim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9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5236B1 (ko
Inventor
이기호
Original Assignee
(주)모터일일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터일일사 filed Critical (주)모터일일사
Priority to KR1020130039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236B1/ko
Publication of KR20140122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6Plates with integral holders for spoons, glass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2Containers presenting local stacking elements protruding from the upper or lower edge of a side wall, e.g. handles, lugs, ribs, gro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장자리 테두리부가 상측으로 융기되고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 영역에 수용홈이 형성되어 음식을 담을 수 있는 앞접시나 국그릇과 같은 용기 형상을 가지며, 상기 테두리부에는 숟가락 및 젓가락을 거치할 수 있도록 거치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에 따르면, 음식을 담을 수 있는 앞접시나 국그릇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장자리 테두리부에 거치홈을 형성하여 숟가락 및 젓가락을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식사할 때 음식물을 덜어서 담아 먹는 앞접시나 국그릇의 역할뿐만 아니라 위생을 위해 수저를 받치는 받침대로도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SPOON AND CHOPSTICKS SUPPORT COMPATIBLE WITH CONTAINER}
본 발명은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식사할 때 음식물을 덜어서 담아 먹는 앞접시나 국그릇의 역할뿐만 아니라 위생을 위해 수저를 받치는 받침대로도 사용할 수 있는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사를 할 때 숟가락과 젓가락을 동시에 사용할 수 없는 우리의 식습관에 의하면 수저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때는 반드시 다른 하나를 식탁 위에 얹어 놓고 사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식습관은 식탁의 표면에 잔존하는 병균이 수저에 옮겨져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위생을 위해 수저를 얹어 놓는 수저받침대를 사용하게 된다.
또한, 우리나라 음식은 밥을 주식으로 하여 많은 반찬이 제공되고 있고, 그 대표적인 음식 중의 하나가 한정식이다. 이와 같이 식사 중에 음식을 담은 그릇이나 접시가 많아 손님이 멀리 있는 음식을 먹기 곤란한 경우 손님들은 음식물을 일정량씩 덜어서 먹을 수 있도록 개인용 앞접시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수저받침대와 별도로 개인용 앞접시를 추가로 사용하게 되면 앞접시로 인하여 식탁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므로 식사를 하는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한정식 같이 반찬이 많이 제공되는 음식의 경우에는 수저받침대와 앞접시를 별도로 사용하게 되면 식탁 공간이 더욱 협소해지게 된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음식을 담을 수 있는 앞접시나 국그릇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장자리 테두리부에 거치홈을 형성하여 숟가락 및 젓가락을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식사할 때 음식물을 덜어서 담아 먹는 앞접시나 국그릇의 역할뿐만 아니라 위생을 위해 수저를 받치는 받침대로도 사용할 수 있는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는,
가장자리 테두리부가 상측으로 융기되고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 영역에 수용홈이 형성되어 음식을 담을 수 있는 용기 형상을 가지며,
상기 테두리부에는 숟가락 및 젓가락을 거치할 수 있도록 거치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치홈은,
상부로 개구된 반달형, 사각형 또는 삼각형의 홈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치홈은,
상기 테두리부의 일측에 상부로 개구 형성되어 상기 숟가락이 거치되는 제1 거치홈; 및
상기 테두리부의 타측에 상부로 개구 형성되어 상기 젓가락이 거치되는 제2 거치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거치홈은,
상기 테두리부의 일측에 한 개 형성되며, 상기 숟가락의 손잡이부를 1점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거치홈은,
상기 테두리부의 일측 일직선상에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숟가락의 손잡이부를 2점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거치홈은,
상기 테두리부의 타측 일직선상에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젓가락을 2점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치홈은,
상기 숟가락 및 상기 젓가락이 거치된 후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끄럼방지용 코팅층이 상부 개구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는,
앞접시나 국그릇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에 따르면, 음식을 담을 수 있는 앞접시나 국그릇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장자리 테두리부에 거치홈을 형성하여 숟가락 및 젓가락을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식사할 때 음식물을 덜어서 담아 먹는 앞접시나 국그릇의 역할뿐만 아니라 위생을 위해 수저를 받치는 받침대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의 정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의 사용 상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a)와 B-B'선에 따른 단면도(b)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의 거치홈에 미끄럼방지용 코팅층이 형성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의 사용 상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의 정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의 사용 상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a)와 B-B'선에 따른 단면도(b)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의 거치홈에 미끄럼방지용 코팅층이 형성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10)는, 가장자리 테두리부(11)가 상측으로 융기되고 테두리부(11)의 내측 영역에 수용홈(12)이 형성되어 음식을 담을 수 있는 앞접시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10)는 세라믹, 플라스틱, 목재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10)는 원형 접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형, 사각형 등 다각형태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10)는 높이가 낮은 접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높이가 좀더 높은 사발 형태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10)는 테두리부(11)에 숟가락(1) 및 젓가락(3)을 거치할 수 있도록 거치홈(13)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이러한 거치홈(13)은 테두리부(11)에 상부로 개구된 반달형, 사각형 또는 삼각형의 홈 형태로 구성이 가능하다. 거치홈(13)은 제1 거치홈(14) 및 제2 거치홈(1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거치홈(14)은 테두리부(11)의 일측, 예컨대 앞접시의 중앙을 기준으로 약간 좌측에 상부로 개구 형성되어 숟가락(1)이 거치되는 숟가락 거치용 홈이다. 제1 거치홈(14)은 테두리부(11)의 일측에 한 개 형성되는데, 예를 들어 앞접시의 중앙을 기준으로 약간 좌측의 앞쪽 테두리부, 즉 사용자와 가까운 테두리부에 형성되어 숟가락(1)의 손잡이부를 1점 지지한다. 이때, 숟가락면은 테두리부(11) 내측에 형성된 수용홈(12) 내에 위치한다. 제2 거치홈(15)은 테두리부(11)의 타측, 예컨대 앞접시의 중앙을 기준으로 약간 우측에 상부로 개구가 형성되어 젓가락(3)이 거치되는 젓가락 거치용 홈이다. 제2 거치홈(15)은 테두리부(11)의 타측 일직선상에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도록 형성되는데, 예를 들어 앞접시의 중앙을 기준으로 약간 우측의 앞쪽 테두리부, 즉 사용자와 가까운 테두리부와, 이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뒤쪽 테두리부, 즉 사용자와 먼 테두리부에 각각 형성되어 젓가락(3)을 2점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접시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숟가락 거치용 홈인 제1 거치홈(14)을 형성하고, 우측에 젓가락 거치용 홈인 제2 거치홈(15)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예시하였으나, 그 반대로 앞접시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젓가락 거치용 홈인 제2 거치홈(15)을 형성하고, 우측에 숟가락 거치용 홈인 제1 거치홈(14)을 형성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의 거치홈에 미끄럼방지용 코팅층이 형성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10)는, 거치홈(13)의 상부 개구면에 숟가락(1) 및 젓가락(3)이 거치된 후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끄럼방지용 코팅층(1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미끄럼방지용 코팅층(16)은 미끄럼 방지를 위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부재이면 충분하며, 바람직하게는 미끄럼방지용 코팅층(16)은 거치홈의 상면에 실리콘을 코팅하여 구성하거나 실리콘 부재를 부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10)는 가장자리 테두리부(11)의 내측 영역에 수용홈(12)이 형성되어 음식을 담을 수 있는 앞접시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식사를 할 때 음식물을 덜어서 담아 먹는 앞접시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테두리부(11)에 거치홈(12)이 형성되어 숟가락(1) 및 젓가락(3)을 거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숟가락(1)은 숟가락면을 수용홈(12)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손잡이부를 제1 거치홈(14)에 얹어서 1점 지지하고, 젓가락(3)은 전단과 후단 부위를 제2 거치홈(15)에 얹어서 2점 지지함으로써 식탁의 표면에 잔존하는 병균이 수저에 옮기지 않도록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숟가락(1) 및 젓가락(3)을 거치홈(13)에 거치한 상태로 사용하므로 잡기도 편하다. 또한, 거치홈(13)의 상부 개구면에 미끄럼방지용 코팅층(13)이 형성되므로 숟가락(1) 및 젓가락(3)을 거치홈(13)에 거치한 상태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식사를 할 때 음식물을 덜어서 담아 먹는 앞접시의 역할뿐만 아니라 위생을 위해 수저를 받치는 받침대로도 함께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식탁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의 사용 상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20)는 숟가락(1)이 거치되는 제1 거치홈(14)을 2개로 형성하는 구성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일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일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병기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20)는 테두리부(11)에 숟가락(1) 및 젓가락(3)을 거치할 수 있도록 거치홈(13)이 형성되는데, 이 거치홈(13)은 제1 거치홈(14) 및 제2 거치홈(1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거치홈(14)은 테두리부(11)의 일측, 예컨대 앞접시의 중앙을 기준으로 약간 좌측에 상부로 개구 형성되어 숟가락(1)이 거치되는 숟가락 거치용 홈이다. 제1 거치홈(14)은 테두리부(11)의 일측 일직선상에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도록 형성되는데, 예를 들어 앞접시의 중앙을 기준으로 약간 좌측의 앞쪽 테두리부, 즉 사용자와 가까운 테두리부와, 이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뒤쪽 테두리부, 즉 사용자와 먼 테두리부에 각각 형성되어 숟가락(1)의 손잡이부를 2점 지지한다. 제2 거치홈(15)은 테두리부(11)의 타측, 예컨대 앞접시의 중앙을 기준으로 약간 우측에 상부로 개구 형성되어 젓가락(3)이 거치되는 젓가락 거치용 홈이다. 제2 거치홈(15)은 테두리부(11)의 타측 일직선상에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도록 형성되는데, 예를 들어 앞접시의 중앙을 기준으로 약간 우측의 앞쪽 테두리부, 즉 사용자와 가까운 테두리부와, 이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뒤쪽 테두리부, 즉 사용자와 먼 테두리부에 각각 형성되어 젓가락을 2점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접시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숟가락 거치용 홈인 제1 거치홈(14)을 형성하고, 우측에 젓가락 거치용 홈인 제2 거치홈(15)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예시하였으나, 그 반대로 앞접시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젓가락 거치용 홈인 제2 거치홈(15)을 형성하고, 우측에 숟가락 거치용 홈인 제1 거치홈(14)을 형성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는 식사를 할 때 음식물을 덜어서 담아 먹는 앞접시의 역할뿐만 아니라 위생을 위해 수저를 받치는 받침대로도 함께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식탁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30)는 국그릇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일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일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병기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는 식사를 할 때 국을 담을 수 있는 국그릇의 역할뿐만 아니라 위생을 위해 수저를 받치는 받침대로도 함께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식탁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20, 30: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
11: 테두리부 12: 수용홈
13: 거치홈 14: 제1 거치홈
15: 제2 거치홈 16: 미끄럼방지용 코팅층

Claims (8)

  1. 가장자리 테두리부(11)가 상측으로 융기되고 상기 테두리부(11)의 내측 영역에 수용홈(12)이 형성되어 음식을 담을 수 있는 용기 형상을 가지며,
    상기 테두리부(11)에는 숟가락(1) 및 젓가락(3)을 거치할 수 있도록 거치홈(13)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10, 20, 3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홈(13)은,
    상부로 개구된 반달형, 사각형 또는 삼각형의 홈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홈(13)은,
    상기 테두리부(11)의 일측에 상부로 개구 형성되어 상기 숟가락(1)이 거치되는 제1 거치홈(14); 및
    상기 테두리부(11)의 타측에 상부로 개구 형성되어 상기 젓가락(3)이 거치되는 제2 거치홈(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치홈(14)은,
    상기 테두리부(11)의 일측에 한 개 형성되며, 상기 숟가락(1)의 손잡이부를 1점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치홈(14)은,
    상기 테두리부(11)의 일측 일직선상에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숟가락(1)의 손잡이부를 2점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거치홈(15)은,
    상기 테두리부(11)의 타측 일직선상에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젓가락(3)을 2점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홈(13)은,
    상기 숟가락(1) 및 상기 젓가락(3)이 거치된 후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끄럼방지용 코팅층(16)이 상부 개구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는,
    앞접시나 국그릇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겸용 수저받침대.
KR1020130039562A 2013-04-10 2013-04-10 앞접시 겸용 수저받침대 KR101545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562A KR101545236B1 (ko) 2013-04-10 2013-04-10 앞접시 겸용 수저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562A KR101545236B1 (ko) 2013-04-10 2013-04-10 앞접시 겸용 수저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631A true KR20140122631A (ko) 2014-10-20
KR101545236B1 KR101545236B1 (ko) 2015-08-18

Family

ID=51993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9562A KR101545236B1 (ko) 2013-04-10 2013-04-10 앞접시 겸용 수저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52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1525A (ko) 2016-12-20 2018-06-28 김유송 자석을 이용한 탈부착식 접시
KR102569777B1 (ko) * 2022-03-21 2023-08-22 진용덕 수저 홈이 구비된 그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732Y1 (ko) 2016-10-12 2018-03-29 김천겸 치간칫솔 내장 수저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광고시스템
KR102083756B1 (ko) 2019-05-17 2020-03-02 이두희 수저 받침대
KR102319632B1 (ko) 2021-05-10 2021-10-29 홍진용 다기능 수저받침대
KR20230042609A (ko) 2021-09-22 2023-03-29 김영주 수저받침대가 있는 식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779Y1 (ko) * 2003-09-02 2003-11-28 성창경 수저 받침접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1525A (ko) 2016-12-20 2018-06-28 김유송 자석을 이용한 탈부착식 접시
KR102569777B1 (ko) * 2022-03-21 2023-08-22 진용덕 수저 홈이 구비된 그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5236B1 (ko) 201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5236B1 (ko) 앞접시 겸용 수저받침대
US11064828B1 (en) Elevated dishware having flatware receptacles
CN209376935U (zh) 一种便携套装餐具盒
US5170908A (en) Eating plate having a hole for a beverage container with slots for utensils
US20100116833A1 (en) Holding Element for at Least One Object
US20120145865A1 (en) Pot and utensil rest
KR20140002574A (ko) 수저 고정홈을 구비한 밥 그릇
US20190343308A1 (en) Tableware Organizer for Large Group Gatherings
CN107007859B (zh) 一种嵌入式消毒柜
KR200175671Y1 (ko) 음식용구 받침부를 가진 음식용 용기
KR101668223B1 (ko) 일회용 식판
CN218419273U (zh) 助食餐盘
JPH07241235A (ja) 食事用のトレイ
CN216020331U (zh) 一种组合式餐具
JP3236253U (ja) 食器具
KR20230042609A (ko) 수저받침대가 있는 식기
KR20110010878U (ko) 수저 받침홈을 구비한 밥그릇 뚜껑
KR200287246Y1 (ko) 위생 수저 받침대
US20120205265A1 (en) Combination Nut/Shell Bowl
WO2003066456A1 (en) Fast food tray
KR20220000442U (ko) 수저받침 겸용 종지
US20070069085A1 (en) Support for utensils and napkin holder
KR20230115029A (ko) 커트러리 거치대
KR200471393Y1 (ko) 다기능 식판세트
CN205338498U (zh) 三层餐具托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