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756B1 - 수저 받침대 - Google Patents

수저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3756B1
KR102083756B1 KR1020190058228A KR20190058228A KR102083756B1 KR 102083756 B1 KR102083756 B1 KR 102083756B1 KR 1020190058228 A KR1020190058228 A KR 1020190058228A KR 20190058228 A KR20190058228 A KR 20190058228A KR 102083756 B1 KR102083756 B1 KR 102083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lery
time
unit
mounting
spo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희
Original Assignee
이두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두희 filed Critical 이두희
Priority to KR1020190058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7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4Sound
    • A47G2200/146Sound recording or detec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8Time
    • A47G2200/183Time ind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47G2400/025Avoiding contact with unclean surface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저 받침대에 관한 발명으로, 상면에 수저(10)를 거치하도록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거치부(111)를 형성하고 내부에 설치부(112)를 형성하는 바디(110); 바디(110)의 설치부(112)에 장착하고 거치부(111)의 하측에 개별 구비하여 수저(10)의 거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120); 바디(110)의 설치부(112)에 장착하여 감지수단(120)을 접속하고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식사시간, 거치횟수, 거치시간를 연산 처리하는 제어부(130); 및 바디(110)의 일측에서 제어부(130)에 접속하고 제어부(130)의 처리 결과를 화면에 표시하는 출력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수저 사용자의 식습관 개선을 도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수저 받침대{SPOON AND CHOPSTICKS SUPPORTER}
본 발명은 수저 받침대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탁에 구비하여 수저를 거치하는 수저 받침대에 수저의 사용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일련의 구성을 장착하여 수저 사용자의 식사 습관의 개선을 도모하도록 하는 수저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사에 사용하는 숟가락 및 젓가락은 식탁 상에 각자의 자리에 세팅된다. 수저를 식탁에 직접 올려놓는 것은 특히 공중이 이용하는 식당 등의 장소에서는 위생적인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냅킨 또는 수저 받침대를 이용하여 수저를 거치한다.
수저 받침대는 도기, 합성수지, 목기, 또는 일회용 종이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져 제공되고 있다. 통상적인 수저 받침대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납작한 형태의 몸체를 형성하여 식탁에 배치되며 몸체의 상부에는 숟가락 및 젓가락을 수용하기 위한 소정의 요홈을 형성하여 음식에 접촉하는 수저의 머리 부위가 공중에 들어올려 지도록 받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종래 공지된 수저 받침대의 일례로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245989 호에는 식탁 위에 한 사람에 하나씩 개별적으로 배치되어 사용되고 식사용구를 위생적으로 취급하도록 된 위생 수저 받침대에 있어서, 받침대 몸체에 식사용구를 담아 두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부가 구비되고, 수용공간부에는 중간 요입부와 상측 요입부 및 하측 요입부가 구비되어 식사용구를 가지런하게 담아 안정하게 유지하면서 간편하게 이용하도록 하는 수저 받침대를 구성한다.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398986 호에는 베이스에 대해 상부로 융기된 돌출부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요입홈이 형성되어 숟가락, 젓가락 또는 포크를 각각 거치하도록 하고, 베이스의 하부 면에는 식탁 위에 놓여 질 경우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용 고무판을 부착시킨 수저 받침대를 구성한다.
또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374818 호에는 수저, 젓가락을 올려 놓을 수 있는 홈을 형성하고 받침면의 저면이 개구되어 서로 적층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한 본체부를 구비하고, 본체부는 상부에 형성된 홈의 면이 일측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구성하고, 재질을 금속재, 비철금속재로 형성하는 수저 받침대를 구성한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 10 - 1545236 호에는 가장자리 테두리부가 상측으로 융기되고 테두리부의 내측 영역에 수용홈이 형성되어 음식을 담을 수 있는 용기 형상으로 앞접시와 같은 접시 형태로 구성되며, 테두리부에 숟가락 및 젓가락을 거치할 수 있도록 상부로 개구된 반달형, 사각형 또는 삼각형의 홈 형태를 가지는 거치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앞접시 겸용 수저 받침대를 구성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245989 호 (2001.10.17)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398986 호 (2005.10.18)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374818 호 (2005.02.03) 한국등록특허 제 10 - 1545236 호 (2015.08.18)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수저 받침대는 도기, 합성수지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진 몸체를 형성하고 몸체 상부에는 수저의 일측을 안정적으로 거치하기 위한 소정의 요홈을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수저 받침대는 식전에 수저를 세팅하거나 식사 중에 사용자가 수저를 내려놓을 경우에 식탁에 수저가 직접 닿지 않도록 하여 위생적인 사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수저 받침대는 단순히 수저를 받치기 위한 용도로만 이용 가능할 뿐이므로, 다른 식기나 냅킨 등으로 충분히 대체 가능한 용구에 지나지 않는다.
또 다른 예로든, 종래 기술의 앞접시 겸용 수저 받침대는 앞접시의 테두리부에 수저의 거치홈을 형성하여 겸용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이 역시 두 제품의 기능을 단순 결합한 수준 그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상면에 수저(10)를 거치하도록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거치부(111)를 형성하고 내부에 설치부(112)를 형성하는 바디(110);
상기 바디(110)의 설치부(112)에 장착하고 거치부(111)의 하측에 개별 구비하여 수저(10)의 거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120);
상기 바디(110)의 설치부(112)에 장착하여 감지수단(120)을 접속하고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식사시간, 거치횟수, 거치시간를 연산 처리하는 제어부(130); 및
상기 바디(110)의 일측에서 제어부(130)에 접속하고 제어부(130)의 처리 결과를 화면에 표시하는 출력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수저 사용자의 식습관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수저를 받치기 위한 용도로만 이용 가능한 종래의 수저 받침대와 차별하여 수저의 사용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일련의 구성을 장착하는 수저 받침대를 제공한다.
따라서, 수저 사용자가 식사중에 수저를 수저 받침대에 놓은 횟수와, 수저를 내려놓은 상태에서의 소요시간, 및 식사에 소요된 총 시간을 자동으로 체크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식사 습관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바디에 장착하는 출력부를 통해 처리 결과를 실시간 출력하여 사용자가 식사 속도를 조절하도록 도와줌으로써 사용자가 식사중에 수저를 손에서 놓지 않고 포만감을 느끼기 전에 과량을 섭취하는 습관을 제한하여 수저를 받침대에 내려놓고 음식물을 충분히 씹어 섭취하도록 유도한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인 식이조절을 통해 다이어트 및 건강증진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저 받침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저 받침대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저 받침대의 평면도(a) 및 정면도(b).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저 받침대의 사용 상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저 받침대의 사용 상태 예시도.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저 받침대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수저 받침대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저 받침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저 받침대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저 받침대의 평면도(a) 및 정면도(b),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저 받침대의 사용 상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저 받침대의 사용 상태 예시도,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저 받침대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수저 받침대는 식탁의 각 자리에 배치하여 수저를 거치하도록 구비하는 수저 받침대에 수저의 사용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일련의 구성을 장착하여 수저 사용자의 식습관의 개선을 도모하도록 하는 수저 받침대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저 받침대(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바디(110)와, 바디(110) 내부에 탑재하는 감지수단(120), 제어부(130), 및 전자석(150)과, 바디(110)의 일측에 구비하는 출력부(140)로 구성하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상기 바디(110)는 상면에 수저(10)를 거치하도록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거치부(111)를 형성하고 내부에 설치부(112)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바디(110)는 목재, 금속재, 합성수지재 등의 소재로 이루어져 수저(10)를 나란히 거치하도록 형성한다. 바디(110)의 하측면에는 소정의 미끄럼 방지수단을 부착하여 식탁에 배치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바디(110)의 일측에는 후술하게 될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14) 탑재를 위한 삽입부를 형성하며 타측에는 출력부(140)의 접속을 위한 단자부(113)를 형성한다.
상기 바디(110)의 거치부(111)는 수저(10)의 외형에 상응하는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거치부(111)는 바디(110)와 동일 소재 혹은 이종 소재로 이루어지되, 사용 대상이 되는 수저(10)의 재질, 혹은 바디(110)에 내장하는 감지수단(120)의 종류에 따라서 그에 상응하는 소재로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후술하게 될 감지수단(120)으로써 하중센서 혹은 광센서를 택일하도록 구성하는바, 상기 거치부(111)의 저면은 수저(10)의 하중에 따라 유동하는 탄성소재, 혹은 적외선 투과능을 가지는 투광소재로 구성한다.
상기 감지수단(120)은 바디(110)의 설치부(112)에 장착하고 거치부(111)의 하측에 개별 구비하여 수저(10)의 거치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감지수단(120)으로써 수저(10)의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센서, 혹은 수저(10)에 적외선을 발광하여 감지하는 광센서 중에서 선택하여 구성한다.
상기 하중센서는 예컨대 로드셀을 적용하여 거치부(111)에 수저(10)가 거치시 하측면의 변위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광센서는 예컨대 포토센서를 적용하여 거치부(111)을 통해 수저(10)에 적외선을 발광하고 수저(10)로부터 수광되는 적외선을 인식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한다. 각 센서의 작동원리는 주지된 기술을 참고하면 될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감지수단(120)은 하중센서로 적용할 경우 상기 거치부(111)는 수저(10)의 하중을 감지수단(120)에 작용 가능한 수준의 유동성을 가지는 탄성 플라스틱, 우레탄, 실리콘 등의 합성수지재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수단(120)을 광센서로 적용할 경우 적외선의 투과가 가능한 투명 재질의 플라스틱 소재를 적용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바디(110)의 설치부(112)에 장착하여 감지수단(120)을 접속하고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식사시간, 거치횟수, 거치시간를 연산 처리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카운트 기능을 탑재하는 제어회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단자부(113)를 통해 제어부(130)에 접속하는 출력부(140)의 일측에 마련된 세팅버튼(141)과 연동하여 거치시간을 설정하거나 카운트를 리셋하도록 구비한다.
한편, 상기 바디(110)의 설치부(112)에는 거치부(111)의 하측에 개별 구비하고 제어부(130)와 연동하는 스위치를 내장하여 거치부(111)에 자력을 선택적으로 감응시키는 전자석(150)을 장착하여 구성한다.
상기 전자석(150)은 제어부(130)에 의해 연산 처리되는 거치시간 동안 스위치 온하여 자력을 발생하도록 구비한다. 즉, 상기 전자석(150)은 제어부(130)에 기설정된 거치시간 동안 거치부(111)에 거치된 수저(10)를 부착 상태로 유지하여 사용자의 수저(10) 사용을 일정 시간동안 제한하도록 작동한다. 전자석(150)의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거치부(111)는 자력의 전달이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력부(140)는 바디(110)의 일측에서 제어부(130)에 접속하고 제어부(130)의 처리 결과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출력부(1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와 같이 바디(110)의 일측에서 별도 분리된 구성으로 구비하거나, 혹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와 같이 바디(110)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마련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40)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를 통해 각 표시부(142~144)의 결과를 출력하도록 구비하며, 제어부(130)의 처리 결과값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색상을 가변하거나 점멸 기능이 구현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출력부(140)에는 식시시간표시부(142)와 거치횟수표시부(143)와 거치시간표시부(144)를 마련한다.
상기 식사시간표시부(142)는 출력부(140)의 일측에 마련된 세팅버튼(141)을 작동한 시점부터 재작동한 시점까지 제어부(130)가 소요시간을 카운트하여 결과를 표시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식사시간표시부(142)는 사용자의 세팅버튼(141) 터치에 의해 시간 카운트가 이루어지며 식사의 시작에서 종료 시점까지의 총 소요시간을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거치횟수표시부(143)는 감지수단(120)이 거치부(111)에 수저(10)를 감지하는 시점마다 제어부(130)가 횟수를 카운트한 결과를 표시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거치횟수표시부(143)는 감지수단(120)에 의해 수저(10)의 거치가 감지시 발생하는 감지신호를 제어부(130)가 수신, 처리하여 횟수 카운드가 이루어지며 상기 식사시간표시부(142)의 작동 상태에서 자동으로 카운트의 시작 및 종료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거치시간표시부(144)는 감지수단(120)이 거치부(111)에 수저(10)가 감지된 시점부터 제어부(130)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카운트다운 결과를 표시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거치시간표시부(144)는 상기 거치횟수표시부(143)가 1회 카운트될 때마다 자동으로 카운트다운의 시작이 이루어지며, 세팅버튼(141)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비한다.
상기 거치시간표시부(144)의 카운트다운의 시작과 동시에 상기 전자석(150)은 스위치 온 상태에 돌입하여 수저(10)가 거치부(111)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수저 받침대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저 받침대(100)는 바디(110)의 일측에 형성된 단자부(113)에 출력부(140)를 접속하여 사용하도록 이루어진다. 바디(110)의 설치부(112)에는 감지수단(120), 제어부(130), 전자석(150), 및 배터리(114)가 장착되며 바디(110)의 상면에는 거치부(111)가 형성된다.
출력부(140)에는 식사시간표시부(142)와, 거치횟수표시부(143)와, 거치시간표시부(144), 및 세팅버튼(141)이 디지털 디스플레이로 구비되는바, 사용자는 우선 세팅버튼(141)을 터치하여 수저(10)를 거치부(111)에 수저(10)를 내려놓은 상태에서 들어올리기 까지의 거치시간을 제어부(130)에 세팅한다.
식사의 시작을 위해 수저 받침대(100)의 거치부(111)에 수저(10)를 거치하고 세팅버튼(141)을 터치하면 상기 식사시간표시부(142)는 세팅버튼(141)의 터치와 동시에 제어부(130)에 의해 카운트되는 시간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식사를 위해 수저 받침대(100)의 거치부(111)으로부터 수저(10)를 들어올리고 내려놓는 동작을 시작하면 하중센서 혹은 광센서로 이루어지는 감지수단(120)은 이를 감지하여 수저(10)의 거치 여부에 따라 제어부(130)에 감지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거치횟수표시부(143)는 제어부(130)에 의해 카운트되는 수저(10)의 거치횟수를 표시한다.
상기 거치시간표시부(144)는 사용자에 의해 제어부(130)에 기설정된 거치시간, 예컨대 사용자가 '10초'를 설정하였을 경우, 10초부터 카운트다운되는 시간을 표시한다. 카운트다운이 종료되면 디스플레이의 색상을 변경하여 표시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비프음을 출력한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130)는 전자석(150)의 스위치를 온 상태로 제어하여 자력을 발생시킴에 따라 거치부(111)에 거치된 상태의 수저(10)가 부착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카운트다운이 종료될 때까지 수저(10)의 사용이 제한됨에 따라 음식물을 충분히 씹으면서 식사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식사가 종료되면 사용자는 출력부(140)의 세팅버튼(141)을 터치하고 식사시간표시부(142) 및 거치횟수표시부(143)에는 식사에 소요된 총 시간 및 수저(10)를 거치한 횟수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식사량에 비해 식사시간이 너무 짧은지, 수저(10)를 놓지않고 급하게 식사를 마무리하는지 등의 식습관을 인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저 받침대(100)를 도시한바, 상기 바디(110) 및 출력부(140)의 형상을 패드 형태 혹은 통상의 식사용 받침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형태로 구성하거나, 어린이들을 위한 다양한 캐릭터나 피규어 형상(미도시)으로 구성하는 등 다양한 디자인 및 기능을 구현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저 받침대(100)는 단순히 수저(10)를 받치기 위한 용도로만 이용 가능한 종래의 수저 받침대와 차별된 구성을 통해 수저(10) 사용자가 본인의 식습관을 효과적으로 인지하고 개선하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출력부(140)를 통해 수저(10) 사용자가 식사중에 수저(10)를 수저 받침대(100)에 놓은 횟수와, 수저(10)를 내려놓은 상태에서의 소요시간, 및 식사에 소요된 총 시간을 자동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식사속도를 조절하도록 유도하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의 받침대와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언제든지 휴대하여 식사에 매번 사용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식이조절을 통해 다이어트 및 건강증진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이점이 있다.
10: 수저
100: 수저 받침대
110: 바디
111: 거치부
112: 설치부
113: 단자부
114: 배터리
120: 감지수단
130: 제어부
140: 출력부
141: 세팅버튼
142: 식사시간표시부
143: 거치횟수표시부
144: 거치시간표시부
150: 전자석

Claims (3)

  1. 상면에 수저(10)를 거치하도록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거치부(111)를 형성하고 내부에 설치부(112)를 형성하는 바디(110)와,
    상기 바디(110)의 설치부(112)에 장착하고 상기 거치부(111)의 하측에 개별 구비하여 수저(10)의 거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120)과,
    상기 바디(110)의 설치부(112)에 장착하여 상기 감지수단(120)을 접속하고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식사시간, 거치횟수, 거치시간을 연산 처리하는 제어부(130)와,
    상기 바디(110)의 일측에서 상기 제어부(130)에 접속하고 제어부(130)의 처리 결과를 화면 및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출력부(140)를 구비하는 수저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바디(110)의 설치부(112)에는 상기 거치부(111)의 하측에 개별 구비하고 제어부(130)와 연동하는 스위치를 내장하여 거치부(111)에 자력을 선택적으로 감응시키는 전자석(150)을 장착하고,
    상기 전자석(150)은 상기 제어부(130)에 의해 연산 처리되는 거치시간 동안 스위치 온하여 거치부(111)에 거치된 수저(10)를 부착 상태로 유지하여 수저(10)의 사용을 제한하도록 구비하고,
    상기 출력부(140)에는,
    일측에 마련된 세팅버튼(141)을 작동한 시점부터 재작동한 시점까지 제어부(130)가 소요시간을 카운트하여 결과를 표시하는 식사시간표시부(142)와,
    감지수단(120)이 거치부(111)에 수저(10)를 감지하는 시점마다 제어부(130)가 횟수를 카운트한 결과를 표시하는 거치횟수표시부(143)와,
    감지수단(120)이 거치부(111)에 수저(10)가 감지된 시점부터 제어부(130)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카운트다운 결과를 표시하는 거치시간표시부(144)를 구비하여 수저 사용자에게 인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받침대.
  2. 삭제
  3. 삭제
KR1020190058228A 2019-05-17 2019-05-17 수저 받침대 KR102083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228A KR102083756B1 (ko) 2019-05-17 2019-05-17 수저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228A KR102083756B1 (ko) 2019-05-17 2019-05-17 수저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3756B1 true KR102083756B1 (ko) 2020-03-02

Family

ID=69805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228A KR102083756B1 (ko) 2019-05-17 2019-05-17 수저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7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6438A (ko) 2021-01-22 2022-07-29 김흥수 거치식 식사도구 받침대
KR20220106439A (ko) 2021-01-22 2022-07-29 김흥수 안치식 식사도구 받침대
KR20230115029A (ko) 2022-01-26 2023-08-02 이주환 커트러리 거치대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989Y1 (ko) 2001-05-30 2001-10-17 김일진 위생 수저 받침대
KR200374818Y1 (ko) 2004-11-08 2005-02-03 김철연 위생 수저 받침대
KR200398986Y1 (ko) 2005-07-25 2005-10-18 안봉국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수저 받침대
KR20100046480A (ko) * 2008-10-27 2010-05-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압력 센서를 이용한 식사 행위 감지 방법 및 장치
KR101156408B1 (ko) * 2011-01-11 2012-06-13 서정수 음식물 먹는 도구 검지 기능의 받침대
KR101545236B1 (ko) 2013-04-10 2015-08-18 (주)모터일일사 앞접시 겸용 수저받침대
KR101572116B1 (ko) * 2014-09-05 2015-11-26 늘푸른영어조합법인 회동형 보호 플레이트가 구비된 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989Y1 (ko) 2001-05-30 2001-10-17 김일진 위생 수저 받침대
KR200374818Y1 (ko) 2004-11-08 2005-02-03 김철연 위생 수저 받침대
KR200398986Y1 (ko) 2005-07-25 2005-10-18 안봉국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수저 받침대
KR20100046480A (ko) * 2008-10-27 2010-05-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압력 센서를 이용한 식사 행위 감지 방법 및 장치
KR101156408B1 (ko) * 2011-01-11 2012-06-13 서정수 음식물 먹는 도구 검지 기능의 받침대
KR101545236B1 (ko) 2013-04-10 2015-08-18 (주)모터일일사 앞접시 겸용 수저받침대
KR101572116B1 (ko) * 2014-09-05 2015-11-26 늘푸른영어조합법인 회동형 보호 플레이트가 구비된 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6438A (ko) 2021-01-22 2022-07-29 김흥수 거치식 식사도구 받침대
KR20220106439A (ko) 2021-01-22 2022-07-29 김흥수 안치식 식사도구 받침대
KR20230115029A (ko) 2022-01-26 2023-08-02 이주환 커트러리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3756B1 (ko) 수저 받침대
US5638981A (en) Tableware with utensil support
KR101545236B1 (ko) 앞접시 겸용 수저받침대
JPH0956563A (ja) 食器及び食器受け
JP7155589B2 (ja) 食事用載置具
KR20160011546A (ko) 라이스 플래너
CN219069886U (zh) 带显示功能的公筷支架
JPS6324910A (ja) 足部分付採食用食器
JP3118634U (ja) 食卓用品
KR20220106439A (ko) 안치식 식사도구 받침대
KR20140002574A (ko) 수저 고정홈을 구비한 밥 그릇
KR20110010878U (ko) 수저 받침홈을 구비한 밥그릇 뚜껑
KR200181207Y1 (ko) 위생수저
CN212574656U (zh) 电子标签识别提示卫生碗筷器具
CN215126883U (zh) 一种餐盘
CN212591498U (zh) 金属探测提示卫生碗筷器具
CN203633770U (zh) 一种旋转餐桌
CN212415409U (zh) 一种公勺公筷放置架
EP1362535A1 (en) Food support device
KR200488582Y1 (ko) 상차림 키트에 포함되는 취식도구안치부가 구비된 밥공기
JP2709704B2 (ja) 転倒防止機能付食器具
KR200287246Y1 (ko) 위생 수저 받침대
KR20190117459A (ko) 면발 지지 장치
WO2022269619A1 (en) Aided plates and bowl set
KR200405657Y1 (ko) 바닥에 닿지 않는 위생 젓가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