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442U - 수저받침 겸용 종지 - Google Patents

수저받침 겸용 종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442U
KR20220000442U KR2020200002971U KR20200002971U KR20220000442U KR 20220000442 U KR20220000442 U KR 20220000442U KR 2020200002971 U KR2020200002971 U KR 2020200002971U KR 20200002971 U KR20200002971 U KR 20200002971U KR 20220000442 U KR20220000442 U KR 202200004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poon
support part
caddy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9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예림
Original Assignee
박예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예림 filed Critical 박예림
Priority to KR20202000029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0442U/ko
Publication of KR202200004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44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30Other containers or devices used as table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8Stabilizing containers o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스를 담는 종지부(200)의 바닥면을 경사지게 하여 소스의 양을 개인 기호에 맞추어 쉽게 조절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하고, 수저가 거치되는 받침부(100)의 양측에 상기 종지부(200)를 구비함으로써, 수저를 위생적으로 거치할 수 있고, 편리하고 깔끔하게 식사할 수 있는 수저받침 겸용 종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수저받침 겸용 종지는, 상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오목한 수용공간(210)이 형성된 종지부(200); 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공간(210)의 바닥면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단에 수저가 거치되는 받침부(1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종지부(20)는 상기 받침부(100)의 가로 방향 측부에서 구비된다.

Description

수저받침 겸용 종지{Spoon and chopsticks supporter combined small dish}
본 고안은 수저받침 겸용 종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바닥면을 경사지게 하여 기호에 따라 소스의 양을 조절할 수 있고, 수저를 함께 거치할 수 있는 수저받침 겸용 종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탁 표면은 청결하지 못한 관리를 통해 세균들이 서식하는 비위생적인 부분으로서, 식사 후에 다음 식사까지의 시간동안 먼지와 위생적이지 못한 행주의 각종 세균들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정작 식사 시에 식탁 표면에 수저를 올려 놓기가 꺼려질 때가 많다.
식사시에 많은 사람들이 이에 대한 인식으로 인해 냅킨을 식탁에 깔고 수저를 놓거나, 물컵 등의 용기에 불안전한 모습으로 수저를 올려놓게 된다.
더욱이, 일반 업소의 경우 일일이 수저 받침대를 따로 구비하여 서비스를 갖추기에는 현실적인 어려움들이 많고, 식탁 표면을 세척하기 위해 사용되는 행주는 위생적으로 세척되지 않은 상태에서 여러 번 재사용 됨으로써, 손님에게 더욱더 불쾌감을 주고, 위생적으로 큰 위험을 갖고 있다.
따라서 위생을 위해 일반 업소에서는 수저를 얹어 놓을 수 있는 수저받침대를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저받침대는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수저가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회집이나 고기집에서는 간장, 된장, 초고추장 등등 다양한 소스를 종지에 담아 찍어 먹도록 제공하고 있다.
종래의 종지는 사각형이나 원형 등의 형상을 갖으며, 깊이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섭취자가 소스를 조금만 찍어서 먹고 싶을 때에는 담그는 깊이를 섭취자가 조절하거나 종지의 테두리에 소스를 닦아내는 등 불편함이 발생되고, 종지의 주변이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이러한 종지와 수저받침대가 각각 분리되어 제공되어 왔으며, 식탁에 서빙을 할 때 많은 종류의 식기들을 여러번 옮겨야 하기 때문에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비되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06037호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스를 담는 종지부(200)의 바닥면을 경사지게 하여 소스의 양을 개인 기호에 맞추어 쉽게 조절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하고, 수저가 거치되는 받침부(100)의 양측에 상기 종지부(200)를 구비함으로써, 수저를 위생적으로 거치할 수 있고, 편리하고 깔끔하게 식사할 수 있는 수저받침 겸용 종지를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수저받침 겸용 종지는, 상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오목한 수용공간(210)이 형성된 종지부(200); 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공간(210)의 바닥면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단에 수저가 거치되는 받침부(100);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종지부(20)는 상기 받침부(100)의 가로 방향 측부에서 구비된다.
상기 종지부(200)는 상기 받침부(100)의 가로 방향 양측에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100)의 가로 방향 양측을 차단한다.
상기 종지부(200)는 상기 받침부(100)의 반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수용공간(210)의 깊이가 점점 얕아지도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종지부(200)의 하단에는 상기 받침부(100)의 하단과 수평하게 돌출된 굽부(300)가 구비된다.
상기 받침부(100)는 세로 방향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세로방향 일측에는 상방향으로 지지부(15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받침부(100)는 가운데에서 상기 종지부(20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수저받침 겸용 종지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종지부(200)의 바닥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210)의 깊이가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얕아지게 됨으로써, 취식시 섭취자가 상기 수용공간(210)에 담긴 소스를 찍어 먹을 때 소스의 양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종지부(200)는 상기 받침부(100)의 양측에 상방향을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100)의 양측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받침부(100)에 거치되는 수저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수저를 거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100)의 측부에 소스 등을 담을 수 있는 상기 종지부(200)가 일체로 구비됨으로써, 수저받침 기능과 종지 기능을 하나의 용기에서 구현 가능하며, 이로 인해 서빙시 여러개의 용기를 옮기는 불편함을 해결하고, 세척 및 사용을 편리하게 하며, 취식시 소스가 주변에 떨어지는 빈도를 줄여 청결하게 섭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굽부(300)는 상기 종지부(200)의 하단을 상기 받침부(100)와 수평하게 지지하여 상기 종지부(200)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감 있게 사용할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받침부(100), 상기 종지부(200) 및 상기 굽부(300)의 조합은 전체적인 형상이 한국 전통건축요소에서 돌출한 이미지를 구현하여 기존에 시장에 없는 프리미엄 라인으로 새로운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저받침 겸용 종지의 일방향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저받침 겸용 종지의 타방향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저받침 겸용 종지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저받침 겸용 종지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저받침 겸용 종지의 사시도이다.
[제1실시예]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저받침 겸용 종지는, 받침부(100), 종지부(200) 및 굽부(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부(100)는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받침부(100)는 플라스틱이 아닌 도기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받침부(100)는 상단에 수저를 거치하여 수저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상기 받침부(100)의 양측에는 상기 종지부(200)가 구비되는데, 상기 종지부(200)는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종지부(200)의 양측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받침부(100)는 수저가 좌우로 이동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거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종지부(200)는 상기 받침부(100)의 가로방향 측부에 구비되며, 상단가 개방되어 내부에 오목한 수용공간(210)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공간(210)에는 간장이나 초장 등의 다양한 소스를 담을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앞접시로 사용하여 다양한 반찬이나 음식물을 덜어서 먹을 때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종지부(200)는 상기 받침부(100)의 양측부 중 어느 한 곳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받침부(100)의 가로방향 양측부에 각각 하나씩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종지부(200)는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100)의 가로방향 양측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종지부(200)는 상기 받침부(100)의 양측에 상방향을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100)의 양측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받침부(100)에 거치되는 수저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수저를 거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100)의 측부에 소스 등을 담을 수 있는 상기 종지부(200)가 일체로 구비됨으로써, 수저받침 기능과 종지 기능을 하나의 용기에서 구현 가능하며, 이로 인해 서빙시 여러개의 용기를 옮기는 불편함을 해결하고, 세척 및 사용을 편리하게 하며, 취식시 소스가 주변에 떨어지는 빈도를 줄여 청결하게 섭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종지부(200)는 상기 받침부(100)의 반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수용공간(210)의 깊이가 점점 얕아지도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지부(200)의 하단은 상기 종지부(200)에서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종지부(200)의 바닥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210)의 깊이가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얕아지게 됨으로써, 취식시 섭취자가 상기 수용공간(210)에 담긴 소스를 찍어 먹을 때 소스의 양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소스를 많이 찍어 먹는 사람은 깊이가 깊은 곳을 사용하고, 소스를 적게 찍어 먹는 사람은 깊이가 얕은 곳을 사용하여 소스의 양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종지부(200)의 하단에는 상기 받침부(100)의 하단과 수평하게 상기 굽부(30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굽부(300)는 상기 종지부(200)의 세로방향 양측에 각각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100)의 하단과 수평하게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끝단은 둥글게 원호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굽부(300)는 상기 종지부(200)의 하단을 상기 받침부(100)와 수평하게 지지하여 상기 종지부(200)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감 있게 사용할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받침부(100), 상기 종지부(200) 및 상기 굽부(300)의 조합은 전체적인 형상이 한국 전통건축요소에서 돌출한 이미지를 구현하여 기존에 시장에 없는 프리미엄 라인으로 새로운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제2실시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저받침 겸용 종지는, 제1실시예의 상기 받침부(100)를 제외한 나머지 상기 종지부(200) 및 굽부(300)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기 받침부(100)에 대해서만 상세히 서술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받침부(100)는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받침부(100)는 플라스틱이 아닌 도기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100)의 상단은 세로 방향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세로방향 타측에는 상방향으로 지지부(150)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받침부(100)의 상단에는 상기 받침부(100)의 세로 방향으로 수저를 거치하여 수저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여기에서 상기 받침부(100)의 상단은 수저의 길이 방향, 즉 세로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됨으로써, 수저에 묻은 소스나 국물 등이 상기 받침부(100)의 타측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흐르게 되며, 상기 받침부(100)에 소스나 국물 등이 상기 받침부(100)의 상단에 고여 서로 섞이거나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받침부(100)의 상단 타측에 상기 지지부(150)가 돌출 형성되어 타측 방향으로 흐른 소스나 국물이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주변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제3실시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저받침 겸용 종지는, 제1실시예의 상기 받침부(100)를 제외한 나머지 상기 종지부(200) 및 굽부(300)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기 받침부(100)에 대해서만 상세히 서술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받침부(100)는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받침부(100)는 플라스틱이 아닌 도기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100)의 상단은 가운데에서 상기 종지부(20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받침부(100)의 상단은 가운데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받침부(100)의 상단에는 세로 방향으로 길게 수저가 놓이게 되며, 숟가락과 젓가락 또는 숟가락과 포크 등 서로 다른 식기를 가로 방향으로 분리하여 거치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받침부(100)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가로 방향 양측에 서로 다른 식기를 각각 배치되게 하여 수저나 포크 등의 식기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하며, 이로 인해 식기에 묻은 음식물이 다른 식기에 묻는 것을 방지하여 청결하게 섭취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항게 된다.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고안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받침부
150 : 지지부
200 : 종지부
210 : 수용공간
300 : 굽부

Claims (6)

  1. 상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오목한 수용공간(210)이 형성된 종지부(200); 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공간(210)의 바닥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받침 겸용 종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단에 수저가 거치되는 받침부(100);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종지부(20)는 상기 받침부(100)의 가로 방향 측부에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받침 겸용 종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종지부(200)는 상기 받침부(100)의 가로 방향 양측에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100)의 가로 방향 양측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받침 겸용 종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종지부(200)는 상기 받침부(100)의 반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수용공간(210)의 깊이가 점점 얕아지도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종지부(200)의 하단에는 상기 받침부(100)의 하단과 수평하게 돌출된 굽부(3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받침 겸용 종지.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00)는 세로 방향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세로방향 일측에는 상방향으로 지지부(150)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받침 겸용 종지.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00)는 가운데에서 상기 종지부(20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받침 겸용 종지.
KR2020200002971U 2020-08-13 2020-08-13 수저받침 겸용 종지 KR2022000044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971U KR20220000442U (ko) 2020-08-13 2020-08-13 수저받침 겸용 종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971U KR20220000442U (ko) 2020-08-13 2020-08-13 수저받침 겸용 종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442U true KR20220000442U (ko) 2022-02-22

Family

ID=80474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971U KR20220000442U (ko) 2020-08-13 2020-08-13 수저받침 겸용 종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0442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037Y1 (ko) 2005-09-05 2006-01-20 박태성 음식용기 뚜껑 수저 받침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037Y1 (ko) 2005-09-05 2006-01-20 박태성 음식용기 뚜껑 수저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4752B2 (en) Reversible food plates having a slope, methods of use, and slope adapter for food plat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1545236B1 (ko) 앞접시 겸용 수저받침대
JP2011136749A (ja) 蓋付き食品容器
KR200450595Y1 (ko) 다기능 회전식 용기
KR20220000442U (ko) 수저받침 겸용 종지
US20210007521A1 (en) Tableware for people and pets
US20100116833A1 (en) Holding Element for at Least One Object
CN103494482A (zh) 一种食堂用餐盘
KR20090024900A (ko) 보조컵과 음료컵이 일체로 연결된 일회용 용기
KR20110010878U (ko) 수저 받침홈을 구비한 밥그릇 뚜껑
KR100475694B1 (ko) 취식이 용이한 일회용 용기
KR20100099966A (ko) 접시
JP3068594U (ja) 陶磁器製食器
KR200470807Y1 (ko) 배식용 위생 주걱
KR200287246Y1 (ko) 위생 수저 받침대
KR200406037Y1 (ko) 음식용기 뚜껑 수저 받침대
KR200175671Y1 (ko) 음식용구 받침부를 가진 음식용 용기
KR200353795Y1 (ko) 그릇기능을 갖는 라면냄비뚜껑
JP3061219U (ja) 食 器
KR200242345Y1 (ko) 확장면을 구비한 광고용 젓가락 받침대
KR200382199Y1 (ko) 넘어지지않는 음료용기
KR20190117459A (ko) 면발 지지 장치
KR200168663Y1 (ko) 위생 수저 받침대
KR20060125139A (ko) 새로운 컵라면
KR20170071851A (ko) 수저받침 냄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