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294Y1 - 선박용 추진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추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294Y1
KR200483294Y1 KR2020160006871U KR20160006871U KR200483294Y1 KR 200483294 Y1 KR200483294 Y1 KR 200483294Y1 KR 2020160006871 U KR2020160006871 U KR 2020160006871U KR 20160006871 U KR20160006871 U KR 20160006871U KR 200483294 Y1 KR200483294 Y1 KR 2004832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housing
foreign matter
ship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8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유정
Original Assignee
신유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유정 filed Critical 신유정
Priority to KR20201600068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2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2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2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6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in recesses; with stationary water-guiding elements; Means to prevent fouling of the propeller, e.g. guards, cages or screens
    • B63H5/165Propeller guards, line cutters or other means for protecting propellers or rud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0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 B63H1/1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propulsive direction
    • B63H1/14Propellers
    • B63H1/28Other means for improving propeller efficienc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물질이 스크류에 감겨서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압의 분산을 막고 스크류에 유입되는 물의 와류 현상을 완화하여 선박의 속도 증가 및 연비를 향상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선박용 추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추진장치는, 상기 엔진을 이용하여 구동축(2)과 스크류(3)를 회전시키면, 상기 스크류하우징(10)의 흡입구(11)를 통해 물이 흡입된 후 상기 배출구(15)로 배출되어 추진력이 발생되며, 이때, 물속에 떠있는 이물질은 상기 그물망(20)에 결려 스크류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물질이 구동축(2)이나 스크류(3)에 감겨서 스크류(3)나 구동축(2)이 손상되거나, 구동축(2)이나 스크류(3)에 이물질이 감겨서 발생되는 과부하에 의해 엔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선박용 추진장치{propulsion apparatus for ship}
본 고안은 이물질이 스크류에 감겨서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압의 분산을 막고 스크류에 유입되는 물의 와류 현상을 완화하여 선박의 속도 증가 및 연비를 향상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선박용 추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추진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추진장치에서 발생되는 추진력에 의해 전진하도록 구성된다.
도 1 및 도 2는 이러한 선박에 구비된 일반적인 추진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선박(1)의 후방으로 연장되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2)과, 상기 구동축(2)의 후단부에 구비된 스크류(3)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엔진을 이용하여 구동축(2)과 스크류(3)를 회전시키면, 스크류(3)가 바닷물을 후방으로 밀어냄으로써, 선박(1)이 전방으로 전진되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선박용 추진장치의 경우, 상기 구동축(2)과 스크류(3)가 고속으로 회전됨으로, 해초나 로프 등과 같이 바다에 떠 있는 이물질이 구동축(2)이나 스크류(3)에 감길 경우, 스크류(3)나 구동축(2)이 손상될 수 있으며, 심할 경우, 엔진에 과부하가 걸려 엔진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스크류(3)가 회전됨에 따라, 고래 등과 같은 해양생물이 스크류(3)에 의해 부상을 입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078427호,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크류 하우징 및 그물망에 의하여 이물질이 스크류에 감겨서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스크류의 측면과 후면의 압 분산을 막아 배출구 압력을 증가 시키고 유입구와 배출구의 거리를 멀리 함으로서 와류현상을 완화하여 선박의 속도 증가 및 연비를 가일층 향상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선박용 추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선박(1)의 후방으로 연장되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2)과, 상기 구동축(2)의 후단부에 구비된 스크류(3)를 포함하는 선박용 추진장치에 있어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방둘레부에는 흡입구(11)가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배출구(15)가 형성된 관체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축(2)과 스크류(3)의 외측을 감싸도록 상기 선박(1)에 고정된 스크류하우징(10)과, 상기 스크류하우징(10)의 흡입구(11)를 막아서 이물질이 스크류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그물망(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크류하우징(1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된 하우징본체(12)와, 상기 스크류하우징(10)의 전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며 전단부가 상기 선박(1)에 고정된 복수개의 지지부재(1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크류하우징(1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어 전단부가 상기 선박(1)에 고정된 하우징본체(12)와, 상기 하우징본체(12)의 둘레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며 선단부가 상기 선박(1)에 고정된 복수개의 흡입관(14)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구(11)는 상기 흡입관(14)의 둘레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상기 스크류(3)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11) 내측의 수압을 측정하는 수압측정수단(30)과, 상기 흡입구(11)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고압으로 물을 분사하여 상기 그물망(20)의 외측에 흡착된 이물질을 외측으로 밀어내어 제거하는 이물질제거수단(40)과, 상기 수압측정수단(3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이물질제거수단(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0)과, 상기 제어수단(50)에 연결된 경보수단(6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물질제거수단(40)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된 지지링체(41)와, 상기 지지링체(41)의 외주면에 외측을 향하도록 구비된 다수개의 분사노즐(42)과, 상기 분사노즐(42)에 연결되어 분사노즐(42)에 고압의 물을 공급하는 급수수단(43)과, 상기 지지링체(41)에 연결되어 지지링체(41)가 전후진되도록 하는 전후진구동수단(44)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수압측정수단(3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압측정수단(30)에 의해 측정된 흡입구(11) 내측의 수압이 정상수압 이하로 저하되면 상기 그물망(20)의 외측에 이물질이 흡착되어 흡입구(11)가 막힌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이물질제거수단(40)을 구동시켜 그물망(20)의 외측에 흡착된 이물질을 외부로 밀어내어 제거하고, 이물질제거수단(40)을 일정시간동안 구동시킨 후에도 하우징본체(12) 내부에서 스크류(3) 전방의 수압이 정상수압으로 상승되지 않으면, 상기 경보수단(60)을 작동시켜 선박(1)을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경고를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추진장치는, 상기 엔진을 이용하여 구동축(2)과 스크류(3)를 회전시키면, 상기 스크류하우징(10)의 흡입구(11)를 통해 물이 흡입된 후 상기 배출구(15)로 배출되어 추진력이 발생되며, 이때, 물속에 떠있는 이물질은 상기 그물망(20)에 결려 스크류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물질이 구동축(2)이나 스크류(3)에 감겨서 스크류(3)나 구동축(2)이 손상되거나, 구동축(2)이나 스크류(3)에 이물질이 감겨서 발생되는 과부하에 의해 엔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하우징에 의하여 스크류의 측면과 후면의 압 분산을 막아 배출구 압력을 증가 시키고 유입구와 배출구의 거리를 멀리 함으로서 와류현상을 완화하여 선박의 속도 증가 및 연비를 가일층 향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선박용 추진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선박용 추진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다른 선박용 추진장치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다른 선박용 추진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다른 선박용 추진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다른 선박용 추진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다른 선박용 추진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구성도,
도 9는 본 고안에 다른 선박용 추진장치의 제3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평단 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다른 선박용 추진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선박(1)의 후방으로 연장되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2)과, 상기 구동축(2)의 후단부에 구비된 스크류(3)가 구비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방둘레부에는 흡입구(11)가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배출구(15)가 형성된 관체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축(2)과 스크류(3)의 외측을 감싸도록 상기 선박(1)에 고정된 스크류하우징(10)과, 상기 스크류하우징(10)의 흡입구(11)를 막아서 이물질이 스크류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그물망(2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스크류하우징(1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된 하우징본체(12)와, 상기 스크류하우징(10)의 전방둘레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며 전단부가 상기 선박(1)의 후측면에 고정된 복수개의 지지부재(13)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본체(12)의 전단부와 선박(1)의 후측면 및 상기 지지부재(13) 사이에 상기 흡입구(11)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그물망(20)은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되며 둘레부가 상기 흡입구(11)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스크류하우징(1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선박용 추진장치는, 상기 엔진을 이용하여 구동축(2)과 스크류(3)를 회전시키면, 상기 스크류하우징(10)의 흡입구(11)를 통해 물이 흡입된 후 상기 배출구(15)로 배출되어 추진력이 발생되며, 이때, 물속에 떠있는 이물질은 상기 그물망(20)에 결려 스크류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물질이 구동축(2)이나 스크류(3)에 감겨서 스크류(3)나 구동축(2)이 손상되거나, 구동축(2)이나 스크류(3)에 이물질이 감겨서 발생되는 과부하에 의해 엔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하우징(10)이 상기 스크류(3)의 둘레면을 감싸도록 구비됨으로, 고래 등과 같은 해양생물이 스크류(3)에 걸려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스크류하우징(10)에 의해 스크류의 측면과 후면의 압 분산을 막아 배출구 압력을 증가 시키고 유입구와 배출구의 거리를 멀리 함으로서 와류현상을 완화하여 선박의 속도 증가 및 연비를 가일층 향상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지지부재(13)는 상기 하우징본체(12)의 전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패널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지지부재(13)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후단부가 상기 하우징본체(12)의 전단부에 용접 결합된 봉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스크류하우징(1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어 전단부가 상기 선박(1)에 고정된 하우징본체(12)와, 상기 하우징본체(12)의 둘레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며 선단부가 상기 선박(1)에 고정된 복수개의 흡입관(14)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본체(12)는 중간부의 직경이 가장 크고, 중간부에서 전방과 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항아리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관(14)은 상기 하우징본체(12)의 양측에서 전방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것으로 선단부가 상기 선박(1)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본체(12)를 지지한다.
또한, 상기 흡입구(11)는 상기 흡입관(14)의 둘레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엔진으로 구동축(2)과 스크류(3)를 구동시키면, 상기 흡입관(14)에 형성된 흡입구(11)를 통해 물이 흡입되어, 상기 하우징본체(12)로 공급된 후 하우징본체(12)의 배출구(15)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선박용 추진장치는 상기 하우징본체(12)가 복수개의 흡입관(14)에 의해 지지됨으로, 구조적 강도가 매우 높은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흡입관(14)은 2개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본체(12)의 양측에 연결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흡입관(14)은 3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스크류하우징(10)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된 하우징본체(12)와, 상기 스크류하우징(10)의 전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며 전단부가 상기 선박(1)의 후측면에 고정된 복수개의 지지부재(13)로 구성되며, 상기 그물망(20)은 둘레부가 상기 흡입구(11)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스크류하우징(1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상기 스크류(3)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수압측정수단(30)과, 상기 흡입구(11)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고압으로 물을 분사하여 상기 그물망(20)의 외측에 흡착된 이물질을 외측으로 밀어내어 제거하는 이물질제거수단(40)과, 상기 수압측정수단(3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이물질제거수단(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0)과, 상기 제어수단(50)에 연결된 경보수단(6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수압측정수단(30)은 일반적인 수압센서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스크류(3)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우징본체(12)의 내주면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흡입구(11) 내측의 수압, 즉, 상기 흡입구(11)와 스크류(3) 사이의 수압을 측정한다.
상기 이물질제거수단(40)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된 지지링체(41)와, 상기 지지링체(41)의 외주면에 외측을 향하도록 구비된 다수개의 분사노즐(42)과, 상기 분사노즐(42)에 연결되어 분사노즐(42)에 고압의 물을 공급하는 급수수단(43)과, 상기 지지링체(41)에 연결되어 지지링체(41)가 전후진되도록 하는 전후진구동수단(44)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링체(41)는 금속제의 파이프를 원형의 링형태로 벤딩한 후 양단을 상호 수밀하게 용접하여 제작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흡입구(11)에 대응되도록 다수개의 결합공(41a)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구동축(2)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분사노즐(42)은 상기 지지링체(41)의 결합공(41a)에 수밀하게 결합된다.
상기 급수수단(43)은 상기 지지링체(41)에 연결된 급수관(43a)과, 상기 급수관(43a)에 연결되며 선박(1) 주변의 물을 흡입하여 상기 급수관(43a)으로 공급하는 급수펌프(43b)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급수펌프(43b)를 구동시키면, 선박 주변의 물이 흡입되어 상기 지지링체(41)의 내부로 공급되며, 상기 지지링체(41)의 내부로 공급된 물은 상기 결합공(41a)을 통해 분사노즐(42)로 공급된 후, 분사노즐(42)을 통해 상기 흡입구(11)에 구비된 그물망(20)의 내측면으로 분사되다.
상기 전후진구동수단(44)은 상기 지지링체(41)의 상하단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연결된 유압실린더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전후진구동수단(44)을 신축시키면, 상기 지지링체(41)와 분사노즐(42)이 전후방향으로 왕복하게 된다.
따라서, 그물망(20)의 외측에 이물질이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급수수단(43)과 전후진구동수단(44)을 구동시키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42)에서 외측으로 고압의 물이 분사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링체(41)와 분사노즐(42)이 전후방향으로 왕복됨으로, 상기 그물망(2)의 내측면 전체에 물이 분사되어, 그물망(20)의 외측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외측으로 밀어내어 제거하게 된다.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수압측정수단(3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압측정수단(30)에 의해 측정된 흡입구(11) 내측의 수압이 정상수압 이하로 저하되면 상기 그물망(20)의 외측에 이물질이 흡착되어 흡입구(11)가 막힌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이물질제거수단(40)을 구동시켜 그물망(20)의 외측에 흡착된 이물질을 외부로 밀어내어 제거한다.
즉, 상기 스크류(3)가 구동되면 상기 스크류하우징(10) 외측의 물이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스크류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스크류(3)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나가게 되는데, 상기 흡입구(11)가 막히지 않았을 경우, 상기 스크류하우징(10)의 흡입구(11) 내측의 수압은 스크류하우징(10) 외부의 수압과 같은 정상수압 또는 정상수압보다 조금 낮은 수압을 유지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그물망(20)의 외측에 이물질이 부착되어 흡입구(11)의 일부가 막히게 될 경우, 스크류하우징(10)의 흡입구(11) 내측의 수압이 정상수압에 비해 매우 낮게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11) 내측의 수압이 정상수압에 비해 매우 낮아질 경우, 상기 제어수단(50)은 이물질에 의해 막힌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이물질제거수단(40)을 구동시켜 상기 그물망(20)의 내주면으로 고압으로 물을 분사함으로써, 그물망(20)의 외측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외측으로 밀어내어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제거수단(40)을 일정시간동안 구동시킨 후에도, 상기 수압측정수단(30)에 의해 측정되는 수압이 정상수압으로 상승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수단(50)은 알 수 없는 이유에 의해 상기 그물망(20)의 외측면에 부착된 이물질이 제거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경보수단(60)을 작동시킨다.
상기 경보수단(60)은 경광을 출력하는 램프와, 경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로 구성되며, 선박(1)의 조타실에 구비된 것으로, 상기 제어수단(5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조타실의 관리자에게 그물망(20)의 외측면에 부착된 이물질이 제거되지 않는 것을 알려주게 된다.
따라서, 관리자는 엔진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이물질제거수단(40)을 다시 한번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등의 조치를 취함으로서, 상기 그물망(20)의 외측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선박용 추진장치는 상기 그물망(20)의 외측면에 이물질이 부착되어 흡입구(11)가 막히면, 상기 제어수단(50)이 수압측정수단(30)을 통해 이를 감지하고, 이물질제거수단(40)을 구동시켜 자동으로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서, 흡입구(11)가 막혀서 출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제어수단(50)에는 연결된 경보수단(60)이 구비되어, 상기 이물질제거수단(40)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되지 않을 경우, 상기 경보수단(60)을 구동시켜 관리자에게 경고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하우징 20... 그물망
30... 수압측정수단 40... 이물질제거수단
50... 제어수단

Claims (4)

  1. 선박(1)의 후방으로 연장되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2)과,
    상기 구동축(2)의 후단부에 구비된 스크류(3)를 포함하는 선박용 추진장치에 있어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방둘레부에는 흡입구(11)가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배출구(15)가 형성된 관체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축(2)과 스크류(3)의 외측을 감싸도록 상기 선박(1)에 고정된 스크류하우징(10)과,
    상기 스크류하우징(10)의 흡입구(11)를 막아서 이물질이 스크류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그물망(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하우징(1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어 전단부가 상기 선박(1)에 고정된 하우징본체(12)와,
    상기 하우징본체(12)의 둘레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며 선단부가 상기 선박(1)에 고정된 복수개의 흡입관(14)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구(11)는 상기 흡입관(14)의 둘레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2. 삭제
  3. 삭제
  4. 선박(1)의 후방으로 연장되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2)과,
    상기 구동축(2)의 후단부에 구비된 스크류(3)를 포함하는 선박용 추진장치에 있어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방둘레부에는 흡입구(11)가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배출구(15)가 형성된 관체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축(2)과 스크류(3)의 외측을 감싸도록 상기 선박(1)에 고정된 스크류하우징(10)과,
    상기 스크류하우징(10)의 흡입구(11)를 막아서 이물질이 스크류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그물망(20)과,
    상기 스크류하우징(10)의 내부에 상기 스크류(3)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11) 내측의 수압을 측정하는 수압측정수단(30)과,
    상기 흡입구(11)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고압으로 물을 분사하여 상기 그물망(20)의 외측에 흡착된 이물질을 외측으로 밀어내어 제거하는 이물질제거수단(40)과,
    상기 수압측정수단(3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이물질제거수단(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0)과,
    상기 제어수단(50)에 연결된 경보수단(6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물질제거수단(40)은
    상기 스크류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된 지지링체(41)와,
    상기 지지링체(41)의 외주면에 외측을 향하도록 구비된 다수개의 분사노즐(42)과, 상기 분사노즐(42)에 연결되어 분사노즐(42)에 고압의 물을 공급하는 급수수단(43)과,
    상기 지지링체(41)에 연결되어 지지링체(41)가 전후진되도록 하는 전후진구동수단(44)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수압측정수단(3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압측정수단(30)에 의해 측정된 흡입구(11) 내측의 수압이 정상수압 이하로 저하되면 상기 그물망(20)의 외측에 이물질이 흡착되어 흡입구(11)가 막힌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이물질제거수단(40)을 구동시켜 그물망(20)의 외측에 흡착된 이물질을 외부로 밀어내어 제거하고, 이물질제거수단(40)을 일정시간동안 구동시킨 후에도 하우징본체(12) 내부에서 스크류(3) 전방의 수압이 정상수압으로 상승되지 않으면, 상기 경보수단(60)을 작동시켜 선박(1)을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경고를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KR2020160006871U 2016-11-25 2016-11-25 선박용 추진장치 KR2004832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871U KR200483294Y1 (ko) 2016-11-25 2016-11-25 선박용 추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871U KR200483294Y1 (ko) 2016-11-25 2016-11-25 선박용 추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294Y1 true KR200483294Y1 (ko) 2017-05-11

Family

ID=58716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871U KR200483294Y1 (ko) 2016-11-25 2016-11-25 선박용 추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29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130B1 (ko) * 2017-11-03 2018-09-27 홍수정 카타마란 구조선
KR101946542B1 (ko) * 2018-06-28 2019-02-11 마린리서치(주) 수중 조사를 위한 무인이동체
KR102268113B1 (ko) 2021-01-20 2021-06-22 이종택 보트 추진장치
KR102276829B1 (ko) * 2020-01-10 2021-07-12 고갑석 선박용 추진 시스템 보호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33256U (ko) * 1973-03-10 1974-11-15
JPS5045884U (ko) * 1973-08-21 1975-05-08
JPH0349257U (ko) * 1989-09-22 1991-05-14
JP3049257U (ja) * 1997-11-28 1998-06-09 石介立 船の推進器
KR101078427B1 (ko) 2008-11-26 2011-10-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추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33256U (ko) * 1973-03-10 1974-11-15
JPS5045884U (ko) * 1973-08-21 1975-05-08
JPH0349257U (ko) * 1989-09-22 1991-05-14
JP3049257U (ja) * 1997-11-28 1998-06-09 石介立 船の推進器
KR101078427B1 (ko) 2008-11-26 2011-10-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추진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130B1 (ko) * 2017-11-03 2018-09-27 홍수정 카타마란 구조선
KR101946542B1 (ko) * 2018-06-28 2019-02-11 마린리서치(주) 수중 조사를 위한 무인이동체
KR102276829B1 (ko) * 2020-01-10 2021-07-12 고갑석 선박용 추진 시스템 보호 장치
KR102268113B1 (ko) 2021-01-20 2021-06-22 이종택 보트 추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3294Y1 (ko) 선박용 추진장치
KR101258935B1 (ko) 추진 장치와 이를 갖는 선박
JP2020509787A (ja) 揚水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204279886U (zh) 一种垃圾筛分清污船
CA2821053A1 (en) Construction of a pumping system and uses thereof
CN104229088A (zh) 动力冲浪板用发动机舱单向负压排水系统
KR20140092108A (ko) 선박의 프로펠러용 크리닝 장치
JP2011088045A (ja) 旋回式微細気泡発生装置
CN111469985A (zh) 一种船舶锚链清理系统及船舶
JP5063191B2 (ja) クラゲ除去方法及び装置
JP2012228213A (ja) 海洋生物の除去装置
JP2008062683A (ja) 船舶用推進補助装置
JPH07274661A (ja) アオコ捕集装置
RU64590U1 (ru) Водометный движитель
JPH08218483A (ja) 管内異物除去用ノズル
JP4681061B2 (ja) 発電装置
CN110227693B (zh) 一种拆解清洗海底管线的水下装备
KR101557954B1 (ko) 수중 이물질 제거장치
JP4562431B2 (ja) ビルジ排出装置
CA2477568A1 (en) Jet pump
JP7064212B2 (ja) 気泡生成装置
JP3812235B2 (ja) 水質浄化装置
CN110894825A (zh) 一种捕捞系统及捕捞船
NO342241B1 (no) Framgangsmåte og anordning for rengjøring av oppdrettsmerd
CN212143638U (zh) 一种水下高效气蚀射流清洗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