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242Y1 -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신분증 인식 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신분증 인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242Y1
KR200483242Y1 KR2020150006916U KR20150006916U KR200483242Y1 KR 200483242 Y1 KR200483242 Y1 KR 200483242Y1 KR 2020150006916 U KR2020150006916 U KR 2020150006916U KR 20150006916 U KR20150006916 U KR 20150006916U KR 200483242 Y1 KR200483242 Y1 KR 2004832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card
character
hol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9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섭
Original Assignee
김우섭
주식회사 피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섭, 주식회사 피노텍 filed Critical 김우섭
Priority to KR20201500069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242Y1/ko
Priority to PCT/KR2016/008224 priority patent/WO201706938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2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2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K9/32
    • G06K9/3258
    • G06K9/6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4Aligning, centring, orientation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4Image or video pattern matching; Proximity measures in feature spaces
    • G06V10/75Organisation of the matching processes, e.g. simultaneous or sequential comparisons of image or video features; Coarse-fine approaches, e.g. multi-scale approaches; using context analysis; Selection of dictiona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2207/00Other aspects
    • G06K2207/1015Hologram
    • G06K2209/01

Abstract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신분증 인식 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인식 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상이한 기울기에 촬영된 신분증에 대한 복수의 제1 이미지 프레임을 획득하고, 1차 검증이 성공하면 상기 카메라를 동영상 촬영 모드로 설정하여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신분증에 대한 복수의 제2 이미지 프레임을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 상기 복수의 제1 이미지 프레임에 대한 차 영상(difference image)를 구해 홀로그램을 추출하는 홀로그램 추출부; 상기 홀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신분증의 진위를 1차 검증하는 진위 검증부; 상기 복수의 제2 이미지 프레임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고, 상기 문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문자의 속성을 판별하는 문자 인식부를 포함하되, 상기 진위 검증부는 상기 문자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상기 문자 중에서 상기 문자의 속성에 기초하여 신원 정보에 해당하는 문자를 이용하여 상기 신분증의 진위를 2차 검증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신분증 인식 장치{Identification card recognition device using mobile device}
본 고안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신분증 인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융거래에서 그 동안은 대면 채널이 대부분이었지만, 네트워크의 발달과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인해 비대면 채널을 통한 금융거래가 점차 활성화되고 있다.
비대면 금융거래에서는 본인 확인이 중요한 이슈 중 하나이며, 본인 확인을 위한 방안으로 최근 대부분의 사람들이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로 신분증을 촬영하여 등록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신분증 촬영 과정에서 촬영 버튼을 누르는 행위로 인해 스마트폰이 흔들리게 되어 발생하는 손떨림 혹은 빛 반사 등과 같은 여러가지 문제로 인해 최적의 신분증 영상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별도의 신분증 스캔 장치를 통해서만 신분증에 대한 영상을 확보하는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08119호 (등록일 2014년6월10일) - 신분증 위변조 진위 식별 장치
따라서, 본 고안은 별도의 스캔 장치 없이도 스마트폰과 같이 카메라가 구비된 모바일 기기를 통해 신분증의 정상 영상을 획득하고 정상적인 광학 문자 인식(OCR)이 가능하게 하는 모바일 다비이스를 이용한 신분증 인식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동영상 모드를 활용하여 신분증에 인쇄된 홀로그램을 추출하고, 신분증의 경사각에 따라 추출된 홀로그램을 보정하여 신분증의 진위 여부를 식별할 수 있게 하는 모바일 다비이스를 이용한 신분증 인식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카메라를 통해 상이한 기울기에 촬영된 신분증에 대한 복수의 제1 이미지 프레임을 획득하고, 1차 검증이 성공하면 상기 카메라를 동영상 촬영 모드로 설정하여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신분증에 대한 복수의 제2 이미지 프레임을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 상기 복수의 제1 이미지 프레임에 대한 차 영상(difference image)를 구해 홀로그램을 추출하는 홀로그램 추출부; 상기 홀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신분증의 진위를 1차 검증하는 진위 검증부; 상기 복수의 제2 이미지 프레임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고, 상기 문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문자의 속성을 판별하는 문자 인식부를 포함하되, 상기 진위 검증부는 상기 문자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상기 문자 중에서 상기 문자의 속성에 기초하여 신원 정보에 해당하는 문자를 이용하여 상기 신분증의 진위를 2차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증 인식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이미지 획득부는 상기 신분증 인식 장치에 구비된 화면 내에서 상기 신분증이 배치되도록 하는 복수의 가이드 라인이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표시되도록 하되, 상기 복수의 가이드 라인은 상기 카메라와 상기 신분증 사이의 기울기 각도 차가 소정 각도 이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획득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이미지 프레임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상기 카메라에 대해 고정된 조명을 턴온시킬 수 있다.
상기 문자 인식부는 상기 복수의 제2 이미지 프레임 각각에 대해 광학 문자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신분증 이미지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며,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 중 둘 이상의 이미지 프레임에서 동일한 위치에서 추출된 문자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 한해 정상 인식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카메라를 통해 일정 시간 동안 신분증에 대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을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 각각에 대해 상기 신분증에 상응하는 신분증 이미지의 기울기를 파악하여 상기 기울기가 0(zero)가 되도록 보정하는 보정부; 상기 보정부에 의해 보정된 신분증 이미지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고, 상기 문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문자의 속성을 판별하는 문자 인식부; 및 인식된 상기 문자 중에서 상기 문자의 속성에 기초하여 신원 정보에 해당하는 문자를 이용하여 상기 신분증의 진위를 확인하는 진위 확인부를 포함하는 신분증 인식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문자 인식부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 각각에 대해 광학 문자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신분증 이미지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며,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 중 둘 이상의 이미지 프레임에서 동일한 위치에서 추출된 문자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 한해 정상 인식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상기 보정부에 의해 보정된 신분증 이미지에 포함된 홀로그램을 추출하는 홀로그램 추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진위 확인부는 상기 홀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신분증의 진위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홀로그램 추출부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에 대응되는 각각의 신분증 이미지 중 두 개의 신분증 이미지를 선택하여 차 영상(difference image)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홀로그램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보정부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 각각에 대해 에지(edge) 추출을 통해 상기 신분증 이미지의 형상을 확인하고, 상기 신분증 이미지의 형상에 따라 상기 신분증의 기울기를 파악하며, 상기 신분증 이미지가 기본 형상이 되도록 선형적으로 보정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및 고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별도의 스캔 장치 없이도 스마트폰과 같이 카메라가 구비된 모바일 기기를 통해 신분증의 정상 영상을 획득하고 정상적인 광학 문자 인식(OCR)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영상 모드를 활용하여 신분증에 인쇄된 홀로그램을 추출하고, 신분증의 경사각에 따라 추출된 홀로그램을 보정하여 신분증의 진위 여부를 식별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신분증 인식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카메라와 신분증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신분증 기울기에 따라 획득되는 이미지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주민등록증의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인식 장치에서 수행되는 신분증 인식 방법의 순서도,
도 6은 카메라의 기울기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가이드 라인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인식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인식 장치에서 수행되는 신분증 인식 방법의 순서도.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신분증 인식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카메라와 신분증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신분증 기울기에 따라 획득되는 이미지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주민등록증의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인식 장치에서 수행되는 신분증 인식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6은 카메라의 기울기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가이드 라인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인식 장치는 순차적인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을 통해 다양한 각도에서 문자를 인식하고 홀로그램을 추출하여 신분증 진위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인식 대상이 되는 신분증은 소지자의 신분을 증명하는 ID 카드(identification card)로서, 예를 들면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중 하나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신분증 인식 장치(100)는 이미지 획득부(110), 보정부(120), 문자 인식부(130), 홀로그램 추출부(140), 진위 확인부(150)를 포함한다.
신분증 인식 장치(100)는 신분증 인식 애플리케이션 설치가 가능한 전자 단말기로서, 신분증 인식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이 가능한 운영체제가 탑재된 스마트폰, 이동통신단말기, PDA, 범용 PC, 노트북 PC, 태블릿 PC 중 하나일 수 있다.
신분증 인식 애플리케이션은 순차적인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을 통해 다양한 각도에서 문자를 인식하고 홀로그램을 추출하여 신분증 진위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응용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이미지 획득부(110)는 신분증 인식 장치(100)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신분증에 대한 순차적인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을 획득한다(단계 S310).
이미지 획득부(110)가 활성화되면, 카메라를 구동시킨 후 카메라에 대해서 일반적인 사진 촬영 모드가 아니라 동영상 촬영 모드로 작동하게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에 의한 촬영 버튼 누름 행위가 없더라도 동영상 촬영 모드에서 카메라의 시야 범위 내에 있는 신분증에 대해서 일정 시간 간격을 가지는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예컨대, 3초 동안 30개의 이미지 프레임)을 자동적으로 획득할 수 있어 손떨림 등에 의한 이미지 왜곡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이미지 획득부(110)가 신분증에 대해 후술할 문자 인식 혹은 홀로그램 추출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화면 내에서 신분증이 배치될 것이 요구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촬영 화면 내에 가이드 라인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촬영 화면에 표시된 가이드 라인에 따라 신분증이 놓여지도록 함으로써, 인식률 개선을 도울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신분증에 프린팅된 홀로그램의 원활한 추출을 위해서, 이미지 획득부(110)는 가이드 라인을 통해 사용자에게 신분증이 카메라 렌즈에 대해 다양한 각도를 가지도록 안내할 수도 있다. 홀로그램의 경우 보는 각도에 따라 표면에 프린팅된 홀로그램 문양이 선명하게 보여지거나 아예 보여지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미지 획득부(110)에서는 다양한 각도에서 이미지 프레임을 획득하여 홀로그램 문양이 추출되지 않는 경우를 방지하고 보다 선명한 홀로그램이 추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카메라 렌즈에 대해 신분증을 좌우로 지정된 속도 이하로 천천히 기울이게 가이드함으로써, 다양한 각도에서 신분증의 이미지 프레임을 획득하고 이들 이미지 프레임 중에서 선명한 홀로그램을 가지는 이미지 프레임이 선택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카메라(105)가 신분증(10)을 촬영할 때, 신분증(10)을 좌우로 기울여 일정한 빛에 대해서도 다양한 입사각과 반사각을 가지는 이미지 프레임이 획득되도록 할 수 있다.
혹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신분증(10)은 책상과 같은 평평한 평면 상에 놓여진 상황에서 카메라(105)가 상하 혹은 좌우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기울어지도록 가이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신분증 인식 장치(100)의 화면에는 다음과 같은 가이드 라인이 표시되어 화면 상에 보여지는 신분증 이미지가 정위치에 놓여지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105)가 P1 위치에 있게 하려면 도 6의 (a)에 도시된 것처럼 화면(160)에 직사각형 형상의 제1 가이드 라인(170a)이 표시되도록 하고, P2 위치에 있게 하려면 도 6의 (b)에 도시된 것처럼 화면(160)에 우측 변이 짧은 사다리꼴 형상의 제2 가이드 라인(170b)이 표시되도록 하며, P3 위치에 있게 하려면 도 6의 (c)에 도시된 것처럼 화면(160)에 좌측 변이 짧은 사다리꼴 형상의 제3 가이드 라인(170c)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신분증 인식 장치(100)는 전자 단말기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평면에 대한 카메라(105)의 기울기를 산출하고, 산출된 기울기에 따라 가이드 라인의 형상이 적합하게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보정부(120)는 이미지 획득부(110)에서 획득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서 원활한 이미지 처리를 위해 보정을 수행한다(단계 S320).
도 2 혹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이미지 획득부(110)에서 획득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에는 촬영될 때 카메라(105)와 신분증(10)의 기울기에 따라 해당 이미지 프레임 내에 포함된 신분증 이미지의 형상이 일부 왜곡되어 있을 수 있다.
신분증 이미지(210a~210c, 이하 '210'으로도 통칭)의 형상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의 (a)와 같이 신분증(10)이 좌측이 아래를 향하게 기울어진 경우 혹은 도 6에서와 같이 카메라(105)가 P3 위치에 있는 경우 도 3의 (a)와 같이 신분증 이미지(210a)는 좌측이 짧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게 되고, 도 2의 (c)와 같이 신분증(10)이 우측이 아래를 향하게 기울어진 경우 혹은 도 6에서와 같이 카메라(105)가 P2 위치에 있는 경우 도 3의 (c)와 같이 신분증 이미지(210c)는 우측이 짧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신분증(10)이 기울어지지 않은 경우(도 2의 (b) 혹은 도 6의 P1 위치) 신분증 이미지(210b)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게 된다.
보정부(120)는 이미지 프레임(200) 내에서 에지(edge) 추출을 통해 신분증 이미지(210)의 형상을 확인하고(단계 S322), 신분증 이미지(210)의 형상에 따라 신분증(10)이 기울어진 정도(예컨대, 기울기)를 파악한다(단계 S324).
신분증(10)이 기울어진 경우, 이미지 프레임(200) 내에서 촬영된 신분증(10) 표면에 프린팅된 문자와 홀로그램 역시 기울어짐에 의해 형상 왜곡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보정부(120)는 파악된 신분증 기울기에 상응하여 신분증 이미지(210)를 직사각형 형상(기본 형상)이 되도록 보정한다(단계 S326). 즉, 신분증 이미지(210)의 기울기가 0(zero)가 되도록 보정한다. 신분증 이미지(210)의 보정 과정에서 신분증 이미지(210) 내에 포함되는 문자와 홀로그램에 대해서도 함께 형상 왜곡이 보정되도록 할 수 있다.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는 신분증 이미지(210)에 대해 좌측 변과 우측 변이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길이가 짧은 변의 길이를 연장하는 과정에서 좌측 변과 우측변 사이에 놓여지는 문자 및 홀로그램에 대해서도 좌측 변으로부터의 거리(혹은 우측 변으로부터 거리)에 따라 선형 보정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측 변에 가까울 경우에 대해서는 길이가 많이 연장되고 우측 변에 가까운 부분에 대해서는 길이 연장이 별로 없을 것이다.
도면에서는 신분증(10)이 좌우로만 기울어진 경우에 대해서만 예시되어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여 상하로 기울어진 경우에 대해서도 동일한 원리에 기초한 보정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문자 인식부(130)는 이미지 획득부(110)에서 획득하여 보정부(120)에 의한 보정이 수행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 각각에 대해 광학 문자 인식(OCR)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표면에 프린팅된 문자를 인식한다(단계 S330). 광학 문자 인식 알고리즘은 본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기술 내용에 해당하는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문자 인식부(130)에서 인식되는 신분증에 프린팅된 문자로는 신분증 종류, 성명, 주민등록번호, 유효번호, 발급일자 등이 있을 수 있다.
문자 인식부(130)에는 보정된 이미지 프레임에서 추출된 문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해당 문자가 가지는 속성을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운전면허증의 경우에는 좌측 상단에는 '1종보통'과 같이 운전면허 종류가 프린팅되어 있다. 또한, 우측 상단에는 '자동차운전면허증(Driver's License)'이라는 신분증 종류를 알려주는 문자가 프린팅되어 있고, 그 밑으로는 면허번호,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적성검사기간, 발급일, 발급기관 등의 정보가 프린팅되어 있다.
신분증의 종류에 따라 각 정보가 배치되어야 하는 위치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신분증 이미지(210)에서 추출된 문자의 위치에 따라, 해당 문자가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우측에서부터 하방향으로 3번째 행에서 추출된 문자들은 운전면허증을 발급받은 사람의 성명에 관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문자 인식부(130)는 신분증마다 해당 신분증의 종류를 알려주는 문자가 프린팅되도록 지정된 위치에서 추출된 문자들을 확인하여, 해당 신분증의 종류를 판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운전면허증의 경우에는 우측 상단에 '자동차운전면허증'이라는 신분증 종류를 알려주는 문자가 프린팅되며, 주민등록증의 경우에는 좌측 상단에 '주민등록증'이라는 신분증 종류를 알려주는 문자가 프린팅된다. 이 경우 신분증 이미지(210)에 대해서 우측 상단과 좌측 상단 부분을 모두 확인하여 소정의 문자가 추출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해당 신분증의 종류에 대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문자 인식부(130)는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마다 동일한 위치에서 추출된 문자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 한해 해당 문자가 오류 없이 정상적으로 인식된 것으로 판정하여, 신분증 인식에 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
신분증 촬영 과정에서 장치 자체의 흔들림 혹은 신분증의 흔들림으로 인해 정상적인 이미지를 획득하지 못한 경우 단일 이미지 프레임으로는 인식이 어려운 문자에 대해서도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에서 동일한 문자인 것으로 인식된다면 문자 인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봄으로써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홀로그램 추출부(140)는 이미지 획득부(110)에서 획득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 중에서 홀로그램 문양이 선명하게 표시된 이미지 프레임을 선별하고, 해당 이미지 프레임에서 홀로그램 문양을 추출한다(단계 S340).
홀로그램 추출부(140)는 보정부(120)에 의해 보정된 복수의 신분증 이미지에 대해서 임의로 혹은 지정된 간격을 가지도록 선택한 후 두 신분증 이미지 사이의 차 영상(difference image)을 검출한다. 차 영상을 검출하면, 두 신분증 이미지에 대해 동일한 부분은 제거되고 차이가 있는 부분만이 남게 되며, 남아 있는 차이가 있는 부분이 바로 빛 반사 차이로 인해 검출된 홀로그램 문양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진위 확인부(150)는 문자 인식부(130)에서 인식된 문자, 홀로그램 추출부(140)에서 추출된 홀로그램에 대해서 진위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350).
문자 인식부(130)에서 인식된 문자는 신분증 발급자의 신원에 관한 정보로서, 신분증 인식 장치(100)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인증서버와 통신하여 인식된 문자 중에서 성명과 주민등록번호를 검증할 수 있다. 성명과 주민등록번호가 인증서버에서 검증되지 않을 경우 해당 신분증은 가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홀로그램 추출부(140)에서 추출된 홀로그램은 신분증 종류에 따라 특정 홀로그램 문양이 결정되어 있는 바, 문자 인식부(130)에서 인식된 문자에 기초하여 판별한 신분증 종류에 상응하여 별도의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정상 홀로그램 문양과 추출된 홀로그램을 비교하고, 그 유사도가 소정 기준값 이상이 되는 경우 홀로그램이 진짜이어서 해당 신분증이 진짜인 것으로 검증할 수 있다.
또한, 진위 확인부(150)는 신분증 인식 장치(100) 이외에 신분증 인식 장치(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버(미도시)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문자인식부(130)에서 인식된 문자, 홀로그램 추출부(140)에서 추출된 홀로그램을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에서 전송받은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기준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인식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인식 장치에서 수행되는 신분증 인식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인식 장치(400)는 1차적으로 홀로그램 추출이 성공한 경우에 한하여 2차적으로 문자 인식을 수행하도록 하여 신분증 인식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인식 장치(400)는 이미지 획득부(410), 홀로그램 추출부(420), 진위 판정부(430), 문자 인식부(440)를 포함한다.
이미지 획득부(410)는 도 1에 도시된 이미지 획득부(410)와 마찬가지로 카메라를 통해 신분증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한다(단계 S510).
신분증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앞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신분증 인식 장치(400)에 구비된 화면(160)에 가이드 라인(170a~170c)이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가이드 라인(170a~170c) 내에 신분증 이미지가 놓여지게 하기 위해 카메라(105)를 지정된 각도만큼 기울이도록 할 수 있다. 신분증 이미지가 가이드 라인(170a~170c) 내에 포함되는 경우, 카메라(105)와 신분증(10) 사이의 기울기가 지정된 기울기가 된 것으로 판단하고 자동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이미지 프레임(즉, 신분증 이미지)이 획득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후술하는 홀로그램 추출부(420)에서 홀로그램을 원활히 추출해 낼 수 있도록 기울기 각도 차가 소정 각도 이상이 되도록 하는 복수의 가이드 라인(170a~170c)이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홀로그램은 빛의 입사각에 따라 표면에서 보여지거나 보여지지 않게 되는 바, 카메라(105)에 대해 고정된 조명(미도시)이 턴온(turn on)되도록 하여 외부 광에 의한 효과를 최소화하고, 카메라(105)의 기울어짐에 따라 조명도 기울어져 신분증(10)에 대한 광 입사각이 변경되도록 할 수도 있다.
홀로그램 추출부(420)는 이미지 획득부(410)에서 시차를 두고 기울기 각도를 달리하여 획득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서 차 영상을 구해 홀로그램을 추출한다(단계 S520).
여기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 각각에 대해서는 기울기 각도에 따른 보정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미지 프레임의 보정에 대해서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하였는 바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진위 판정부(430)는 홀로그램 추출부(420)에서 추출된 홀로그램에 대해 별도의 저장부 혹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정상 홀로그램 문양)와 비교하여 그 진위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530 - 1차 검증).
혹은 진위 판정부(430)는 홀로그램 추출부(420)에서 홀로그램이 추출되지 않을 경우 해당 신분증(10)에는 진정한 신분증임을 나타내는 홀로그램이 프린팅되어 있지 않은 가짜 신분증인 것으로 판정할 수도 있다.
진위 판정부(430)에서의 판정 결과 신분증(10)이 진정한 것으로 판정되면(1차 검증), 이미지 획득부(410)는 동영상 촬영 모드로 진입하여 신분증(10)에 대해 일정 시간 동안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을 획득한다(단계 S540).
문자 인식부(440)는 단계 S540에서 획득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서 광학 문자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신분증 이미지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한다(단계 S550). 이 과정에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 중에서 흔들림이 최소로 반영된 이미지 프레임을 선별하여 문자 인식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혹은 둘 이상의 이미지 프레임으로부터 동일한 위치에서 인식된 문자가 동일한 경우 정확한 문자 인식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문자로 결정할 수도 있다. 만약 둘 이상의 이미지 프레임에서 각각 인식된 문자가 동일 위치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문자인 것으로 인식되었다면, 이는 문자 인식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고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 중에서 다른 이미지 프레임을 문자 인식용으로 재선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진위 판정부(430)는 문자 인식부(440)에서 인식된 문자 중에서 신분증 발급자의 신원을 나타내는 신원 정보에 해당하는 문자를 선별하여, 신분증 인식 장치(400)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인증서버와 통신하여 인식된 문자 중에서 성명과 주민등록번호를 검증할 수 있다(단계 S560 - 2차 검증). 성명과 주민등록번호가 인증서버에서 검증되지 않을 경우 해당 신분증은 가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신분증 인식 장치 110: 이미지 획득부
120: 보정부 130: 문자 인식부
140: 홀로그램 추출부 150: 진위 확인부
400: 신분증 인식 장치 410: 이미지 획득부
420: 홀로그램 추출부 430: 진위 판정부
440: 문자 인식부

Claims (9)

  1. 카메라를 통해 상이한 기울기에 촬영된 신분증에 대한 복수의 제1 이미지 프레임을 획득하고, 1차 검증이 성공하면 상기 카메라를 동영상 촬영 모드로 설정하여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신분증에 대한 복수의 제2 이미지 프레임을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
    상기 복수의 제1 이미지 프레임에 대한 차 영상(difference image)을 구해 홀로그램을 추출하는 홀로그램 추출부;
    상기 홀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신분증의 진위를 1차 검증하는 진위 검증부;
    상기 복수의 제2 이미지 프레임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고, 상기 문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문자의 속성을 판별하는 문자 인식부를 포함하되,
    상기 진위 검증부는 상기 문자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상기 문자 중에서 상기 문자의 속성에 기초하여 신원 정보에 해당하는 문자를 이용하여 상기 신분증의 진위를 2차 검증하며,
    상기 이미지 획득부는 신분증 인식 장치에 구비된 화면 내에서 상기 신분증이 배치되도록 하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가이드 라인이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표시되도록 하되,
    상기 복수의 가이드 라인은 상기 카메라와 상기 신분증 사이의 기울기 각도 차가 소정 각도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증 인식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획득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이미지 프레임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상기 카메라에 대해 고정된 조명을 턴온시키되,
    상기 카메라의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조명의 기울어짐을 조절하여 상기 신분증에 대한 광 입사각이 변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증 인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인식부는 상기 복수의 제2 이미지 프레임 각각에 대해 광학 문자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문자를 인식하며,
    상기 복수의 제2 이미지 프레임 중 둘 이상의 이미지 프레임에서 동일한 위치에서 추출된 문자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 한해 정상 인식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증 인식 장치.
  5. 카메라를 통해 동영상 촬영 모드로 일정 시간 동안 신분증에 대한 순차적인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을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 각각에 대해 상기 신분증에 상응하는 신분증 이미지의 기울기를 파악하여 상기 기울기가 0(zero)가 되도록 보정하는 보정부;
    상기 보정부에 의해 보정된 신분증 이미지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고, 상기 문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문자의 속성을 판별하는 문자 인식부;
    인식된 상기 문자 중에서 상기 문자의 속성에 기초하여 신원 정보에 해당하는 문자를 이용하여 상기 신분증의 진위를 확인하는 진위 확인부;
    상기 보정부에 의해 보정된 신분증 이미지에 포함된 홀로그램을 추출하는 홀로그램 추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진위 확인부는 상기 홀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신분증의 진위를 추가적으로 확인하며,
    상기 홀로그램 추출부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에 대응되는 각각의 신분증 이미지 중 상기 카메라와 상기 신분증 사이의 기울기 각도 차가 소정 각도 이상이 되는 경우에 해당하는 두 개의 신분증 이미지를 선택하여 차 영상(difference image)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홀로그램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증 인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인식부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 각각에 대해 광학 문자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신분증 이미지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며,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 중 둘 이상의 이미지 프레임에서 동일한 위치에서 추출된 문자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 한해 정상 인식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증 인식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 각각에 대해 에지(edge) 추출을 통해 상기 신분증 이미지의 형상을 확인하고, 상기 신분증 이미지의 형상에 따라 상기 신분증의 기울기를 파악하며, 상기 신분증 이미지가 기본 형상이 되도록 선형적으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증 인식 장치.
KR2020150006916U 2015-10-23 2015-10-23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신분증 인식 장치 KR2004832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916U KR200483242Y1 (ko) 2015-10-23 2015-10-23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신분증 인식 장치
PCT/KR2016/008224 WO2017069385A1 (ko) 2015-10-23 2016-07-27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신분증 인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916U KR200483242Y1 (ko) 2015-10-23 2015-10-23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신분증 인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242Y1 true KR200483242Y1 (ko) 2017-05-02

Family

ID=58557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916U KR200483242Y1 (ko) 2015-10-23 2015-10-23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신분증 인식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3242Y1 (ko)
WO (1) WO2017069385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8844B1 (ko) 2016-08-31 2017-12-13 권해원 실물 결제카드의 경사 각도를 이용한 카드 결제 방법
KR101816225B1 (ko) 2016-08-31 2018-01-08 권해원 3축상에서 랜덤하게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진 실물 결제카드의 이미지를 이용한 카드 결제 방법
KR101880140B1 (ko) * 2017-05-26 2018-07-20 주식회사 페이콕 결제 카드의 유효기간 판독 방법
KR102142347B1 (ko) * 2019-10-01 2020-08-07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신분증 인식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KR102187123B1 (ko) * 2020-02-12 2020-12-04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홀로그램 검출 서비스 제공 서버 및 홀로그램 검출 방법
KR102210959B1 (ko) * 2020-06-29 2021-02-01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신분증 이미지 품질 평가 방법 및 서버
WO2021162195A1 (ko) * 2020-02-14 2021-08-19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딥러닝 기반의 신분증 진위판단장치 및 신분증 진위판단방법
KR20220165347A (ko) 2021-06-08 2022-12-15 카드캠주식회사 신분증 위변조 판별 방법 및 신분증 위변조 판별 장치
KR102573975B1 (ko) * 2022-06-15 2023-09-04 주식회사 코이웨어 신분증 진위 여부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43551A (zh) * 2018-10-26 2019-03-29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身份证鉴别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1144400B (zh) * 2018-11-06 2024-03-29 北京金山云网络技术有限公司 身份证信息的识别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SG10202006062YA (en) * 2020-06-24 2021-05-28 Alipay Labs Singapore Pte Ltd An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CN112528998B (zh) * 2021-02-18 2021-06-01 成都新希望金融信息有限公司 证件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3780266A (zh) * 2021-09-18 2021-12-10 武汉众邦银行股份有限公司 一种h5实现身份证扫描识别ocr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2671A (ko) * 2000-10-26 2002-05-04 배창렬 주민등록증을 이용한 본인확인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08968A (ko) * 2005-07-14 2007-01-18 세미테크 주식회사 신분증 위조 판별 장치 및 그 방법
KR101408119B1 (ko) 2013-10-30 2014-06-17 남찬우 신분증 위변조 진위 식별 장치
JP2015170322A (ja) * 2014-03-10 2015-09-28 富士通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生体認証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98210B2 (en) * 2011-02-24 2016-07-19 Digimarc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dealing with perspective distortion in connection with smartphone cameras
US8942484B2 (en) * 2011-09-06 2015-01-27 Qualcomm Incorporated Text detection using image regions
KR20150106723A (ko) * 2014-03-12 2015-09-22 (주)에이텍티앤 신분증인식기의 영상 전처리장치
KR101595719B1 (ko) * 2014-03-13 2016-02-19 (주)에이텍티앤 신분증인식기의 영상 전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2671A (ko) * 2000-10-26 2002-05-04 배창렬 주민등록증을 이용한 본인확인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08968A (ko) * 2005-07-14 2007-01-18 세미테크 주식회사 신분증 위조 판별 장치 및 그 방법
KR101408119B1 (ko) 2013-10-30 2014-06-17 남찬우 신분증 위변조 진위 식별 장치
JP2015170322A (ja) * 2014-03-10 2015-09-28 富士通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生体認証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225B1 (ko) 2016-08-31 2018-01-08 권해원 3축상에서 랜덤하게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진 실물 결제카드의 이미지를 이용한 카드 결제 방법
KR101808844B1 (ko) 2016-08-31 2017-12-13 권해원 실물 결제카드의 경사 각도를 이용한 카드 결제 방법
KR101880140B1 (ko) * 2017-05-26 2018-07-20 주식회사 페이콕 결제 카드의 유효기간 판독 방법
WO2021066541A1 (ko) * 2019-10-01 2021-04-08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신분증 인식 방법 및 장치
KR102142347B1 (ko) * 2019-10-01 2020-08-07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신분증 인식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US11568665B2 (en) 2019-10-01 2023-01-31 Kakaobank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ID card
KR102187123B1 (ko) * 2020-02-12 2020-12-04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홀로그램 검출 서비스 제공 서버 및 홀로그램 검출 방법
WO2021162440A1 (ko) * 2020-02-12 2021-08-19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홀로그램 검출 서비스 제공 서버 및 홀로그램 검출 방법
KR20210102830A (ko) * 2020-02-12 2021-08-20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홀로그램 검출 서비스 제공 서버 및 홀로그램 검출 방법
KR102447961B1 (ko) 2020-02-12 2022-09-27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홀로그램 검출 서비스 제공 서버 및 홀로그램 검출 방법
US11625566B2 (en) 2020-02-12 2023-04-11 Kakaobank Corp. Hologram det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hologram detection method
US11907783B2 (en) 2020-02-12 2024-02-20 Kakaobank Corp. Hologram det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hologram detection method
WO2021162195A1 (ko) * 2020-02-14 2021-08-19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딥러닝 기반의 신분증 진위판단장치 및 신분증 진위판단방법
US11594053B2 (en) 2020-02-14 2023-02-28 Kakaobank Corp. Deep-learning-based identification card authenticity ve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2210959B1 (ko) * 2020-06-29 2021-02-01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신분증 이미지 품질 평가 방법 및 서버
KR20220165347A (ko) 2021-06-08 2022-12-15 카드캠주식회사 신분증 위변조 판별 방법 및 신분증 위변조 판별 장치
KR102573975B1 (ko) * 2022-06-15 2023-09-04 주식회사 코이웨어 신분증 진위 여부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69385A1 (ko)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3242Y1 (ko)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신분증 인식 장치
CN106599772B (zh) 活体验证方法和装置及身份认证方法和装置
US9661216B2 (en) Automatic image capture
KR101596298B1 (ko) 스마트폰을 활용한 비접촉식 지문인식방법
WO2021017610A1 (zh) 证件真伪验证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0263775B (zh) 图像识别方法、装置、设备和认证方法、装置、设备
US11314966B2 (en) Facial anti-spoofing method using variances in image properties
US10346682B2 (en) Method of authenticating documents by means of a mobile telecommunications terminal
CN111144277B (zh) 一种带活体检测功能的人脸验证方法和系统
JP2018128970A (ja) ノンストップ顔認証システム
JP4640416B2 (ja) 顔認証装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33790B2 (ja) 携帯端末、本人確認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513866B1 (ja) 本人認証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725219B1 (ko) 디지털 이미지 판단방법 및 시스템, 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
JP6683833B2 (ja) 生体認証装置、および生体認証プログラム
US11048915B2 (en) Method and a device for detecting fraud by examination using two different focal lengths during automatic face recognition
JP7322485B2 (ja) 真贋判定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11767845B (zh) 证件识别方法及装置
KR20080085353A (ko) 사용자 인증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사용자인증방법
WO2022222957A1 (zh) 一种目标识别的方法和系统
CN108764033A (zh) 身份验证方法和装置、电子设备、计算机程序和存储介质
CN111766244B (zh) 防伪元件验证方法及系统
JP2021163166A (ja) プログラム、真贋判定方法及び真贋判定装置
CN113705486B (zh) 检测证件真伪的方法及装置
WO2022163774A1 (ja) 写真撮影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