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69385A1 -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신분증 인식 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신분증 인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69385A1
WO2017069385A1 PCT/KR2016/008224 KR2016008224W WO2017069385A1 WO 2017069385 A1 WO2017069385 A1 WO 2017069385A1 KR 2016008224 W KR2016008224 W KR 2016008224W WO 2017069385 A1 WO2017069385 A1 WO 201706938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mage
identification
identification card
unit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822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우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노텍
김우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노텍, 김우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노텍
Publication of WO201706938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6938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4Aligning, centring, orientation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4Image or video pattern matching; Proximity measures in feature spaces
    • G06V10/75Organisation of the matching processes, e.g. simultaneous or sequential comparisons of image or video features; Coarse-fine approaches, e.g. multi-scale approaches; using context analysis; Selection of dictiona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dentification card recognition apparatus using a mobile device.
  • identity verification is one of the important issues, and as a method for identity verification, a method of photographing and registering an ID card using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phone, which most people have recently, may be applied.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08119 (registration date June 10, 2014) discloses an identification card forgery authenticity identification device.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dentification card recognition device using a mobile device to obtain a normal image of the identification card and enable normal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through a mobile device equipped with a camera such as a smartphone without a separate scanning device will be.
  • 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s the hologram printed on the identification card using the video mode, and corrects the extracted hologram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dentification card to provide an identification card recognition device using a mobile device for identifying the authenticity of the identification card for will be.
  • an image obtaining unit obtaining a plurality of second image frames
  • a hologram extractor configured to extract a hologram by obtaining a difference image of the plurality of first image frames
  • An authenticity verification unit for first verifying the authenticity of the identification card using the hologram
  • a character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characters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second image frames and determining the attribute of the character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haracter, wherein the authenticity verification unit is among the characters recognized by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 An identification card recognition apparatus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the authenticity of the identification card is secondly verified using a letter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attribute of the letter.
  • the image acquisition unit may display a plurality of guide lines for arranging the identification card within a screen provided in the identification card recognition device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the plurality of guide lines may have a difference in inclination angle between the camera and the identification card. It can be made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 the image acquisition unit may turn on the fixed lighting for the camera in the process of acquiring the plurality of first image frames.
  •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recognizes a character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image by applying an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algorithm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image frames, and the characters extracted from the same position in two or more image frames of the plurality of image frames Only when they match with each other,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y are normally recognized.
  • the image acquisition unit for obtaining a plurality of image frames for the identification card for a predetermined time through the camera;
  • a correction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n inclination of an identificatio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card with respec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image frames and to correct the inclination to be zero;
  • a character recognition unit recognizing a character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image corrected by the correction unit, and determining an attribute of the character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haracter;
  • an authenticity verification unit for verifying the authenticity of the identification card using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attribute of the character among the recognized characters.
  •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recognizes a character included in the ID image by applying an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algorithm to each of the plurality of image frames, and the characters extracted at the same position in two or more image frames among the plurality of image frames coincide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it can be determined that it is normally recognized.
  • the hologram extrac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hologram extracting unit that extracts the hologram included in the image of the ID corrected by the correcting unit, and the authenticity checking unit may check the authenticity of the ID card using the hologram.
  • the hologram extracting unit may extract the hologram by selecting two identification images among respective identification imag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image frames to detect a difference image.
  • the correction unit checks the shape of the identification card image through the edge (edge) extrac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image frames, grasp the slope of the identification car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identification card image, so that the identification card image is a basic shape You can calibrate linearly.
  • 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 the hologram printed on the identification card is extracted by using the video mode, and the authenticity of the identification card can be identified by correcting the extracted hologram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dentification card.
  • FIG.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identification card recognition apparatus us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showing an image frame obtained according to an identification card slope
  • FIG. 5 is a flow chart of an identification card recognition method performed in the identification card recogni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uide line displayed on a screen according to a tilt of a camera
  • FIG.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dentification card recogni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flow chart of an identification card recognition method performed in the identification card recogni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 FIG.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ID card recognition apparatus us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camera and ID card
  • Figure 3 is an image acquired according to the ID card slope 4
  •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D card recognition method performed in an ID card recogni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displayed on a screen according to a tilt of a camera.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guide line.
  • the identification card recognition apparatus is characterized by recognizing a character at various angles through a plurality of sequential image frames and extracting holograms to check the authenticity of the identification card.
  • the identification card to be recognized is an identification card that proves the identity of the holder, and may be, for example, one of a resident registration card, a driver's license, and a passport.
  • the ID card recognition apparatus 100 includes an image acquisition unit 110, a correction unit 120, a character recognition unit 130, a hologram extractor 140, and an authenticity checker 150.
  • the identification card recognition device 100 is an electronic terminal capable of installing an identification card recognition application, and may be one of a smart phon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DA, a general purpose PC, a notebook PC, and a tablet PC equipped with an operating system capable of driving the identification card recognition application. .
  • the identification card recognition application may be an application program that recognizes a character at various angles through a plurality of sequential image frames, extracts a hologram, and checks the authenticity of the identification card.
  •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acquires a plurality of image frames sequentially for the identification card through a camera provided in the identification card recognition device 100 (step S310).
  • the camera When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is activated, the camera is driven to operate the camera in the video recording mode instead of the general photo shooting mode.
  • This allows a plurality of image frames (e.g., 30 image frames for 3 seconds) to be automatically acquired at a certain time interval for the identification card within the camera's field of view in the video recording mode, even if the user does not press the recording butt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image distortion due to camera shake.
  •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may be displayed as a guideline in the photographing screen for the portion where the identification card is required to be placed in the screen for smoothly performing character recognition or hologram extrac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n the identification card.
  • the identification card may be improved by allowing the user to place the identification car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displayed on the photographing screen.
  •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may guide the user to the ID card having various angles with respect to the camera lens through a guide line.
  • the hologram pattern printed on the surface may be clearly seen or not seen at all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Therefore, the image obtaining unit 110 acquires an image frame from various angles to prevent the hologram pattern from being extracted. This is to ensure that a clearer hologram can be extracted.
  • the ID card 10 when the camera 105 photographs the ID card 10, the ID card 10 is tilted to the left or right to acquire an image frame having various incident angles and reflection angles even for a constant light. can do.
  • the identification card 10 may guide the camera 105 to be tilted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in a situation where it is placed on a flat plane such as a desk.
  • the following guideline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identification card recognition device 100 so that the identification card image shown on the screen is placed in the correct position.
  • a rectangular first guide line 170a is displayed on the screen 160.
  • the second guide line 170b having a short right-side trapezoidal shape is displayed on the screen 160, and to be in the P3 position, the screen 160 is displayed as shown in (c) of FIG.
  • the third guide line 170c having a trapezoidal shape having a short left side may be displayed.
  • the ID card recognition apparatus 100 may calculate the inclination of the camera 105 with respect to the plane by using the gyro sensor provided in the electronic terminal, so that the shape of the guide line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 to the calculated inclination.
  • the correction unit 120 performs correction for smooth image processing on the plurality of image frames acquir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step S320).
  • the shape of the ID image included in the image frame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camera 105 and the identification card 10 is determined. There may be some distortion.
  • the ID card images 210a to 210c may have a shape as shown in FIG. 3.
  • the ID card image 210a As shown in FIG. If the left side has a short trapezoidal shape, as shown in (c) of FIG. 2, the identification card 10 is inclined with the right side facing downward or when the camera 105 is in the P2 position as shown in FIG. As shown in (c), the ID image 210c has a short trapezoidal shape at the right side.
  • the ID image 210b When the ID 10 is not tilted (FIG. 2B or the position P1 of FIG. 6), the ID image 210b has a rectangular shape.
  • the correction unit 120 checks the shape of the identification card image 210 through the edge extraction in the image frame 200 (step S322), and the identification card 10 is tilt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identification card image 210.
  • the degree of progress e.g., tilt
  • is determined step S324.
  • letters and holograms printed on the ID card 10 photographed in the image frame 200 may also have shape distortions due to tilting.
  • the correction unit 120 corrects the identification image 210 to have a rectangular shape (basic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identification slope (step S326). That is, the slope of the identification image 210 is corrected to be zero.
  • the shape distortion may be corrected together with the text and the hologram included in the ID card 210.
  • Linear correction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or distance from the right side). For example, if it is close to the left side, the length will be extended much, and for the portion close to the right side, there will be little length extension.
  •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30 applies an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algorithm to each of a plurality of image frames obtain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and corrected by the correction unit 120 to print characters printed on the surface. Recognize (step S330). Since the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algorithm corresponds to a general technical content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 Characters printed on the identification card recognized by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30 may include the identification card type, nam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valid number, issue date.
  •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30 may determine an attribute of the character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haracter extracted from the corrected image frame.
  • the type of the driver's license is printed on the upper left, such as 'type 1 normal'.
  • the upper right side is printed with a letter indicating the type of identification 'Driver's License', and underneath it is information such as license number, name, social security number, address, aptitude test period, issue date, issuer, etc. Is printed.
  • the location where each piece of information is to be arrange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identification card, it is possible to confirm what meaning the corresponding letter ha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character extracted from the identification card image 210.
  • the characters extracted in the third row from the right to the bottom may be related to the name of the person who issued the driver's license.
  •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30 may determine the type of the identification card by checking the characters extracted from the designated location to print the character indicating the type of the identification card for each identification card.
  • a letter indicating the type of identification of a driver's license is printed on the upper right side
  • the type of identification card called 'resident registration' is displayed on the upper left. Character is printed.
  •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30 may determine that the character is normally recognized without an error only when the characters extracted at the same position correspon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image frames, and may be used for identification card identification.
  • the character recognition is regarded as normal if the same character is recognized in multiple image frames even for characters that cannot be recognized by a single image frame. As a result, the recognition rate can be improved.
  • the hologram extractor 140 selects an image frame in which the hologram pattern is clearly displayed among the plurality of image frames acquired by the image acquirer 110, and extracts the hologram pattern from the corresponding image frame (step S340).
  • the hologram extractor 140 selects a plurality of identification images corrected by the correction unit 120 to be arbitrarily or at specified intervals, and then detects a difference image between the two identification images. When the difference image is detected, the same part is removed and only the difference part remains for the two ID card images, and the remaining difference part is the hologram pattern detected by the light reflection difference.
  • the authenticity checker 150 checks the authenticity of the text recognized by the character recognizer 130 and the hologram extracted by the hologram extractor 140 (step S350).
  • Characters recognized by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30 is information about the identity of the identity card issuer
  • the identification card recognition device 100 may verify the name and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among the characters recognized by communicating with the external authentication server through the network. If the name and social security number are not verified in the authentication server, the identification card may be considered fake.
  • the hologram extracted by the hologram extracting unit 140 has a specific hologram pattern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identification card, and thus a separate storage unit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card type determined based on the recognized character in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30. Compared to the normal hologram pattern stored in the (not shown) or stored in an external database and the extracted hologram, if the similarity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it can be verified that the hologram is real and that the identification card is genuine.
  • the authenticity checker 150 may be provided in a server (not shown) connected to the identification card recognition device 100 via a network in addition to the identification card recognition device 100.
  • the character recognized by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30 and the hologram extracted by the hologram extraction unit 140 are transmitted to the server, and the authenticity is checked by compari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server with reference data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 FIG.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dentification card recogni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flowchart of an identification card recognition method performed in the identification card recogni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dentification card recognition apparatus 400 may increase the success rate of identification card recognition by performing character recognition second only when the hologram extraction is successful.
  • the identification card recognition apparatus 400 includes an image acquisition unit 410, a hologram extractor 420, an authenticity determination unit 430, and a character recognition unit 440.
  • the image acquisition unit 410 acquires an image for the identification card through the camera similarly to the image acquisition unit 410 shown in FIG. 1 (step S510).
  • the guide lines 170a to 170c are displayed on the screen 160 provided in the identification card recognition device 400 so that the user may receive the guide lines 170a.
  • the camera 105 may be tilted by a specified angle to place the identification image within ⁇ 170c). If the ID card image is included in the guide lines 170a to 170c, it is determined that the tilt between the camera 105 and the ID card 10 is a designated tilt and automatic shooting is performed so that the image frame (that is, the ID card image) Can be obtained.
  • the plurality of guide lines 170a to 170c may be displayed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so that the inclination angle difference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hologram extractor 420 may smoothly extract the hologram.
  • the hologram is shown or not seen from the surface according to the angle of incidence of light, so that the fixed light (not shown) with respect to the camera 105 is turned on to minimize the effect of external light, As the 105 is tilted, the illumination may also be tilted such that the light incident angle to the ID 10 is changed.
  • the hologram extractor 420 extracts a hologram by obtaining a difference image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image frames obtained by different angles of inclination with a parallax at the image acquirer 410 (step S520).
  • the correction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may be perform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image frames, and the correction of the image frame has been described in the foregoing embodimen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authenticity determination unit 430 compares the hologram extracted by the hologram extraction unit 420 with data stored in a separate storage unit or a database of a server connected via a network (normal hologram pattern) to determine whether the authenticity is true (step) S530-first order verification).
  • the authenticity determination unit 430 may determine that the ID 10 is a fake ID that is not printed with a hologram indicating that it is a true ID.
  • the image acquisition unit 410 enters a moving picture photographing mode, and the plurality of images for the identification card 10 for a predetermined time. Acquire a frame (step S540).
  •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440 recognizes a character included in the ID image by applying the optical character algorithm to the plurality of image frames obtained in step S540 (step S550). In this proces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ccuracy of character recognition by selecting an image frame that minimizes the shake among the plurality of image frames.
  • the authenticity determination unit 430 selects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identity information indicating the identity of the identity issuer from among the characters recognized by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440, and the identification card recognition device 400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authentication server through a network.
  • the name and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can be verified among the recognized characters (step S560-second verification). If the name and social security number are not verified in the authentication server, the identification card may be considered fake.

Abstract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신분증 인식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인식 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상이한 기울기에 촬영된 신분증에 대한 복수의 제1 이미지 프레임을 획득하고, 1차 검증이 성공하면 상기 카메라를 동영상 촬영 모드로 설정하여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신분증에 대한 복수의 제2 이미지 프레임을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 상기 복수의 제1 이미지 프레임에 대한 차 영상(difference image)를 구해 홀로그램을 추출하는 홀로그램 추출부; 상기 홀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신분증의 진위를 1차 검증하는 진위 검증부; 상기 복수의 제2 이미지 프레임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고, 상기 문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문자의 속성을 판별하는 문자 인식부를 포함하되, 상기 진위 검증부는 상기 문자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상기 문자 중에서 상기 문자의 속성에 기초하여 신원 정보에 해당하는 문자를 이용하여 상기 신분증의 진위를 2차 검증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신분증 인식 장치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신분증 인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융거래에서 그 동안은 대면 채널이 대부분이었지만, 네트워크의 발달과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인해 비대면 채널을 통한 금융거래가 점차 활성화되고 있다.
비대면 금융거래에서는 본인 확인이 중요한 이슈 중 하나이며, 본인 확인을 위한 방안으로 최근 대부분의 사람들이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로 신분증을 촬영하여 등록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신분증 촬영 과정에서 촬영 버튼을 누르는 행위로 인해 스마트폰이 흔들리게 되어 발생하는 손떨림 혹은 빛 반사 등과 같은 여러가지 문제로 인해 최적의 신분증 영상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별도의 신분증 스캔 장치를 통해서만 신분증에 대한 영상을 확보하는 한계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408119호(등록일2014년6월10일)에는 신분증 위변조 진위 식별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스캔 장치 없이도 스마트폰과 같이 카메라가 구비된 모바일 기기를 통해 신분증의 정상 영상을 획득하고 정상적인 광학 문자 인식(OCR)이 가능하게 하는 모바일 다비이스를 이용한 신분증 인식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동영상 모드를 활용하여 신분증에 인쇄된 홀로그램을 추출하고, 신분증의 경사각에 따라 추출된 홀로그램을 보정하여 신분증의 진위 여부를 식별할 수 있게 하는 모바일 다비이스를 이용한 신분증 인식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카메라를 통해 상이한 기울기에 촬영된 신분증에 대한 복수의 제1 이미지 프레임을 획득하고, 1차 검증이 성공하면 상기 카메라를 동영상 촬영 모드로 설정하여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신분증에 대한 복수의 제2 이미지 프레임을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 상기 복수의 제1 이미지 프레임에 대한 차 영상(difference image)를 구해 홀로그램을 추출하는 홀로그램 추출부; 상기 홀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신분증의 진위를 1차 검증하는 진위 검증부; 상기 복수의 제2 이미지 프레임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고, 상기 문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문자의 속성을 판별하는 문자 인식부를 포함하되, 상기 진위 검증부는 상기 문자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상기 문자 중에서 상기 문자의 속성에 기초하여 신원 정보에 해당하는 문자를 이용하여 상기 신분증의 진위를 2차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증 인식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이미지 획득부는 상기 신분증 인식 장치에 구비된 화면 내에서 상기 신분증이 배치되도록 하는 복수의 가이드 라인이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표시되도록 하되, 상기 복수의 가이드 라인은 상기 카메라와 상기 신분증 사이의 기울기 각도 차가 소정 각도 이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획득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이미지 프레임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상기 카메라에 대해 고정된 조명을 턴온시킬 수 있다.
상기 문자 인식부는 상기 복수의 제2 이미지 프레임 각각에 대해 광학 문자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신분증 이미지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며,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 중 둘 이상의 이미지 프레임에서 동일한 위치에서 추출된 문자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 한해 정상 인식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카메라를 통해 일정 시간 동안 신분증에 대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을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 각각에 대해 상기 신분증에 상응하는 신분증 이미지의 기울기를 파악하여 상기 기울기가 0(zero)가 되도록 보정하는 보정부; 상기 보정부에 의해 보정된 신분증 이미지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고, 상기 문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문자의 속성을 판별하는 문자 인식부; 및 인식된 상기 문자 중에서 상기 문자의 속성에 기초하여 신원 정보에 해당하는 문자를 이용하여 상기 신분증의 진위를 확인하는 진위 확인부를 포함하는 신분증 인식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문자 인식부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 각각에 대해 광학 문자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신분증 이미지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며,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 중 둘 이상의 이미지 프레임에서 동일한 위치에서 추출된 문자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 한해 정상 인식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상기 보정부에 의해 보정된 신분증 이미지에 포함된 홀로그램을 추출하는 홀로그램 추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진위 확인부는 상기 홀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신분증의 진위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홀로그램 추출부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에 대응되는 각각의 신분증 이미지 중 두 개의 신분증 이미지를 선택하여 차 영상(difference image)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홀로그램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보정부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 각각에 대해 에지(edge) 추출을 통해 상기 신분증 이미지의 형상을 확인하고, 상기 신분증 이미지의 형상에 따라 상기 신분증의 기울기를 파악하며, 상기 신분증 이미지가 기본 형상이 되도록 선형적으로 보정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스캔 장치 없이도 스마트폰과 같이 카메라가 구비된 모바일 기기를 통해 신분증의 정상 영상을 획득하고 정상적인 광학 문자 인식(OCR)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영상 모드를 활용하여 신분증에 인쇄된 홀로그램을 추출하고, 신분증의 경사각에 따라 추출된 홀로그램을 보정하여 신분증의 진위 여부를 식별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신분증 인식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카메라와 신분증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신분증 기울기에 따라 획득되는 이미지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주민등록증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인식 장치에서 수행되는 신분증 인식 방법의 순서도,
도 6은 카메라의 기울기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가이드 라인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인식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인식 장치에서 수행되는 신분증 인식 방법의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신분증 인식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카메라와 신분증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신분증 기울기에 따라 획득되는 이미지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주민등록증의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인식 장치에서 수행되는 신분증 인식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6은 카메라의 기울기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가이드 라인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인식 장치는 순차적인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을 통해 다양한 각도에서 문자를 인식하고 홀로그램을 추출하여 신분증 진위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인식 대상이 되는 신분증은 소지자의 신분을 증명하는 ID 카드(identification card)로서, 예를 들면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중 하나일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신분증 인식 장치(100)는 이미지 획득부(110), 보정부(120), 문자 인식부(130), 홀로그램 추출부(140), 진위 확인부(150)를 포함한다.
신분증 인식 장치(100)는 신분증 인식 애플리케이션 설치가 가능한 전자 단말기로서, 신분증 인식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이 가능한 운영체제가 탑재된 스마트폰, 이동통신단말기, PDA, 범용PC, 노트북PC, 태블릿PC 중 하나일 수 있다.
신분증 인식 애플리케이션은 순차적인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을 통해 다양한 각도에서 문자를 인식하고 홀로그램을 추출하여 신분증 진위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응용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이미지 획득부(110)는 신분증 인식 장치(100)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신분증에 대한 순차적인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을 획득한다(단계S310).
이미지 획득부(110)가 활성화되면, 카메라를 구동시킨 후 카메라에 대해서 일반적인 사진 촬영 모드가 아니라 동영상 촬영 모드로 작동하게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에 의한 촬영 버튼 누름 행위가 없더라도 동영상 촬영 모드에서 카메라의 시야 범위 내에 있는 신분증에 대해서 일정 시간 간격을 가지는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예컨대, 3초 동안30개의 이미지 프레임)을 자동적으로 획득할 수 있어 손떨림 등에 의한 이미지 왜곡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이미지 획득부(110)가 신분증에 대해 후술할 문자 인식 혹은 홀로그램 추출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화면 내에서 신분증이 배치될 것이 요구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촬영 화면 내에 가이드 라인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촬영 화면에 표시된 가이드 라인에 따라 신분증이 놓여지도록 함으로써, 인식률 개선을 도울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신분증에 프린팅된 홀로그램의 원활한 추출을 위해서, 이미지 획득부(110)는 가이드 라인을 통해 사용자에게 신분증이 카메라 렌즈에 대해 다양한 각도를 가지도록 안내할 수도 있다. 홀로그램의 경우 보는 각도에 따라 표면에 프린팅된 홀로그램 문양이 선명하게 보여지거나 아예 보여지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미지 획득부(110)에서는 다양한 각도에서 이미지 프레임을 획득하여 홀로그램 문양이 추출되지 않는 경우를 방지하고 보다 선명한 홀로그램이 추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카메라 렌즈에 대해 신분증을 좌우로 지정된 속도 이하로 천천히 기울이게 가이드함으로써, 다양한 각도에서 신분증의 이미지 프레임을 획득하고 이들 이미지 프레임 중에서 선명한 홀로그램을 가지는 이미지 프레임이 선택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의(a) 내지(c)를 참조하면, 카메라(105)가 신분증(10)을 촬영할 때, 신분증(10)을 좌우로 기울여 일정한 빛에 대해서도 다양한 입사각과 반사각을 가지는 이미지 프레임이 획득되도록 할 수 있다.
혹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신분증(10)은 책상과 같은 평평한 평면 상에 놓여진 상황에서 카메라(105)가 상하 혹은 좌우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기울어지도록 가이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신분증 인식 장치(100)의 화면에는 다음과 같은 가이드 라인이 표시되어 화면 상에 보여지는 신분증 이미지가 정위치에 놓여지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105)가 P1 위치에 있게 하려면 도 6의(a)에 도시된 것처럼 화면(160)에 직사각형 형상의 제1 가이드 라인(170a)이 표시되도록 하고, P2 위치에 있게 하려면 도 6의(b)에 도시된 것처럼 화면(160)에 우측 변이 짧은 사다리꼴 형상의 제2 가이드 라인(170b)이 표시되도록 하며, P3 위치에 있게 하려면 도 6의(c)에 도시된 것처럼 화면(160)에 좌측 변이 짧은 사다리꼴 형상의 제3 가이드 라인(170c)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신분증 인식 장치(100)는 전자 단말기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평면에 대한 카메라(105)의 기울기를 산출하고, 산출된 기울기에 따라 가이드 라인의 형상이 적합하게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보정부(120)는 이미지 획득부(110)에서 획득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서 원활한 이미지 처리를 위해 보정을 수행한다(단계S320).
도 2 혹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이미지 획득부(110)에서 획득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에는 촬영될 때 카메라(105)와 신분증(10)의 기울기에 따라 해당 이미지 프레임 내에 포함된 신분증 이미지의 형상이 일부 왜곡되어 있을 수 있다.
신분증 이미지(210a~210c, 이하'210'으로도 통칭)의 형상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의 (a)와 같이 신분증(10)이 좌측이 아래를 향하게 기울어진 경우 혹은 도 6에서와 같이 카메라(105)가 P3 위치에 있는 경우 도 3의 (a)와 같이 신분증 이미지(210a)는 좌측이 짧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게 되고, 도 2의 (c)와 같이 신분증(10)이 우측이 아래를 향하게 기울어진 경우 혹은 도 6에서와 같이 카메라(105)가 P2 위치에 있는 경우 도 3의 (c)와 같이 신분증 이미지(210c)는 우측이 짧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신분증(10)이 기울어지지 않은 경우(도 2의 (b) 혹은 도 6의 P1 위치) 신분증 이미지(210b)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게 된다.
보정부(120)는 이미지 프레임(200) 내에서 에지(edge) 추출을 통해 신분증 이미지(210)의 형상을 확인하고(단계S322), 신분증 이미지(210)의 형상에 따라 신분증(10)이 기울어진 정도(예컨대, 기울기)를 파악한다(단계S324).
신분증(10)이 기울어진 경우, 이미지 프레임(200) 내에서 촬영된 신분증(10) 표면에 프린팅된 문자와 홀로그램 역시 기울어짐에 의해 형상 왜곡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보정부(120)는 파악된 신분증 기울기에 상응하여 신분증 이미지(210)를 직사각형 형상(기본 형상)이 되도록 보정한다(단계S326). 즉, 신분증 이미지(210)의 기울기가 0(zero)가 되도록 보정한다. 신분증 이미지(210)의 보정 과정에서 신분증 이미지(210) 내에 포함되는 문자와 홀로그램에 대해서도 함께 형상 왜곡이 보정되도록 할 수 있다.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는 신분증 이미지(210)에 대해 좌측 변과 우측 변이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길이가 짧은 변의 길이를 연장하는 과정에서 좌측 변과 우측변 사이에 놓여지는 문자 및 홀로그램에 대해서도 좌측 변으로부터의 거리(혹은 우측 변으로부터 거리)에 따라 선형 보정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측 변에 가까울 경우에 대해서는 길이가 많이 연장되고 우측 변에 가까운 부분에 대해서는 길이 연장이 별로 없을 것이다.
도면에서는 신분증(10)이 좌우로만 기울어진 경우에 대해서만 예시되어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여 상하로 기울어진 경우에 대해서도 동일한 원리에 기초한 보정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문자 인식부(130)는 이미지 획득부(110)에서 획득하여 보정부(120)에 의한 보정이 수행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 각각에 대해 광학 문자 인식(OCR)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표면에 프린팅된 문자를 인식한다(단계S330). 광학 문자 인식 알고리즘은 본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기술 내용에 해당하는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문자 인식부(130)에서 인식되는 신분증에 프린팅된 문자로는 신분증 종류, 성명, 주민등록번호, 유효번호, 발급일자 등이 있을 수 있다.
문자 인식부(130)에는 보정된 이미지 프레임에서 추출된 문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해당 문자가 가지는 속성을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운전면허증의 경우에는 좌측 상단에는 '1종보통'과 같이 운전면허 종류가 프린팅되어 있다. 또한, 우측 상단에는 '자동차운전면허증(Driver's License)'이라는 신분증 종류를 알려주는 문자가 프린팅되어 있고, 그 밑으로는 면허번호,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적성검사기간, 발급일, 발급기관 등의 정보가 프린팅되어 있다.
신분증의 종류에 따라 각 정보가 배치되어야 하는 위치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신분증 이미지(210)에서 추출된 문자의 위치에 따라, 해당 문자가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우측에서부터 하방향으로 3번째 행에서 추출된 문자들은 운전면허증을 발급받은 사람의 성명에 관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문자 인식부(130)는 신분증마다 해당 신분증의 종류를 알려주는 문자가 프린팅되도록 지정된 위치에서 추출된 문자들을 확인하여, 해당 신분증의 종류를 판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운전면허증의 경우에는 우측 상단에 '자동차운전면허증'이라는 신분증 종류를 알려주는 문자가 프린팅되며, 주민등록증의 경우에는 좌측 상단에 '주민등록증'이라는 신분증 종류를 알려주는 문자가 프린팅된다. 이 경우 신분증 이미지(210)에 대해서 우측 상단과 좌측 상단 부분을 모두 확인하여 소정의 문자가 추출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해당 신분증의 종류에 대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문자 인식부(130)는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마다 동일한 위치에서 추출된 문자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 한해 해당 문자가 오류 없이 정상적으로 인식된 것으로 판정하여, 신분증 인식에 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
신분증 촬영 과정에서 장치 자체의 흔들림 혹은 신분증의 흔들림으로 인해 정상적인 이미지를 획득하지 못한 경우 단일 이미지 프레임으로는 인식이 어려운 문자에 대해서도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에서 동일한 문자인 것으로 인식된다면 문자 인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봄으로써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홀로그램 추출부(140)는 이미지 획득부(110)에서 획득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 중에서 홀로그램 문양이 선명하게 표시된 이미지 프레임을 선별하고, 해당 이미지 프레임에서 홀로그램 문양을 추출한다(단계S340).
홀로그램 추출부(140)는 보정부(120)에 의해 보정된 복수의 신분증 이미지에 대해서 임의로 혹은 지정된 간격을 가지도록 선택한 후 두 신분증 이미지 사이의 차 영상(difference image)을 검출한다. 차 영상을 검출하면, 두 신분증 이미지에 대해 동일한 부분은 제거되고 차이가 있는 부분만이 남게 되며, 남아 있는 차이가 있는 부분이 바로 빛 반사 차이로 인해 검출된 홀로그램 문양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진위 확인부(150)는 문자 인식부(130)에서 인식된 문자, 홀로그램 추출부(140)에서 추출된 홀로그램에 대해서 진위 여부를 확인한다(단계S350).
문자 인식부(130)에서 인식된 문자는 신분증 발급자의 신원에 관한 정보로서, 신분증 인식 장치(100)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인증서버와 통신하여 인식된 문자 중에서 성명과 주민등록번호를 검증할 수 있다. 성명과 주민등록번호가 인증서버에서 검증되지 않을 경우 해당 신분증은 가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홀로그램 추출부(140)에서 추출된 홀로그램은 신분증 종류에 따라 특정 홀로그램 문양이 결정되어 있는 바, 문자 인식부(130)에서 인식된 문자에 기초하여 판별한 신분증 종류에 상응하여 별도의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정상 홀로그램 문양과 추출된 홀로그램을 비교하고, 그 유사도가 소정 기준값 이상이 되는 경우 홀로그램이 진짜이어서 해당 신분증이 진짜인 것으로 검증할 수 있다.
또한, 진위 확인부(150)는 신분증 인식 장치(100) 이외에 신분증 인식 장치(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버(미도시)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문자인식부(130)에서 인식된 문자, 홀로그램 추출부(140)에서 추출된 홀로그램을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에서 전송받은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기준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인식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인식 장치에서 수행되는 신분증 인식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인식 장치(400)는 1차적으로 홀로그램 추출이 성공한 경우에 한하여 2차적으로 문자 인식을 수행하도록 하여 신분증 인식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인식 장치(400)는 이미지 획득부(410), 홀로그램 추출부(420), 진위 판정부(430), 문자 인식부(440)를 포함한다.
이미지 획득부(410)는 도 1에 도시된 이미지 획득부(410)와 마찬가지로 카메라를 통해 신분증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한다(단계S510).
신분증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앞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신분증 인식 장치(400)에 구비된 화면(160)에 가이드 라인(170a~170c)이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가이드 라인(170a~170c) 내에 신분증 이미지가 놓여지게 하기 위해 카메라(105)를 지정된 각도만큼 기울이도록 할 수 있다. 신분증 이미지가 가이드 라인(170a~170c) 내에 포함되는 경우, 카메라(105)와 신분증(10) 사이의 기울기가 지정된 기울기가 된 것으로 판단하고 자동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이미지 프레임(즉, 신분증 이미지)이 획득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후술하는 홀로그램 추출부(420)에서 홀로그램을 원활히 추출해 낼 수 있도록 기울기 각도 차가 소정 각도 이상이 되도록 하는 복수의 가이드 라인(170a~170c)이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홀로그램은 빛의 입사각에 따라 표면에서 보여지거나 보여지지 않게 되는 바, 카메라(105)에 대해 고정된 조명(미도시)이 턴온(turn on)되도록 하여 외부 광에 의한 효과를 최소화하고, 카메라(105)의 기울어짐에 따라 조명도 기울어져 신분증(10)에 대한 광 입사각이 변경되도록 할 수도 있다.
홀로그램 추출부(420)는 이미지 획득부(410)에서 시차를 두고 기울기 각도를 달리하여 획득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서 차 영상을 구해 홀로그램을 추출한다(단계S520).
여기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 각각에 대해서는 기울기 각도에 따른 보정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미지 프레임의 보정에 대해서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하였는 바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진위 판정부(430)는 홀로그램 추출부(420)에서 추출된 홀로그램에 대해 별도의 저장부 혹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정상 홀로그램 문양)와 비교하여 그 진위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530 - 1차 검증).
혹은 진위 판정부(430)는 홀로그램 추출부(420)에서 홀로그램이 추출되지 않을 경우 해당 신분증(10)에는 진정한 신분증임을 나타내는 홀로그램이 프린팅되어 있지 않은 가짜 신분증인 것으로 판정할 수도 있다.
진위 판정부(430)에서의 판정 결과 신분증(10)이 진정한 것으로 판정되면(1차 검증), 이미지 획득부(410)는 동영상 촬영 모드로 진입하여 신분증(10)에 대해 일정 시간 동안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을 획득한다(단계S540).
문자 인식부(440)는 단계S540에서 획득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서 광학 문자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신분증 이미지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한다(단계S550). 이 과정에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 중에서 흔들림이 최소로 반영된 이미지 프레임을 선별하여 문자 인식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혹은 둘 이상의 이미지 프레임으로부터 동일한 위치에서 인식된 문자가 동일한 경우 정확한 문자 인식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문자로 결정할 수도 있다. 만약 둘 이상의 이미지 프레임에서 각각 인식된 문자가 동일 위치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문자인 것으로 인식되었다면, 이는 문자 인식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고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 중에서 다른 이미지 프레임을 문자 인식용으로 재선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진위 판정부(430)는 문자 인식부(440)에서 인식된 문자 중에서 신분증 발급자의 신원을 나타내는 신원 정보에 해당하는 문자를 선별하여, 신분증 인식 장치(400)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인증서버와 통신하여 인식된 문자 중에서 성명과 주민등록번호를 검증할 수 있다(단계S560 - 2차 검증). 성명과 주민등록번호가 인증서버에서 검증되지 않을 경우 해당 신분증은 가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카메라를 통해 상이한 기울기에 촬영된 신분증에 대한 복수의 제1 이미지 프레임을 획득하고, 1차 검증이 성공하면 상기 카메라를 동영상 촬영 모드로 설정하여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신분증에 대한 복수의 제2 이미지 프레임을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
    상기 복수의 제1 이미지 프레임에 대한 차 영상(difference image)를 구해 홀로그램을 추출하는 홀로그램 추출부;
    상기 홀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신분증의 진위를 1차 검증하는 진위 검증부;
    상기 복수의 제2 이미지 프레임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고, 상기 문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문자의 속성을 판별하는 문자 인식부를 포함하되,
    상기 진위 검증부는 상기 문자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상기 문자 중에서 상기 문자의 속성에 기초하여 신원 정보에 해당하는 문자를 이용하여 상기 신분증의 진위를 2차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증 인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획득부는 상기 신분증 인식 장치에 구비된 화면 내에서 상기 신분증이 배치되도록 하는 복수의 가이드 라인이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표시되도록 하되,
    상기 복수의 가이드 라인은 상기 카메라와 상기 신분증 사이의 기울기 각도 차가 소정 각도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증 인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획득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이미지 프레임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상기 카메라에 대해 고정된 조명을 턴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증 인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인식부는 상기 복수의 제2 이미지 프레임 각각에 대해 광학 문자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신분증 이미지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며,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 중 둘 이상의 이미지 프레임에서 동일한 위치에서 추출된 문자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 한해 정상 인식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증 인식 장치.
  5. 카메라를 통해 일정 시간 동안 신분증에 대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을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 각각에 대해 상기 신분증에 상응하는 신분증 이미지의 기울기를 파악하여 상기 기울기가 0(zero)가 되도록 보정하는 보정부;
    상기 보정부에 의해 보정된 신분증 이미지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고, 상기 문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문자의 속성을 판별하는 문자 인식부;
    인식된 상기 문자 중에서 상기 문자의 속성에 기초하여 신원 정보에 해당하는 문자를 이용하여 상기 신분증의 진위를 확인하는 진위 확인부를 포함하는 신분증 인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인식부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 각각에 대해 광학 문자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신분증 이미지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며,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 중 둘 이상의 이미지 프레임에서 동일한 위치에서 추출된 문자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 한해 정상 인식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증 인식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에 의해 보정된 신분증 이미지에 포함된 홀로그램을 추출하는 홀로그램 추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진위 확인부는 상기 홀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신분증의 진위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증 인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램 추출부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에 대응되는 각각의 신분증 이미지 중 두 개의 신분증 이미지를 선택하여 차 영상(difference image)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홀로그램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증 인식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 각각에 대해 에지(edge) 추출을 통해 상기 신분증 이미지의 형상을 확인하고, 상기 신분증 이미지의 형상에 따라 상기 신분증의 기울기를 파악하며, 상기 신분증 이미지가 기본 형상이 되도록 선형적으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증 인식 장치.
PCT/KR2016/008224 2015-10-23 2016-07-27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신분증 인식 장치 WO201706938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916U KR200483242Y1 (ko) 2015-10-23 2015-10-23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신분증 인식 장치
KR20-2015-0006916 2015-10-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69385A1 true WO2017069385A1 (ko) 2017-04-27

Family

ID=58557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8224 WO2017069385A1 (ko) 2015-10-23 2016-07-27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신분증 인식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3242Y1 (ko)
WO (1) WO2017069385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43551A (zh) * 2018-10-26 2019-03-29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身份证鉴别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1144400A (zh) * 2018-11-06 2020-05-12 北京金山云网络技术有限公司 身份证信息的识别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12434747A (zh) * 2020-06-24 2021-03-02 支付宝实验室(新加坡)有限公司 认证方法和系统
CN112528998A (zh) * 2021-02-18 2021-03-19 成都新希望金融信息有限公司 证件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3780266A (zh) * 2021-09-18 2021-12-10 武汉众邦银行股份有限公司 一种h5实现身份证扫描识别ocr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220301333A1 (en) * 2019-10-01 2022-09-22 Kakaobank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id car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225B1 (ko) 2016-08-31 2018-01-08 권해원 3축상에서 랜덤하게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진 실물 결제카드의 이미지를 이용한 카드 결제 방법
KR101808844B1 (ko) 2016-08-31 2017-12-13 권해원 실물 결제카드의 경사 각도를 이용한 카드 결제 방법
KR101880140B1 (ko) * 2017-05-26 2018-07-20 주식회사 페이콕 결제 카드의 유효기간 판독 방법
KR102187123B1 (ko) * 2020-02-12 2020-12-04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홀로그램 검출 서비스 제공 서버 및 홀로그램 검출 방법
KR102125379B1 (ko) * 2020-02-14 2020-06-22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딥러닝 기반의 신분증 진위판단장치 및 신분증 진위판단방법
KR102210959B1 (ko) * 2020-06-29 2021-02-01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신분증 이미지 품질 평가 방법 및 서버
KR102501461B1 (ko) 2021-06-08 2023-02-21 카드캠주식회사 신분증 위변조 판별 방법 및 신분증 위변조 판별 장치
KR102573975B1 (ko) * 2022-06-15 2023-09-04 주식회사 코이웨어 신분증 진위 여부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8968A (ko) * 2005-07-14 2007-01-18 세미테크 주식회사 신분증 위조 판별 장치 및 그 방법
US20120218444A1 (en) * 2011-02-24 2012-08-30 John Stach Methods and systems for dealing with perspective distortion in connection with smartphone cameras
US20130058575A1 (en) * 2011-09-06 2013-03-07 Qualcomm Incorporated Text detection using image regions
KR20150106723A (ko) * 2014-03-12 2015-09-22 (주)에이텍티앤 신분증인식기의 영상 전처리장치
KR20150107186A (ko) * 2014-03-13 2015-09-23 (주)에이텍티앤 신분증인식기의 영상 전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2671A (ko) * 2000-10-26 2002-05-04 배창렬 주민등록증을 이용한 본인확인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408119B1 (ko) 2013-10-30 2014-06-17 남찬우 신분증 위변조 진위 식별 장치
JP6340838B2 (ja) * 2014-03-10 2018-06-13 富士通株式会社 生体認証装置、生体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8968A (ko) * 2005-07-14 2007-01-18 세미테크 주식회사 신분증 위조 판별 장치 및 그 방법
US20120218444A1 (en) * 2011-02-24 2012-08-30 John Stach Methods and systems for dealing with perspective distortion in connection with smartphone cameras
US20130058575A1 (en) * 2011-09-06 2013-03-07 Qualcomm Incorporated Text detection using image regions
KR20150106723A (ko) * 2014-03-12 2015-09-22 (주)에이텍티앤 신분증인식기의 영상 전처리장치
KR20150107186A (ko) * 2014-03-13 2015-09-23 (주)에이텍티앤 신분증인식기의 영상 전처리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43551A (zh) * 2018-10-26 2019-03-29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身份证鉴别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1144400A (zh) * 2018-11-06 2020-05-12 北京金山云网络技术有限公司 身份证信息的识别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11144400B (zh) * 2018-11-06 2024-03-29 北京金山云网络技术有限公司 身份证信息的识别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US20220301333A1 (en) * 2019-10-01 2022-09-22 Kakaobank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id card
US11568665B2 (en) * 2019-10-01 2023-01-31 Kakaobank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ID card
CN112434747A (zh) * 2020-06-24 2021-03-02 支付宝实验室(新加坡)有限公司 认证方法和系统
CN112528998A (zh) * 2021-02-18 2021-03-19 成都新希望金融信息有限公司 证件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3780266A (zh) * 2021-09-18 2021-12-10 武汉众邦银行股份有限公司 一种h5实现身份证扫描识别ocr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242Y1 (ko) 201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69385A1 (ko)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신분증 인식 장치
WO2016153209A2 (ko) 스마트폰을 활용한 비접촉식 지문인식방법
WO2010002147A2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접촉카드 인식 시스템 및 인식 방법
WO2018012928A1 (ko) 얼굴 인식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WO2017052275A1 (ko) 휴대단말을 이용한 자동입출금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EP2320390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ading and validation of identity documents
KR20080106426A (ko) 개인 식별장치 및 개인 식별방법
WO2017043885A1 (ko) 모바일 비대면 실명 확인을 통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06330936A (ja) 顔認証装置
US20080088717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image capturing method,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WO2017014391A1 (ko) 식별 코드 이미지를 이용한 객체 진위 여부 확인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WO2017023139A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체컨텐츠 자동검색장치
US20150036898A1 (en) Station for acquiring biometric and biographic data
WO2015102126A1 (ko) 얼굴 인식 기술을 이용한 전자 앨범 관리 방법 및 시스템
WO2022097982A1 (ko) 안면인식 기반 전자서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JP4640416B2 (ja) 顔認証装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0241987A1 (ko) 얼굴 인식 및 수기 서명 검증 기반의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장치
JP6513866B1 (ja) 本人認証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EP18330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biometric image samples or biometric data
US20080080751A1 (en) Method of capturing fingerprint image
KR20090132839A (ko) 전자 id 카드 발급 시스템 및 방법
US20010041009A1 (en) Customer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text recognition technology for the indentification card
WO2021162440A1 (ko) 홀로그램 검출 서비스 제공 서버 및 홀로그램 검출 방법
KR20070025451A (ko) 신분증 이미지 획득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신원확인 시스템
WO2012018173A2 (ko) 무인대출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5764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5764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