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089Y1 - 화병 용기용 전개판 - Google Patents

화병 용기용 전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089Y1
KR200483089Y1 KR2020150003972U KR20150003972U KR200483089Y1 KR 200483089 Y1 KR200483089 Y1 KR 200483089Y1 KR 2020150003972 U KR2020150003972 U KR 2020150003972U KR 20150003972 U KR20150003972 U KR 20150003972U KR 200483089 Y1 KR200483089 Y1 KR 2004830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ions
fold line
container
peripheral
centr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9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4466U (ko
Inventor
천동식
이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즈아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즈아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즈아이앤씨
Priority to KR20201500039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089Y1/ko
Publication of KR201600044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4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0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0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6Flower vases
    • A47G7/063Flower vases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5/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B31D5/04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including folding or pleating, e.g. Chinese lanterns

Landscapes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Cartons (AREA)

Abstract

화병 용기용 전개판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화병 용기용 전개판은, 바닥판을 형성하는 정사각형 평면 형상의 중앙부, 중앙부의 각 변에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외측벽을 각각 형성하는 사각형 평면 형상의 복수의 주변부, 및 복수의 주변부 사이 영역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주변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복수의 내측벽과 상기 복수의 상단 커버부를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중앙부, 상기 복수의 주변부 및 상기 복수의 연결부가 평면 형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전체 가장자리는 정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가 쉽게 용기 형상으로 접을 수 있으며,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용기의 형상 변형 없이 형상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화병 용기용 전개판{DEVELOPING PLATE FOR PAPER CONTAINER}
본 고안은, 전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형상의 구조물을 접이 방식을 이용하여 만들기 위해 마련되되,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용기의 형상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밑면이 넓고 윗면이 좁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측 부분을 꽃잎모양으로 마무리할 수 있는 화병을 접기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는 화병 용기용 전개판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종이 재질, 플라스틱,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종이 재질의 용기는 일회용 음식 수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이 재질의 용기는 전개판을 절첩선을 이용하여 복수회 절첩하는 과정을 통해 구현할 수 있는데, 종래에는 절첩하는 과정만을 이용하여 용기 형상을 구현하기 힘든 문제가 있었다. 부연하자면, 절첩선을 이용하여 필요한 부위를 접은 후 외측으로 벌어짐을 방지하도록 별도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종이 재질의 용기를 제조할 수 있되 사용자가 간단한 접이 방식으로 쉽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형상 변형을 방지하고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화병 용기용 전개판을 제안하는 바이다.
덧붙이자면, 본 출원인은 일상 속에서 꽃을 가까이하는 문화를 위해 고민을 하다가 꽃의 가격이 저렴하다면 많은 사람들이 꽃을 가까이할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하였다. 이러한 고민 중에, 우유팩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물을 담을 수 있는 종이 재질의 화병을 구체화하게 되었고, 밑면이 넓고 윗면이 좁은 마름모꼴의 디자인을 만들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으로 시도하다가 윗부분을 꽃잎모양으로 마무리를 하는 디자인의 화병을 개발하게 되었으며, 이를 제안하는 바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8219호 (2015. 04. 30 등록)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 형상의 구조물을 접이 방식을 이용하여 만들기 위해 마련되되,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용기의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화병 용기용 전개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밑면이 넓고 윗면이 좁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측 부분을 꽃잎모양으로 마무리할 수 있는 화병을 접기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는 화병 용기용 전개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연결되며 외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외측벽과,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외측벽과 각각 접촉되도록 내측에 접힌 상태로 마련되는 복수의 내측벽과,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외측벽의 상단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상단 커버부를 포함하는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용기용 전개판으로서, 상기 바닥판을 형성하는 정사각형 평면 형상의 중앙부, 상기 중앙부의 각 변에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외측벽을 각각 형성하는 사각형 평면 형상의 복수의 주변부, 및 상기 복수의 주변부 사이 영역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주변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복수의 내측벽과 상기 복수의 상단 커버부를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중앙부, 상기 복수의 주변부 및 상기 복수의 연결부가 평면 형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전체 가장자리는 정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화병 용기용 전개판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화병 용기용 전개판에 의하면, 사용자가 쉽게 용기 형상으로 접을 수 있으며,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용기의 형상 변형 없이 형상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중앙부에 대해 주변부를 접어서 세우고 연결부를 접은 후 상단 커버 영역을 외측으로 접은 상태에서, 상단 커버 영역이 주변부에 밀착되게 고정되고 상단 커버 영역의 중앙부가 서로 이웃하는 주변부의 중앙 모서리영역에 일치하게 마련됨으로써, 화병이 펼쳐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주변부가 테이퍼지게 형성됨으로써, 화병 용기로 접은 후 상단 개구가 하단 바닥판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복수의 꽃을 수납하더라도 화병 용기가 쓰러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밑면이 넓고 윗면이 좁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측 부분을 꽃잎모양으로 마무리할 수 있는 화병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화병의 디자인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꽃 배달업체가 꽃 배달시 꽃과 더불어 용기용 전개판을 이용하여 제조한 용기를 같이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소비자가 별도의 화병을 구입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병 용기용 전개판을 접이 방식을 이용하여 만든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병 용기용 전개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병 용기용 전개판의 일부를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병 용기용 전개판을 접이 방식을 이용하여 만든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병 용기용 전개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병 용기용 전개판의 일부를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병 용기용 전개판(이하, '용기용 전개판')은, 화병 용기를 종이 접기 방식을 통해 만들기 위한 전개판으로서, 접기 전 초기 펼쳐진 상태를 의미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전개판(100)은, 바닥판(11)과, 바닥판(11)에 연결되며 외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외측벽(12)과,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외측벽(12)과 각각 접촉되도록 내측에 접힌 상태로 마련되는 복수의 내측벽과,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외측벽(12)의 상단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상단 커버부(13)를 포함하는 용기(10)를 종이 접기 방식을 이용하여 제조하기 위해 마련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전개판(100)은, 바닥판(11)을 형성하는 중앙부(110)와, 중앙부(110)의 각 변에 연결되며 복수의 외측벽(12)을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주변부(120)와, 복수의 주변부(120) 사이 영역에 각각 마련되어 복수의 주변부(120)를 서로 연결하고, 복수의 내측벽과 복수의 상단 커버부(13)를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연결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용기용 전개판(100), 즉 중앙부(110), 복수의 주변부(120) 및 복수의 연결부(130)가 평면 형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전체 가장자리는 정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중앙부(110)는 정사각형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용기용 전개판(100)의 중앙 영역에 마련된다.
복수의 주변부(120)는 용기의 복수의 외측벽(12)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각각 중앙부(110)의 4개의 변에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며 사각형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용기(10)의 미감을 한층 향상시키도록 복수의 외측벽(12)이 바닥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용기(10)를 화병 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용기(10) 내에 수용된 꽃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용기(10)의 상단 개구 면적은 하부 바닥판(11) 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주변부(120)가 각각, 중앙부(110)와 연결되는 변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점차 감소하게 마련된다. 즉, 복수의 주변부(120)는 대략 등변 사다리꼴의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사각형,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음, 연결부(130)는 4개의 주변부(120) 사이에 각각 마련되어 총 4개가 구비된다. 이러한 연결부(130)는 4개의 주변부(120)를 서로 연결하게 되고, 4개의 내측벽(미도시)과 4개의 상단 커버부(13)를 형성하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중앙부(110)와 주변부(120) 사이의 연결 변(모서리), 주변부(120)와 연결부(130) 사이의 연결 변(모서리)에는 모두 절첩선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중앙부(110)를 기준으로 4개의 주변부(120)는 절첩선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접혀져서 4개의 외측벽(12)을 형성하게 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연결부(130)에는 중앙부(110)의 각 꼭지점으로부터 연결되어 내부 영역을 2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도록 제1 절첩선(141)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1 절첩선(141)과 주변부(120) 사이에는 그 사이 영역을 2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도록 제2 절첩선(142)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절첩선(141)과 제2 절첩선(142)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복수의 연결부(130)를 제1 절첩선(141) 및 제2 절첩선(142)을 기준으로 접어서 용기(10)의 복수의 내측벽(미도시)을 형성하고자 할 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절첩선(141)은 용기(10)의 내측 공간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힐 수 있고, 제2 절첩선(142)은 용기(10)의 내측 공간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힐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연결부(130)는 각각, 제1 절첩선(141)을 기준으로 양측의 제1 연결면(151)과 제2 연결면(152), 제1 연결면(151)과 주변부(120) 사이의 제3 연결면(153), 및 제2 연결면(152)과 주변부(120) 사이의 제4 연결면(154)을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복수의 연결부(130)를 접어서 용기(10)의 내측벽을 형성하고자 할 때, 제3 연결면(153) 및 제4 연결면(154)은 각각 주변부(120)의 내면과 접촉되도록 주변부(120)의 내면을 마주보도록 접히게 된다. 이에 반해, 제1 연결면(151) 및 제2 연결면(152)은 용기(10)의 내측 공간을 향하도록 접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면(151)과 제2 연결면(152)에는 상단 커버부(13)를 형성하도록 제1 절첩선(141)과 교차하는 제3 절첩선(143)이 마련된다.
여기서, 제3 절첩선(143)은 제2 절첩선(142)과 동일한 방향으로 절첩되도록 이루어지는데, 덧붙이자면, 사용자는 제3 절첩선(143)으로 인해 4군데의 모서리 영역에 마련되는 상단 커버 영역(160)을 제3 절첩선(143)을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상단 커버 영역(160)은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2개의 주변부(120)의 외면 상측 일부 영역을 커버하면서 상단 커버부(13)를 형성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절첩선(141)과 한 쌍의 제2 절첩선(142) 사이의 각도(α,β), 한 쌍의 제2 절첩선(142)과 주변부(120)의 일측변 사이의 각도(γ,δ)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절첩선(141)을 기준으로 양측이 서로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작업자가 접기도 용이할 뿐만 아니라,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 커버 영역(160)의 꼭지점 부분이 서로 이웃하는 주변부(120)의 사이 지점에 최대한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게 되므로 용기(10) 형상으로 접힌 후 미감이 증가할 수 있고 무질서하지 않고 정돈된 느낌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전개판(100)은, 일 예로 화병 용도로 사용 가능하며, 이를 위해 중앙부(110), 복수의 주변부(120) 및 복수의 연결부(130)는 양면이 코팅된 방수 가능한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용기용 전개판을 접어서 용기 형상을 구현한 후 내부 공간에 물을 담아서 화병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전개판은 코팅된 종이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재활용이 용이한 이점이 있고, 기존 유리 재질이 아닌 종이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안전 사고 발생 위험성을 감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상단 커버 영역(160)은 각각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주변부(120)의 상측 일부 영역을 커버하게 되는데, 각각 대략 삼각형의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와 같이 상측 일부를 커버한 상태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형상이 꽃 잎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전개판(100)을 접어서 화병 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복수의 상단 커버 영역(160)이 꽃 잎 형상의 상단 커버부(13)를 형성하게 되고 이에 따라 화병 느낌을 추가적으로 부여할 수 있는 디자인 측면에서의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단 커버 영역(160)을 전술한 바와 같이 외측으로 접어서 복수의 주변부(120)의 상측 영역을 커버하여 주변부(120)의 외측 벌어짐을 제한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접이 방식만 이용하여 용기 형상을 쉽게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중앙부(110)에 대해 주변부(120)를 접어서 세우고 연결부(130)를 접은 후 상단 커버 영역(160)을 외측으로 접은 상태에서, 상단 커버 영역(160)이 주변부(120) 외면에 밀착되게 고정되고 상단 커버 영역(160)의 중앙부가 서로 이웃하는 주변부(120), 즉 외측벽(12)의 중앙 모서리영역에 일치하게 마련됨으로써, 화병이 외측으로 펼쳐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주변부(120)가 테이퍼지게 형성됨으로써, 화병 용기로 접은 후 상단 개구가 하단 바닥판(1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복수의 꽃을 수납하더라도 화병 용기가 쓰러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1: 바닥판 12: 외측벽
13: 상단 커버부 100: 전개판
110: 중앙부 120: 주변부
130: 연결부
141~143: 제1 내지 제3 절첩선
151~154: 제1 내지 제4 연결면 160: 상단 커버 영역

Claims (6)

  1.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연결되며 외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외측벽과,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외측벽과 각각 접촉되도록 내측에 접힌 상태로 마련되는 복수의 내측벽과,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외측벽의 상단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상단 커버부를 포함하는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용기용 전개판으로서,
    상기 바닥판을 형성하는 정사각형 평면 형상의 중앙부;
    상기 중앙부의 각 변에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외측벽을 각각 형성하는 사각형 평면 형상의 복수의 주변부; 및
    상기 복수의 주변부 사이 영역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주변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복수의 내측벽과 상기 복수의 상단 커버부를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중앙부, 상기 복수의 주변부 및 상기 복수의 연결부가 평면 형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전체 가장자리는 정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연결부에는 상기 중앙부의 각 꼭지점으로부터 연결되어 내부 영역을 분할하도록 제1 절첩선이 마련되고, 상기 제1 절첩선과 상기 주변부 사이에는 그 사이 영역을 분할하도록 제2 절첩선이 마련되되, 상기 제1 절첩선과 상기 주변부 사이에는 그 사이 영역을 분할하도록 제2 절첩선이 마련되되, 상기 제1 절첩선과 상기 제2 절첩선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첩되며,
    상기 복수의 연결부는,
    상기 제1 절첩선을 기준으로 양측의 제1 연결면과 제2 연결면;
    상기 제1 연결면과 상기 주변부 사이의 제3 연결면; 및
    상기 제2 연결면과 상기 주변부 사이의 제4 연결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면과 상기 제2 연결면에는 상기 상단 커버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절첩선과 교차하는 제3 절첩선이 마련되며,
    상기 제3 절첩선은 상기 제2 절첩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병 용기용 전개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변부는 각각, 상기 중앙부와 연결되는 변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점차 감소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병 용기용 전개판.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첩선과 상기 한 쌍의 제2 절첩선 사이의 각도, 상기 한 쌍의 제2 절첩선과 상기 주변부의 일측변 사이의 각도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병 용기용 전개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 상기 복수의 주변부 및 상기 복수의 연결부는 양면이 코팅된 방수 가능한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병 용기용 전개판.

KR2020150003972U 2015-06-17 2015-06-17 화병 용기용 전개판 KR2004830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972U KR200483089Y1 (ko) 2015-06-17 2015-06-17 화병 용기용 전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972U KR200483089Y1 (ko) 2015-06-17 2015-06-17 화병 용기용 전개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466U KR20160004466U (ko) 2016-12-28
KR200483089Y1 true KR200483089Y1 (ko) 2017-04-06

Family

ID=57709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972U KR200483089Y1 (ko) 2015-06-17 2015-06-17 화병 용기용 전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089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910Y1 (ko) * 2002-11-07 2003-03-31 김영석 꽃포장상자
US6672002B1 (en) 1998-11-02 2004-01-06 Marie Gumpper Package for transporting and displaying bunches of fresh cut flowers
US20060026896A1 (en) 2004-08-06 2006-02-09 Wade Flanagan Transportation and display assembly for floral bouquets and other items
JP2009506865A (ja) * 2005-09-07 2009-02-19 デ コマンディテール フェンノ−ツシャップ ビン 2004 花びん及びその作製用ブランク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219B1 (ko) 2014-09-29 2015-05-15 대양패키지 주식회사 포장박스 전개판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포장박스 전개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72002B1 (en) 1998-11-02 2004-01-06 Marie Gumpper Package for transporting and displaying bunches of fresh cut flowers
KR200308910Y1 (ko) * 2002-11-07 2003-03-31 김영석 꽃포장상자
US20060026896A1 (en) 2004-08-06 2006-02-09 Wade Flanagan Transportation and display assembly for floral bouquets and other items
JP2009506865A (ja) * 2005-09-07 2009-02-19 デ コマンディテール フェンノ−ツシャップ ビン 2004 花びん及びその作製用ブラン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466U (ko) 201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63655T3 (es) Manga de envasado, envase y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un envase
USD903317S1 (en) Collapsible container
ES2621273T3 (es) Paquete con un asa en banda, asa en banda y pieza en bruto para formar un paquete con un asa en banda
USD852620S1 (en) Liquid container
US7721941B2 (en) Packing case
CN101277634A (zh) 花瓶及其制作花瓶所用的坯件
US8066176B2 (en) Foldable container having a four-sided plane base
ES2815801T3 (es) Caja de embalaje para armar y caja de embalaje
USD860782S1 (en) Package
CA119086S (en) Packaging
KR200483089Y1 (ko) 화병 용기용 전개판
KR101268418B1 (ko) 싸바리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제작방법
KR200475933Y1 (ko) 과일 보관용 상자
KR102109065B1 (ko) 화분 포장 상자
USD974762S1 (en) Collapsible storage box
KR200482322Y1 (ko) 피자 박스
KR200450603Y1 (ko) 접철식 포장상자
KR200483545Y1 (ko) 컵 홀더
JP3037331B1 (ja) 容 器
JP2014184967A (ja) ワンタッチ箱
CN202529223U (zh) 碗装面的套装纸盒
KR101843524B1 (ko) 포장상자
US20190077538A1 (en) Folding container that can be unfolded for application
KR200387602Y1 (ko) 물품 포장용 상자
USD859980S1 (en) Pack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