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524B1 -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524B1
KR101843524B1 KR1020150101907A KR20150101907A KR101843524B1 KR 101843524 B1 KR101843524 B1 KR 101843524B1 KR 1020150101907 A KR1020150101907 A KR 1020150101907A KR 20150101907 A KR20150101907 A KR 20150101907A KR 101843524 B1 KR101843524 B1 KR 101843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d
fold line
boundary
main body
rea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1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9600A (ko
Inventor
최익
윤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50101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524B1/ko
Priority to CN201620711617.9U priority patent/CN206013275U/zh
Publication of KR20170009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00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the container body having hollow side-walls
    • B65D5/2009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the container body having hollow side-walls all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th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는 본체를 포함하는 포장상자에 있어서, 상기 본체(200)는 사각 형태의 바닥부(250); 전방 측면부(210); 후방 측면부(210a); 좌 측면부(220); 우 측면부(220a); 및 상기 바닥부(250) 네 귀퉁이에 구비되고 상기 전, 후방 측면부(210, 210a)의 좌, 우 양측변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접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코너연결부(230);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장상자{Packing box}
본 발명은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품이 포장되도록 종이를 이용하여 만드는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상자는 상품의 보호와 더불어 취급 및 운반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포장상자는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 플라스틱, 종이, 금속판 등과 같은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중공의 사각형상을 이루도록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 저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최근 포장상자는 상품가치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시각적 측면에서 소비자의 관심을 유발하도록 포장상자에 수납되는 내용물에 따라 포장상자의 형상이 직사각형, 정사각형 및 다각형의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기 위해 상자 본체를 덮을 수 있도록 하는 상자 덮개를 구비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포장상자는 상자접이부의 결합부분간에 걸림현상이 발생되고, 결합부분간에 결합이 잘 이루어지지않아 결합부분이 벌어지는 현상이 일어나게 되었다. 또한, 종래의 포장상자는 본래의 용도인 상품의 수납의 용도 이외에 별도로 사용하기 어렵고, 소비자로 하여금 수려한 외관을 제공하지 못해 시각적 측면에서 소비자의 관심을 유발하기엔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포장상자는 본체를 액자형태로 접어서 구성하고, 덮개에 명화나 다른 사진을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시각적 측면에서 심미감을 갖는 포장상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과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체를 포함하는 포장상자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바닥을 구성하는 사각 형태의 바닥부; 상기 본체의 전방 측벽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바닥부의 전방 측변으로부터 연장되고 복수의 접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전방 측면부; 상기 본체의 후방 측벽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바닥부의 후방 측변으로부터 연장되고 복수의 접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후방 측면부; 상기 본체의 좌 측벽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바닥부의 좌 측변으로부터 연장되고 복수의 접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좌 측면부; 상기 본체의 우 측벽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바닥부의 우 측변으로부터 연장되고 복수의 접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우 측면부; 및 상기 바닥부 네 귀퉁이에 구비되고 상기 전, 후방 측면부의 좌, 우 양측변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접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코너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 후방 측면부와 좌, 우 측면부를 접었을 때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는 상기 수용공간에 부합하는 사각 형태의 상면; 상기 상면의 전방 측변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상면의 전방 측변을 중심으로 접히는 전면; 상기 상면의 후방 측변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상면의 후방 측변을 중심으로 접히는 후면; 상기 상면의 좌 측변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상면의 좌 측변을 중심으로 접히는 좌면; 및 상기 상면의 우 측변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상면의 우 측변을 중심으로 접히는 우면;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측면부는 상기 바닥부의 전방 측변으로부터 순차 배열되는 제1 외측면, 제1 상부면, 제1 내측면, 제1 지지면 및 제1 하부면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 측면부는 상기 바닥부의 후방 측변으로부터 순차 배열되는 제1 외측면, 제1 상부면, 제1 내측면, 제1 지지면 및 제1 하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좌 측면부는 상기 바닥부의 좌 측변으로부터 순차 배열되는 제2 외측면, 제2 상부면, 제2 내측면 및 제2 하부면을 포함하며, 상기 우 측면부는 상기 바닥부의 우 측변으로부터 순차 배열되는 제2 외측면, 제2 상부면, 제2 내측면 및 제2 하부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측면부의 제1 외측면, 제1 상부면, 제1 내측면, 제1 지지면 및 제1 하부면은 접이선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접이선을 중심으로 접혀 5각형 단면 구조의 상기 본체 전방 측벽체를 이루고, 상기 후방 측면부의 제1 외측면, 제1 상부면, 제1 내측면, 제1 지지면 및 제1 하부면은 접이선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접이선을 중심으로 접혀 5각형 단면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측면부의 제1 외측면은 상기 바닥부의 경계에 위치하는 상기 접이선을 중심으로 접혀 상기 본체 전방 측벽체의 외측면을 이루고, 상기 전방 측면부의 제1 상부면은 상기 제1 외측면의 경계에 위치하는 상기 접이선을 중심으로 접혀 상기 본체 전방 측벽체의 상부면을 이루며, 상기 전방 측면부의 제1 내측면은 상기 제1 상부면의 경계에 위치하는 상기 접이선을 중심으로 접혀 상기 본체 전방 측벽체의 내측면을 이루고, 상기 전방 측면부의 제1 지지면은 상기 제1 내측면의 경계에 위치하는 상기 접이선을 중심으로 접혀 상기 본체 전방 측벽체의 지지면을 형성하며, 상기 전방 측면부의 제1 하부면은 상기 제1 지지면의 경계에 위치하는 상기 접이선을 중심으로 상기 바닥부에 닿도록 접혀 상기 본체 전방 측벽체의 하부면을 이루고, 상기 후방 측면부의 제1 외측면은 상기 바닥부의 경계에 위치하는 상기 접이선을 중심으로 접혀 상기 본체 후방 측벽체의 외측면을 이루며, 상기 후방 측면부의 제1 상부면은 상기 제1 외측면의 경계에 위치하는 상기 접이선을 중심으로 접혀 상기 본체 후방 측벽체의 상부면을 이루고, 상기 후방 측면부의 제1 내측면은 상기 제1 상부면의 경계에 위치하는 상기 접이선을 중심으로 접혀 상기 본체 후방 측벽체의 내측면을 이루며, 상기 후방 측면부의 제1 지지면은 상기 제1 내측면의 경계에 위치하는 상기 접이선을 중심으로 접혀 상기 본체 후방 측벽체의 지지면을 형성하고, 상기 후방 측면부의 제1 하부면은 상기 제1 지지면의 경계에 위치하는 상기 접이선을 중심으로 상기 바닥부에 닿도록 접혀 상기 본체 후방 측벽체의 하부면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좌 측면부의 제2 외측면, 제2 상부면, 제2 내측면 및 제2 하부면는 접이선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접이선을 중심으로 접혀 4각형 단면 구조를 이루며, 상기 우 측면부의 제2 외측면, 제2 상부면, 제2 내측면 및 제2 하부면는 접이선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접이선을 중심으로 접혀 4각형 단면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좌 측면부의 제2 외측면은 상기 바닥부의 경계에 위치하는 상기 접이선을 중심으로 접혀 상기 본체 좌 측벽체의 외측면을 이루고, 상기 좌 측면부의 제2 상부면은 상기 제2 외측면의 경계에 위치하는 상기 접이선을 중심으로 접혀 상기 본체 좌 측벽체의 상부면을 이루며, 상기 좌 측면부의 제2 내측면은 상기 제2 상부면의 경계에 위치하는 상기 접이선을 중심으로 접혀 상기 본체 좌 측벽체의 내측면을 이루고, 상기 좌 측면부의 제2 하부면은 상기 제2 내측면의 경계에 위치하는 상기 접이선을 중심으로 상기 바닥부에 닿도록 접혀 상기 본체 좌 측벽체의 하부면을 이루며, 상기 우 측면부의 제2 외측면은 상기 바닥부의 경계에 위치하는 상기 접이선을 중심으로 접혀 상기 본체 우 측벽체의 외측면을 이루고, 상기 우 측면부의 제2 상부면은 상기 제2 외측면의 경계에 위치하는 상기 접이선을 중심으로 접혀 상기 본체 우 측벽체의 상부면을 이루며, 상기 우 측면부의 제2 내측면은 상기 제2 상부면의 경계에 위치하는 상기 접이선을 중심으로 접혀 상기 본체 우 측벽체의 내측면을 이루고, 상기 우 측면부의 제2 하부면은 상기 제2 내측면의 경계에 위치하는 상기 접이선을 중심으로 상기 바닥부에 닿도록 접혀 상기 본체 우 측벽체의 하부면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너연결부는 상기 전, 후방 측면부의 제1 외측면 좌, 우 측변으로부터 연장되는 제3 외측면; 상기 전, 후방 측면부의 제1 상부면 좌, 우 측변으로부터 연장되는 제3 상부면; 상기 전, 후방 측면부의 상기 제3 외측면의 일측변으로부터 연장되고 접이선에 의해 구획되는 제3 지지면 중앙부; 및 상기 제3 상부면의 외측변으로부터 연장되고 접이선에 의해 구획되는 제3 지지면 내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지지면 중앙부와 상기 제3 지지면 내측부는 경사를 이루는 접이선을 경계로 나누어지고, 상기 제3 지지면 중앙부와 상기 제3 지지면 내측부는 상기 경사 접이선을 중심으로 외측 방향으로 접히며, 상기 제3 외측면, 제3 지지면 중앙부, 제2 지지면 내측부는 겹쳐진 상태로 상기 바닥부와 직교 형태의 외측면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너연결부는 상기 제3 지지면 내측부의 외측변으로부터 연장되고 접이선에 의해 상기 제3 지지면 내측부와 구획되는 제3 바닥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바닥면은 상기 제3 지지면 내측부와 경계를 이루는 접이선을 중심으로 접혀 바닥면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좌, 우 측면부는, 상기 제2 내측면의 전, 후 측변 방향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편은 상기 제1 지지면 안쪽으로 삽입되어 상기 좌 측면부와 전, 후방 측면부 및 상기 우 측면부와 전, 후방 측면부를 연결하며, 상기 본체는 절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개부는 좌, 우 측면부의 제2 상부면과 제2 내측면 사이의 경계 부근에 구비되며, 상기 덮개는 상기 절개부에 끼워지는 날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덮개의 상면과 좌, 우면 사이의 경계 부위의 일부 영역을 절개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는 액자형태로 구성되어 시각적 측면에서 심미감을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는 전, 후방 측면부, 좌, 우 측면부 및 코너열결부가 바닥면의 둘레를 따라 감싸는 구조로 이룸으로써 포장상자의 결합 부분 간에 벌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전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전개도이다.
도 4 내지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와 덮개의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전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전개도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1)는 덮개(100) 및 본체(200)를 포함한다. 포장상자(1)는 본체(200)와 덮개(100)의 결합구조로 이루어진다.
덮개(100) 및 본체(200)의 접이선(20)에 의해 복수의 접힘 영역이 구획된다. 접이선(20)은 도면상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체(200)는 절취선(10)을 포함한다. 접이선(20)을 중심으로 덮개(100)와 본체(200)의 구획된 접힘 영역을 접으면 포장상자(1)를 만들 수 있다.
본체(200)는 바닥부(250)를 포함한다. 바닥부(250)는 포장상자(1)의 저면을 형성한다. 바닥부(250)는 판 형태일 수 있다. 본체(200)는 전방 측면부(210), 후방 측면부(210a), 좌 측면부(220), 우 측면부(220a) 및 본체(200) 네 귀퉁이에 구비되는 코너연결부(230)를 포함한다. 전방 측면부(210), 후방 측면부(210a), 좌 측면부(220), 우 측면부(220a) 및 코너연결부(230)는 본체(200)의 측벽체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바닥부(250)는 사각 형태일 수 있다. 전방 측면부(210)는 바닥부(250)의 전방 측변으로부터 연장된다. 후방 측면부(210a)는 바닥부(250)의 후방 측변으로부터 연장된다. 전방 측면부(210)와 후방 측면부(210a)는 대칭 구조를 이룬다. 좌 측면부(220)는 바닥부(250)의 좌 측변으로부터 연장된다. 우 측면부(220a)는 바닥부(250)의 우 측변으로부터 연장된다. 좌 측면부(220)와 우 측면부(220a)는 대칭 구조를 이룬다. 전, 후방 측면부(210, 210a)와 좌, 우 측면부(220, 220a)는 바닥부(250)와 직각을 이루도록 접힌다. 전, 후방 측면부(210, 210a)와 좌, 우 측면부(220, 220a)는 본체(200)의 전후좌우 측벽체를 구성한다.
바닥부(250), 전, 후방 측면부(210, 210a), 좌, 우 측면부(220, 220a) 및 코너연결부(230)는 접이선(20) 또는 절취선(10)을 포함한다. 본체(200)에는 절개부(12)가 구비된다. 덮개(100)의 날개부(11)가 절개부(12)에 끼움 결합된다. 절개부(12)는 좌, 우 측면부(220, 220a)에 구비될 수 있다. 절개부(12)는 본체(200)의 일부 영역을 절개하여 형성한다. 절개부(12)의 위치는 제한이 없다. 예컨대, 절개부(12)는 좌 측면부(220)의 제2 상부면(222)과 제2 내측면(223) 사이의 경계 부근 또는 우 측면부(220a)의 제2 상부면(222a)과 제2 내측면(223a) 사이의 경계 부근에 구비될 수 있다.
전방 측면부(210)는 바닥부(250)의 전방 측변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연장되는 제1 외측면(211), 제1 상부면(212), 제1 내측면(213), 제1지지면(214) 및 제1 하부면(215)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전방 측면부(210)의 제1 외측면(211)은 바닥부(250)의 전방 측변으로부터 연장된다. 전방 측면부(210)의 제1 상부면(212)은 제1 외측면(211)의 외측변으로부터 연장된다. 전방 측면부(210)의 제1 내측면(213)은 제1 상부면(212)의 외측변으로부터 연장된다. 전방 측면부(210)의 제1 지지면(214)은 제1 내측면(213)의 외측변으로부터 연장된다. 제1 하부면(215)은 제1 지지면(214)의 외측변으로부터 연장된다. 전방 측면부(210)의 제1 내측면(213)의 크기보다 제1 지지면(214)의 크기가 더 작게 구성될 수 있다.

후방 측면부(210a)는 전방 측면부(210)와 대칭구조이다. 후방 측면부(210a)는 전방 측면부(210)와 동일 구조이다. 후방 측면부(210a)는 바닥부(250)의 후방 측변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연장되는 제1 외측면(211a), 제1 상부면(212a), 제1 내측면(213a), 제1 지지면(214a) 및 제1 하부면(215a)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후방 측면부(210a)의 제1 외측면(211a)은 바닥부(250)의 전방 측변으로부터 연장된다. 후방 측면부(210a)의 제1 상부면(212a)은 제1 외측면(211a)의 외측변으로부터 연장된다. 후방 측면부(210a)의 제1 내측면(213a)은 제1 상부면(212a)의 외측변으로부터 연장된다. 후방 측면부(210a)의 제1 지지면(214a)은 제1 내측면(213)의 외측변으로부터 연장된다. 후방 측면부(210a)의 제1 하부면(215a)은 제1 지지면(214a)의 외측변으로부터 연장된다. 후방 측면부(210a)의 제1 내측면(213a)의 크기보다 제1 지지면(214a)의 크기가 더 작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 후방 측면부(210, 210a)는 접이선(20)을 중심으로 바닥부(250) 내측으로 순차적으로 접혀 볼륨감 있는 본체(200) 전, 후방 측벽체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 후방 측면부(210, 210a)의 제1 외측면(211, 211a)은 바닥부(250)의 경계에 위치하는 접이선(20)을 중심으로 바닥부(250) 내측으로 접혀 본체(200) 전, 후방 측벽체의 외측면을 구성한다. 전, 후방 측면부(210, 210a)의 제1 상부면(212, 212a)은 제1 외측면(211, 211a)의 경계에 위치하는 접이선(20)을 중심을 접혀 본체(200) 전, 후방 측벽체의 상부면을 구성한다. 전, 후방 측면부(210, 210a)의 제1 내측면(213, 213a)은 제1 상부면(212)의 경계에 위치하는 접이선(20)을 중심으로 접혀 본체(200) 전, 후방 측벽체의 내측면을 구성한다. 전, 후방 측면부(210, 210a)의 제1 지지면(214, 214a)은 제1 내측면(213, 213a)의 경계에 위치하는 접이선(20)을 중심으로 접혀 본체(200) 전, 후방 측벽체의 내측면을 구성한다. 전, 후방 측면부(210, 210a)의 제1 하부면(215, 215a)은 제1 지지면(214, 214a)의 경계에 위치하는 접이선(20)을 중심으로 접혀 본체(200) 전, 후방 측벽체의 하부면을 구성한다. 전, 후방 측면부(210, 210a)의 제1 지지면(214, 214a)은 상측에 구비된 제1 내측면(213, 213a)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전, 후방 측면부(210, 210a)의 제1 외측면(211, 211a), 제1 상부면(212, 212a), 제1 내측면(213, 213a), 제1 지지면(214, 214a) 및 제1 하부면(215, 215a)을 접이선(20)을 중심으로 접혀 볼륨감을 가지는 입체형 5각형 단면 구조를 이룰 수 있다(도 9 참조).

구체적으로 전, 후방 측면부(210, 210a)의 제1 외측면(211, 211a), 제1 상부면(212, 212a), 제1 내측면(213, 213a), 제1 지지면(214, 214a) 및 제1 하부면(215, 215a)의 폭 비율은 다를 수 있다. 제1 상부면(212, 212a)은 내측을 향할수록 높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수 있다. 제1 내측면(213, 213a)은 수직하거나 내측으로 향할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면(214, 214a)은 외측으로 향할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부면(215, 215a)은 수평을 이루며 바닥부(250)에 면접촉을 한다. 제1 외측면(211, 211a)은 외측으로 향할수록 높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좌 측면부(220)는 바닥부(250)의 좌측변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연장되는 제2 외측면(221), 제2 상부면(222), 제2 내측면(223), 제2 하부면(224) 및 지지편(225)을 포함한다.

우 측면부(220a)는 좌 측면부(220)에 대칭되는 구조이다. 우 측면부(220a)는 좌 측면부(220)와 동일한 구조이다. 우 측면부(220a)는 바닥부(250)의 좌측변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연장되는 제2 외측면(221a), 제2 상부면(222a), 제2 내측면(223a), 제2 하부면(224a) 및 지지편(225)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좌 측면부(220)의 제2 외측면(221)은 바닥부(250)의 좌측변으로부터 연장된다. 좌 측면부(220)의 제2 상부면(222)은 제2 외측면(221)의 외측변으로부터 연장된다. 좌 측면부(220)의 제2 내측면(223)은 제2 상부면(222)의 외측변으로부터 연장된다. 좌 측면부(220)의 제2 하부면(224)은 제2 내측면(223)의 외측벽으로부터 연장된다. 좌 측면부(220)의 제2 내측면(223)에는 지지편(225)이 구비된다. 지지편(225)은 좌 측면부(220)의 제2 내측면(223)의 전, 후 양측변으로부터 연장된다.

우 측면부(220a)의 제2 외측면(221a)은 바닥부(250)의 우측변으로부터 연장된다. 우 측면부(220a)의 제2 상부면(222a)은 제2 외측면(221a)의 외측변으로부터 연장된다. 우 측면부(220a)의 제2 내측면(223a)은 제2 상부면(222a)의 외측변으로부터 연장된다. 우 측면부(220a)의 제2 하부면(224a)은 제2 내측면(223a)의 외측벽으로부터 연장된다. 우 측면부(220a)의 제2 내측면(223a)에는 지지편(225)이 구비된다. 지지편(225)은 우 측면부(220a)의 제2 내측면(223a)의 전, 후 양측변 연장된다.

좌, 우 측면부(220, 220a)는 접이선(20)을 중심으로 접혀 볼륨감을 가지는 4각형 단면구조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도 10 참조). 좌, 우 측면부(220, 220a)의 제2 외측면(221, 221a)은 바닥부(250)의 경계에 위치하는 접이선(20)을 중심으로 접혀 본체(200) 좌, 우 측벽체의 외측면을 구성한다. 제2 상부면(222, 222a)은 제2 외측면(221, 221a)의 경계에 위치하는 접이선(20)을 중심으로 접혀 본체(200) 좌, 우 측벽체의 상부면을 구성한다. 제2 내측면(223, 223a)은 제2 상부면(222, 222a)의 경계에 위치하는 접이선(20)을 중심으로 접혀 본체(200) 좌, 우 측벽체의 내측면을 구성한다. 제2 하부면(224, 224a)은 제2 내측면(223, 223a)의 경계에 위치하는 접이선(20)을 중심으로 접혀 하부면을 구성한다. 이와 같이 좌, 우 측면부(220, 220a)는 접이선(20)을 중심으로 접혀 볼륨감을 가지는 본체(200)의 좌, 우 측벽체를 구성할 수 있다.
제2 상부면(222, 222a)은 바닥부(250) 내측으로 향할수록 높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내측면(223, 223a)은 바닥부(250)와 수직하거나 바닥부(250) 내측으로 향할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부면(224, 224a)은 바닥부(250)와 수평을 이루며 바닥부(250)에 면접촉된다. 제2 외측면(221, 221a)도 외측으로 향할수록 높아지는 경사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 후방 측면부(210, 210a)와 좌, 우 측면부(220, 220a)의 코너 부위는 코너연결부(230)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너연결부(230)는 전, 후방 측면부(210, 210a)의 좌우 양측변으로부터 연장된다. 코너연결부(230)는 제3 외측면(233), 제3 지지면 중앙부(235), 제3 상부면(232), 제3 지지면 내측부(231) 및 제3 바닥면(234)을 포함한다.

코너연결부(230)는 접이선(20)에 의해 복수의 접힘 영역이 구획된다. 제3 외측면(233)은 전, 후방 측면부(210, 210a)의 제1 외측면(211, 211a) 경계에 위치하는 접이선(20)에 의해 제1 외측면(211, 211a)과 구획된다. 제3 지지면 중앙부(235)는 제3 외측면(233)의 경계에 위치하는 접이선(20)에 의해 제3 외측면(233)과 구획된다. 제3 상부면(232)은 제1 상부면(212, 212a)의 경계에 위치하는 경사 접이선(20)에 의해 제1 상부면(212, 212a)과 구획된다. 제3 지지면 내측부(231)은 제3 상부면(232)의 경계에 위치하는 접이선(20)에 의해 제3 상부면(232)과 구획된다. 제3 바닥면(234)은 제3 지지면 내측부(231)의 경계에 위치하는 접이선(20)에 의해 제3 지지면 내측부(231)과 구획된다.

제3 지지면 중앙부(235)와 제3 지지면 내측부(231)는 경계에 위치하는 경사 접이선(20)을 중심으로 접히면서 합쳐져 대략 "ㄱ"자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코너연결부(230)는 전, 후방 측면부(210, 210a)와 수직을 이루는 꺾인 측면을 형성하도록 접힐 수 있다. 코너연결부(230)의 상면을 형성하는 제3 상부면(232)은 제1 상부면(212, 212a)과 수직을 이루도록 접혀진다.

제3 상부면(232)과 제1 상부면(212, 212a)은 사선으로 형성된 경사 접이선(20)에 의해서 구획될 수 있다. 코너연결부(230)는 제3 상부면(232)과 제1 내측면(213, 213a) 사이에 절취선(10)이 구비된다. 절취선(10)에 의해 제3 상부면(232)과 제1 내측면(213, 213a)은 분리될 수 있다.
코너연결부(230)의 제3 외측면(233), 제3지지면 중앙부(235), 제3상부면(232), 제3지지면 내측부(231) 및 제3 바닥면(234)은 접이선(20)을 중심으로 본체(200)의 내측으로 접힐 수 있다. 제3 외측면(233)은 바닥부(250)와 직각을 이루도록 접혀 외측면을 형성한다. 제3 지지면 중앙부(235)는 접이선(20)을 중심으로 바닥부(250) 내측으로 접히면서 제3 외측면(233)의 내측에 위치한다. 제3 지지면 중앙부(235)는 제3 외측면(233)과 면접촉을 이룬다.

제3 지지면 내측부(231)는 제3 지지면 중앙부(235)의 외측으로 접힌다. 구체적으로 제3 외측면(233), 제3 지지면 중앙부(235), 제3 지지면 내측부(231)는 모두 나란히 겹쳐져 외측면을 형성한다. 제3 바닥부(234)부 제3 지지면 내측부(231)의 내측 즉 바닥부(250) 내측으로 접혀 하부면을 형성한다.
코너연결부(230)는 접한 상태에서 바닥부(250) 위에 위치한다. 코너연결부(230)는 전, 후방 측면부(210, 210a)와 직각을 이루도록 접혀져 볼륨감을 가지는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전, 후방 측면부(210, 210a)와 코너연결부(230)가 바닥부(250) 위에 접힌 상태에서 바닥부(250)와 직각을 이룰 수 있다. 좌, 우 측면부(220, 220a)가 접힌 상태의 코너연결부(230)의 외측을 감싸도록 접혀지면서 본체(200)의 측면을 형성한다.

이때, 본체(200)는 측면을 형성하는 전, 후방 측면부(210, 210a)의 제1 지지면(214, 214a)의 내측으로 제2 내측면(223, 223a)의 지지편(225)이 삽입된다. 지지편(225)의 삽입을 통해 전, 후방 측면부(210, 210a)와 좌, 우 측면부(220, 220a)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 후방 측면부(210, 210a), 좌, 우 측면부(220, 220a) 및 코너연결부(230)가 접이선(20)을 중심으로 접혀 본체(200)의 측벽체를 이루고 이로 인해 액자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체(200)는 코너연결부(230)의 구성으로 전, 후방 측면부(210, 210a)와 좌, 우 측면부(220, 220a)가 결합되면서 기존의 포장상자의 문제점이던 상자 접이부의 결합부분 간의 걸림 현상 및 벌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덮개(100)는 본체(200)의 전, 후방 측면부(210, 210a)와 좌, 우 측면부(220, 220a)를 접었을 때 본체(200)에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수용공간(2)에 대응 결합된다. 덮개(100)는 상면(150), 전면(110), 후면(110a), 좌면(120) 및 우면(120a)을 포함한다.

상면(150)은 사각 형태로 형성된다. 전면(110), 후면(110a), 좌면(120) 및 우면(120a)은 상면(150)의 전후좌우 네 모서리 측변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전면(110), 후면(110a), 좌면(120) 및 우면(120a)은 상면(150)을 중심으로 전후좌우에 위치한다.
전면(110), 후면(110a), 좌면(120) 및 우면(120a)과 상면(150)의 경계를 이루는 상면(150)의 각 측변에는 접이선(20)이 마련된다. 전면(110), 후면(110a), 좌면(120) 및 우면(120a)은 접이선(20)을 중심으로 상면(150) 아래 방향으로 접힌다. 전면(110), 후면(110a), 좌면(120) 및 우면(120a)은 덮개(100)의 측면을 이룬다.

덮개(100)의 전면(110), 후면(110a), 좌면(120) 및 우면(120a)은 상면(150)과 직각을 이루도록 접힌다. 상면(150)은 덮개(100)의 상면을 구성한다. 전면(110), 후면(110a) 좌면(120) 및 우면(120a)은 덮개(100)의 측면을 구성한다.

덮개(100)는 날개부(11)를 더 포함한다. 날개부(11)는 덮개(100) 일정 영역을 절개하여 형성할 수 있다. 날개부(11)의 위치는 제한이 없다. 예컨대, 날개부(11)는 상면(150)과 좌, 우면(120, 120a) 사이의 경계 부위 또는 상면(150)과 전, 후면(110, 110a) 사이의 경계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날개부(11)는 본체(200)의 절개부(12)에 끼움 결합된다.
덮개(100)의 상면(150)에 사진 또는 그림을 삽입하거나 탈, 부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수려한 미관을 제공함과 동시에 디자인 요소를 가미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본체와 덮개의 접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 내지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0)는 쌍을 이루는 전, 후방 측면부(210, 210a), 좌, 우 측면부(220, 220a) 및 코너연결부(230)를 접이선(20)을 중심으로 바닥부(250) 위쪽을 향하도록 접는다. 접힌 상태의 전, 후방 측면부(210, 210a), 좌, 우 측면부(220, 220a) 및 코너연결부(230)는 본체(200)의 측벽체를 형성한다. 전, 후방 측면부(210, 210a), 좌, 우 측면부(220, 220a) 및 코너연결부(230)는 바닥부(250)와 직각을 이룬다.
본체(200)의 접는 과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 후방 측면부(210, 210a)의 제1 외측면(211, 211a), 제1 상부면(212, 212a), 제1 내측면(213), 제1 지지면(214) 및 제1 하부면(215)을 접이선(20)을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접는다. 접힌 상태에서 전, 후방 측면부(210, 210a)의 제1 외측면(211, 211a), 제1 상부면(212, 212a), 제1 내측면(213, 213a), 제1 지지면(214, 214a) 및 제1 하부면(215, 215a)이 일정각도를 이루는 5각 단면 구조를 이룬다.
전, 후방 측면부(210, 210a)를 접는 동시에 전, 후방 측면부(210, 210a)와 연결되어 있는 코너연결부(230)도 접이선(20)을 중심으로 접는다.

제3 지지면 중앙부(235), 제3 지지면 내측부(231), 제3 상부면(232) 및 제3 바닥면(234)를 순서로 접는다. 제3 외측면(233)과 제3 지지면 중앙부(235)는 접이선(20)을 중심으로 접힌다. 제3 지지면 내측부(231)은 제3 외측면(233)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 좌, 우 측면부(220, 220a)는 접혀진 코너연결부(230)의 외측을 감싸도록 접히면서 본체(200) 측벽체의 좌, 우면을 형성한다. 제2 외측면(221, 221a), 제2 상부면(222, 222a), 제2 내측면(223, 223a) 및 제2 하부면(224, 224a) 순서로 접는다.

이때, 좌, 우 측면부(220, 220a)는 제2 내측면(223, 223a)의 양측 끝단에 형성된 지지편(225)이 좌, 우 측면부(220, 220a)의 제1 내측면(213, 213a)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전, 후방 측면부(210, 210a)와 좌, 우 측면부(220, 220a)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제1 상부면(212, 212a)과 제3 상부면(232)은 접이선(20)을 중심으로 접혀 경사면을 이룬다.
다음은 덮개의 접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덮개(100)의 전, 후면(110, 110a) 및 좌, 우면(120, 120a)을 접이선(20)을 중심으로 접는다. 전, 후면(110, 110a) 및 좌, 우면(120, 120a)은 상면(150)의 하래 방향으로 접혀 덮개(100) 측면을 형성한다. 이때, 덮개(100)의 전, 후면(110, 110a) 및 좌, 우면(120, 120a)은 상면(150)과 직각을 이룬다.
이후, 액자형태로 접혀진 본체(200)의 내측 수용공간(2)에 접혀진 덮개(100)의 전, 후면(110, 110a) 및 좌, 우면(120, 120a)을 삽입한다. 덮개(100)의 날개부(11)를 본체(200)의 절개부(12)에 끼워 넣는다. 날개부(11)가 절개부(12)로 삽입됨에 따라 덮개(100)와 본체(200)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포장상자
2:수용공간
10:절취선
11:날개부
12:절개부
20:접이선
100:덮개
110:전면
110a:후면
120:좌면
120a:우면
150:상면
200:본체
210:전방 측면부
211:제1 외측면
212:제1 상부면
213:제1 내측면
214:제1 지지면
215:제1 하부면
210a:후방 측면부
211a:제1 외측면
212a:제1 상부면
213a:제1 내측면
214a:제1 지지면
215a:제1 하부면
220:좌 측면부
221:제2 외측면
222:제2 상부면
223:제2 내측면
224:제2 하부면
220a:우 측면부
221a:제2 외측면
222a:제2 상부면
223a:제2 내측면
224a:제2 하부면
225:지지편
230:코너연결부
231:제3 지지면 내측부
232:제3 상부면
233:제3 외측면
234:제3 바닥면
235:제3 지지면 중앙부
250:바닥부

Claims (12)

  1. 본체(200)를 포함하는 포장상자(1)에 있어서,
    상기 본체(200)는,
    상기 본체(200)의 바닥을 구성하는 사각 형태의 바닥부(250);
    상기 본체(200)의 전방 측벽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바닥부(250)의 전방 측변으로부터 연장되고 복수의 접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전방 측면부(210);
    상기 본체(200)의 후방 측벽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바닥부(250)의 후방 측변으로부터 연장되고 복수의 접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후방 측면부(210a);
    상기 본체(200)의 좌 측벽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바닥부(250)의 좌 측변으로부터 연장되고 복수의 접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좌 측면부(220);
    상기 본체(200)의 우 측벽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바닥부(250)의 우 측변으로부터 연장되고 복수의 접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우 측면부(220a); 및
    상기 바닥부(250) 네 귀퉁이에 구비되고 상기 전, 후방 측면부(210, 210a)의 좌, 우 양측변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접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코너연결부(230);
    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측면부(210)는,
    상기 바닥부(250)의 전방 측변으로부터 순차 배열되는 제1 외측면(211), 제1 상부면(212), 제1 내측면(213), 제1 지지면(214) 및 제1 하부면(215)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 측면부(210a)는,
    상기 바닥부(250)의 후방 측변으로부터 순차 배열되는 제1 외측면(211a), 제1 상부면(212a), 제1 내측면(213a), 제1 지지면(214a) 및 제1 하부면(215a)을 포함하고,
    상기 좌 측면부(220)는,
    상기 바닥부(250)의 좌 측변으로부터 순차 배열되는 제2 외측면(221), 제2 상부면(222), 제2 내측면(223) 및 제2 하부면(224)을 포함하며,
    상기 우 측면부(220a)는,
    상기 바닥부(250)의 우 측변으로부터 순차 배열되는 제2 외측면(221a), 제2 상부면(222a), 제2 내측면(223a) 및 제2 하부면(224a)을 포함하고,
    상기 코너연결부(230)는,
    상기 전, 후방 측면부(210, 210a)의 제1 외측면(211, 211a) 좌, 우 측변으로부터 연장되는 제3 외측면(233);
    상기 전, 후방 측면부(210, 210a)의 제1 상부면(212, 212a) 좌, 우 측변으로부터 연장되는 제3 상부면(232);
    상기 전, 후방 측면부(210, 210a)의 상기 제3 외측면(233)의 일측변으로부터 연장되고 접이선(20)에 의해 구획되는 제3 지지면 중앙부(235); 및
    상기 제3 상부면(232)의 외측변으로부터 연장되고 접이선(20)에 의해 구획되는 제3 지지면 내측부(231);
    를 포함하는 포장상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 후방 측면부(210, 210a)와 좌, 우 측면부(220, 220a)를 접었을 때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수용공간(2)에 삽입되는 덮개(100)를 더 포함하는 포장상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덮개(100)는,
    상기 수용공간(2)에 부합하는 사각 형태의 상면(150);
    상기 상면(150)의 전방 측변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상면(150)의 전방 측변을 중심으로 접히는 전면(110);
    상기 상면(150)의 후방 측변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상면(150)의 후방 측변을 중심으로 접히는 후면(110a);
    상기 상면(150)의 좌 측변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상면(150)의 좌 측변을 중심으로 접히는 좌면(120); 및
    상기 상면(150)의 우 측변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상면(150)의 우 측변을 중심으로 접히는 우면(120a);
    을 포함하는 포장상자.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 측면부(210)의 제1 외측면(211), 제1 상부면(212), 제1 내측면(213), 제1 지지면(214) 및 제1 하부면(215)은 접이선(20)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접이선(20)을 중심으로 접혀 5각형 단면 구조의 상기 본체 전방 측벽체를 이루고,
    상기 후방 측면부(210a)의 제1 외측면(211a), 제1 상부면(212), 제1 내측면(213a), 제1 지지면(214a) 및 제1 하부면(215a)은 접이선(20)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접이선(20)을 중심으로 접혀 5각형 단면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방 측면부(210)의 제1 외측면(211)은 상기 바닥부(250)의 경계에 위치하는 상기 접이선(20)을 중심으로 접혀 상기 본체 전방 측벽체의 외측면을 이루고,
    상기 전방 측면부(210)의 제1 상부면(212)은 상기 제1 외측면(211)의 경계에 위치하는 상기 접이선(20)을 중심으로 접혀 상기 본체 전방 측벽체의 상부면을 이루며,
    상기 전방 측면부(210)의 제1 내측면(213)은 상기 제1 상부면(212)의 경계에 위치하는 상기 접이선(20)을 중심으로 접혀 상기 본체 전방 측벽체의 내측면을 이루고,
    상기 전방 측면부(210)의 제1 지지면(214)은 상기 제1 내측면(213)의 경계에 위치하는 상기 접이선(20)을 중심으로 접혀 상기 본체 전방 측벽체의 지지면을 형성하며,
    상기 전방 측면부(210)의 제1 하부면(215)은 상기 제1 지지면(214)의 경계에 위치하는 상기 접이선(20)을 중심으로 상기 바닥부(250)에 닿도록 접혀 상기 본체 전방 측벽체의 하부면을 이루고,
    상기 후방 측면부(210a)의 제1 외측면(211a)은 상기 바닥부(250)의 경계에 위치하는 상기 접이선(20)을 중심으로 접혀 상기 본체 후방 측벽체의 외측면을 이루며,
    상기 후방 측면부(210a)의 제1 상부면(212a)은 상기 제1 외측면(211a)의 경계에 위치하는 상기 접이선(20)을 중심으로 접혀 상기 본체 후방 측벽체의 상부면을 이루고,
    상기 후방 측면부(210a)의 제1 내측면(213a)은 상기 제1 상부면(212a)의 경계에 위치하는 상기 접이선(20)을 중심으로 접혀 상기 본체 후방 측벽체의 내측면을 이루며,
    상기 후방 측면부(210a)의 제1 지지면(214a)은 상기 제1 내측면(213a)의 경계에 위치하는 상기 접이선(20)을 중심으로 접혀 상기 본체 후방 측벽체의 지지면을 형성하고,
    상기 후방 측면부(210a)의 제1 하부면(215a)은 상기 제1 지지면(214a)의 경계에 위치하는 상기 접이선(20)을 중심으로 상기 바닥부(250)에 닿도록 접혀 상기 본체 후방 측벽체의 하부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좌 측면부(220)의 제2 외측면(221), 제2 상부면(222), 제2 내측면(223) 및 제2 하부면(224)는 접이선(20)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접이선(20)을 중심으로 접혀 4각형 단면 구조를 이루며,
    상기 우 측면부(220a)의 제2 외측면(221a), 제2 상부면(222a), 제2 내측면(223a) 및 제2 하부면(224a)는 접이선(20)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접이선(20)을 중심으로 접혀 4각형 단면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좌 측면부(220)의 제2 외측면(221)은 상기 바닥부(250)의 경계에 위치하는 상기 접이선(20)을 중심으로 접혀 상기 본체 좌 측벽체의 외측면을 이루고,
    상기 좌 측면부(220)의 제2 상부면(222)은 상기 제2 외측면(221)의 경계에 위치하는 상기 접이선(20)을 중심으로 접혀 상기 본체 좌 측벽체의 상부면을 이루며,
    상기 좌 측면부(220)의 제2 내측면(223)은 상기 제2 상부면(222)의 경계에 위치하는 상기 접이선(20)을 중심으로 접혀 상기 본체 좌 측벽체의 내측면을 이루고,
    상기 좌 측면부(220)의 제2 하부면(224)은 상기 제2 내측면(223)의 경계에 위치하는 상기 접이선(20)을 중심으로 상기 바닥부(250)에 닿도록 접혀 상기 본체 좌 측벽체의 하부면을 이루며,
    상기 우 측면부(220a)의 제2 외측면(221a)은 상기 바닥부(250)의 경계에 위치하는 상기 접이선(20)을 중심으로 접혀 상기 본체 우 측벽체의 외측면을 이루고,
    상기 우 측면부(220a)의 제2 상부면(222a)은 상기 제2 외측면(221a)의 경계에 위치하는 상기 접이선(20)을 중심으로 접혀 상기 본체 우 측벽체의 상부면을 이루며,
    상기 우 측면부(220a)의 제2 내측면(223a)은 상기 제2 상부면(222a)의 경계에 위치하는 상기 접이선(20)을 중심으로 접혀 상기 본체 우 측벽체의 내측면을 이루고,
    상기 우 측면부(220a)의 제2 하부면(224a)은 상기 제2 내측면(223a)의 경계에 위치하는 상기 접이선(20)을 중심으로 상기 바닥부(250)에 닿도록 접혀 상기 본체 우 측벽체의 하부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지면 중앙부(235)와 상기 제3 지지면 내측부(231)는 경사를 이루는 접이선(20)을 경계로 나누어지고,
    상기 제3 지지면 중앙부(235)와 상기 제3 지지면 내측부(231)는 상기 경사 접이선(20)을 중심으로 외측 방향으로 접히며,
    상기 제3 외측면(233), 제3 지지면 중앙부(235), 제2 지지면 내측부(231)는 겹쳐진 상태로 상기 바닥부(250)와 직교 형태의 외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코너연결부(230)는,
    상기 제3 지지면 내측부(231)의 외측변으로부터 연장되고 접이선(20)에 의해 상기 제3 지지면 내측부(231)와 구획되는 제3 바닥면(23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바닥면(234)은 상기 제3 지지면 내측부(231)와 경계를 이루는 접이선(20)을 중심으로 접혀 바닥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1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좌, 우 측면부(220, 220a)는,
    상기 제2 내측면(223, 223a)의 전, 후 측변 방향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편(22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편(225)은 상기 제1 지지면(214, 214a) 안쪽으로 삽입되어 상기 좌 측면부(220)와 전, 후방 측면부(210, 210a) 및 상기 우 측면부(220a)와 전, 후방 측면부(210, 210a)를 연결하며,
    상기 본체(200)는 절개부(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개부(12)는 좌, 우 측면부(220, 220a)의 제2 상부면(222, 222a)과 제2 내측면(223, 223a) 사이의 경계 부근에 구비되며,
    상기 덮개(100)는 상기 절개부(12)에 끼워지는 날개부(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11)는 상기 덮개(100)의 상면(150)과 좌, 우면(120, 120a) 사이의 경계 부위의 일부 영역을 절개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KR1020150101907A 2015-07-17 2015-07-17 포장상자 KR101843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907A KR101843524B1 (ko) 2015-07-17 2015-07-17 포장상자
CN201620711617.9U CN206013275U (zh) 2015-07-17 2016-07-07 包装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907A KR101843524B1 (ko) 2015-07-17 2015-07-17 포장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600A KR20170009600A (ko) 2017-01-25
KR101843524B1 true KR101843524B1 (ko) 2018-03-29

Family

ID=57991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1907A KR101843524B1 (ko) 2015-07-17 2015-07-17 포장상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43524B1 (ko)
CN (1) CN206013275U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6013275U (zh) 2017-03-15
KR20170009600A (ko) 201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6703Y1 (ko) 포장상자
EP3248896B1 (en) Packaging for the containment of objects, particularly bottles
US20180044054A1 (en) Container for encasement
JP6585899B2 (ja) プラスチック製の包装用容器とその使用方法
KR101843524B1 (ko) 포장상자
JP3151025U (ja) 果実包装用容器
KR200453822Y1 (ko) 포장용기
KR101735939B1 (ko) 포장용 상자
KR101997678B1 (ko) 음식물 포장상자
KR101380304B1 (ko) 다목적 컵
JP5352293B2 (ja) 包装箱
KR101722758B1 (ko) 케이크 상자
KR20210075497A (ko) 배달용 봉인형 피자 포장박스
KR20160123043A (ko) 포장박스
US20050178696A1 (en) Container
KR200364685Y1 (ko)
KR200461201Y1 (ko) 피자 포장용 상자
KR200383756Y1 (ko) 케이크 상자
KR200382455Y1 (ko) 포장박스
KR20180000437U (ko) 포장상자
KR200476097Y1 (ko) 간지를 포함하는 접이식 포장상자
KR101782112B1 (ko) 포장용 박스
KR200345043Y1 (ko) 다기 세트 포장 및 진열용 상자
KR200392822Y1 (ko) 포장용 상자
KR20110047530A (ko) 경대형상품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