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8418B1 - 싸바리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싸바리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8418B1
KR101268418B1 KR1020110045387A KR20110045387A KR101268418B1 KR 101268418 B1 KR101268418 B1 KR 101268418B1 KR 1020110045387 A KR1020110045387 A KR 1020110045387A KR 20110045387 A KR20110045387 A KR 20110045387A KR 101268418 B1 KR101268418 B1 KR 101268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wall surface
width
length
packag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5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7110A (ko
Inventor
현용욱
전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원씨앤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원씨앤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원씨앤알
Priority to KR1020110045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418B1/ko
Publication of KR20120127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7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01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the central panel having a non rectangular shape
    • B65D5/2019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the central panel having a non rectangular shape with at least partially curved edg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 B65D5/32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at least one container body part formed by folding up portions of a single blank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2External coverings or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싸바리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싸바라 포장박스의 바닥을 이루는 판 형태의 바닥면의 꼭짓점 부분이 직선 또는 곡선이 형성되도록 하면서도 제작공정을 최소화하는 싸바리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싸바리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제작방법은, 판 형태의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측면 일부분에 접힘선을 갖고 연장형성되되 상기 접힘선을 따라 상기 바닥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접게 되면 측벽이 형성되는 측벽면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면은, 상기 접힘선에 연결되는 길이측벽면과, 상기 길이측벽면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길이측벽면과 서로 다른 폭을 갖는 폭측벽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싸바리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제작방법{A WRAPPING BOX WITH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싸바리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싸바라 포장박스의 바닥을 이루는 판 형태의 바닥면의 꼭짓점 부분이 직선 또는 곡선이 형성되도록 하면서도 제작공정을 최소화하는 싸바리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제품을 포장해서 옮기는 수단으로서 박스가 많이 사용된다. 상기 박스는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제품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운반의 편리성 등의 이유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부분 고가 물품들은, 운반도중이나 보관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 포장된 물품의 가치를 높게 보이게 하기 위하여 디자이닝 된 포장용 박스에 포장된다.
상기한 포장용 박스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포장대상물(물품)이 수납되는 하부박스와, 그 하부박스에 덮여지는 상부박스로 구성된 포장용 박스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는, 물품이 수납되는 박스의 일측에 커버가 연결되고, 커버가 박스를 덮는 형태의 포장용 박스 또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커버 박스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바닥면에서 사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벽면을 완성하게 되었는데, 이의 경우 사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벽면을 일일이 세운 후에 바닥면에 고정해야하는 작업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벽면을 포함하여 상기 바닥면의 4개의 꼭짓점에 곡선을 형성하기는 추가적인 공정작업과 제품의 소모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렇게 완성된 벽면과 바닥면의 연결부위가 외부에서 명확히 확인되어 상기 벽면과 바닥면의 외면에 시트지를 붙일 경우 외관상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 이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싸바리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제작방법은, 바닥면에서 사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면서 측벽을 이루는 측벽면을 일일이 수직방향으로 세우는 공정을 생략하면서도 상부가 개구 된 박스형태를 완성할 수 있는 싸바리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제작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싸바리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제작방법의 다른 목적은, 바닥면을 포함해서 측벽을 이루는 측벽면의 꼭짓점 부위에 곡선이 형성되도록 하면서도 그 작업공정이 간편한 싸바리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제작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싸바리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제작방법의 또 다른 목적은, 바닥면과 측벽면이 상호 연결되면서도 상호 연결구조에 변화를 주어 바닥면과 측벽면의 연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싸바리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제작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싸바리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제작방법은, 판 형태의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측면 일부분에 접힘선을 갖고 연장형성되되 상기 접힘선을 따라 상기 바닥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접게 되면 측벽이 형성되는 측벽면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면은, 상기 접힘선에 연결되는 길이측벽면과, 상기 길이측벽면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길이측벽면과 서로 다른 폭을 갖는 폭측벽면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폭측벽면은, 상기 폭측벽면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의 수직방향 폭이 상기 길이측벽면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의 수직방향 폭보다 상기 바닥면의 두께만큼 넓게 형성된다.
상기 바닥면은, 원형 또는 사각형 형태를 갖는다.
더불어, 상기 바닥면은, 사각형 형태일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꼭짓점이 곡선형태로 면취되고, 그 면취된 부위에는 길이측벽면과 폭측벽면의 연결부위가 배치되며, 그 연결부위 외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칼선이 형성된다.
상기 바닥면 하부에는, 상기 폭측벽면의 하면과 상기 바닥면의 하면을 동시에 지지하는 지지부착면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바닥면과 상기 측벽면에는, 외면 및 내면을 감싸는 외지를 포함한다.
상기 측벽면은,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채로 상기 바닥면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길이측벽면에서 연장형성된 한 쌍의 상기 폭측벽면은, 상기 바닥면 양측의 폭 방향 위치에서 각각 상호 연결된다.
특히, 상기 폭측벽면은, 상기 칼선이 형성되는 부위부터 상기 바닥면과 분리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의 폭 방향 측면에 접착고정되며, 상기 길이측벽면은, 상기 바닥면의 길이방향 측면 상부에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폭측벽면은, 상기 바닥면의 폭 방향 측면에 접착고정시, 서로 다른 상기 길이측벽면에서 연장된 한 쌍의 폭측벽면이 상호 맞닿도록 고정된다.
한편, 판 형태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길이방향에 접힘선(122)을 갖고 연장형성되되 상기 접힘선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접게 되면 상기 바닥면의 벽면을 이루는 측벽면과, 상기 측벽면의 하부와 상기 바닥면의 하면에 지지 되는 지지부착면을 포함하는 하부박스; 및 상기 하부박스의 개구된 상부를 덮는 덮개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는, 상기 하부박스의 개구된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된 판 형태의 덮개면과, 상기 덮개면에 굽힘선을 갖고 연장형성되되 상기 굽힘선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접게 되면 상기 덮개면의 테두리에 측벽이 형성되도록 하는 수직벽면과, 상기 수직벽면의 상부와 상기 덮개면의 상면을 덮는 보조부착면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벽면은, 상기 덮개면의 상기 굽힘선에 연결형성되어 상기 덮개면의 벽체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박스의 길이측벽면 외면을 감싸는 길이수직벽면과; 상기 길이수직벽면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덮개면의 벽체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박스의 폭측벽면 외면을 감싸는 폭수직벽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길이수직벽면과 폭수직벽면의 연결부위 외면에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꺾임선이 형성된다.
한편, 판 형태의 바닥면의 테두리에 연장형성되고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면서 측벽면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바닥면과 측벽면을 판형태로 마련하는 시트형성단계; 상기 바닥면과 측벽면의 연결부위에 접힘선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면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상기 측벽면의 일부 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칼선을 형성하는 칼선형성단계; 상기 측벽면 중 상기 바닥면과 연결된 부위를 제외한 상기 바닥면과 분리된 부분이 상기 바닥면의 테두리 측면에 접착고정되도록 하는 접착고정단계; 상기 측벽면의 하부와 상기 바닥면의 하면에 지지부착면을 부착하는 부착면형성단계; 상기 바닥면과 측벽면에 외지를 씌워 상부가 개구된 박스형태를 이루도록 하는 외지형성단계; 및 상기 바닥면과 측벽면을 감싸도록 덮개를 덮는 덮개배치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시트형성단계는, 상기 바닥면의 테두리에 형성된 접힘선에 연결되는 상기 측벽면의 길이측벽면과, 상기 길이측벽면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길이측벽면과 다른 폭을 갖는 폭측벽면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수직방향 폭보다 상기 바닥면의 두께만큼 넓게 형성되도록 하는 폭측벽면변형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싸바리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제작방법은, 바닥면과 측벽면을 상호 연결하는 작업을 최소화하여, 제품 제작 시간 단축을 통해 생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싸바리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제작방법은, 바닥면과 측벽면의 꼭짓점 부위에 곡선이 형성되도록 하면서도 그 작업공정이 간편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싸바리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제작방법은, 바닥면과 측벽면이 상호 연결되면서도 외부로 바닥면과 측벽면의 연결부위가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외관상 미려하도록 하는 외관상 미려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싸바리 포장박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싸바리 포장박스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싸바리 포장박스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싸바리 포장박스 제작방법의 제작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싸바리 포장박스 제작방법의 제작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 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싸바라 포장박스의 바닥을 이루는 바닥면의 꼭짓점 부위가 직선 또는 곡선이 형성되도록 하면서도 제작공정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기술분야 전반에 걸쳐 본 발명의 본 발명에 따른 싸바리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제작방법 [ 특히, 바닥면, 측벽면 ]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싸바리 포장박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판 형태의 바닥면(110)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110)의 테두리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측벽면(120)을 갖는다.
상기 바닥면(110)은, 원형 또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바닥면(110)은, 꼭짓점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각형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측벽면(120)은, 상기 바닥면(110)의 테두리 일부분에 형성된 접힘선(122)에 연결형성되되 상기 접힘선(122)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접게 되면 상기 바닥면(110)의 측벽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측벽면(120)은, 상기 접힘선(122)에 연결형성되는 길이측벽면(126)과, 상기 길이측벽면(126)에 연장형성되되 상기 접힘선(122)과 무관하게 형성되는 폭측벽면(128)으로 구분된다.
이때, 상기 접힘선(122)는, 상기 바닥면(110)에서 상기 길이측벽면(126)이 수직방향으로 원활하게 접힐 수 있도록 칼집을 내놓은 것을 말한다.
도 1에서는, 판 형태의 상기 바닥면(110)이 사각형 형태일 때를 일 예로 상기 폭측벽면(128)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수직방향 폭이 상기 길이측벽면(126)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의 수직방향 폭보다 상기 바닥면(110)의 두께만큼 넓게 형성된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바닥면(110)은, 4개의 꼭짓점이 곡선형태로 면취된 사각 판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닥면(110)은, 사각형 형태일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꼭짓점이 곡선형태로 면취되고, 그 면취된 부위에는 길이측벽면(126)과, 폭측벽면(128)의 연결부위가 배치되며, 그 연결부위 외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칼선(124)이 형성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바닥면(110)은, 사각형 형태일 경우, 4개의 꼭짓점이 모두 면취될 수 있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여러 개의 꼭짓점 중 일부만 면취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길이측벽면(126)은, 상기 바닥면(110)의 길이방향 양측에 배치되면서 접힘선(122)에 연결형성되되 상기 접힘선(122)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접게 되면 상기 바닥면(110)의 길이방향 측벽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폭측벽면(128)은, 한 쌍의 상기 길이측벽면(126)에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접힘선(122)과 연결되지 않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바닥면(110)의 폭방향 측벽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폭측벽면(128)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수직방향 폭이 상기 길이측벽면(126)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의 수직방향 폭보다 상기 바닥면(110)의 두께만큼 넓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폭측벽면(128)의 최상부와 상기 길이측벽면(126)의 최상부는 동일한 높이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 폭측벽면(128)은 상기 길이측벽면(126)보다 수직방향 폭이 넓기 때문에 상기 바닥면(110) 테두리 상부에 배치된 상기 길이측벽면(126) 하부보다 상기 폭측벽면(128)의 하부가 수직 하 방향으로 상기 바닥면(110)의 두께만큼 내려오도록 배치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바닥면(110)의 폭방향 테두리에는 상기 폭측벽면(128)의 하면이 상기 바닥면(110)의 하면과 동일 수평선상에 나란하게 위치되게 된다.
이때, 상기 폭측벽면(128)의 내측 하부는, 상기 바닥면(110)의 폭 방향 측면에 접착제를 통해 접착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바닥면(110)의 양측 테두리의 상기 접힘선(122)에 형성된 상기 길이측벽면(126)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폭측벽면(128)은 상기 바닥면(110)의 폭 방향 테두리에서 상호 맞닿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폭측벽면(128)의 하면과 상기 길이측벽면(126)의 하면 및 상기 바닥면(110)의 하면은 판 형태의 지지부착면(130)에 의해 감싸지게 된다.
이때, 상기 폭측벽면(128)의 하면과 상기 바닥면(110)의 하면은 상기 지지부착면(130)의 상면에 밀착고정되지만, 상기 길이측벽면(126)은 상기 지지부착면(130)의 상면과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싸바리 포장박스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살펴보면, 판 형태의 바닥면(110)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110)의 테두리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측벽면(120)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측벽면(120)은, 상기 바닥면(110)의 테두리 일부분에 형성된 접힘선(122)에 연결형성되되 상기 접힘선(122)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접게 되면 상기 바닥면(110)의 측벽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측벽면(120)은, 상기 접힘선(122)에 연결형성되는 길이측벽면(126)과, 상기 길이측벽면(126)에 연장형성되되 상기 접힘선(122)과 무관하게 형성되는 폭측벽면(128)으로 구분된다.
도 2에서는, 판 형태의 상기 바닥면(110)이 원형일 때를 일 예로 하되 상기 폭측벽면(128)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수직방향 폭이 상기 길이측벽면(126)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의 수직방향 폭보다 상기 바닥면(110)의 두께만큼 넓게 형성된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바닥면(110)은, 원형 판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닥면(110)의 접힘선(122)이 배치된 부위에는, 상기 접힘선(122)을 통해 상기 바닥면(110)과 연결되는 상기 길이측벽면(126)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길이측벽면(126)에 연장형성되는 상기 폭측벽면(128)의 내측 하부는 상기 바닥면(110)의 테두리 측면에 접착제를 통해 접착고정된다.
더불어, 원판 형태의 상기 바닥면(110)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상기 길이측벽면(126)과 상기 폭측벽면(128) 외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칼선(124)이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바닥면(110)이 원형일 경우에는 상기 바닥면(11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상기 측벽면(120) 외면에 상기 칼선(124)이 없어도 무방하다.
만약, 상기 바닥면(110)이 타원형일 경우에는, 상기 측벽면(120)이 상기 바닥면(110)의 테두리를 원활하게 감싸도록 하기 위해 상기 칼선(124)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바닥면(110)이 원형 또는 타원형일 경우, 상기 측벽면(120)의 상기 길이측벽면(126)과 상기 폭측벽면(128)의 조합은 상기 바닥면(110) 테두리를 따라 상기 측벽면(120)이 원활하게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길이측벽면(126)과 상기 폭측벽면(128)의 조합은, 상기 측벽면(120)이 견고하게 상기 바닥면(1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상기 칼선(124)을 통해 상기 측벽면(120)은 상기 바닥면(110)의 테두리를 따라 원활하게 배치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폭측벽면(128)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수직방향 폭이 상기 길이측벽면(126)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의 수직방향 폭보다 상기 바닥면(110)의 두께만큼 넓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폭측벽면(128)의 최상부와 상기 길이측벽면(126)의 최상부는 동일한 높이를 갖게 된다.
더불어, 상기 폭측벽면(128)은 상기 길이측벽면(126)보다 수직방향 폭이 넓기 때문에 상기 바닥면(110) 테두리 상부에 배치된 상기 길이측벽면(126) 하부보다 상기 폭측벽면(128)의 하부가 수직 하 방향으로 상기 바닥면(110)의 두께만큼 내려오도록 배치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바닥면(110)의 상기 폭측벽면(128)이 배치된 부위에는 상기 폭측벽면(128)의 하면이 상기 바닥면(110)의 하면과 동일 수평선상에 나란하게 위치되게 되게 된다.
이때, 상기 폭측벽면(128)의 내측 하부는, 상기 바닥면(110)의 테두리 측면에 접착제를 통해 접착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접힘선(122)에 형성된 상기 길이측벽면(126)에서 양측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폭측벽면(128)은 상기 바닥면(110)의 테두리 둘레를 감싸면서 상기 폭측벽면(128)의 수직 측면이 상호 맞닿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폭측벽면(128)의 하면과 상기 길이측벽면(126)의 하면 및 상기 바닥면(110)의 하면은 원판 형태의 지지부착면(130)에 의해 감싸지게 된다.
이때, 상기 폭측벽면(128)의 하면과 상기 바닥면(110)의 하면은 상기 지지부착면(130)의 상면에 밀착고정되지만, 상기 길이측벽면(126)은 상기 지지부착면(130)의 상면과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게 된다.
도 1과 도 2에서는 사각형 판 형상 또는 원형 판 형상의 바닥면(110)을 갖는 싸바리 포장박스에 대해 설명하지만, 상기 바닥면(110)은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 이상의 꼭짓점을 갖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다각형 테두리의 일부분에는 상기 접힘선(122)에 연결되는 상기 길이측벽면(126)이 형성되고 다각형 테두리의 다른 부분에는 상기 길이측벽면(126)에서 연장형성되되 다각형 테두리에 이격 형성되는 폭측벽면(128)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각형 테두리의 꼭짓점은 곡면을 갖도록 면취되고, 그 면취된 부위는 상기 길이측벽면(126)과 상기 폭측벽면(128)의 연결부위가 형성되게 된다.
더불어, 상기 길이측벽면(126)과 상기 폭측벽면(128)의 연결부위 외면은 상기 칼선(124)이 형성되어 상기 측벽면(120)이 원활하게 곡면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싸바리 포장박스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살펴보면, 4개의 꼭짓점이 곡선형태로 면취되도록 사각 판 형태의 바닥면(11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바닥면(110)의 길이방향 양측에 접힘선(122)을 갖고 연장형성되되 상기 접힘선(122)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접게 되면 상기 바닥면(110)의 길이방향과 폭 방향으로 측벽이 형성되는 측벽면(120)이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측벽면(120)은, 상기 바닥면(110)의 길이방향에 배치되면서 상기 접힘선(122)에 연결형성되어 상기 바닥면(110) 길이방향으로 벽체를 형성하는 길이측벽면(126)과, 상기 길이측벽면(126)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바닥면(110) 폭 방향 벽체를 형성하는 폭측벽면(128)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길이측벽면(126)과 상기 폭측벽면(128)의 연결부위 외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칼 등으로 칼집을 낸 하나 이상의 칼선(124)이 형성된다.
이렇게 상기 측벽면(120)의 상기 칼선(124)이 형성된 부위는 상기 바닥면(110)의 꼭짓점이 곡선형태로 면취된 부위의 상부에 형성되게 된다.
특히, 상기 측벽면(120)은, 상기 길이측벽면(126)과 상기 폭측벽면(128)이 서로다른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폭측벽면(128)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수직방향 폭이 상기 길이측벽면(126)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의 수직방향 폭보다 상기 바닥면(110)의 두께만큼 넓게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폭측벽면(128)의 최상부와 상기 길이측벽면(126)의 최상부는 동일한 높이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 폭측벽면(128)은 상기 길이측벽면(126)보다 수직방향 폭이 넓기 때문에 상기 바닥면(110) 테두리 상부에 배치된 상기 길이측벽면(126) 하부보다 상기 폭측벽면(128)의 하부가 수직 하 방향으로 상기 바닥면(110)의 두께만큼 내려오도록 배치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바닥면(110)의 폭방향 테두리에는 상기 폭측벽면(128)의 하면이 상기 바닥면(110)의 하면과 동일 수평선상에 나란하게 위치되게 된다.
이때, 상기 폭측벽면(128)의 내측 하부는, 상기 바닥면(110)의 폭 방향 측면에 접착제를 통해 접착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바닥면(110)의 양측 테두리의 상기 접힘선(122)에 형성된 상기 길이측벽면(126)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폭측벽면(128)은 상기 바닥면(110)의 폭 방향 테두리에서 상호 맞닿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폭측벽면(128)의 하면과 상기 길이측벽면(126)의 하면 및 상기 바닥면(110)의 하면은 판 형태의 지지부착면(130)에 의해 감싸지게 된다.
이때, 상기 폭측벽면(128)의 하면과 상기 바닥면(110)의 하면은 상기 지지부착면(130)의 상면에 밀착고정되지만, 상기 길이측벽면(126)은 상기 지지부착면(130)의 상면과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폭측벽면(128)은, 상기 바닥면(110)의 측면에 상기 폭측벽면(128)의 내측 하부 부위가 접착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착면(130)의 상면이 상기 폭측벽면(128)의 하면과 접착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바닥면(1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착면(130)의 하면과 상기 측벽면(120)의 외면은 외지(150)로 감싸면서 보다 견고하고 외관상 미려하게 상부가 개구된 박스형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기 바닥면(110)과 상기 측벽면(120), 상기 지지부착면(130) 및 상기 외지(150)를 통해 상부가 개구된 사각 박스 형태의 하부박스(100)가 완성되게 된다.
한편, 상부가 개구된 상기 하부박스(100)는, 덮개(200)에 의해 상기 하부박스(100)의 개구된 상부를 덮게 된다.
상기 덮개(200)는, 상기 하부박스(100)의 개구된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된 판 형태의 덮개면(210)과, 상기 덮개면(210)에 굽힘선(222)을 갖고 연장형성되되 상기 굽힘선(222)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접게 되면 상기 덮개면(210)의 테두리에 측벽이 형성되도록 하는 수직벽면(220)과, 상기 수직벽면(220)의 상면과 상기 덮개면(210)의 상면을 동시에 감싸도록 형성되는 보조부착면(230)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수직벽면(220)은, 상기 덮개면(210)은 상기 굽힘선(222)에 연결형성되어 상기 덮개면(210)의 벽체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박스(100)의 상기 측벽면(120) 외면을 감싸는 길이수직벽면(226)과, 상기 길이수직벽면(226)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덮개면(210)의 벽체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박스(100)의 측벽면(120) 외면을 감싸는 폭수직면(228)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길이수직면(226)와 상기 폭수직면(228)의 연결부위 외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꺾임선(224)이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덮개(200)는 상기 하부박스(100)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박스(100) 외면을 감싸면서 상기 하부박스(100)의 개구된 상부를 덮개 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덮개면(210)의 꼭짓점 부위는 상기 하부박스(100)의 상기 바닥면(110)과 같이 곡선형태로 면취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면(2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보조부착면(230)과 상기 수직벽면(220)의 외면은 상기 하부박스(100)와 동일한 외지(150)를 통해 감싸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외지(150)는 미려하고 고급스러운 외관을 위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색과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덮개(400)는, 상기 하부박스(100)와 대응된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하부박스(100)를 감싼 채로 상기 하부박스(100)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하부박스(100) 보다는 큰 부피를 갖게 된다.
특히, 상기 덮개(400)의 외면 또한 상기 외지(150)가 부착되어 외관상 미려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싸바리 포장박스 제작방법의 제작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병행 참조하여,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싸바리 포장박스 제작공정에서 상부가 개구된 하부박스(100)를 완성하기 위해 바닥면(110)과, 상기 바닥면(110)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측벽면(120)을 형성하는 시트형성단계(S100)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시트형성단계(S100)는, 판 형태의 바닥면(110)을 우선 형성하고, 상기 바닥면(110)의 테두리에 연장형성되고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면서 측벽면(120)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바닥면(110)과 상기 측벽면(120)을 판형태로 마련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측벽면(120)은, 상기 바닥면(110)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길이측벽면(126)과, 상기 길이측벽면(126)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바닥면(110)과 이격 형성되는 폭측벽면(128)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시트형성단계(S100)는, 폭측벽면변형단계(S110)를 포함한다.
상기 폭측벽면변형단계(S110)에서는, 상기 바닥면(110)의 테두리에 형성된 접힘선(122)에 연결되는 상기 측벽면(120)의 길이측벽면(126)과, 상기 길이측벽면(126)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길이측벽면(126)과 다른 폭을 갖는 폭측벽면(128)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수직방향 폭보다 상기 바닥면(110)의 두께만큼 넓게 형성되도록 하는 고정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시트형성단계(S100)가 완료되면 칼선형성단계(S20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칼선형성단계(S200)는, 상기 바닥면(110)과 측벽면(120)의 연결부위에 접힘선(122)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면(110)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상기 측벽면(120)의 상기 길이측벽면(126)과 상기 폭측벽면(128)의 연결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칼선(124)을 형성하는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접힘선(122)은, 상기 바닥면(110)과 길이측벽면(126)의 연결부위 하부를 칼 등의 날카로운 물건으로 칼집을 내어 상기 길이측벽면(126)이 상기 접힘선(122)을 통해 상기 바닥면(110)에서 수직방향으로 원활하게 세워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칼선(124)은, 상기 바닥면(110) 상부에 위치된 상기 길이측벽면(126)과 상기 폭측벽면(128)의 연결부위 외면을 칼 등의 날카로운 물건으로 칼집을 내어 상기 길이측벽면(126)과 상기 폭측벽면(128)이 상기 바닥면(110)의 꼭짓점 부위에서 완곡한 곡면형태를 원활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칼선형성단계(S200)가 마무리되면, 접착고정단계(S300)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접착고정단계(S300)는, 상기 폭측벽면(128)의 내측 하부가 상기 바닥면(110)의 테두리 측면에 접착고정되도록 하는 공정이 수행된다.
이때, 상기 바닥면(110)의 폭 방향 측면에 상기 폭측벽면(128)의 내측 하부가 접착고정되기 위해서는 접착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접착제는 상기 폭측벽면(128)의 내측 하부가 상기 바닥면(110)의 폭 방향 측면에 견고하게 접착고정될 수 있다면 다양한 접착물을 사용가능한 것이 당연하다.
이렇게 상기 접착고정단계(S300)가 진행된 후에는, 부착면형성단계(S400) 공정이 수행된다.
이러한 상기 부착면형성단계(S400)에서는, 상기 폭측벽면(128)의 하면과 상기 바닥면(110)의 하면에 별도로 형성된 지지부착면(130)을 부착하는 공정이 수행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부착면형성단계(S400)에서는, 상기 폭측벽면(128)과 상기 바닥면(110)이 상호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부착면형성단계(S400)는, 상기 폭측벽면(128)의 하면과 상기 바닥면(110)의 하면에 상기 지지부착면(130)이 상호 접착제에 의해 접착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부착면형성단계(S400)가 시행된 후, 외지형성단계(S500) 공정이 수행된다.
이때, 상기 외지형성단계(S500)에서는, 상기 바닥면(110) 하면과 상기 측벽면(120) 내면 및 외면에 외지(150)를 씌워 상부가 개구된 박스형태를 이루는 하부박스(100)가 완성되도록 하는 공정이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외지(150)가 감싸진 상기 하부박스(100)는 상기 외지(150)를 통해 상기 하부박스(100)의 구성요소 간에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외지(150)는 외관상 미려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외지형성단계(S500)가 진행된 후에는, 덮개배치단계(S600)가 진행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박스(100)의 개구된 상부를 덮는 덮개(200)는 상기 하부박스(100)와 동일한 공정을 통해 완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덮개(200)는 상기 하부박스(100)의 외면을 감싼 채로 상기 하부박스(100)를 덮기 때문에, 상기 하부박스(100) 보다 큰 부피를 갖도록 형성된다.
고 5에서는 도 4에서 언급된 각각의 공정을 토대로 본 발명에 따른 싸바리 포장박스가 제작되는 제작방법의 제작과정을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내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싸바리 포장박스 제작방법의 제작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 이다.
도 5를 살펴보면, 상부가 개구된 하부박스(100)를 완성하기 위해 바닥면(110)과, 상기 바닥면(110)의 테두리에 연결형성되는 측벽면(120)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바닥면(110)은 4개의 꼭짓점을 갖고, 그 꼭짓점 부위는 완곡한 곡면을 가지도록 면취된 상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측벽면(120)은, 상기 바닥면(110)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길이측벽면(126)과, 상기 길이측벽면(126)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바닥면(110)과 이격 형성되는 폭측벽면(128)으로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길이측벽면(126)은, 상기 바닥면(110)의 길이방향 테두리에 연결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폭측벽면(128)은, 상기 길이측벽면(126)에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바닥면(110)과는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폭측벽면(128)은, 상기 길이측벽면(126) 더욱 넓은 폭을 갖게 되는데, 상기 폭측벽면(128)은, 상기 길이측벽면(128) 보다 상기 바닥면(110)의 두께만큼 넓은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길이측벽면(126)과 상기 폭측벽면(128)의 연결부위는 상기 바닥면(110)의 꼭짓점이 면취된 부위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길이측벽면(126)과 상기 폭측벽면(128)의 연결부위에는 칼 등의 날카로운 물건으로 칼집이 하나 이상 형성되도록 된 칼선(124)이 형성된다.
상기 칼선(124)은, 상기 측벽면(120)이 수직으로 세워질 경우, 상기 폭측벽면(128) 내측 하면이 상기 바닥면(110)의 폭방향 측면에 밀착되어 면취된 곡면을 따라 원활하게 밀착고정 가능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면(110)과 상기 길이측벽면(126) 역시 칼 등의 날카로운 물건으로 칼집이 형성되도록 된 접힘선(122)이 형성된다.
상기 접힘선(122)은, 상기 길이측벽면(126)이 수직방향으로 원활하게 세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110)의 하면으로부터 상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상기 측벽면(120)이 수직방향으로 세워질 경우, 상기 길이측벽면(126)은 상기 바닥면(110)의 테두리 상부에 연결되게 되고, 상기 폭측벽면(128)은, 상기 바닥면(110) 테두리 측면에 밀착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측벽면(120)은 상기 바닥면(110)의 테두리에서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면서, 상기 바닥면(110)의 테두리를 둘러싸면서 벽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길이측벽면(126)은 상기 접힘선(122)을 통해 원활하게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폭측벽면(128)은 상기 칼선(124)을 통해 상기 바닥면(110)의 면취된 곡선 형태의 테두리면을 감싸면서 상기 폭측벽면(128)의 내측 하면이 상기 바닥면(110)의 폭 방향 테두리 측면에 상호 접착제를 통해 밀착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바닥면(110)의 길이방향 양측 테두리에 형성된 상기 길이측벽면(126)에서 연장형성된 한 쌍의 상기 폭측벽면(128)은 상기 바닥면(110)의 폭 방향에서 각각 상호 맞닿게 된다.
이때, 상호 맞닿은 상기 폭측벽면(128) 부위 또한 접착제를 통해 견고하게 접착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폭측벽면(128)은 상기 바닥면(110)의 측면에 접착고정되기 때문에 외부의 압력에 의해 쉽게 밀리거나 형성이 뒤틀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바닥면(110)에 상기 측벽면(120)이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채로, 접착고정되면, 상기 바닥면(110)의 하면과 상기 폭측벽면(128)의 하면에 동시에 접착고정되는 판 형태의 지지부착면(130)이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부착면(130)은 상기 바닥면(110)과 대응된 형태를 갖되, 상기 바닥면(110)과 상기 폭측벽면(128)의 하면을 동시에 감쌀 수 있는 넓이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착면(130)은, 상기 바닥면(110)의 하면과 상기 폭측벽면(128)의 하면에 접착제를 통해 접착고정되면서, 상기 바닥면(110)과 상기 측벽면(120)의 상호 접착고정을 한층 견고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상기 바닥면(110)과 측벽면(120)의 형상은, 상부가 개구된 박스형태의 하부박스(100)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면(110)과 상기 측벽면(120)의 하부에 상기 지지부착면(130)이 접착고정된 후, 상기 지지부착면(130)의 하면을 포함하여 상기 측벽면(120)의 외면이 외지(150)에 의해 감싸지게 된다.
이러한 상기 외지(150)는 상기 하부박스(100)가 외관상 미려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외지(150)는, 상기 바닥면(110)과 측벽면(120) 및 지지부착면(130)이 상호 가압 되도록 상기 하부박스(100) 외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보다 견고한 하부박스(100)가 완성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외지(150)는 미려하고 고급스러운 외관을 위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색과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박스(100)는, 상부가 개구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하부박스(100)는 덮개(200)에 의해 감싸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덮개(200)는, 상기 하부박스(100)와 대응된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하부박스(100)를 감싼 채로 상기 하부박스(100)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하부박스(100)보다는 큰 부피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 덮개(200)는, 상기 하부박스(100)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통해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되고, 다만 상기 하부박스(100)를 감싸기 위해, 상기 하부박스(100) 보다는 큰 부피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덮개(200)의 구성 및 기능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 상기에서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다만 하기에 서는 상기 덮개(200)의 구성요소 및 기능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덮개(200)는, 상기 하부박스(100)의 개구된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된 판 형태의 덮개면(210)과, 상기 덮개면(210)에 굽힘선(222)을 갖고 연장형성되되 상기 굽힘선(222)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접게 되면 상기 덮개면(210)의 테두리에 측벽이 형성되도록 하는 수직벽면(220)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수직벽면(220)의 상부와 상기 덮개면(210)의 상면을 덮는 보조부착면(230)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수직벽면(220)은, 상기 덮개면(210)의 상기 굽힘선(222)에 연결형성되어 상기 덮개면(210)의 벽체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박스(100)의 상기 길이측벽면(126) 외면을 감싸는 길이수직벽면(226)을 갖는다.
이때, 상기 굽힘선(222)은, 상기 덮개면(210) 상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칼 등의 날카로운 물건으로 칼집을 내어 상기 길이수직벽면(226)이 원활하게 수직방향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수직벽면(220)은, 상기 길이수직벽면(226)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덮개면(210)의 벽체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박스(100)의 상기 폭측벽면(128) 외면을 감싸는 폭수직벽면(228)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길이수직벽면(226)과 상기 폭수직벽면(228)의 연결부위 외면에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꺾임선(224)이 형성되고, 상기 꺽임선(224)은, 상기 칼선(124)의 외면을 감싸게 된다.
상기 하부박스(100)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상기 폭수직벽면(228)은, 상기 길이수직벽면(226) 보다 상기 덮개면(210)의 두께만큼 넓은 폭을 갖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길이수직벽면(226)은, 상기 덮개면(210)의 길이방향 테두리 하부에 연결형성되고, 상기 폭수직면(228)은, 상기 덮개면(210)의 폭방향 테두리 측면에 접착제를 통해 접착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부착면(230)의 하면은 상기 덮개면(210)의 상면과 상기 폭수직면(228)의 상면에 동시에 밀착되어 접착고정된다.
또한, 상기 외지(150)는 상기 덮개(200)의 외면을 감싸면서 접착고정되게 된다.
이로써, 상기 덮개(200)는 상기 하부박스(100)를 감싸면서 덮게 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200)의 수직벽면(220)은 상기 측벽면(120)의 외면을 감싸도록 덮고, 상기 하부박스(100)의 개구된 상면은 상기 덮개면(210)에 의해 덮이게 된다.
이러한 상기 하부박스(100)와 상기 덮개(200)는, 상기 바닥면(110)과 측벽면(120), 상기 덮개면(210)과 수직벽면(220)을 상호 연결하는 작업을 최소화하여, 제품 제작 시간 단축을 통해 생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하부박스 110 : 바닥면
120 : 측벽면 122 : 접힘선
124 : 칼선 126 : 길이측벽면
128 : 폭측벽면
130 : 지지부착면 150 : 외지
200 : 덮개 210 : 덮개면
220 : 수직벽면 222 : 굽힘선
224 : 꺽임선 226 : 길이수직벽면
228 : 폭수직벽면
230 : 보조부착면
S100 : 시트형성단계 S110 : 폭측벽면형성단계
S200 : 칼선형성단계 S300 : 접착고정단계
S400 : 부착면형성단계 S500 : 외지형성단계
S600 : 덮개형성단계

Claims (14)

  1. 판 형태의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측면 일부분에 접힘선을 갖고 연장형성되되 상기 접힘선을 따라 상기 바닥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접게 되면 측벽이 형성되는 측벽면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면은,
    상기 접힘선에 연결되는 길이측벽면과, 상기 길이측벽면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길이측벽면과 서로 다른 폭을 갖는 폭측벽면을 포함하되,
    상기 바닥면은,
    사각형 형태일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꼭짓점이 곡선형태로 면취되고,
    그 면취된 부위에는 길이측벽면과 폭측벽면의 연결부위가 배치되며, 그 연결부위 외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칼선이 형성되고,
    상기 폭측벽면은,
    상기 폭측벽면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의 수직방향 폭이 상기 길이측벽면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의 수직방향 폭보다 상기 바닥면의 두께만큼 크게 형성되고, 상기 칼선이 형성되는 부위부터 상기 바닥면과 분리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의 폭 방향 측면에 접착고정되며,
    상기 길이측벽면은,
    상기 바닥면의 길이방향 측면 상부에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싸바리 포장박스.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원형 또는 사각형 형태를 갖는 싸바리 포장박스.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 하부에는,
    상기 폭측벽면의 하면과 상기 바닥면의 하면을 동시에 지지하는 지지부착면이 구비되는 싸바리 포장박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과 상기 측벽면에는,
    외면 및 내면을 감싸는 외지를 포함하는 싸바리 포장박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면은,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채로 상기 바닥면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길이측벽면에서 연장형성된 한 쌍의 상기 폭측벽면은,
    상기 바닥면 양측의 폭 방향 위치에서 각각 상호 연결되는 싸바리 포장박스.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폭측벽면은,
    상기 바닥면의 폭 방향 측면에 접착고정시, 서로 다른 상기 길이측벽면에서 연장된 한 쌍의 폭측벽면이 상호 맞닿도록 고정되는 싸바리 포장박스.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10045387A 2011-05-13 2011-05-13 싸바리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제작방법 KR101268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387A KR101268418B1 (ko) 2011-05-13 2011-05-13 싸바리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387A KR101268418B1 (ko) 2011-05-13 2011-05-13 싸바리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110A KR20120127110A (ko) 2012-11-21
KR101268418B1 true KR101268418B1 (ko) 2013-05-28

Family

ID=47512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5387A KR101268418B1 (ko) 2011-05-13 2011-05-13 싸바리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84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914A (ko) 2018-08-10 2020-02-19 강심원 포장용 상자
KR102156841B1 (ko) 2019-05-23 2020-09-16 주식회사 신우 싸바리 박스 기포 제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355B1 (ko) * 2013-11-06 2014-10-23 정해수 종이상자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종이상자 제조방법
KR101586167B1 (ko) * 2015-03-16 2016-01-19 김동삼 골판지 포장박스 스템플러 접합부의 스템플러 결속방법 및 그 구조체
KR102050776B1 (ko) * 2019-01-22 2019-12-02 김안태 분해 가능한 참숯과 한지를 이용한 봉안함과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914A (ko) 2018-08-10 2020-02-19 강심원 포장용 상자
KR102156841B1 (ko) 2019-05-23 2020-09-16 주식회사 신우 싸바리 박스 기포 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110A (ko) 201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8418B1 (ko) 싸바리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제작방법
JPH0648437A (ja) 複数個の荷物を包装すべく厚紙または同様な材料で造られた包装容器、折曲げにより包装容器を製作するブランク、およびブランクを製造する方法
JP2014524393A (ja) 折り畳み式ダンボール箱
JP5490681B2 (ja) ボトル包装箱及び対応する切り抜き材
CN106660655B (zh) 具有支撑柱和孔口的展示托盘
KR20100057385A (ko) 포장용 팔각상자
JP5600495B2 (ja) 包装部材
JP2955534B2 (ja) 紙製緩衝体
KR20160008905A (ko) 접이식 관
FI119629B (fi) Kantopakkaus
KR100806169B1 (ko) 종이 앵글을 포함한 포장용 종이박스와 그 조립방법
KR200468026Y1 (ko) 모서리가 보강된 트레이 박스
KR101011816B1 (ko) 음료 포장용 상자
KR101802702B1 (ko) 상품 고정용 적층 포장체
KR100989657B1 (ko) 접이식 포장박스 및 그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
KR200440979Y1 (ko) 포장용 상자
KR100737437B1 (ko) 포장상자
JP2015157637A (ja) 梱包箱と重量物の梱包方法
KR100685437B1 (ko) 절첩구조를 갖는 싸바리 박스
JPH06211262A (ja) 1つのまたは複数の立方体状荷物のための包装および包装の実施方法
KR20130006300U (ko) 포장용 박스
KR200356682Y1 (ko) 절곡형 상자
US7578426B2 (en) Folding bag
CN215205847U (zh) 高端转椅整体包装结构
KR102020736B1 (ko) 디자인 과일 포장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