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763Y1 - 창호용 차양 - Google Patents
창호용 차양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2763Y1 KR200482763Y1 KR2020160004228U KR20160004228U KR200482763Y1 KR 200482763 Y1 KR200482763 Y1 KR 200482763Y1 KR 2020160004228 U KR2020160004228 U KR 2020160004228U KR 20160004228 U KR20160004228 U KR 20160004228U KR 200482763 Y1 KR200482763 Y1 KR 20048276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ow
- shielding sheet
- winding rod
- light shielding
- vertic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07—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guiding-sections for supporting the movable end of the blin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66—Accessorie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호프레임에 일체로 구비된 창호용 차양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차양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구성되어 창틀의 상측 수평바(1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권취봉(30)과, 상기 권취봉(30)의 둘레부에 권취되며 선단부는 상기 개구부(14)를 통해 상기 상측 수평바(11)의 외측으로 연장된 차광시트(40)와, 상기 권취봉(30)에 연결되어 권취봉(30)을 정역회전시켜 상기 차광시트(40)가 권취봉(30)에 권취되거나 권취봉(30)에 권취된 차양시트가 풀려나오도록 하는 구동수단(50)과, 하단부는 창틀의 수직바(13)의 외측에 외측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차광시트(40)의 단부에 연결되는 지지부재(60)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실내에서 상기 구동수단(50)을 조작하면, 상기 권취봉(30)이 정역회전되면서 상기 차광시트(40)가 권취봉(30)에 감기거나, 권취봉(30)에 감긴 차광시트(40)가 외측으로 풀려 나와 햇빛을 가리게 된다.
따라서,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차양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구성되어 창틀의 상측 수평바(1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권취봉(30)과, 상기 권취봉(30)의 둘레부에 권취되며 선단부는 상기 개구부(14)를 통해 상기 상측 수평바(11)의 외측으로 연장된 차광시트(40)와, 상기 권취봉(30)에 연결되어 권취봉(30)을 정역회전시켜 상기 차광시트(40)가 권취봉(30)에 권취되거나 권취봉(30)에 권취된 차양시트가 풀려나오도록 하는 구동수단(50)과, 하단부는 창틀의 수직바(13)의 외측에 외측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차광시트(40)의 단부에 연결되는 지지부재(60)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실내에서 상기 구동수단(50)을 조작하면, 상기 권취봉(30)이 정역회전되면서 상기 차광시트(40)가 권취봉(30)에 감기거나, 권취봉(30)에 감긴 차광시트(40)가 외측으로 풀려 나와 햇빛을 가리게 된다.
따라서,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창호프레임에 일체로 구비된 창호용 차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창호가 구비된다.
상기 창호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물의 벽면에 형성된 개구부(1)에 결합된 창틀(10)과, 상기 창틀(10)에 미닫이 또는 여닫이방식으로 결합된 창문(2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창틀(10)은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상, 하측 수평바(11,12)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상, 하측 수평바(11,12)의 양단을 고정하는 한 쌍의 수직바(13)를 갖는 사각틀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창문(20)을 측방향으로 밀거나 내외측으로 밀어서 창호를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창호의 경우, 햇빛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지 못함으로, 상기 창호의 실내측에 햇빛을 가릴 수 있는 커튼이나 블라인드를 설치하는 경우가 늘어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커튼이나 블라인드를 이용하여 햇빛을 가릴 경우, 커튼이나 블라인드에 의해 창호의 시야까지 함께 가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접거나 펼 수 있도록 구성된 차양을 건축물의 외측에 상기 창호의 상측을 가리도록 설치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차양은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가 번거로울 뿐 아니라 접거나 펴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실외로 나가서 차양을 접거나 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실내에서도 차양을 손쉽게 접거나 펼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설치가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한 새로운 구조의 창호용 차양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건축물의 개구부(1)에 설치되는 창틀(10)과, 상기 창틀(10)에 구비된 창문(20)을 포함하며, 상기 창틀(10)은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상, 하측 수평바(11,12)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상, 하측 수평바(11,12)의 양단을 고정하는 한 쌍의 수직바(13)를 갖는 사각틀 형태로 구성된 창호에 있어서, 상기 상측 수평바(11)의 외측면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개구부(14)가 형성되며, 측방향으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측 수평바(1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권취봉(30)과, 상기 권취봉(30)의 둘레부에 권취되며 선단부는 상기 개구부(14)를 통해 상기 상측 수평바(11)의 외측으로 연장된 차광시트(40)와, 상기 권취봉(30)에 연결되어 권취봉(30)을 정역회전시켜 상기 차광시트(40)가 권취봉(30)에 권취되거나 권취봉(30)에 권취된 차양시트가 풀려나오도록 하는 구동수단(50)과, 하단부는 상기 수직바(13)의 외측에 외측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차광시트(40)의 단부에 연결되는 지지부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차양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동수단(50)은 상기 상측 수평바(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베벨기어(52)를 통해 상기 권취봉(30)에 연결되며 단부는 상기 상측 수평바(11)의 실내측으로 연장된 구동축(51)과, 상단이 조인트(53)를 통해 상기 구동축(51)에 연결된 회전봉(54)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실내에서 상기 회전봉(54)을 정역회전시키면, 상기 구동축(51)에 의해 권취봉(30)이 정역회전되어, 상기 차광시트(40)가 권취봉(30)에 권취되거나 권취봉(30)에 권취된 차광시트(40)가 풀려나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차양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재(60)는 하단이 상기 창틀(10)의 수직바(13)에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수직부(61)와,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양단이 상기 수직부(61)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차광시트(40)의 선단부가 고정되는 수평부(62)를 포함하며, 상기 창틀(10)의 수직바(13)와 상측 수평바(11)에는 상기 지지부재(60)에 대응되는 결합홈(15)이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차양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동수단(50)은 상기 권취봉(30)에 연결된 구동모터를 이용하며, 상기 창틀(10)의 외측에 구비되어 비가 내리는 것을 감지하는 레인센서(71)와, 상기 창틀(10)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창문(20)을 측방향으로 밀어 창문(20)을 개폐하는 것을 감지하는 개폐감지수단(72)과, 상기 레인센서(71)와 개폐감지수단(72)의 신호를 감지하며 상기 구동수단(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73)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73)은 상기 레인센서(71)와 개폐감지수단(72)의 신호를 감지하여 비가 내리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창문(20)을 열면 상기 구동수단(50)을 구동시켜 상기 차광시트(40)가 풀려나가도록 상기 권취봉(30)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차양이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차양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구성되어 창틀의 상측 수평바(1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권취봉(30)과, 상기 권취봉(30)의 둘레부에 권취되며 선단부는 상기 개구부(14)를 통해 상기 상측 수평바(11)의 외측으로 연장된 차광시트(40)와, 상기 권취봉(30)에 연결되어 권취봉(30)을 정역회전시켜 상기 차광시트(40)가 권취봉(30)에 권취되거나 권취봉(30)에 권취된 차양시트가 풀려나오도록 하는 구동수단(50)과, 하단부는 창틀의 수직바(13)의 외측에 외측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차광시트(40)의 단부에 연결되는 지지부재(60)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실내에서 상기 구동수단(50)을 조작하면, 상기 권취봉(30)이 정역회전되면서 상기 차광시트(40)가 권취봉(30)에 감기거나, 권취봉(30)에 감긴 차광시트(40)가 외측으로 풀려 나와 햇빛을 가리게 된다. 따라서,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평균기온이 상승하고 있는 현실에서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차양을 공동주택이나 공공기관 건물 등에 적용하게 되면 더위를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고, 나아가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창호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차양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차양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차양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차양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차양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차양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차양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차양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차양의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차양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차양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차양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차양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차양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차양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차양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차양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차양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차양의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차양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차양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창호는 건축물의 개구부(1)에 설치되는 창틀(10)과, 상기 창틀(10)에 구비된 창문(20)으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창틀(10)은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상, 하측 수평바(11,12)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상, 하측 수평바(11,12)의 양단을 고정하는 한 쌍의 수직바(13)를 갖는 사각틀 형태로 구성되며, 상측 수평바(11)의 외측면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개구부(14)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차양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측 수평바(1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권취봉(30)과, 상기 권취봉(30)의 둘레부에 권취되는 차광시트(40)와, 상기 권취봉(30)에 연결되어 권취봉(30)을 정역회전키는 구동수단(50)과, 하단부는 상기 수직바(13)의 외측에 외측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차광시트(40)의 단부에 연결되는 지지부재(60)로 구성된다.
상기 개구부(14)는 상기 차광시트(40)의 폭에 비해 길게 측방향으로 연장된 장공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권취봉(30)은 양측에 구비된 회전축(31)이 상기 상측 수평바(11)의 내부에 구비된 지지판(11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차광시트(40)는 상기 창문(20)의 상측을 가릴 수 있도록 넓게 구성되면서 빛을 투과시키지 않는 불투명 또는 반투명한 합성수지재질의 시트를 이용하는 것으로, 기단부는 상기 권취봉(30)에 권취되며 상기 개구부(14)를 통해 상측 수평바(11)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구동수단(5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수평바(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베벨기어(52)를 통해 상기 권취봉(30)에 연결되며 단부는 상기 상측 수평바(11)의 실내측으로 연장된 구동축(51)과, 상단이 조인트(53)를 통해 상기 구동축(51)에 연결된 회전봉(54)으로 구성된다.
상기 조인트(53)는 상기 회전봉(54)의 각도가 변하더라도 상기 회전봉(54)이 구동축(51)에 구동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유니버셜조인트를 이용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실내에서 상기 회전봉(54)을 정역회전시키면, 상기 구동축(51)에 의해 권취봉(30)이 정역회전되어, 상기 차광시트(40)가 권취봉(30)에 권취되거나 권취봉(30)에 권취된 차광시트(40)가 풀려나오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60)는 하단이 상기 창틀(10)의 수직바(13)에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수직부(61)와,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양단이 상기 수직부(61)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차광시트(40)의 선단부가 고정되는 수평부(6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직부(61)와 수평부(62)는 전면이 평면을 이루는 사각관체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창틀(10)의 수직바(13)와 상측수평바는 상기 지지부재(60)에 대응되는 결합홈(15)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4)는 상기 결합홈(15)의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5)은 상기 지지부재(60)의 수직부(61) 및 수평부(62)에 대응되는 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회전봉(54)을 회전시켜 상기 권취봉(30)에 권취된 차광시트(40)가 풀려나오면 상기 지지부재(60)가 외측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차광시트(40)가 외측으로 펼쳐지도록 지지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회전봉(54)을 반대로 회전시키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차광시트(40)가 권취봉(30)에 권취되며,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60)가 상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결합홈(15)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창호용 차양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측 수평바(1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권취봉(30)과, 상기 권취봉(30)의 둘레부에 권취되며 선단부는 상기 개구부(14)를 통해 상기 상측 수평바(11)의 외측으로 연장된 차광시트(40)와, 상기 권취봉(30)에 연결되어 권취봉(30)을 정역회전시켜 상기 차광시트(40)가 권취봉(30)에 권취되거나 권취봉(30)에 권취된 차양시트가 풀려나오도록 하는 구동수단(50)과, 하단부는 상기 수직바(13)의 외측에 외측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차광시트(40)의 단부에 연결되는 지지부재(60)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실내에서 상기 구동수단(50)을 조작하면, 상기 권취봉(30)이 정역회전되면서 상기 차광시트(40)가 권취봉(30)에 감기거나, 권취봉(30)에 감긴 차광시트(40)가 외측으로 풀려 나와 햇빛을 가리게 된다.
따라서,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창호용 차양은 상기 창틀(10)에 일체로 구비됨으로, 차양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설치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지지부재(60)는 하단이 상기 창틀(10)의 수직바(13)에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수직부(61)와,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양단이 상기 수직부(61)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차광시트(40)의 선단부가 고정되는 수평부(62)로 구성되고, 상기 창틀(10)의 수직바(13)와 상측수평바는 상기 지지부재(60)에 대응되는 결합홈(15)이 오목하게 형성됨으로, 상기 권취봉(30)에 차광시트(40)가 권취되면 상기 지지부재(60)가 상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결합홈(15)에 삽입된다.
따라서, 차양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지지부재(60)가 결합홈(15)에 삽입되어 외부에서 볼 때, 일반적인 창틀(10)과 동일하게 보이게 됨으로, 차양에 의해 창틀(10)의 외관을 해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구동수단(50)은 상기 상측 수평바(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베벨기어(52)를 통해 상기 권취봉(30)에 연결되며 단부는 상기 상측 수평바(11)의 실내측으로 연장된 구동축(51)과, 상단이 조인트(53)를 통해 상기 구동축(51)에 연결된 회전봉(54)으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구동수단(50)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권취봉(3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권취봉(30)을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창틀(10)에 비가 내리는 것을 감지하는 레인센서(71)와, 사용자가 상기 창문(20)을 측방향으로 밀어 창문(20)을 개폐하는 것을 감지하는 개폐감지수단(72)을 구비하고, 상기 레인센서(71)와 개폐감지수단(72)에는 제어수단(73)을 연결하여, 비가 내리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창문(20)을 열면 상기 차광시트(40)가 자동으로 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레인센서(71)는 상기 창틀(10)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비가 오면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다양한 종류의 것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음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개폐감지수단(72)은 상기 창틀(10)의 양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창문(20)을 닫으면 이를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를 이용한다.
상기 제어수단(73)은 상기 레인센서(71)와 개폐감지수단(72)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레인센서(71)에 비가 오는 것이 감지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창문(20)을 측방향으로 밀어 여는 것이 상기 개폐감지수단(72)에 감지되면, 상기 구동수단(50)을 구동시켜 상기 차광시트(40)가 풀려나가서 펴지도록 상기 권취봉(30)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창문(20)을 열어 놓은 상태에서, 상기 레인센서(71)에 비가 오는 것이 감지되었을 때도, 상기 제어수단(73)은 상기 구동수단(50)을 구동시켜 차광시트(40)가 펴지도록 한다.
이렇게 구성된 창호용 차양은 비가 올 때 사용자가 창문(20)을 열면 자동으로 차광시트(40)가 펼쳐져 빗물이 실내로 들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창호용 창호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10. 창틀 20. 창문
30. 권취봉 40. 차광시트
50. 구동수단 60. 지지부재
30. 권취봉 40. 차광시트
50. 구동수단 60. 지지부재
Claims (4)
-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상, 하측 수평바(11,12)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상, 하측 수평바(11,12)의 양단을 고정하는 한 쌍의 수직바(13)를 갖는 사각틀 형태로 건축물의 개구부(1)에 설치되는 창틀(10)과 상기 창틀(10)에 구비된 창문(20)으로 구성된 창호에 있어서,
상기 상측 수평바(11)의 외측면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개구부(14)와,
측방향으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측 수평바(11)의 내부 지지판(11a)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권취봉(30)과,
상기 권취봉(30)의 둘레부에 권취되며 선단부는 상기 개구부(14)를 통해 상기 상측 수평바(11)의 외측으로 연장된 차광시트(40)와,
상기 권취봉(30)에 연결되어 권취봉(30)을 정역회전시켜 상기 차광시트(40)가 권취봉(30)에 권취되거나 권취봉(30)에 권취된 차양시트가 풀려나오도록 상측 수평바(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베벨기어(52)를 통해 상기 권취봉(30)에 연결되고, 단부는 상기 상측 수평바(11)의 실내측으로 연장된 구동축(51)이 구비되고, 상단이 조인트(53)를 통해 상기 구동축(51)에 연결된 회전봉(54)이 구비된 구동수단(50)과,
하단은 창틀(10)의 수직바(13)에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수직부(61)가 구비되고,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양단이 상기 수직부(61)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차광시트(40)의 선단부가 고정되는 수평부(62)가 구비된 지지부재(60)와,
상기 창틀(10)의 수직바(13)와 상측 수평바(11)에는 상기 지지부재(60)의 수직부(61)와 수평부(62)가 삽입되도록 구비된 결합홈(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차양.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4228U KR200482763Y1 (ko) | 2016-07-22 | 2016-07-22 | 창호용 차양 |
PCT/KR2017/003732 WO2018016716A1 (ko) | 2016-07-22 | 2017-04-05 | 창호용 차양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4228U KR200482763Y1 (ko) | 2016-07-22 | 2016-07-22 | 창호용 차양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2763Y1 true KR200482763Y1 (ko) | 2017-03-03 |
Family
ID=58412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4228U KR200482763Y1 (ko) | 2016-07-22 | 2016-07-22 | 창호용 차양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2763Y1 (ko) |
WO (1) | WO2018016716A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54206B1 (ko) * | 1995-12-19 | 1998-10-15 | 김태구 | 자동차의 빗물받이 장치 |
KR20040076923A (ko) | 2003-02-27 | 2004-09-04 | 조병진 | 유출유 처리물질 |
KR100571575B1 (ko) * | 2005-10-28 | 2006-04-17 | (주)한국환경종합건축사사무소 | 차광 조절가능한 차양을 가진 붙박이 창 및 사용방법 |
KR101266800B1 (ko) * | 2012-12-31 | 2013-05-28 | 임서정 | 계절에 따른 태양의 위치에 따라 광량으로 자동 작동하는 차양장치 |
KR20130084888A (ko) * | 2012-01-18 | 2013-07-26 | 주식회사 지암메디테크 | 투명창 차광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7092Y1 (ko) * | 2004-04-24 | 2004-07-21 | 이준엽 | 천막의 자동 개폐장치 |
-
2016
- 2016-07-22 KR KR2020160004228U patent/KR200482763Y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
- 2017-04-05 WO PCT/KR2017/003732 patent/WO2018016716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54206B1 (ko) * | 1995-12-19 | 1998-10-15 | 김태구 | 자동차의 빗물받이 장치 |
KR20040076923A (ko) | 2003-02-27 | 2004-09-04 | 조병진 | 유출유 처리물질 |
KR100571575B1 (ko) * | 2005-10-28 | 2006-04-17 | (주)한국환경종합건축사사무소 | 차광 조절가능한 차양을 가진 붙박이 창 및 사용방법 |
KR20130084888A (ko) * | 2012-01-18 | 2013-07-26 | 주식회사 지암메디테크 | 투명창 차광 장치 |
KR101266800B1 (ko) * | 2012-12-31 | 2013-05-28 | 임서정 | 계절에 따른 태양의 위치에 따라 광량으로 자동 작동하는 차양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8016716A1 (ko) | 2018-0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322211B2 (en) | Vertical blind assembly | |
US9732554B2 (en) | Vertical blind assembly | |
RU2594853C2 (ru) |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е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е окно | |
US9260913B2 (en) | Vertical blind assembly | |
KR101823850B1 (ko) | 슬래트형 롤러 블라인드 | |
US9739087B2 (en) | Blind assembly | |
US20160340973A1 (en) | Vertical blind assembly | |
JP2013540219A (ja) | 建物の開閉部のためのロールシャッタ | |
KR200482763Y1 (ko) | 창호용 차양 | |
KR20130115824A (ko) | 창틀에 설치되는 비가리개 장치 | |
KR101746553B1 (ko) | 공동주택용 발코니 차양장치 | |
KR101803536B1 (ko) |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 | |
WO2017151064A1 (en) | External blind in a glazed housing | |
KR20180000048U (ko) | 건물용 차양기구 | |
KR200446420Y1 (ko) | 베니션블라인드의 고정장치 | |
US20170058596A1 (en) | Vertical blind assembly | |
KR200482821Y1 (ko) | 텐션장치가 구비된 전동식 차양막 | |
KR100326649B1 (ko) | 차양 기능을 갖는 다용도 방범창문 | |
CN209742745U (zh) | 一种外遮阳节能百叶帘的收放机构 | |
KR101448398B1 (ko) | 프로젝트창 | |
US3097688A (en) | Bay closure device with built-in blind | |
KR200176175Y1 (ko) | 차양 기능을 갖는 다용도 방범창문 | |
KR101500469B1 (ko) | 회전 이동식 창문 | |
KR100648098B1 (ko) | 건축구조물 창문틀 구조 | |
KR200355962Y1 (ko) | 상.하 및 좌.우 개폐가 가능한 커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