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376Y1 - 온도 제어기용 지지 장치 및 그 온도 제어기 - Google Patents

온도 제어기용 지지 장치 및 그 온도 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376Y1
KR200482376Y1 KR2020120007316U KR20120007316U KR200482376Y1 KR 200482376 Y1 KR200482376 Y1 KR 200482376Y1 KR 2020120007316 U KR2020120007316 U KR 2020120007316U KR 20120007316 U KR20120007316 U KR 20120007316U KR 200482376 Y1 KR200482376 Y1 KR 2004823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ontroller
contact surface
fixing plate
restricting portion
restri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3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1370U (ko
Inventor
요우 빙 리우
롱 구앙 양
엔 푸 쟝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슈바이츠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슈바이츠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슈바이츠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300013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3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3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3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02Details
    • H01H37/04Bases; Housings; Mount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Control Of Temperature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정판(10) 및 지지 스탠드(20)를 포함하는, 온도 제어기용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 쌍의 제 1 제한부(12)는 고정판 상에 제공되고, 각각의 제 1 제한부에는 제 1 접촉면(122)이 제공된다. 제 1 제한부와 연결 가능한 한 쌍의 제 2 제한부(22)는 지지 스탠드 상에 제공되어, 회전 축선(29)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동안 지지 스탠드가 고정판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제 2 제한부는, 제 2 제한부에 배치된 제 2 접촉면(222)에 의해, 제 1 접촉면과 접촉하고, 두 개의 제 2 제한부는 회전 축선의 축 방향으로 서로 멀어지거나 접근하게 이동할 수 있다. 제 1 접촉면 및/또는 제 2 접촉면은 제 1 접촉면 및/또는 제 2 접촉면의 연장 방향에서 회전 축선과 교차할 수 있고, 제 1 접촉면에 의해 제 2 접촉면에 인가된 충격력은 제 1 제한부로부터 제 2 제한부를 분리하도록 회전 축선의 축 방향을 따르는 성분을 가질 수 있다. 외력에 의해 지지 장치가 충격받을 때, 지지 장치의 지지 스탠드는 고정판으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될 수 있고, 손상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온도 제어기용 지지 장치 및 그 온도 제어기 {SUPPORTING DEVICE FOR TEMPERATURE CONTROLLER, AND TEMPERATURE CONTROLLER THEREOF}
본 고안은 지지 장치(supporting device), 특히 온도 제어기용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지지 장치가 제공된 온도 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현존하는 온도 제어기용 지지 장치는 고정판(fixed plate) 및 지지 스탠드(support stand)를 구비하고; 지지 스탠드는 고정판에 연결된 후,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고정판에 대한 소정의 각도 내에서 회전할 수 있고, 지지 스탠드가 고정판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면, 지지 스탠드 및 고정판은 평면 상에 온도 제어기를 지지하기 위한 안정된 구조를 형성한다.
그러나, 현존하는 지지 장치를 사용할 때, 지지 스탠드는 고정판과 조립하기가 상당히 어렵고, 고정판으로부터 분리하기가 어려우며; 더욱이, 외력이 가해지면, 예를 들어, 높은 위치에서 지상으로 낙하할 때, 지지 스탠드와 고정판 사이의 연결은 쉽게 손상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온도 제어기용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외력에 의해 지지 장치가 충격받을 때, 상기 지지 장치의 지지 스탠드가 고정판으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되는 것을 가능케 하여, 지지 스탠드에 대한 손상을 회피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지지 장치가 제공된 온도 제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고정판 및 지지 스탠드를 포함하는 온도 제어기용 지지 장치를 제공한다. 한 쌍의 제 1 제한부(first limit parts)는 고정판에 제공되고, 각각의 제 1 제한부에는 제 1 접촉면(first contact surface)이 제공된다. 제 1 제한부와 연결 가능한 한 쌍의 제 2 제한부는 지지 스탠드 상에 제공되어,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동안 지지 스탠드가 고정판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제 2 제한부 상에 배치된 제 2 접촉면에 의해, 제 2 제한부는 제 1 접촉면과 접촉할 수 있고, 두 개의 제 2 제한부는 회전 축선의 축 방향으로 서로 멀어지거나 접근하게 이동할 수 있다. 제 1 접촉면 및/또는 제 2 접촉면은 제 1 접촉면 및/또는 제 2 접촉면의 연장 방향에서 회전 축선과 교차할 수 있고, 제 1 접촉면에 의해 제 2 접촉면에 인가된 충격력은 제 1 제한부로부터 제 2 제한부를 분리하도록 회전 축선의 축 방향을 따르는 성분(component)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충격력이 외부 힘에 의해 지지 장치가 충격받은 결과로 발생할 때, 지지 장치의 지지 스탠드는 고정판으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될 수 있어, 지지 스탠드에 대한 손상을 회피한다.
온도 제어기용 지지 장치의 구체적인(illustrative)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 2 제한부는 원형 횡단면(circular cross-section)을 구비한 연결 돌출부(connecting projection)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 1 제한부는 연결 슬롯(connecting slot)을 포함하며, 연결 돌출부는 연결 슬롯 내로 삽입 가능하다. 상기 구조는 단순한 설계를 가지고 용이하게 실시된다.
온도 제어기용 지지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연결 돌출부는 서로 외면하도록(facing away from each other) 배치된다. 상기 구조는 단순한 설계를 가지고 용이하게 실시된다.
온도 제어기용 지지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지지 스탠드는 본체(main body) 및 본체의 일 단부에 연결된 두 개의 캔틸레버(cantilevers)를 포함하고, 제 2 제한부는 본체로부터 원격의 캔틸레버의 단부에 연결되며, 두 개의 캔틸레버 사이에 U자-형상의 갭(U-shaped gap)이 제공된다. 상기 구조는 단순한 설계를 가지고 용이하게 실시된다.
온도 제어기용 지지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호 연결 가능한 제 1 제한부 및 제 2 제한부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제 1 제한부는 탄성 돌출부를 포함하고 탄성 돌출부가 제공되는 제 1 제한부에 연결될 수 있는 제 2 제한부는 하나 이상의 제한 슬롯을 포함하고 탄성 돌출부는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고정판에 대한 지지 스탠드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한 슬롯 내부로 삽입이 가능하다. 이는 고정판에 대한 지지 스탠드의 위치설정(positioning)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온도 제어기용 지지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호 연결 가능한 제 1 제한부 및 제 2 제한부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제 1 제한부는 하나 이상의 제한 슬롯을 포함하고 제한 슬롯을 구비한 제 1 제한부에 연결 가능한 제 2 제한부는 탄성 돌출부를 포함하며, 탄성 돌출부는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고정판에 대한 지지 스탠드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한 슬롯 내부로 삽입이 가능하다. 이는 고정판에 대한 지지 스탠드의 위치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온도 제어기용 지지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지지 스탠드를 향하여 직면하는(face toward) 고정판의 단부 면(end face)이 평면이다. 이는 지지 스탠드가 제거된 후 고정판을 벽에 거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온도 제어기용 지지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지지 스탠드를 향하여 직면하는 고정판의 단부 면은 하나 이상의 장착 구멍(mounting hole)을 가진다. 이는 지지 스탠드가 제거된 후 고정판을 벽에 거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본 고안은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온도 제어기를 추가적으로 제공한다. 고정판의 바닥면은 제 1 연결 구멍을 가지고, 온도 제어기의 후방 쉘(rear shell)의 바닥면은 제 2 연결 구멍을 가지며, 고정판은 제 1 연결 구멍 및 제 2 연결 구멍을 관통하는 연결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후방 쉘에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온도 제어기용 지지 장치 및 이의 온도 제어기의 상기 특성, 기술적 특징, 장점 및 실시 방법을 좀 더 추가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명확하고 쉽게 이해되는 방식으로 설명될 것이다.
다음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함 없이, 단지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표현한다.
도 1은 온도 제어기용 지지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개략적인 3차원 구조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온도 제어기용 지지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조립 후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우측 상에 도시된 제 2 제한부 및 제 1 제한부의 연결된 상태의 개략적인 절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2에서 우측 상의 제 1 제한부 및 우측 상의 제 2 제한부의 하나의 연결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 우측 상의 제 1 제한부 및 우측 상의 제 2 제한부의 다른 연결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6은 지지 장치를 구비한 온도 제어기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개략적인 3차원 분해도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 목적 및 효과가 좀 더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게 하기 위해,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는 지금부터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될 것이고; 다양한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 및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구비한 구성부품(components)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된다.
형상을 간결하게 하기 위하여, 다양한 도면들은 본 고안에 관련한 구성부품을 단지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다양한 도면들은 제품으로서의 실제 구조(actual structure) 및 실치수(real dimension)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부가하여, 본 명세서에서, "상부(upper)", "하부(lower)", "전방(front)", "후방(rear)", "좌측(left)", "우측(right)" 등은 구성 부품들의 절대적 위치를 제한하지 않으면서 단지 관련 구성부품들 간의 위치적 관계를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온도 제어기용 지지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개략적인 3차원 구조의 분해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제어기용 지지 장치는 고정판(10) 및 지지 스탠드(20)를 포함하고; 한 쌍의 제 1 제한부(12)는 고정판(10) 상에 제공되며, 제 1 제한부(12)와 연결 가능한 한 쌍의 제 2 제한부(22)는 지지 스탠드(20) 상에 제공되고; 제 2 제한부(22)가 제 1 제한부(12)에 연결되면, 지지 스탠드(20)는 고정판(10)에 연결되어 회전 축선(29)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도 1에서 도시된 온도 제어기용 지지 장치의 조립 후 구조의 개략도인 도 2를 참조하자. 지지 스탠드(20)가 고정판(10)에 연결되면, 회전 축선(29)을 따라 고정판(10)에 대해 지지 스탠드(20)는 회전 가능하고; 여기서 "회전 가능(rotatable)"은 지지 스탠드(20)가 고정판(10)에 대해 소정의 각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지지 스탠드(20)가 단지 외력의 작용하에서 고정판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상황(situation)을 포함한다. 지지 스탠드(20)가 고정판(10)에 대해 미리 설정된(preset) 각도로 회전하면, 지지 스탠드(20) 및 고정판(10)은 평면에서 지지(support)를 이루기 위한 안정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한 쌍의 제 2 제한부(22)는 외력의 작용 하에서 회전 축선(29)의 축 방향으로 서로 멀어지거나 접근하게 이동할 수 있고, 외력이 중지될 때, 제 2 제한부(22)는 제 2 제한부(22) 자체의 복원력(restoring force)의 작용 하에서 제 2 제한부(22)의 원상태로 복구될 것이고;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스탠드(20)의 두 개의 제 2 제한부(22)는 그 다음에 전술된 방식으로 고정판(10) 상의 한 쌍의 제 1 제한부(12)와 연결될 수 있다. 축 방향으로 한 쌍의 제 2 제한부(22)의 상대적 변위에서 임의의 변화가 있는 경우, 이때 한 쌍의 제 2 제한부들이 축 방향으로 서로 멀어지거나 또는 서로를 향하게 이동되었음을, 본 분야의 전문가들이 이해할 수 있다.
도 2에서 우측 상의 제 1 제한부 및 우측 상의 제 2 제한부의 연결된 상태는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3은 도 2 우측 상에 도시된 제 1 제한부 및 제 2 제한부의 연결된 상태의 개략적인 절개도를 도시하고, 도 4는 도 2에서 우측 상의 제 1 제한부 및 우측 상의 제 2 제한부의 하나의 연결된 상태의 개략도이며, 도 5는 도 2에서 우측 상의 제 1 제한부 및 우측 상의 제 2 제한부의 다른 연결된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제한부(22)는 연결을 수행하기 위해 제 1 제한부(12)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제 1 제한부(12)는 제 1 접촉면(122)을 구비하며, 제 2 제한부(22)는 제 1 접촉면(122)과 접촉할 수 있는 제 2 접촉면(222)을 구비한다. 도 3에서 점선(dashed line)은 제 1 접촉면(122) 및 제 2 접촉면(222)이 제 1 접촉면(122) 및 제 2 접촉면(222)의 연장 방향에서 회전 축선과 교차할 수 있다는 것을 좀 더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예로서 도 3을 고려하면, 제 1 접촉면(122)이 충격력(N)을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접촉면(222)에 인가할 때, 충격력(N)은 제 2 접촉면(222) 상에 작용하는 회전 축선(29)의 축 방향을 따르는 성분(F)을 가지게 될 것이다. 예기치 않은 상황에 부딪힐 때, 예를 들어 지지 장치가 높은 위치로부터 낙하할 때 및 고정판(10)에 관해 지지 스탠드(20)의 예기치 않은 움직임이 발생할 때, 제 1 제한부(12)의 제 1 접촉면(122) 및 제 2 제한부(22)의 제 2 접촉면(222)이 서로 가압하도록 구동될 수 있어, 제 1 접촉면(122)은 이러한 충격력(N)을 제 2 접촉면(222)에 인가하고, 회전 축선(29)의 축 방향을 따라 충격력(N)의 성분(F)은 제 2 접촉면(222)에 작용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지칭된 "충격력"은 축 방향 성분(F)의 힘이 축 방향으로 제 2 접촉면(222) 상의 마찰력과 전술된 복원력의 합보다 더 크게 됨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분야의 전문가들은 이해할 수 있고, 충격력은 제 1 제한부(12)로부터 제 2 제한부(22)를 분리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충격력(N)을 경험할 때, 제 1 제한부(12) 및 제 2 제한부(22)는 서로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충격력(N)이 해제되어, 제 1 제한부(12) 및 제 2 제한부(22)는 충격력의 충격의 결과로 손상되지 않을 것이다. 더욱이, 위의 구조가 사용될 때, 지지 장치의 조립 및 분리가 더욱 편리하다. 본 분야의 전문가들은 제 1 접촉면(122)이 하나의 표면뿐만 아니라, 복수의 표면의 조합이 될 수 있다는 것과, 유사하게 제 2 접촉면(222)은 하나의 표면뿐만 아니라 복수의 표면의 조합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더욱이, 설계 요구사항에 따라, 제 1 접촉면(122) 및 제 2 접촉면(222) 중 단지 하나만이 그의 연장 방향에서 회전 축선(29)과 교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3이 제 1 접촉면(122)의 상부 부분 및 제 2 접촉면(222)의 상부 부분이 서로 대항하여 가압하는 응력을 받는 상황(stress situation)만을 도시함에도 불구하고, 본 분야의 전문가들은 예기치 않은 상황이 부딪힐 때, 서로 맞닿아 가압하는 제 1 접촉면(122) 및 제 2 접촉면(222)의 부분들이 상이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면에 도시된 제 2 제한부(22)는 원형 횡단면을 구비한 연결 돌출부(15)를 포함하고, 제 1 제한부(12)는 연결 슬롯(16)을 포함하며, 연결 돌출부(15)는 연결 슬롯(16) 내로 삽입 가능하고; 이러한 설계의 채용은 구조를 좀 더 단순하게 하고 실현하기에 용이하지만, 다른 방법과 구조도 설계 요구사항에 따라, 제 1 제한부(12) 및 제 2 제한부(22)에 대해 채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제 1 제한부(12)가 연결 돌출부로 설계될 수 있고 제 2 제한부(22)가 연결 돌출부에 상응하는 연결 슬롯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지지 스탠드(20)는 판 구조(plate structure)이고, 지지 스탠드(20)는 본체 및 본체의 일 단부에서 연결된 두 개의 캔틸레버(24)를 포함하고, 본체로부터 원격의 두 개의 캔틸레버(24)의 단부들은 각각 제 2 제한부(22)와 연결되며, U-형상의 갭(26)은 두 개의 캔틸레버(24) 사이에 제공되어 두 개의 제 2 제한부(22)가 외력의 작용하에서 상기 축 방향으로 서로 멀어지거나 접근하게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러한 구조는 간단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지만, 상기 기능은 또한 설계 요구사항에 따라 다른 구조를 이용하여 실현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두 개의 제 2 제한부(22)가 외력의 작용하에서 상기 축 방향으로 서로 멀어지거나 접근하게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각각의 제 2 제한부(22)는 스프링에 의해 지지 스탠드(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연결 돌출부는 서로 외면하도록 배치되고, 즉 양쪽 연결 돌출부는 캔틸레버의 외측을 향하지만, 두 개의 연결 돌출부는 또한 설계 요구사항에 따라 서로를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동시에 참조하면; 탄성 돌출부(124)는 추가적으로 우측 상의 제 1 제한부(12)에 제공될 수 있고, 탄성 돌출부(124)에 상응하여 배치된 제한 슬롯(224)은 우측 상의 제 2 제한부(22)에 제공될 수 있으며, 탄성 돌출부(124)가 제한 슬롯(224) 내로 삽입 가능하여, 제한 슬롯(224) 및 탄성 돌출부(124)가 회전 축선(29)을 중심으로 고정판(10)에 대한 지지 스탠드(20)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서로 록킹되도록(lock) 하여, 지지 스탠드(20) 및 고정판(10)은 이루어진 각도의 지지에 의해 안정된 구조를 형성한다(도 2 참조).
더욱이, 사용 중에 지지 스탠드는 탄성 돌출부를 제한 슬롯의 밖으로 밀어 내기(squeeze) 위해 외력에 의해 가압될 수 있어, 지지 스탠드(20)가 회전 축선(29)을 중심으로 고정판(10)에 대한 회전을 계속할 수 있어 지지 스탠드(20)가 다른 각도에서 지지될 수 있게 하며; 예를 들어, 복수의 제한 슬롯이 제공될 수 있고, 탄성 돌출부가 상이한 제한 슬롯 내로 미끄러질(slide) 때, 다른 각도들에서의 지지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 설계 요구사항에 따라, 탄성 돌출부(124) 및 제한 슬롯(224)의 형상, 구조 및 장착 위치는 도면에서 도시된 것들에 제한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탄성 돌출부(124)는 제 2 제한부(22) 상에 또한 설계될 수 있으며, 대응하는 제한 슬롯(234)이 대응하는 제 1 제한부(12) 상에 설계된다.
지지 스탠드(20)를 향하여 직면하는 도 1에 도시된 고정판(10)의 단부 면(end face)은 평면이고; 이러한 설계는 지지 스탠드(20)가 고정판(10)으로부터 분해되면(dismounted) 고정판(10)의 상기 평면이 용이하게 벽에 고정되는 것을 가능케 하고, 온도 제어기 장착의 다수의 방법을 실현하도록 한다. 또한, 지지 스탠드(20)를 향하는 도 1에 도시된 고정판(10)의 측부(side)는 또한 장착 구멍(14)을 구비할 수 있고; 지지 장치를 벽에 고정하는 것이 필요할 때, 지지 스탠드(20)가 제거된 고정판(10)은 도면의 장착 구멍(14)에 의해 벽에 쉽게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설계 요구사항에 따라, 장착 구멍(14)의 형상, 개수 및 위치는 도면에서 도시된 것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고안은 또한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상에서의 지지 장치가 제공된 온도 제어기에 관련된 것으로; 도 6은 상기 지지 장치가 제공된 온도 제어기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3차원 분해 개략도이다. 도 6에서, 단지 온도 제어기의 후방 쉘(30)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었으며; 온도 제어기의 후방 쉘(30) 상에 제 2 연결 구멍(38)이 있고 고정판(10) 상에 제 1 연결 구멍(18)이 있으며, 제 1 연결 구멍(18) 및 제 2 연결 구멍(38)을 관통하는 연결 수단(48)을 구비함에 의해 고정판(10)은 후방 쉘(30)에 연결될 수 있고, 여기서 연결 수단(48)은 예를 들어 볼트(bolt)가 될 수 있다. 상기 구조를 사용하여, 온도 제어기의 후방 쉘(30)은 지지 장치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고, 온도 제어기를 지지하는 기능은 지지 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본 분야의 전문가들은 지지 장치의 고정판(10)이 직접 온도 제어기의 후방 쉘(30)이 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온도 제어기용 지지 장치에서, 제 2 접촉면 상에서 제 1 접촉면에 의해 인가된 충격력의 회전 축선의 축 방향을 따르는 성분은 제 2 제한부가 제 1 제한부로부터 분리되는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제 2 제한부 및 제 1 제한부가 손상되는 상황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요약하면, 본 고안은 고정판(10) 및 지지 스탠드(20)를 포함하는, 온도 제어기용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 쌍의 제 1 제한부(12)가 고정판 상에 제공되고, 각각의 제 1 제한부에는 제 1 접촉면(122)이 제공된다. 제 1 제한부와 연결 가능한 한 쌍의 제 2 제한부(22)는 지지 스탠드 상에 제공되어, 회전 축선(29)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동안 지지 스탠드가 고정판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제 2 제한부는, 제 2 제한부 상에 배치된 제 2 접촉면(222)에 의해, 제 1 접촉면과 접촉할 수 있고, 두 개의 제 2 접촉부는 회전 축선의 축 방향으로 서로 멀어지거나 접근하게 이동할 수 있다. 제 1 접촉면 및/또는 제 2 접촉면은 제 1 접촉면 및/또는 제 2 접촉면의 연장 방향에서 회전 축선과 교차할 수 있고, 제 1 접촉면에 의해 제 2 접촉면에 인가된 충격력은 제 1 제한부로부터 제 2 제한부를 분리하도록 회전 축선의 축 방향을 따르는 성분을 가질 수 있다. 지지 장치가 외력에 의해 충격받을 때, 지지 장치의 지지 스탠드는 고정판으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될 수 있어, 손상을 회피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illustrative)" 이란 "실례(real example), 예(example) 또는 설명(explanation)으로서 적합함"을 나타내고,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이라고 설명된 도식적인 설명 또는 실시예는 바람직한 또는 좀더 유리한 기술적 해법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설명에서 다양한 예를 기초로 설명이 주어지지만, 각각의 예는 하나의 독립적인 기술적 해법만을 포함하는 경우가 아니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설명은 명확함을 위해 관련되는 방법을 이용하고, 본 분야의 전문가들은 본 설명을 전체적으로 완전한 것으로(as an integral whole) 간주해야 하며; 다양한 예에서 기술적 해법은 본 분야의 전문가들에게 이해할 수 있는 다른 실시예들을 형성하기 위해, 또한 적절하게 조합될 수 있다.
상기 제시된 일련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고안의 실현 가능한 예의 특정한 설명이고, 이는 본 고안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동등한 효과를 가진 모든 예들 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남 없이 만들어진 변형물들은 본 고안의 보호 범위 안에 포함되어야만 한다.
10 고정판(Fixed plate)
12 제 1 제한부(First limit part)
122 제 1 접촉면(First contact surface)
124 탄성 돌출부(Elastic projection)
14 장착 구멍(Mounting hole)
15 연결 돌출부(Connecting projection)
16 연결 슬롯(Connecting slot)
18 제 1 연결 구멍(First connecting hole)
22 제 2 제한부(Second limit part)
222 제 2 접촉면(Second contact surface)
224 제한 슬롯(Limit slot)
24 캔틸레버(Cantilever)
26 U-형상 갭(U-shaped gap)
29 회전 축선 (Rotation axis)
30 후방 쉘(rear shell)
38 제 2 연결 구멍(Second connecting hole)
48 연결 수단(Connecting means)

Claims (10)

  1. 온도 제어기용 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온도 제어기로서,
    상기 지지 장치는,
    고정판(10)으로서, 한 쌍의 제 1 제한부(12)가 상기 고정판(10)에 제공되고, 각각의 상기 제 1 제한부(12)에는 제 1 접촉면(122)이 제공되는, 고정판(10); 및
    지지 스탠드(support stand; 20)로서, 상기 제 1 제한부(12)와 연결 가능한 한 쌍의 제 2 제한부(22)가 상기 지지 스탠드(20) 상에 제공되어, 회전 축선(29)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동안 상기 지지 스탠드(20)가 상기 고정판(10)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제한부(22)는, 상기 제 2 제한부 상에 배치된 제 2 접촉면(222)에 의해, 상기 제 1 접촉면(122)과 접촉할 수 있고, 두 개의 상기 제 2 제한부(22)들은 상기 회전 축선(29)의 축 방향으로 서로 멀어지거나 접근하게 이동할 수 있는, 지지 스탠드(2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접촉면(122) 및 상기 제 2 접촉면(222) 중의 한 가지 이상은 상기 제 1 접촉면(122) 및 상기 제 2 접촉면(222) 중의 한 가지 이상의 연장 방향에서 상기 회전 축선(29)과 교차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제 1 접촉면(122)에 의해 상기 제 2 접촉면(222)에 인가되는 충격력이 상기 제 1 제한부(12)로부터 상기 제 2 제한부(22)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회전 축선(29)의 축 방향을 따르는 성분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고정판(10)의 바닥은 제 1 연결 구멍(18)을 구비하고,
    상기 온도 제어기는:
    바닥이 제 2 연결 구멍(38)을 가지는 후방 쉘(rear shell; 30); 및
    상기 후방 쉘(30)과 상기 고정판(10)을 연결하도록 상기 제 1 연결 구멍(18) 및 상기 제 2 연결 구멍(38)을 관통할 수 있는, 연결 수단(48)을 추가로 포함하는,
    온도 제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 2 제한부(22)가 원형 횡단면을 구비한 연결 돌출부(15)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제 1 제한부(12)는 연결 슬롯(connecting slot; 16)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돌출부(15)가 상기 연결 슬롯(16) 내로 삽입 가능한,
    온도 제어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돌출부(15)가 서로 외면하도록(facing away) 배치되는,
    온도 제어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스탠드(20)가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 단부에 연결된 두 개의 캔틸레버(cantilevers; 24)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제한부(22)들은 상기 본체로부터 원격의 상기 캔틸레버(24)의 단부들에 연결되며, 상기 두 개의 캔틸레버들(24) 사이에 U-형상의 갭(U-shaped gap; 26)이 제공되는,
    온도 제어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호 연결 가능한 상기 제 1 제한부들(12) 및 상기 제 2 제한부들(22) 중에서, 상기 제 1 제한부(12)들 중 하나 이상이 탄성 돌출부(124)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돌출부(124)가 제공된 상기 제 1 제한부(12)에 연결될 수 있는 상기 제 2 제한부(22)는 하나 이상의 제한 슬롯(224)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 돌출부(124)가, 상기 회전 축선(29)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고정판(10)에 대한 상기 지지 스탠드(2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한 슬롯(224) 내로 삽입 가능한,
    온도 제어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호 연결 가능한 상기 제 1 제한부들(12) 및 상기 제 2 제한부들(22) 중에서, 상기 제 1 제한부(12)들 중 하나 이상이 하나 이상의 제한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제한 슬롯이 제공된 상기 제 1 제한부에 연결될 수 있는 상기 제 2 제한부(22)는 탄성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돌출부가, 상기 회전 축선(29)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고정판(10)에 대한 상기 지지 스탠드(2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한 슬롯 내로 삽입 가능한,
    온도 제어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스탠드(20)를 대면하는(face toward), 상기 고정판(10)의 단부 면(end face)이 평면인,
    온도 제어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스탠드(20)를 대면하는, 상기 고정판(10)의 단부 면이 하나 이상의 장착 구멍(14)을 가지는,
    온도 제어기.
  9. 삭제
  10. 삭제
KR2020120007316U 2011-08-18 2012-08-17 온도 제어기용 지지 장치 및 그 온도 제어기 KR20048237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120300842.0 2011-08-18
CN2011203008420U CN202189728U (zh) 2011-08-18 2011-08-18 温控器的支撑装置及其温控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370U KR20130001370U (ko) 2013-02-27
KR200482376Y1 true KR200482376Y1 (ko) 2017-01-17

Family

ID=45921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316U KR200482376Y1 (ko) 2011-08-18 2012-08-17 온도 제어기용 지지 장치 및 그 온도 제어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2376Y1 (ko)
CN (1) CN202189728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71908B (zh) * 2017-04-13 2018-10-09 滁州胜利电器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液胀式温度控制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4835A (ja) * 2006-02-09 2007-08-23 Funai Electric Co Ltd 通信機器ケー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4835A (ja) * 2006-02-09 2007-08-23 Funai Electric Co Ltd 通信機器ケ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2189728U (zh) 2012-04-11
KR20130001370U (ko) 201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3921B1 (en) Fixing member of rack server
JP2017524242A (ja) 保持フレーム及び該保持フレームの製造方法
KR20160066052A (ko) 회전 커넥터 장치
KR200482376Y1 (ko) 온도 제어기용 지지 장치 및 그 온도 제어기
CN105697478B (zh) 单手可操作的端部接头连接器组件
KR20140018203A (ko) 록킹 시스템 내의 록킹 부재 또는 작동기를 위한 이동 록
US20160345453A1 (en) Fix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CN107559273B (zh) 连接装置及具有其的显示屏
JP2013130270A (ja) 連結具及びこれを用いたテーブルの連結装置
JP2013019535A (ja) 緊締具、連結具、及び柵
JP6840572B2 (ja) コネクタ組立体
US9898057B2 (en) Fan fixing device
TWI608781B (zh) 機殼
KR970018862A (ko) 연장 지지판을 가지고 있는 가동 커넥터
US10601177B1 (en) Electrical connector lock with reverse stop
EP4072905A1 (en) Driver airbag module coupling assemblies
CN215400484U (zh) 边角固定装置及显示屏单元
JP6486816B2 (ja) 取着体、及び配線ボックス固定装置
CN113993330B (zh) 一种基于pa6t材质的铁路照明器具驱动控制装置
JP6589699B2 (ja) 可動コネクタ
WO2013157491A1 (ja) キャスター
US6755684B1 (en) Multiple axis connection system
RU2007146713A (ru) Опор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захватного элемента для робота-манипулятора
TWI752404B (zh) 安裝結構
KR101877907B1 (ko) 다축 연결용 조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