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332Y1 - 방수턱 거푸집 구조체 - Google Patents

방수턱 거푸집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332Y1
KR200482332Y1 KR2020160004857U KR20160004857U KR200482332Y1 KR 200482332 Y1 KR200482332 Y1 KR 200482332Y1 KR 2020160004857 U KR2020160004857 U KR 2020160004857U KR 20160004857 U KR20160004857 U KR 20160004857U KR 200482332 Y1 KR200482332 Y1 KR 2004823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late
groove
panel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8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원복
Original Assignee
윤원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원복 filed Critical 윤원복
Priority to KR20201600048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3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3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3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6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or other parts corbelled out of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7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턱 거푸집 구조체는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양측으로 상호 대응되게 배치되며, 일단과 타단에 각각 형성되는 연결 수단에 의해 복수 개가 일단과 타단에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2 패널부; 상기 제1,2 패널부의 일단과 타단의 양측을 상호 연결하여 제1,2 패널부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유동을 방지하는 고정부; 및 상기 제1,2 패널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2 패널부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수턱 거푸집 구조체{STRUCTURE FOR WATER PROOF CONCRETE MOLD}
본 고안은 방수턱 거푸집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며 재사용이 가능한 방수턱 거푸집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 시 욕실, 베란다 등에는 실내로 스며드는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방수턱을 시공하게 되는 데, 이러한 방수턱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욕실, 베란다 등의 크기에 따라 거푸집을 제작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방수턱 거푸집은 내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져 양생됨으로써 방수턱을 시공할 수 있는 사각형상의 틀 본체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틀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틀 본체가 지면에 지지될 수 있는 고정 부재로 구성되며, 틀 본체의 내측 공간에는 콘크리트가 채워져 양생됨으로써 방수턱이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방수턱 거푸집은 틀 본체의 길이가 건축물의 설계에 맞춰 일정하게 제작되기 때문에 방수턱의 설계 사이즈에 맞춰 사용하여하며, 건축물의 설계 사이즈가 변경되면, 새로운 틀 본체를 제작하여 사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시공 현장에서 발생하는 설계 도면과의 차이가 발생할 경우에 효과적인 대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건축물에 따라 방수턱의 사이즈가 차이가 있으므로 한번 사용된 방수턱 거푸집은 재사용이 어려우며 한번 사용한 방수턱 거푸집의 재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방수턱을 시공 후 에는 방수턱 거푸집을 특 본체를 해체하여야 하며, 해체 후 에는 재사용이 어려움으로 이로 인한 건축 폐기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20-0345038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방수턱을 시공하는 시공 현장에서 거푸집의 길이와 촉의 길이 조절을 통하여 방수턱의 설계 사이즈에 맞춰 거푸집의 설치와 해체가 가능하며, 방수턱의 시공 현장에서 방수턱의 사이즈에 맞춰 재사용이 가능한 방수턱 거푸집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턱 거푸집 구조체는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양측으로 상호 대응되게 배치되며, 일단과 타단에 각각 형성되는 연결 수단에 의해 복수 개가 일단과 타단에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2 패널부; 상기 제1,2 패널부의 일단과 타단의 양측을 상호 연결하여 제1,2 패널부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유동을 방지하는 고정부; 및 상기 제1,2 패널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2 패널부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제1,2 패널부의 일단과 타단이 상호 맞물려 결합되도록 상기 제1,2 패널부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상호 대응되는 결합턱과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결합턱과 결합홈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2 패널부의 일단과 타단의 양측을 상호 고정하며, 상기 결합턱과 결합홈이 맞닿은 일면과 타면에는 상기 고정부가 개재될 수 있도록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2 패널부의 일단과 타단의 일정 높이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턱과 결합홈에 형성된 삽입홀에 개재되어, 상기 제1,2 패널부의 일단과 타단의 양측을 상호 연결하며 양단이 상기 결합턱과 결합홈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결합턱과 결합홈의 외측에 돌출된 고정 플레이트의 양단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결합턱과 결합홈이 상호 벌어지지 않도록 상기 결합홈과 결합턱의 외측을 길이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핀; 및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중앙 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2 패널부 내부에서 상기 연결 플레이트를 수직 방향으로 지지하는 수직 지지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결합턱과 결합홈의 외측에서 양단이 돌출되어 상기 지지핀이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양단에서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와 하부의 높이가 좁혀지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턱과 결합홈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는 삽입 플레이트; 상기 삽입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의 높이가 넓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간격 조절부가 결합되도록 결합홈부가 형성되는 결합 플레이트; 및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양측이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턱과 결합홈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2 패널부를 양측으로 연결하며, 중앙부에는 상기 수직 지지판이 결합되는 연결 플레이트;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는 상기 결합턱과 결합홈의 외측을 길이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판이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는 상기 수직 지지판의 일단이 안착 결합되도록 중앙부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이루어진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 지지판에는 상기 결합턱과 결합홈의 내부 지면에 설치되도록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기립되며 상기 연결 플레이트 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판; 및 상기 연장판의 일단에서 상기 안착홈에 안착 결합되도록 다단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클립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 조절부는 양단이 상기 제1,2 패널부 내부에 접촉되며, 양단이 하부로 절곡되어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결합홈부에 결합되는 결합핀; 및 상기 제1,2 패널부 내부에 접촉된 양단이 상기 제1,2 패널부 내부로 연장 형성되는 간격 조절핀; 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핀에는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결합홈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슬릿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턱 거푸집 구조체는 일단과 타단에 형성된 연결 수단을 통해 방수턱의 사이즈에 맞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1,2 패널부와, 제1,2 패널부을 연결하는 고정부 및 제1,2 패널부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부에 의해 시공 현장에서 방수턱의 사이즈에 맞춰 방수턱 거푸집 구조체의 설치가 가능하여 방수턱의 시공 시 시공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방수턱을 시공 후 제1,2 패널부의 해체가 용이하며, 다른 시공 현장에서도 방수턱의 사이즈에 맞춰 제1,2 패널부의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방수턱을 시공 후 발생하는 건축 폐기물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제1,2 패널부는 해체가 용이한 결합 구조로 이루어져 제1,2 패널부의 해체 시 작업의 용이함을 제공하여 해체 작업에 따른 작업 기간을 단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턱 거푸집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고정부 및 간격 조절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이다.
도 4는 도1 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고안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턱 거푸집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있어서, 고정부 및 간격 조절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정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턱 거푸집 구조체(100)는 건축물의 욕실, 베란다 등에 설치되어 욕실과 베란다을 통해서 실내로 스며드는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방수턱을 시공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즉, 상기 방수턱 거푸집 구조체(100)는 욕실, 베란다 등의 일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시킨 후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 시킨 후 방수턱을 시공하는 것이다 .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턱 거푸집 구조체(100)는 제1,2 패널부(110)(120), 고정부(140) 및 간격 조절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2 패널부(110)(120)는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양측으로 상호 대응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2 패널부(110)(120)의 일단과 타단에는 연결 수단(130)이 각각 형성되어 그 연결 수단(130)에 의해 제1,2 패널부(110)(120)가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연결된다.
상기 연결 수단(130)은 제1,2 패널부(110)(120)의 일단과 타단이 상호 맞물려 결합되도록 제1,2 패널부(110)(120)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상호 대응되는 결합턱(131)과 결합홈(132)이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제1,2 패널부(110)(120)는 양측이 상호 대응되면서, 일단과 타단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턱(131)과 결합홈(132)이 상호 맞물려 결합되어 길이 방향으로 일정하게 형성되며, 내부에 콘트리크가 타설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2 패널부(110)(120)의 양단부는 별도의 마감 플레이트(미도시)를 통해 제1,2 패널부(110)(120)의 양단을 폐쇄하므로 콘크리트가 타설될 수 있는 틀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40)는 제1,2 패널부(110)(120)의 일단과 타단의 양측을 상호 연결하여 제1,2 패널부(110)(120)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으로, 고정 플레이트(141), 지지핀(142) 및 수직 지지판(143)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140)는 결합턱(131)과 결합홈(132) 사이에 개재되어, 제1,2 패널부(110)(120)의 일단과 타단의 양측을 상호 고정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140)는 결합턱(131)과 결합홈(132)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결합턱(131)과 결합홈(132)이 맞닿은 일면과 타면에는 고정부(140)가 개재될 수 있도록 삽입홀(121)이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부(140)는 삽입홀(121)에 끼워져 결합되며, 제1,2 패널부(110)(120)의 결합턱(131)과 결합홈(132)을 관통하여 개재되어 제1,2 패널부(110)(120)의 일단과 타단의 양측을 상호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140)의 고정 플레이트(141)는 제1,2 패널부(110)(120)의 일단과 타단의 일정 높이에 배치되며, 결합턱(131)과 결합홈(132)에 형성된 삽입홀(121)에 의해 결합턱(131)과 결합홈(132)에 개재되는 것으로, 삽입홀(121)에 의해 제1,2 패널부(110)(120)의 제1,2 패널부(110)(120)의 결합턱(131)과 결합홈(132)을 관통하여 개재되어 제1,2 패널부(110)(120)의 일단과 타단의 양측을 상호 연결하며, 양단이 결합턱(131)과 결합홈(132)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지지 플레이트(141a), 삽입 플레이트(141c), 결합 플레이트(141d) 및 연결 플레이트(141f)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141a)는 결합턱(131)과 결합홈(132)의 외측에서 양단이 돌출되어 지지핀(142)이 결합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141a)에는 결합턱(131)과 결합홈(132)의 외측을 길이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지지판(142)이 결합되는 결합홀(141b)이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 플레이트(141a)는 양단이 결합턱(131)과 결합홈(132)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결합홀(141b)에 지지핀(142)이 결합되어 결합턱(131)과 결합홀(132)의 외측을 지지핀(142)이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핀(142)은 결합턱(131)과 결합홈(132)의 외측에 돌출된 지지 플레이트(141a)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결합턱(131)과 결합홈(132)이 상호 벌어지지 않도록 결합홈(131)과 결합턱(132)의 외측을 길이 방향으로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 플레이트(141c)는 지지 플레이트(141a)의 양단에서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와 하부의 높이가 좁혀지게 형성되며, 결합턱(131)과 결합홈(132)에 형성된 삽입홀(121)에 삽입된다.
상기 결합 플레이트(141d)는 삽입 플레이트(141c)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의 높이가 넓어지게 형성되며, 간격 조절부(150)가 결합되도록 결합홈부(141e)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 플레이트(141f)는 결합 플레이트(141d)의 단부에서 양측이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결합턱(131)과 결합홈(132) 내부에 배치되어 제1,2 패널부(110)(120)를 양측으로 연결하며, 중앙부에는 수직 지지판(143)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 플레이트(141f)에는 수직 지지판(143)의 일단이 안착 결합되도록 중앙부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이루어진 안착홈(141g)이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 플레이트(141)는 지지 플레이트(141a), 삽이 플레이트(141c), 결합 플레이트(141d) 및 연결 플레이트(141f)가 일체로 이루어져 결합턱(131)과 결합홈(132)에 형성된 삽입홀(121)에 끼워져 결합턱(131)과 결합홈(132)의 사이에 개재되어 제1,2 패널부(110)(120)의 일단과 타단의 양측을 상호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 지지판(143)은 연결 플레이트(141f)의 중앙부에 형성된 안착홈(141g)에 결합되며, 제1,2 패널부(110)(120) 내부에서 연결 플레이트(141f)를 수직 방향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지지판(143a), 연장판(143b) 및 클립판(143c)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판(143a)는 결합턱(131)과 결합홈(132)의 내부 지면에 설치되도록 지면에 지지된다,
상기 연장판(143b)은 지지판(141a)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기립되며 연결 플레이트(141f) 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클립판(143c)은 연장판(143b)의 일단에서 안착홈(141g)에 안착 결합되도록 다단을 절곡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수직 지지판(143)은 지지판(141a),연장판(143b) 및 클립판(143c)이 일체로 형성되어, 제1,2 패널부(110)(120) 내부에서 연결 플레이트(141f)를 수직 방향으로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간격 조절부(150)는 제1,2 패널부(110)(120) 내부에 삽입되어 제1,2 패널부(110)(120)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으로, 결합핀(151)과 간격 조절핀(153)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핀(151)은 양단이 제1,2 패널부(110) 내부에 접촉되며, 양단이 하부로 절곡되 결합 플레이트(141d)의 결합홈부(141e)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결합핀(151)에는 결합 플레이트(141d)의 결합홈부(141e)에 결합될 수 있도록 슬릿홈(152)이 형성된다.
상기 간격 조절핀(153)은 제1,2 패널부(110)(120) 내부에 접촉된 양단이 상기 제1,2 패널부 (110)(120)내부로 연장 형성된다.
즉, 상기 간격 조절핀(153)은 양단이 제1,2 패널부(110)(120)의 내부에 접촉되어 제1,2 패널부 (110)(120)의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도 4는 도1 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방수턱 거푸집 구조체(100)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축물의 욕실, 베란다 등에 방수턱이 시공될 위치에 제1,2 패널부(110)(120)를 양측이 상호 대응되도록 배치시킨다.
상기 제1,2 패널부(110)(120)는 방수턱의 폭에 맞춰 제1,2 패널부(110)(120)의 폭을 조절하여 배치하고, 방수턱의 길이에 맞춰 제1,2 패널부(110)(120)를 복수개를 연결한다.
이때, 상기 제1,2 패널부(110)(120)는 일단과 타단에 각각 상호 대응되는 결합턱(131)과 결합홈(132)을 통해 일단과 타단이 상호 맞물려 결합되어 방수턱의 길이에 맞춰 제1,2 패널부(110)(120)의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그런 후, 상기 결합턱(131)과 결합홈(132) 사이에 형성된 삽입홀(121)에 의해 고정 플레이트(141)가 끼워져 결합되어 결합턱(131)과 결합홈(132)에 개재되어 제1,2 패널부(110)(120)의 일단과 타단의 양측을 상호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턱(131)과 결합홈(132)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결합턱(131)과 결합홈(132)의 외측으로 양단이 돌출된 고정 플레이트(141)의 지지 플레이트(141a)의 양측에 각각 지지핀(142)을 결합 시킨다.
이때, 상기 지지핀(142)은 결합턱(131)과 결합홈(132)의 외측에 돌출된 지지 플레이트(141a)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결합턱(131)과 결합홈(132)이 상호 벌어지지 않도록 결합홈(131)과 결합턱(132)의 외측을 길이 방향으로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 지지판(143)을 제1,2 패널부(110)(120) 내부에서 고정 플레이트(141)의 연결 플레이트(141f)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이때, 상기 수직 지지판(143)의 지지판(143a)이 지면에 위치되게 하고 연장판(143b)의 일단에서 연장 형성된 클립판(143c)을 연결 플레이트(141f)에 형성된 안착턱(141g)에 위치시켜 클립판(143c)을 안착턱(141g)에 고정시킨다.
즉, 상기 수직 지지판(143)은 지지판(143a)이 지면에 위치되어 지지된 상태로 클립판(143c)이 안착턱(141g)에 안착 결합되어, 제1,2 패널부(110)(120) 내부에서 연결 플레이트(141f)를 수직 방향으로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간격 조절부(150)를 고정 플레이트(141)의 결합 플레이트(141d)에 결합하여 제1,2 패널부(110)(120)의 폭의 길이를 체크한다.
이때, 상기 간격 조절부(150)의 결합핀(151)에는 슬릿홈(152)이 형성되어 삽입 플레이트(141d)의 결합홈부(141e)에 끼워져 결합된다,
그리고 간격 조절부(150)의 간격 조절판(153)의 양단은 제1,2 패널부(110)(120)의 내측 양단에 접촉된 상태로 시공될 방수턱의 폭의 길이를 정확하게 체크하고 폭의 길이에 맞춰 제1,2 패널부(110)(120)의 배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런 후, 상기 제1,2 패널부(110)(120)의 양단부는 별도의 마감 플레이트(미도시)를 통해 제1,2 패널부(110)(120)의 양단을 폐쇄하고, 연결 플레이트(141f)에 설치된 각각의 간격 조절부(150)를 제거 한 후 제1,2 패널부(110)(120)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때, 상기 제1,2 패널부(110)(120) 내부에는 복수 개의 철근을 배치한다.
즉, 상기 철근은 제1,2 패널부(110)(120) 내부에 타설된 콘크리트와 함께 양생되어 방수턱 거푸집 구조체(100)에서 양생된 방수턱을 보강하게 된다.
그리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콘크리트의 양생 기간을 거친 후에는 지지 플레이트(141a)의 결합홀(141b)을 통해 결합되어 결합턱(131)과 결합홈(132)의 외측을 지지하는 지지핀(142)을 제거하고, 결합턱(131)과 결합홈(132)을 통해 일단과 타단에 복수개가 연결된 제1,2 패널부(110)(120)를 양측을 분리한다.
상기 제1,2 패널부(110)(120)의 내부에서 양생된 방수턱의 외측면 양측으로 돌출된 고정 플레이트(141)는 별도의 도구를 가지고 절단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수턱 거푸집 구조체(100)의 제1,2 패널부(110)(120)는 일단과 타단에 형성된 연결 수단(130)을 통해 방수턱의 사이즈에 맞춰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제1,2 패널부(110)(120)를 연결하는 고정부(140) 및 제1,2 패널부(110)(120)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부(150)에 의해 시공 현장에서 방수턱의 사이즈에 맞춰 방수턱 거푸집 구조체(100)의 설치가 가능하여 방수턱의 시공 시 시공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방수턱을 시공 후 제1,2 패널부(110)(120)의 해체가 용이하며, 다른 시공 현장에서도 방수턱의 사이즈에 맞춰 제1,2 패널부(110)(120)의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방수턱을 시공 후 발생하는 건축 폐기물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제1,2 패널부(110)(120)는 해체가 용이한 결합 구조로 이루어져 제1,2 패널부(110)(120)의 해체 시 작업의 용이함을 제공하여 해체 작업에 따른 작업 기간을 단출 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0: 방수턱 거푸집 구조체 110: 제1 패널부
111: 삽입홀 120: 제2 패널부
121: 삽입홀 130: 연결 수단
131: 결합턱 132: 결합홈
140: 고정부 141: 고정 플레이트
141a: 지지 플레이트 141b: 결합홀
141c: 삽입 플레이트 141d: 결합 플레이트
141e: 결합홈부 141f: 연결 플레이트
141g: 안착홈 142: 지지핀
143: 수직 지지판 143a: 지지판
143b: 연장판 143c: 클립판
150: 간격 조절부 151: 결합핀
152: 슬릿홈 153: 간격 조절핀

Claims (5)

  1.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양측으로 상호 대응되게 배치되며, 일단과 타단에 각각 형성되는 연결 수단에 의해 복수 개가 일단과 타단에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2 패널부;
    상기 제1,2 패널부의 일단과 타단의 양측을 상호 연결하여 제1,2 패널부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유동을 방지하는 고정부; 및
    상기 제1,2 패널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2 패널부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제1,2 패널부의 일단과 타단이 상호 맞물려 결합되도록 상기 제1,2 패널부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상호 대응되는 결합턱과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결합턱과 결합홈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2 패널부의 일단과 타단의 양측을 상호 고정하며, 상기 결합턱과 결합홈이 맞닿은 일면과 타면에는 상기 고정부가 개재될 수 있도록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2 패널부의 일단과 타단의 일정 높이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턱과 결합홈에 형성된 삽입홀에 개재되어, 상기 제1,2 패널부의 일단과 타단의 양측을 상호 연결하며 양단이 상기 결합턱과 결합홈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결합턱과 결합홈의 외측에 돌출된 고정 플레이트의 양단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결합턱과 결합홈이 상호 벌어지지 않도록 상기 결합홈과 결합턱의 외측을 길이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핀; 및
    연결 플레이트의 중앙 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2 패널부 내부에서 상기 연결 플레이트를 수직 방향으로 지지하는 수직 지지판;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결합턱과 결합홈의 외측에서 양단이 돌출되어 상기 지지핀이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양단에서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와 하부의 높이가 좁혀지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턱과 결합홈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는 삽입 플레이트;
    상기 삽입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의 높이가 넓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간격 조절부가 결합되도록 결합홈부가 형성되는 결합 플레이트; 및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양측이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턱과 결합홈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2 패널부를 양측으로 연결하며, 중앙부에는 상기 수직 지지판이 결합되는 연결 플레이트;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는
    상기 결합턱과 결합홈의 외측을 길이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판이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는
    상기 수직 지지판의 일단이 안착 결합되도록 중앙부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이루어진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 지지판에는
    상기 결합턱과 결합홈의 내부 지면에 설치되도록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기립되며 상기 연결 플레이트 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판; 및
    상기 연장판의 일단에서 상기 안착홈에 안착 결합되도록 다단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클립판;
    을 포함하는 방수턱 거푸집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부는
    양단이 상기 제1,2 패널부 내부에 접촉되며, 양단이 하부로 절곡되어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결합홈부에 결합되는 결합핀; 및
    상기 제1,2 패널부 내부에 접촉된 양단이 상기 제1,2 패널부 내부로 연장 형성되는 간격 조절핀; 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핀에는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결합홈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슬릿홈이 형성되는 방수턱 거푸집 구조체.
KR2020160004857U 2016-08-22 2016-08-22 방수턱 거푸집 구조체 KR2004823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857U KR200482332Y1 (ko) 2016-08-22 2016-08-22 방수턱 거푸집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857U KR200482332Y1 (ko) 2016-08-22 2016-08-22 방수턱 거푸집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332Y1 true KR200482332Y1 (ko) 2017-01-23

Family

ID=57963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857U KR200482332Y1 (ko) 2016-08-22 2016-08-22 방수턱 거푸집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33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7231A (ko) 2017-07-12 2019-01-22 정기찬 방수턱 거푸집
CN110318536A (zh) * 2019-07-09 2019-10-11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反坎浇筑模具的安装方法
CN110434986A (zh) * 2018-05-02 2019-11-12 深圳市前海胜德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卫生间沉箱定型模板及其加固系统及施工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3062A (ja) * 1990-07-24 1992-03-17 Takeshige Shimonohara 型枠体の構造とその設置方法
JPH1037207A (ja) * 1996-07-18 1998-02-10 Shoji Matsuzawa 基礎コンクリート型枠装置と型枠連結具及び型枠固定具
KR200345038Y1 (ko) 2003-12-17 2004-03-18 전찬일 건축용 거푸집
KR200378153Y1 (ko) * 2004-12-06 2005-03-11 김영화 거푸집 연결구 어셈블리
KR101198711B1 (ko) * 2012-05-11 2012-11-12 고주재 콘크리트 블록 타설용 거푸집 보강을 위한 간격유지장치 및 이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3062A (ja) * 1990-07-24 1992-03-17 Takeshige Shimonohara 型枠体の構造とその設置方法
JPH1037207A (ja) * 1996-07-18 1998-02-10 Shoji Matsuzawa 基礎コンクリート型枠装置と型枠連結具及び型枠固定具
KR200345038Y1 (ko) 2003-12-17 2004-03-18 전찬일 건축용 거푸집
KR200378153Y1 (ko) * 2004-12-06 2005-03-11 김영화 거푸집 연결구 어셈블리
KR101198711B1 (ko) * 2012-05-11 2012-11-12 고주재 콘크리트 블록 타설용 거푸집 보강을 위한 간격유지장치 및 이 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7231A (ko) 2017-07-12 2019-01-22 정기찬 방수턱 거푸집
CN110434986A (zh) * 2018-05-02 2019-11-12 深圳市前海胜德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卫生间沉箱定型模板及其加固系统及施工方法
CN110434986B (zh) * 2018-05-02 2024-04-12 深圳市胜德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卫生间沉箱定型模板的加固系统及施工方法
CN110318536A (zh) * 2019-07-09 2019-10-11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反坎浇筑模具的安装方法
CN110318536B (zh) * 2019-07-09 2021-04-06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反坎浇筑模具的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2332Y1 (ko) 방수턱 거푸집 구조체
KR101564442B1 (ko) 방수턱 거푸집 고정구
KR101893218B1 (ko) 균열방지를 위한 응력분산장치
KR101327388B1 (ko) 휨 모멘트 및 정 모멘트 저항력 확대구조를 갖는 상하 2분할 조립식 피씨 구조물용 피씨 월
WO2017034354A1 (ko) 데크거푸집 고정 구조
KR20190017509A (ko) 콘크리트 균열방지구
KR101616302B1 (ko) 승강기 통로용 작업발판 고정대
KR101530877B1 (ko) 누수방지형 교량 신축이음장치
JP5538150B2 (ja) 住宅用基礎を形成するのに用いられる仮設材のための仮設材定規
KR100845459B1 (ko) 콘크리트 보 패널의 지지장치
JP2018003409A (ja) 型枠ユニット及び基礎断熱工法
KR200461500Y1 (ko) 방수턱 거푸집
KR20190089355A (ko) 거푸집 패널 조립용 연결패널 및 그 연결패널을 이용한 거푸집 패널 조립구조
KR100516848B1 (ko) 앵커 연결방식의 건축용 조립 거푸집 체결 구조
KR101381660B1 (ko) 거푸집용 간격 유지구
KR20130065941A (ko) 아치형 시스템 비계 및 시공방법
KR102000784B1 (ko) 방수턱 거푸집
KR101033530B1 (ko) 천장 거푸집 지지용 써포트의 안전키트
KR100942693B1 (ko) 건축구조물 시공을 위한 강재 거푸집 고정 및 보강구조
KR101514891B1 (ko) 슬래브 거푸집 구조
KR101834630B1 (ko) 슬래브거푸집의 지지장치
KR101179723B1 (ko) 거푸집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237740B1 (ko) 하향식 피난사다리 설치를 위한 바닥 개구부 형성용 거푸집 프레임
KR101210855B1 (ko) 표준형 주택용 거푸집
KR101078782B1 (ko) 트러스 신축이음 지지부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