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136Y1 - 개봉용이형 밀봉식 식품용기 - Google Patents

개봉용이형 밀봉식 식품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136Y1
KR200482136Y1 KR2020120005648U KR20120005648U KR200482136Y1 KR 200482136 Y1 KR200482136 Y1 KR 200482136Y1 KR 2020120005648 U KR2020120005648 U KR 2020120005648U KR 20120005648 U KR20120005648 U KR 20120005648U KR 200482136 Y1 KR200482136 Y1 KR 2004821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rib
container body
concave
sealing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56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260U (ko
Inventor
야 치엔 첸
Original Assignee
야 치엔 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 치엔 첸 filed Critical 야 치엔 첸
Publication of KR201300002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2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1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1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8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flange fitting over the rim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824Means for facilitating removing of the closure
    • B65D2543/00833Integral tabs, tongues, handles or simi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2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the lid and the hinge being made of one piece

Abstract

개봉용이형 밀봉식 식품용기에는 용기 몸체와 밀봉 커버가 포함된다. 용기 몸체의 주변 벽체에는 모서리 한 곳에 배치된 오목한 벽체 부분이 적어도 한 곳이 있어서 함몰 외부 공간 구역을 형성하고 오목한 벽체 부분과 가장자리 사이에는 오목 캠버가 있다. 당김 탭은 밀봉 리브의 바깥 쪽에서 연장되고 상기 오목 캠버에 삽입된다. 따라서, 밀봉 커버는 용기 몸체를 단단히 밀봉하고 사람 친화적인 조작 접점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힘을 들이지 않고 편리하게 식품용기를 열 수 있도록 해 준다.

Description

개봉용이형 밀봉식 식품용기{EASY-OPEN SEALING TYPE FOOD CONTAINER}
본 고안은 식품용기에 관련된 것으로 더 자세하게 말하면 밀봉효과가 월등하고 용기를 열기가 쉬운 개봉용이형 밀봉식 식품용기이다.
진공 몰딩으로 만든 박스, 컵, 바월형(bowel type) 플라스틱 용기는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데 적합하다.
젤리나 푸딩, 치즈 또는 기타 액상 식품을 보관하는 경우, 식품 용기는 배달이나 운반하는 동안 새지 않도록 충분하게 밀봉해야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식품용기(1)이다. 본 설계에 따르면, 식품용기(1)는 액상식품을 담는 용기 몸체(11)와 배달 중 누출을 방지해주는 용기 몸체의 위쪽 열리는 면을 밀봉하는 플라스틱 필름 또는 알루미늄 포일로 구성된다. 본 식품용기(1)는 1회용이며 다시 밀봉할 수 없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또 다른 식품용기 설계이다. 이 설계에 따르면, 식품용기(2)는 용기 몸체(21)와 용기 몸체에 힌지식으로 달린 커버(22)로 구성된다. 커버(22)에는 용기 몸체(21)의 림(rim)에서 돌출부(211)와 맞물리는 외면(periphery)에서 돌출된 리테이닝 러그(retaining rug, 221)가 있다. 본 식품용기(2)의 설계는 고형음식(23) 보존용으로 채택한 것이다. 액상식품 보관용으로 사용하려면, 리테이닝 러그(221)와 돌출부(211)를 열로 재밀봉해야 한다. 그러나 리테이닝 러그(221)와 돌출부(211)를 열로 재밀봉한 다음에는 용기를 열기가 어렵다. 포장된 식품을 섭취하려면, 이용자는 커터나 가위로 커버를 뜯어야 할 지도 모른다.
미국 특허 No. 6,056,138에서는 도 3과 도 4에서 도해한 “삼중밀봉 용기”라는 식품용기를 공개한다. 본 설계에 따르면, 식품용기(3)는 용기 몸체(31)와 뚜껑(32)으로 구성된다. 뚜껑(32)에는 용기 몸체(31)의 해당 테두리(311)와 짝이 되는 밀봉 테두리(sealing edge, 321)와 용기 몸체(31)의 테두리(311)에 잠글 수 있으며 밀봉 테두리(321)에서 돌출되는 잠금 가장자리(locking lip)가 있다. 이 식품용기 설계는 도 2에 나타낸 식품용기에 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나 여전히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단점이 있다.
1. 잠금 가장자리(322)는 용기 몸체(31)의 가장자리(311)의 아랫면에 걸린다. 뚜껑(32)을 열려면, 사용자는 용기 몸체(31)의 테두리(311)에서 잠금 가장자리(322)를 손가락으로 당겨야 한다. 용기 몸체(31)의 테두리(311)에서 잠금 가장자리(322)를 당기면, 용기 몸체(31)의 잠금 가장자리(322)나 테두리(311) 때문에 우발적으로 손가락을 다칠 수 있다.
2. 잠금 가장자리(322)는 뚜껑(32)이 용기 몸체(31)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뚜껑(32)과 용기 몸체(31)의 연결에 안정성을 보강해준다. 그러나 뚜껑(32)과 용기 몸체(31) 사이의 접촉면 구역(abutment surface area)(33)은 평면으로 접촉한다. 뚜껑(32)과 용기 몸체(31)는 진공 몰딩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벽은 두께가 얇다. 빈 틈이 없는 상태에서 뚜껑(32)과 용기 몸체(31) 사이의 접촉면 구역(33)을 유지하기에는 장력이나 강도가 충분하지 않다. 용기 몸체 (31)가 약하면, 뚜껑(32)과 용기 몸체(31) 사이의 접촉면 구역의 틈을 통해 담겨 있는 액체(35)가 식품용기(3)에서 새게 된다.
게다가, 인라인 플라스틱은 미국 특허 No. 7,118,003 “열림방지 용기(Tamper-resistant container)”에 따른 식품용기를 제공한다. 또 벨포드 플라스틱은 미국 특허 No. 5,507,406 “열림방지/개봉확인용 용기(Tamperproof/Tamper evident container)”를 제공한다. 더욱이 신흥초우(Hsin-Hung Chou)는 미국 특허 No. 6,883,678 “식품용기 밀봉구조”에 따른 식품용기를 공개한다.
전술한 종래기술을 사용하면 용기 몸체를 뚜껑으로 충분히 밀봉하여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식품용기 밀봉구조"는 본 고안자가 고안한 것이다. 이 설계에 따르면, 용기 몸체에는 주변 커플링 플랜지가 있고, 커버에는 이 용기 몸체를 밀봉하기 위해 용기 몸체의 커플링 플랜지에 결합되는 주변 커플링 플랜지가 있다. 용기 몸체의 커플링 플랜지는 수평부와 수직부에 각각 끊임 없이 이어지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수평부와 수직부에 각각 오목부가 끊임 없이 형성되는 커버의 커플링 플랜지는 용기 몸체의 끊임 없는 오목부와 각각 맞물린다. 이러한 설계 덕분에 밀봉 효과가 뛰어나다. 그러나 밀봉때문에 용기 몸체에서 커버를 열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밀봉 효과가 뛰어나고 열기 쉬운 음식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환경을 고려하여 달성해 왔다. 본 고안의 근본 목적은 사용자가 도구를 이용하지 않으면서 힘들이지 않고 편리하게 손가락으로 용기 몸체에서 밀봉된 커버를 열 수 있도록 해 주는 개봉이 용이한 밀봉식 식품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개봉이 용이한 밀봉식 식품용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한다. 용기 몸체의 주변 벽에는 모서리에 한 곳에 배치된 오목한 벽체(recessed wall) 부분이 적어도 한 개 있다. 이 부분은 오목한 벽체 부분과 가장자리(hem) 사이에 함몰된 외부 공간(retracted external space)을 정한다. 오목한 제3 밀봉 리브는 제1 밀봉 리브에서 연장된다. 바깥쪽 면에 배치된 테두리는 오목한 제3 밀봉 리브, 그리고 테두리(lip)와 가장자리(hem)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 캠버(concave camber)와 관련된다. 밀봉 커버는 밀봉 커버의 제3 밀봉 리브에 접촉하기 위해 제2 밀봉 리브에서 연장되는 제4 밀봉 리브와 제4 밀봉 리브의 바깥쪽 면에서 연장되고 앞에서 말한 오목 캠버에 삽입되는 당김 탭으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함몰 외부 공간구역은 몸체에서 밀봉 커버를 쉽게 열 수 있도록 사용자가 오목 캠버의 당김 탭을 잡은 채로 한 손의 손가락과 다른 손의 손가락으로 개방이 용이한 밀봉식 식품용기를 쥘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공개한 기술특성을 바탕으로, 밀봉 커버는 용기 몸체를 단단히 밀봉하고 사람 친화적인 조작 접점(interface)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힘을 들이지 않고 편리하게 식품용기를 열 수 있도록 해 준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식품용기의 개략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식품용기의 또 다른 설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US 6,056,138에 따른 식품용기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4는 도 3의 일부의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개방용이형 밀봉식 식품용기의 사면도(oblique opened view).
도 6은 닫힌 개방용이형 밀봉식 식품용기를 나타내는 본 고안의 투시도
도 7은 도 5의 선 7-7을 따라 축척을 확대하여 취한 단면도
도 8은 도 6의 선 8-8을 따라 축척을 확대하여 취한 단면도
도 9는 도 7의 선 9-9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0은 도 5의 선 10-10을 따라 축척을 확대하여 취한 단면도
도 11은 개방용이형 밀봉식 식품용기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는 본 고안의 개략도.
도 5 ~ 도11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개방용이형 밀봉식 식품용기(60)는 바닥 벽체(41)을 구성하는 용기 몸체(40), 이 바닥 벽체(41)의 가장자리에서 위쪽으로 연장되는 주변 벽체(42), 주변 벽체(42)의 윗 단면(top edge) 경계를 따라 연장되는 제1 밀봉 리브를 포함한다. 제 1 밀봉 리브 (43)는 제1 수평 밀봉면(43a)에서 위쪽으로 연장되는 제1 수직 밀봉면(43b)과 제1 수직 밀봉면(43b)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가장자리(44)로 구성된다.
도 9 및 도 10과 관련하여, 밀봉 커버(50)는 상부 벽체(top wall, 51)와 상부 벽체(51)의 경계를 따라 상부 벽체(51)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림(52), 제1 밀봉 리브(43)에 맞추기 위해 림(52) 둘레를 연장하는 제2 밀봉 리브(53)로 구성된다. 제2 밀봉 리브(53)는 제1 수평 밀봉면(43a)에 접촉하기 위한 제2 수평 밀봉면(53a), 제1 수직 밀봉면에 접촉하기 위한 제2 수직 밀봉면(53b), 제2 수직 밀봉면(53b)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플랜지 끝 (54)으로 구성된다.
도 7에서 도 10까지, 용기 몸체(40)의 하나의 모서리에 배치된 주변 벽체(42)에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한 벽체 부분(421)이 있으며 오목한 벽체 부분 (421)과 가장자리(44) 사이에 함몰 외부 공간구역을 정한다. 들어간 제3 밀봉 리브(43’)는 제1 밀봉 리브(43)에서 연장된다.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테두리(44’)는 오목한 제3 밀봉 리브(43’)와, 테두리(44’)와 가장자리(44) 사이에 형성된 오목 캠버(46)에 관련하여 바깥쪽 면에 배치된다. 밀봉 커버(50)는 밀봉 커버(50)의 제3 밀봉 리브(43’)에 접촉하기 위해 제2 밀봉 리브(53)에서 연장되는 제4 밀봉 리브(53’)와 제4 밀봉 리브(53’)의 바깥쪽 면에서 연장되고 앞에서 말한 오목 캠버(46)로 삽입되는 당김 탭(55)으로 구성된다.
도 7 및 도 8과 관련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개방용이형 밀봉식 식품용기(60)는 함몰 외부 공간구역(45)과 함몰 외부 공간구역(45)의 위쪽에 있는 오목 캠버(46)를 정하는 용기 몸체(40)로 구성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함몰 외부 공간구역(45)과 오목 캠버(46)는 양 손을 움직여 식품용기를 편하게 열 수 있는 조작 공간을 만들어 준다.
도 11과 관련하여, 밀봉 커버(50)를 여는 경우, 함몰 외부 공간구역(45)은 용기 몸체(50)에서 밀봉 커버(40)를 쉽게 열 수 있도록 사용자가 오목 캠버(46)의 당김 탭(56)을 잡은 채로 한 손의 손가락과 다른 손의 손가락으로 개방이 용이한 밀봉식 식품용기(60)를 쥘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의 경우, 도 7에 나타낸 테두리(44’)는 오목한 제3 밀봉 리브(43’) 및 테두리(44’)와 가장자리(44)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 캠버(46)에 관하여 바깥쪽 면에 배치된다.
이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용기 몸체(40)는 더 나아가 제1 밀봉 리브(43)와 제3 밀봉 리브(43’)로 둘러싸인 제1 밀봉 홈(431)과, 제1 수직 밀봉 면(43b)을 따라 연장되는 제2 밀봉 홈(432)로 구성된다. 더욱이, 밀봉 커버 (50)는 제2 수평 밀봉 면(53a)을 따라 연장되고 제1 밀봉 홈(431)과 맞물리도록 개조한 제1 맞물림 돌출부(engagement protrusion)(531)와 제2 밀봉홈(432)과 맞물리도록 개조한 제2 맞물림 돌출부(532)로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용기 몸체(40)와 밀봉 커버(50)에 연결된 힌지 부(56)는 용기 몸체 (40)에서 밀봉 커버(50)를 들어올리는 용도이다.
도 6과 관련하여, 밀봉 커버(50)에는 상부면에서 돌출된 고리모양 리브 (511)가 있다. 고리모양 리브(511)는 개방용이형 밀봉식 식품용기(60) 한 개의 고리모양 리브(511)를 또 다른 개방용이형 밀봉식 식품용기(60)에 삽입함으로써 복수의 개방이 용이한 밀봉식 식품용기(60)를 안정적으로 쌓아 배치할 수 있도록 축 방향으로 가면서 가늘어진다.
도 11과 관련하여, 당김 탭(55)은 크기가 오목 캠버(46)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오목 캠버(46)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밀봉 커버(50)의 주변에서 연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당김 탭(55) 아래의 오목 캠버(46)에 손가락을 넣은 다음 당김 탭(55)를 위로 당기면 용기 몸체(40)의 제3 밀봉 리브(43’)에서 제4 밀봉 리브(53’)가 풀리고, 그에 따라 적은 힘으로 용기 몸체(40)에서 밀봉 커버(50)를 열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은 개방용이형 밀봉식 식품용기(60)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식품용기(60)에는 용기 몸체(40)에서 밀봉 커버(50)를 들어 올릴 때 손가락을 쉽게 움직일 수 있는 조작 공간이 한쪽 모서리에 있어서 용기 몸체(40)의 제3 밀봉 리브(43’)에서 밀봉 커버(50)의 제4 밀봉 리브(53’)를 힘들이지 않고 풀 수 있다. 밀봉 커버(50)가 용기 몸체(40)에 밀착되는 경우, 밀봉 커버 (50)의 제4 밀봉 리브(53’)는 용기 몸체(40)의 제3 밀봉 리브(43’)와 밀봉되어, 밀봉식 식품용기(60)는 충분하게 둘러싸이고 누출은 방지된다.
도해를 목적으로 특정한 고안의 실체를 자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여러 가지 개선과 보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첨부한 청구항에 의한 것을 제외하고 본 고안은 제한되지 않는다.
41 ... 바닥 벽체 40 ... 용기 몸체
42 ... 주변 벽체 43 ... 제 1 밀봉 리브
43a ... 제1 수평 밀봉면 43b ... 제1 수직 밀봉면
44 ... 가장자리 46 ... 오목 캠버
421 ... 오목한 벽체 부분 43’... 제3 밀봉 리브
431 ... 제1 밀봉 홈 432 ... 제2 밀봉 홈
44’... 테두리 45 ... 외부 공간구역
46 ... 오목 캠버
50 ... 밀봉 커버 51 ... 상부 벽체(top wall, 51)
511 ... 고리모양 리브
52 ... 림 53 ... 제2 밀봉 리브
53’ ... 제4 밀봉 리브
53a ... 제2 수평 밀봉면 53b ... 제2 수직 밀봉면
54 ... 플랜지 끝 55 ... 당김 탭
531 ... 제1 맞물림 돌출부 532 ...제2 맞물림 돌출부
56 ... 힌지 부
60 ... 밀봉식 식품용기

Claims (4)

  1. 바닥 벽체(41), 상기 바닥 벽체의 경계에서 위쪽으로 연장되는 주변 벽체(42), 상기 주변 벽체의 윗 단면의 경계를 따라 연장하는 제1 밀봉 리브(43), 제1 수평 밀봉면(43a)과 상기 제1 수평 밀봉면에서 위쪽으로 연장되는 제1 수직 밀봉면(43b), 상기 제1 수직 밀봉면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가장자리(hem)로 구성되는 상기 제1 밀봉 리브로 구성되는 용기 몸체(40);와,
    상부 벽체(51)와, 상기 상부 벽체의 경계를 따라 상기 상부 벽체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림(52)과, 상기 림 둘레를 연장하여 상기 제1 밀봉 리브(43)에 맞추는 제2 밀봉 리브(53)로 구성되는 밀봉 커버(50);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밀봉 리브(53)는 상기 제1 수평 밀봉면에 접촉하기 위한 제2 수평 밀봉면(53a)과, 상기 제1 수직 밀봉면에 접촉하기 위한 제2 수직 밀봉면(53b)과, 상기 제2 수직 밀봉면에서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플랜지 끝(54b)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 몸체의 상기 주변 벽체(42)에는,
    한쪽 모서리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한 벽체 부분(421)과,
    상기 오목한 벽체 부분과 상기 가장자리(hem) 사이에 함몰 외부 공간구역(45)을 한정하고,
    상기 제1 밀봉 리브에서 연장된 오목한 제3 밀봉 리브(43’)와,
    상기 오목한 제3 밀봉 리브(43’)와 관련하여 바깥쪽 면에 배치된 테두리(lip,44’)와,
    상기 테두리(44’)와 상기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된 오목 캠버(46)가 있고,
    상기 밀봉 커버(50)는, 상기 밀봉 커버의 상기 제3 밀봉 리브에 접촉하기 위해 상기 제2 밀봉 리브에서 연장되는 제4 밀봉 리브(53’)와, 제4 밀봉 리브의 바깥쪽에서 연장되고 상기 오목 캠버로 삽입되는 당김 탭(5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용이형 밀봉식 식품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가 상기 제1 밀봉 리브 및 상기 제3 밀봉 리브로 둘러싸인 제1 밀봉홈과 상기 제1 수직 밀봉면을 따라 연장하는 제2 밀봉홈으로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밀봉 커버는 상기 제2 수평 밀봉면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제1 밀봉홈과 맞물리도록 개조한 제1 맞물림 돌출부, 그리고 상기 제2 밀봉홈과 맞물리도록 개조한 제2 맞물림 돌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용이형 밀봉식 식품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용이형 밀봉식 식품용기는, 상기 밀봉 커버와 상기 용기 몸체의 후면부를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용이형 밀봉식 식품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커버는 추가로 상부 벽체에서 돌출되는 고리모양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용이형 밀봉식 식품용기.
KR2020120005648U 2011-07-01 2012-06-29 개봉용이형 밀봉식 식품용기 KR20048213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0212051U TWM424900U (en) 2011-07-01 2011-07-01 Sealed food container convenient to open
TW100212051 2011-07-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260U KR20130000260U (ko) 2013-01-09
KR200482136Y1 true KR200482136Y1 (ko) 2016-12-19

Family

ID=46462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5648U KR200482136Y1 (ko) 2011-07-01 2012-06-29 개봉용이형 밀봉식 식품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178354U (ko)
KR (1) KR200482136Y1 (ko)
TW (1) TWM424900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741Y1 (ko) * 2021-10-22 2024-02-15 천-슈안 리 박스체와 상부 덮개의 걸림 개방 방지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5874A (ja) * 2002-03-28 2003-10-07 Meisei Sansho Kk 包装容器
JP2011507777A (ja) * 2007-12-31 2011-03-10 ポップパック エルエルシー 破裂可能縁部気泡を有する剛性の保持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362U (ko) * 1998-02-24 1999-05-25 이향제 캔을 쉽게 열 수 있는 구조
EP1651532B1 (en) * 2003-07-21 2008-09-10 Inline Plastics Corporation Container with tamper-evident fea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5874A (ja) * 2002-03-28 2003-10-07 Meisei Sansho Kk 包装容器
JP2011507777A (ja) * 2007-12-31 2011-03-10 ポップパック エルエルシー 破裂可能縁部気泡を有する剛性の保持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78354U (ja) 2012-09-13
KR20130000260U (ko) 2013-01-09
TWM424900U (en) 201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0505B1 (en) Easy-open sealing type food container
US9359113B2 (en) Tamper-proof and easy-open sealing type food container
US9387962B2 (en) Resealable container with collar and lid
US10065771B2 (en) Container lid having selectively coverable access opening
US9505534B2 (en) Resealable container with collar and lid
US9527633B2 (en) Tamper-proof and easy-open sealing type food container
US20130081364A1 (en) Container Assembly
US7694845B2 (en) Removable and reclosable lid for jar for a food product
US8074830B2 (en) Reclosable container and closure therefor
US10759571B2 (en) Container for produce storage, packing and transport
CN109415142B (zh) 具有堆叠构件的包装容器
US20170101229A1 (en) Lid structure for container
US20190106247A1 (en) Container and lid assembly
CA2925502A1 (en) Container and lid assembly
US10329064B2 (en) Tray with re-closeable lid
KR200482136Y1 (ko) 개봉용이형 밀봉식 식품용기
JP2004001884A (ja) 容器の蓋
JP3069609U (ja) 食品収納用容器
US11524819B2 (en) Leak-proof press-fit sealed container
JP3544151B2 (ja) 嵌合型遮光容器
CA2888872A1 (en) Container and lid assembly
NZ720784B2 (en) Resealable container with collar and lid
NZ713362B2 (en) Resealable container with collar and l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