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076Y1 - 회전 선반을 구비한 침대 조리체 - Google Patents

회전 선반을 구비한 침대 조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076Y1
KR200482076Y1 KR2020160000425U KR20160000425U KR200482076Y1 KR 200482076 Y1 KR200482076 Y1 KR 200482076Y1 KR 2020160000425 U KR2020160000425 U KR 2020160000425U KR 20160000425 U KR20160000425 U KR 20160000425U KR 200482076 Y1 KR200482076 Y1 KR 2004820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curved surface
bed
fixed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4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동혁
Original Assignee
권동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동혁 filed Critical 권동혁
Priority to KR20201600004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0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0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0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2Combinations of bedsteads with other furniture or with accessories, e.g. with bedside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9/00Bedside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5/00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 A47B85/06Tables convertible otherwi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5/00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 A47B85/08Convertible cup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52Cabinet beds; Table beds, or like beds; Wardrobe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86Parts or details for beds, sofas or couches only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A47C17/02, A47C17/04, A47C17/38, A47C17/52, A47C17/64, or A47C17/84; Drawers in or under be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침대; 상기 침대의 일측에 설치된 수납장; 상기 수납장의 상부 표면상에 고정된 고정 선반; 상기 수납장의 상부 표면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 선반에 대하여 180 도의 각도로 배치되는 위치와 상기 고정 선반에 대하여 180 도 보다 작은 각도로 배치되는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 선반; 및, 상기 회전 선반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회전 선반의 저부와 상기 수납장의 상부 표면 사이에 설치된 베어링;을 구비하는 침대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침대 조립체는 사용자가 침대에 눕거나 앉은 상태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선반을 구비한다. 상기 선반은 수납장에 겹쳐지는 위치로부터 사용자가 이용하기 편리한 위치로 회전 가능하므로, 사용상의 편리성 및 기능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미감을 손상시키지 않는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회전 선반을 구비한 침대 조리체{Bed Assembly With Rotating Shelf}
본 고안은 침대 조립체에 관한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 선반 및 수납장이 구비된 침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침대는 수면을 취하거나 누워서 쉬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그러나 실제에 있어서 침대는 편히 앉아 있거나 또는 반쯤 누워 있는 상태에서 모종의 작업을 수행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들은 침대 위에 간이 테이블을 둔 상태에서 노트북 콤퓨터로 작업을 하거나 독서를 하는 경우도 있다.
한편,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나 환자의 경우에 침대를 벗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음식물을 섭취하거나 간식을 섭취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식품이 담긴 용기등을 배치하기 위하여 간이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병원의 환자용 침대에는 간이 테이블이 설치함으로써 환자의 편의성을 도모한다.
등록 특허 10-1536867 호에 따르면, 환자용 침대의 휴대형 전자 기기 받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도 1 은 상기 등록 특허에 따른 전자 기기 받침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 받침대를 구비한 침대는, 매트리스(12)를 받치는 침대프레임(10), 상기 침대프레임(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선반(16)으로 된 환자용 침대의 휴대형 전자기기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선반(16)의 상면에 안착하는 받침대(20)에 의해 휴대형 전자기기(H)를 받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받침대(20)는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침대에서는 선반(16)이 회동 아암(14)에 의하여 힌지(18)를 통해 침대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회동 아암(14)을 회전시켜서 선반(16)을 사용 위치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수납된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된 침대는 선반(16)을 수평 위치와 수직 위치 사이에서 회전시키므로,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나 환자가 선반(16)을 조작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반(16)은 회동 아암(14)을 이용하여 철제 프레임(1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회동 아암(14) 및 철제 프레임(16)에서 강성이 요구되며, 따라서 제작이 용이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회전 선반을 구비한 침대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상의 편의성 및 기능성이 향상되고, 미감을 손상시키지 않는 회전 선반을 구비한 침대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작 및 사용이 간단한 회전 선반을 구비한 침대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르면,
침대;
상기 침대의 일측에 설치된 수납장;
상기 수납장의 상부 표면상에 고정된 고정 선반;
상기 수납장의 상부 표면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선반; 및,
상기 회전 선반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회전 선반의 저부와 상기 수납장의 상부 표면 사이에 설치된 베어링;을 구비하는 침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회전 선반은 상기 고정 선반에 대하여 180도의 각도로 배치되는 위치와 회전시 상기 고정 선반에 대하여 180도 보다 작은 90도 각도로 배치되는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며, 상기 회전 선반의 일 단부에는 곡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 선반의 곡면부에 대향하는 상기 고정 선반의 일 단부에는 대응 곡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조립체를 마련함에 의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전 선반의 곡면부는 R1 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볼록 곡면 및, R2 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오목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선반의 대응 곡면부는 R1 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오목 곡면 및, R2 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볼록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R1 의 곡률 반경 보다 R2 의 곡률 반경이 크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전 선반의 두께 및 상기 베어링의 두께의 합이 상기 고정 선반의 두께와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침대 조립체는 사용자가 침대에 눕거나 앉은 상태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회전 선반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 선반은 수납장에 겹쳐지는 위치로부터 사용자가 이용하기 편리한 위치로 회전 가능하므로, 사용상의 편리성 및 기능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미감을 손상시키지 않는 장점을 가진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침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2 에 도시된 회전 선반 및 고정 선반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 조립체의 실제 모습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침대 조립체의 회전 선반의 곡면부와 고정 선반의 대응 곡면부를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선반을 구비한 침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침대 조립체는 침대(100)와, 상기 침대(100)의 일측에 설치된 수납장(120)과, 상기 수납장(120)의 상부 표면상에 고정된 고정 선반(135) 및 상기 수납장(120)의 상부 표면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선반(130)을 구비한다.
침대(100)는 그 어떤 종류의 통상적인 침대일 수 있다. 침대(100)는 프레임(111) 및 상기 침대(100)의 상부에 배치된 매트리스(112)를 구비할 수 있다. 프레임(111)에는 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미도시)은 매트리스(112)의 하부에 배치되어 매트리스(112)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침대(100)의 일측에는 수직 쿠션부(111)가 구비될 수 있다.
수납장(120)에는 다양한 구성의 수납칸(121)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납장(120)에는 동일한 크기를 가진 4 개의 수납칸(1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칸(121)에는 다양한 물품이 수납되거나 진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 책, 침구들이 상기 수납칸(121)에 수납될 수 있으며, 장식품이나 소도구가 비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수납칸(121)은 일면이 개방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으나,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예에서 수납칸(121)에는 도어(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도어(미도시)는 여닫이 방식 또는 미닫이 방식의 도어일 수 있다. 또한 수납칸(121)에 서랍(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수납장(120)의 상부에는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 고정 선반(135)이 구비되며, 또한 회전 선반(13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고정 선반(135)과 회전 선반(130)은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 상부 표면이 연속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진다. 회전 선반(130)이 회전하면 고정 선반(135)에 대하여 각도를 형성한다.
회전 선반(130)이 수납장(120)의 상부 표면에 겹쳐진 상태에서는 회전 선반(130)과 고정 선반(135)이 서로 180도 각도 위치를 가진다. 회전 선반(130)이 회전된 위치에서는 회전 선반(130)과 고정 선반(135) 사이에 180도보다 작은 90도 각도가 형성된다.
회전 선반(130)의 폭(W1)은 수납장(120)의 상부 표면의 폭(WO)과 동일하며, 회전 선반(130)의 길이(L1)는 수납장(120)의 상부 표면의 길이(LO)보다 작다. 회전 선반(130)의 길이(L1)는 수납장(120)의 상부 표면의 길이(LO)의 대략 절반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회전 선반(130)의 길이(L1)와 고정 선반(135)의 길이의 합은 고정 선반(135)의 길이(LO)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회전 선반(130)이 고정 선반(135)에 대하여 직각인 위치로 회전되었을 때, 회전 선반(130)의 단부가 침대(100)의 상부 표면을 벋어나지 않도록 회전 선반(130)의 길이(L1)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회전 선반(130)을 수납장(120)의 상부 표면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수납장(120)의 상부 표면과 회전 선반(130)의 하부 표면 사이에 베어링(140)이 설치된다. 베어링(140)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예를 들어 상부 디스크와 하부 디스크 사이에 롤러 또는 볼이 배치된 베어링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부 디스크는 회전 선반(130)의 하부 표면에 고정되고, 하부 디스크는 수납장(120)의 상부 표면에 고정됨으로써, 회전 선반(130)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수납장(120)의 상부 표면에는 회전 선반(13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23)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123)는 회전 선반(130)이 수납장(120)의 상부 표면과 겹쳐지는 위치로 회전 복귀하였을 때, 회전 선반(130)의 저부를 지지한다.
회전 선반(130)이 고정 선반(135)을 대향하는 단부에는 곡면부(130a)가 형성된다. 또한 회전 선반(130)의 상기 곡면부(130a)에 대응하는 대응 곡면부(135a)가 고정 선반(135)에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선반(130)에 형성된 곡면부(130a)는 전체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일부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 선반(130)에 형성된 곡면부(130a)에 대응하여, 고정 선반(135)에 형성된 대응 곡면부(135a)는 전체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일부가 볼록하게 형성된다.
상기 곡면부(130a) 및 대응 곡면부(135a)의 곡면 형상에 의하여, 상기 회전 선반(130)이 회전할 때 회전 선반(130) 및 고정 선반(135)의 상호 대향하는 단부가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회전 선반(130)의 상부 표면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유형의 물품이 놓일 수 있으며, 다양한 목적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책이 놓일수 있고, 침대에 앉아 독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노트북 콤퓨터를 회전 선반(30)의 상부 표면에 배치하고, 노트북 콤퓨터를 통해 웹서핑을 하거나, 영화를 감상하거나 또는 문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회전 선반(130)의 상부 표면에 식기를 배치하고 식사를 하거나, 또는 간식을 섭취할 때 회전 선반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 은 회전 선반과 고정 선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회전 선반(13)의 두께는 T1 으로 표시되어 있고, 고정 선반(135)의 두께는 T2 로 표시되어 있다. 회전 선반(13)의 두께(T1)는 고정 선반(135)의 두께(T2)보다 얇게 형성된다. 회전 선반(130)의 하부에 베어링(140)이 설치되므로, 베어링(140)의 두께와 회전 선반(130)의 두께(T1)의 합이 고정 선반(135)의 두께(T2)와 같도록 구성함으로써, 회전 선반(130)의 상부 표면과 고정 선반(135)의 상부 표면이 동일 평면상에 놓이게 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회전 선반(130)의 곡면부(130a)는 볼록 곡면 및 오목 곡면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곡면부(130a)의 볼록 곡면의 원주 길이는 상기 오목 곡면의 원주 길이 보다 길다. 이에 대응하여, 고정 선반(135)의 곡면부(135a)도 볼록 곡면 및 오목 곡면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회전 선반(130)의 곡면부(130a)에 대응하도록 상기 곡면부(135a)의 오목 곡면의 원주 길이는 볼록 곡면의 원주 길이 보다 길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회전 선반(130)의 곡면부(130a)에는 R1 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볼록 곡면 및, R2 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오목 곡면이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고정 선반(135)의 대응 곡면부(135a)에는 R1 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오목 곡면 및 R2 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볼록 곡면이 형성된다.
곡률 반경(R1)의 중심은 베어링(140)의 중심과 일치한다. R1 보다 R2 가 크며, R1 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곡면부(130a) 및 대응 곡면부(135a)의 원주 길이는 R2 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곡면부(130a) 및 대응 곡면부(135)의 원주 길이보다 길다.
위에 설명된 회전 선반(130)의 곡면부(130a) 및 고정 선반(135)의 대응 곡면부(135a)의 형상에 의하여, 회전 선반(130)의 회전시에 회전 선반(130)의 단부 및 고정 선반(135)의 상호 간섭이 배제된다.
또한, 회전 선반(130)과 고정 선반(135)이 서로 일직선상으로 배치되었을 때 회전 선반(130)의 단부 및 고정 선반(135)의 단부 사이에서 연속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회전 선반(130)의 단부 및 고정 선반(135)의 단부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간극만을 가지면서 선반(130,135)의 평면이 연속되므로, 기능성 및 미감이 보장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 조립체의 실제 외관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회전 선반이 수납장의 상부 표면에 겹쳐진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5 에는 회전 선반이 수납장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벗어나서 매트리스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 에는 회전 선반과 고정 선반의 곡면부가 서로 대향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회전 선반과 고정 선반이 서로에 대하여 180 도의 각도로써 길이 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고 있을 경우에 회전 선반의 곡면부와 고정 선반의 대응 곡면부는 서로 대향하며, 그 사이의 간극은 매우 협소하여 평면의 미감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한 곡면부와 대응 곡면부 각각은 볼록 곡면 및 오목 곡면의 조합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회전 선반의 회전시에 서로에 대하여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100. 침대 112. 매트리스
120. 수납장 121. 수납칸
130. 회전 선반 135. 고정 선반
130a. 곡면부 135a. 대응 곡면부

Claims (4)

  1. 침대;
    상기 침대의 일측에 설치된 수납장;
    상기 수납장의 상부 표면상에 고정된 고정 선반;
    상기 수납장의 상부 표면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선반; 및,
    상기 회전 선반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회전 선반의 저부와 상기 수납장의 상부 표면 사이에 설치된 베어링;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 선반은 상기 고정 선반에 대하여 180도의 각도로 배치되는 위치와 회전시 상기 고정 선반에 대하여 180도 보다 작은 90도 각도로 배치되는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며, 상기 회전 선반의 일 단부에는 곡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 선반의 곡면부에 대향하는 상기 고정 선반의 일 단부에는 대응 곡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 선반의 곡면부는 R1 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볼록 곡면 및, R2 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오목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선반의 대응 곡면부는 R1 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오목 곡면 및, R2 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볼록 곡면을 포함하는 회전 선반을 구비한 침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R1 의 곡률 반경 보다 R2 의 곡률 반경이 큰 것이며,
    상기 회전 선반의 두께 및 상기 베어링의 두께의 합이 상기 고정 선반의 두께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선반을 구비한 침대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60000425U 2016-01-25 2016-01-25 회전 선반을 구비한 침대 조리체 KR2004820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425U KR200482076Y1 (ko) 2016-01-25 2016-01-25 회전 선반을 구비한 침대 조리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425U KR200482076Y1 (ko) 2016-01-25 2016-01-25 회전 선반을 구비한 침대 조리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076Y1 true KR200482076Y1 (ko) 2016-12-12

Family

ID=57571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425U KR200482076Y1 (ko) 2016-01-25 2016-01-25 회전 선반을 구비한 침대 조리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076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1966A (ja) * 2000-09-28 2002-04-09 France Bed Co Ltd 家具用テーブル装置
JP2006223738A (ja) * 2005-02-21 2006-08-31 Midori Anzen Co Ltd ベッドテーブル
JP2010516540A (ja) * 2007-01-19 2010-05-20 ルノー・エス・アー・エス テーブル形成部材を有する折り重ね式背部を備える自動車の座席、及びそのような座席を有する自動車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1966A (ja) * 2000-09-28 2002-04-09 France Bed Co Ltd 家具用テーブル装置
JP2006223738A (ja) * 2005-02-21 2006-08-31 Midori Anzen Co Ltd ベッドテーブル
JP2010516540A (ja) * 2007-01-19 2010-05-20 ルノー・エス・アー・エス テーブル形成部材を有する折り重ね式背部を備える自動車の座席、及びそのような座席を有する自動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56962A1 (en) Multi-functional table
WO2006135931A1 (en) Furniture
KR200413830Y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를 갖춘 책상.
KR200482076Y1 (ko) 회전 선반을 구비한 침대 조리체
US4015298A (en) Tiltable headboard
KR200386295Y1 (ko) 독서대 기능을 갖는 열람대
JP3205550U (ja) 移動式卓上設置台
KR200495398Y1 (ko) 휴대용 독서대
JPH10215980A (ja) テーブル付ソファ
KR20220008566A (ko) 침대 어셈블리
US20130229094A1 (en) Modular desk
KR200172838Y1 (ko) 침대
KR200377293Y1 (ko) 접철식 탁자
KR200384828Y1 (ko) 경대를 구비한 서랍장
CN217792043U (zh) 一种床头柜
KR20140004551U (ko) 다기능 소파
KR200191457Y1 (ko) 독서대
US11647843B2 (en) Multifunctional sofa
JP2001269227A (ja) 机構造体
JP2005103021A (ja) 椅子
KR200463914Y1 (ko) 독서대 기능을 갖는 침대
KR20100004052U (ko) 가변형의 다용도 접이식 침대
KR20110000249U (ko) 침대가 구비된 다용도 책장
KR200255704Y1 (ko) 책상 겸용 침대
KR200142179Y1 (ko) 병원침대용 책상겸용 다용도 독서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