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023Y1 - 시술용 슬리브 앵커 - Google Patents

시술용 슬리브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023Y1
KR200482023Y1 KR2020160004712U KR20160004712U KR200482023Y1 KR 200482023 Y1 KR200482023 Y1 KR 200482023Y1 KR 2020160004712 U KR2020160004712 U KR 2020160004712U KR 20160004712 U KR20160004712 U KR 20160004712U KR 200482023 Y1 KR200482023 Y1 KR 2004820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body
anchor
bone
suture
insertion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7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정완
손정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알씨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알씨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알씨코리아
Priority to KR20201600047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0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0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023Y1/ko
Priority to PCT/KR2017/001017 priority patent/WO2018034398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09Instruments for applying suture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46Means for attaching and blocking the suture in the suture anchor
    • A61B2017/0448Additional elements on or within the anch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46Means for attaching and blocking the suture in the suture anchor
    • A61B2017/0454Means for attaching and blocking the suture in the suture anchor the anchor being crimped or clamped on the su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64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for soft tiss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Rheumat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상된 연조직을 골과 고정하기 위한 슬리브 앵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봉합사의 당김에 의해 골 내부에 삽입된 앵커 바디의 원형부 및 직선날개부를 이루는 오메가형상의 형성이 용이하여 골 내부에 앵커 바디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는 슬리브 앵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술용 슬리브 앵커{Omega knot type sleeve anchor}
본 고안은 손상된 연조직을 골과 고정하기 위한 슬리브 앵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힘줄, 인대나 근육과 같은 연조직에 손상(파열)이 발생하거나 연조직이 끊어진 경우에는 손상된 부분의 연조직을 골(bone)에 부착 및 고정하여 치료하는 수술 방법이 사용된다.
예컨대, 스포츠나 레져 인구의 증가에 따라 회전근 개(rotator cuff) 파열로 진단되어 수술을 받는 경우 손상된 부위를 제거한 후 정상인 회전근 개를 골에 고정하여 치료한다.
이때, 회전근 개와 같은 연조직을 골에 고정하도록, 골에 구멍을 뚫어 앵커를 박고, 앵커에 연결된 봉합사를 연조직에 묶음으로써 연조직을 골에 부착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한국공개특허 제2015-0136707호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5-0126855호 등과 같이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형상의 앵커를 뼈에 볼트 결합을 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골밀도 등의 차이에 따라 뼈에 형성된 나사산과 앵커에 형성된 나사산이 정확히 일치하지 못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앵커가 느슨해지고, 봉합사 역시 느슨해지면서 연조직을 견고하게 붙잡아 주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수술용 드릴을 이용하여 뼈에 나사공을 형성하기 어렵고, 의사가 수술용 드라이버로 앵커를 볼트 체결하는 동안 거부감을 느끼며, 환자의 입장에서도 금속 재질의 앵커에 따른 이질감을 느끼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출원인은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634796호(공고일:2016.06.29)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였으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중공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앵커 몸체에 제1 및 제2관통공을 천공형성하여 앵커 몸체에 삽입된 봉합사가 외부로 인출되되 관 형상의 앵커 몸체를 골에 삽입 후 봉합사를 잡아당기면 원형부와 직선 날개부를 포함하는 오메가(Ω) 형상으로 변형이 되면서 걸림 동작이 일어나도록 하여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앵커 몸체는 봉합사가 관통되는 관통공들이 앵커 몸체 어느 일면에만 형성되어 있어 봉합사의 당김에 의해 걸림 동작을 실행시 전체적인 오메가 형상이 일그러져(특히 원형부) 직선 날개부의 걸림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봉합사의 당김에 의해 골 내부에서 앵커 몸체가 오메가 형상을 형성시에 그 원형이 일그러지지 않게 유지되어 골과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는 슬리브 앵커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시술용 슬리브 앵커는 선단에서 후단까지 20±4[mm] 범위의 길이를 갖되 양측과 연통되게 길이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봉합사의 당김에 의해 골 내부에서 고정되는 앵커 바디 및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게 상기 앵커 바디 전면과 후면에 다수 절개 형성되거나 또는 소정지름을 갖도록 천공형성되어 상기 봉합사가 상기 앵커 바디 외부에서 상기 중공부 내부로 반복삽입되며, 상기 봉합사의 당김에 의해 상기 앵커 바디가 오메가형상을 이루어 골 내부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관통부는 상기 앵커 바디 전면 양측 끝단에서 각각 2±2[mm] 범위에서 이웃하게 한 쌍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1삽입공, 한 쌍의 상기 제1삽입공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앵커 바디에 한 쌍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되 각각의 상기 제1삽입공과 2±2[mm] 범위에서 이웃하도록 형성되는 제2삽입공, 각각의 상기 제1삽입공과 서로 대향되게 상기 앵커 바디 후면에 한 쌍이 형성되되 각각 상기 앵커 바디 양끝단에서 2±2[mm] 범위에서 이웃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3삽입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통부는 한 쌍의 상기 제2삽입공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앵커 바디 전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4삽입공을 더 포함하되, 상기 앵커 바디 전면 양끝단에서 각각 9±0.5[mm] 또는 11±0.5[mm] 범위의 위치에 한 쌍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봉합사의 당김에 의해 골 내부에 삽입된 앵커 바디의 원형부 및 직선날개부를 이루는 오메가형상의 형성이 용이하여 골 내부에 앵커 바디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슬리브 앵커를 나타낸 사용상태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시술용 슬리브 앵커의 전/후면 및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대한 봉합사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전체길이가 20[mm]인 본 고안에 따른 시술용 슬리브 앵커의 관통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전체길이가 24[mm]인 본 고안에 따른 시술용 슬리브 앵커의 관통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2에 따른 골 내부에서 오메가형상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시술용 슬리브 앵커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술용 슬리브 앵커(이하, 간략하게 '앵커'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앵커(100)는 크게 앵커 바디(110) 및 관통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관통부(120)는 앵커 바디(110) 외면에 소정길이로 절개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소정지름을 갖는 관통공(미도시)의 형상을 갖도록 천공형성되거나 '+', 'X' 및 '*'자 형태로 절개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관통공의 지름은 적어도 봉합사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더 작은 지름을 형성하여 앵커 바디(110)에 삽입된 봉합사(200)가 시술자의 의도에 상관없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는 앵커 바디(110)의 선단에서 후단까지의 전체길이가 20[mm]이되 그 외경이 1.5[mm]이거나 또는 전체길이가 24[mm]이되 그 외경이 2.9[mm]인 것을 도시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다.
본 고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앵커 바디(1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삽입된 봉합사(200)와 함께 삽입기구를 통해 구멍이 형성된 골 내부에 삽입되어 골에 손상된 연조직을 고정하는 앵커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앵커 바디(110)는 골에 삽입된 상태에서 시술자의 외력에 의해 봉합사(200)의 당김에 의해 내부에서 오메가 형상의 외형변화로 인하여 앵커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하여, 인대나 근육과 같은 연조직 손상에 따른 시술이 요구시에 골 내부에서 고정된 앵커 바디(110)의 봉합사를 통해 손상된 연조직과 골 간의 고정을 유도하여 시술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앵커 바디(110)는 인체에 무해한 연성(탄성 포함)의 재질로 소정길이를 갖도록 성형하되 내부에는 중공부(11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앵커 바디(110)의 전체길이는 앵커 바디(110)를 골 내부에 삽입하여 시술자의 외력에 의해 봉합사(200)가 당겨져 앵커 바디(110)가 오메가 형상의 형태로 변화시에 즉, 상기 앵커 바디(110)가 호(弧) 형상으로 굴곡진 원형부 및 상기 원형부 양측 끝단에 직선날개부를 형성하되 상기 직선날개부가 골 내면에 걸려 바깥쪽으로 구부러지면서 앵커 바디(110)가 전체적으로 오메가(Ω) 형상을 이루어 골 내부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20[mm] 또는 24[mm]이고, 그 외경은 1.5[mm] 또는 2.9[mm]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 참조)
또한 상기 관통부(1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앵커 바디(110)의 전/후면에 각각 절개 또는 소정지름을 갖도록 천공형성되어 봉합사(200)가 앵커 바디(110) 외부에서 중공부(111)를 거쳐 복수 회로 관통삽입되어 골 내부에 삽입된 앵커 바디(110)가 오메가 형상을 이루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 내지 제4삽입공(127)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하기에는 앵커 바디(110)의 전체길이가 20[mm]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제1삽입공(121)은 중공부(111)와 연통되게 앵커 바디(110) 전면에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절개 형성되되 앵커 바디(110) 양끝단에서 2±2[mm] 이웃하게 형성되어 앵커 바디(110) 양측에 걸림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소정길이를 갖는 직선날개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제2삽입공(123)은 상술한 한 쌍의 제1삽입공(121)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되 각각의 상기 제1삽입공(121)과 2±2[mm] 간격으로 이웃하게 앵커 바디(110) 전면에 한 쌍이 서로 대칭되게 절개 형성되며, 제1삽입공(121)을 통해 관통되어 앵커 바디(110) 외부로 노출된 봉합사(200)가 다시 중공부(111)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제3삽입공(125)은 상술한 제1삽입공(121)과 수평선상으로 서로 일치하도록 대향되게(즉, 앵커 바디 양측 끝단에서 각각 2±2[mm] 이웃하게) 앵커 바디(110) 후면에 절개 형성되되 상기 앵커 바디(110) 양측에 한 쌍이 서로 대칭되게 절개형성된다.
제4삽입공(127)은 한 쌍의 제2삽입공(123) 사이에 위치하도록 앵커 바디(110)에 한 쌍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골 내부에서 앵커 바디(110)가 원형부를 형성시에 상기 원형부의 형상이 일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각각의 제4삽입공(127)은 앵커바디(110) 끝단에서 9±0.5[mm] 이웃하게 상기 앵커바디(110)에 형성되는 것이 효율적이다.
나아가 한 쌍의 제4삽입공(127)은 중공부(111)를 통해 앵커 바디(110) 외부로 노출된 봉합사(200)가 다시 상기 중공부(111) 내측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여 시술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봉합사(200)가 원형부를 이루는 앵커 바디(110) 외형을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3을 참조하여 앵커 바디(110) 내에 봉합사(200)가 관통삽입되는 순서를 설명하면 먼저, 상기 앵커 바디(110) 일측에 형성된 제3삽입공(125)을 통해 봉합사(200)를 중공부(111) 내부까지 진입시킨다.
그 후, 중공부(111)에 진입한 봉합사(200)는 연속적으로 제1삽입공(121)을 통해 앵커 바디(110) 외부로 관통되며, 다시 제2삽입공(123)을 통해 중공부(111) 내부로 봉합사(2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그 다음, 제1 내지 제3삽입공(121,123,125)을 관통하여 중공부(111) 내에 위치한 봉합사는 다시 앵커 바디(110) 타단에 위치한 제2삽입공(123)을 통해 삽입되어 앵커 바디(11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노출된 봉합사(200)는 다시 제1삽입공(121)을 통해 중공부(111) 내부로 진입과 동시에 제3삽입공(125)으로 관통하는 것으로 앵커 바디(110)에 봉합사(200)가 지그재그 형식으로 꿰어져 구비될 수 있도록 한다.
하여, 본 고안에 따른 앵커(1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합사(200)는 앵커 바디(110) 내의 중공부(111) 내에 소정길이를 갖도록 형성하여 외력 즉, 시술자가 봉합사(200)를 당길 시에 원형부의 형성이 용이하게 되며, 한 쌍의 제3삽입공(125)을 통해 앵커 바디(110) 외부로 노출된 봉합사(200)에 의해 직선날개부가 골 내면의 걸림 동작으로 오메가형상을 용이하게 형성하여 골 내부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앵커 바디(11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24[mm]의 전체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제1삽입공(121)은 앵커 바디(110) 전면 양끝단에서 각각 2±2[mm] 이웃하게 한 쌍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제2삽입공(123)은 상술한 한 쌍의 제1삽입공(121) 사이에 위치하되 각각의 상기 제1삽입공(121)에서 2±2[mm] 이웃하게 한 쌍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앵커 바디(110) 후면에 형성되는 제3삽입공(125)은 상기 제1삽입공(121)과 수평방향으로 대향되게(즉, 앵커 바디 양측 끝단에서 각각 2±2[mm] 이웃하게) 한 쌍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각각의 제4삽입공(127)은 앵커바디(110) 끝단에서 11±0.5[mm] 이웃하며, 한 쌍의 제4삽입공(127) 간의 간격은 2±1[mm] 이웃하도록 앵커 바디(110) 전면에 한 쌍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물론, 24[mm]의 길이를 갖는 앵커 바디(110)에 형성된 제4삽입공(127)은 도 5의 (c) 및 (d)dp 도시한 바와 같이, 생략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앵커(100)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골 내부에 삽입된 앵커 바디(110)의 원형부 및 직선날개부를 이루는 오메가형상의 형성이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본 고안에 따른 시술용 슬리브 앵커
110: 앵커 바디 111: 중공부
120: 관통부 121: 제1삽입공
123: 제2삽입공 125: 제3삽입공
127: 제4삽입공 200: 봉합사

Claims (3)

  1. 내부에 관통삽입된 봉합사에 의해 연조직과 골을 서로 고정하도록 삽입기구를 통해 골 내부로 삽입되는 슬리브 앵커에 있어서,
    선단에서 후단까지 20±4[mm] 범위의 길이를 갖되 양측과 연통되게 길이방향으로 중공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봉합사(200)의 당김에 의해 골 내부에서 고정되는 앵커 바디(110); 및
    상기 중공부(111)와 연통되게 상기 앵커 바디(110) 전면과 후면에 다수 절개 형성되거나 또는 소정지름을 갖도록 천공형성되어 상기 봉합사(200)가 상기 앵커 바디(110) 외부에서 상기 중공부(111) 내부로 반복삽입되며, 상기 봉합사(200)의 당김에 의해 상기 앵커 바디(110)가 오메가형상을 이루어 골 내부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술용 슬리브 앵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120)는 상기 앵커 바디(110) 전면 양측 끝단에서 각각 2±2[mm] 범위에서 이웃하게 한 쌍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1삽입공(121), 한 쌍의 상기 제1삽입공(121)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앵커 바디(110)에 한 쌍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되 각각의 상기 제1삽입공(121)과 2±2[mm] 범위에서 이웃하도록 형성되는 제2삽입공(123), 각각의 상기 제1삽입공(121)과 서로 대향되게 상기 앵커 바디(110) 후면에 한 쌍이 형성되되 각각 상기 앵커 바디(110) 양끝단에서 2±2[mm] 범위에서 이웃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3삽입공(1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술용 슬리브 앵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120)는 한 쌍의 상기 제2삽입공(123)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앵커 바디(110) 전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4삽입공(127)을 더 포함하되, 상기 앵커 바디(110) 전면 양끝단에서 각각 9±0.5[mm] 또는 11±0.5[mm] 범위의 위치에 한 쌍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술용 슬리브 앵커.
KR2020160004712U 2016-08-16 2016-08-16 시술용 슬리브 앵커 KR2004820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712U KR200482023Y1 (ko) 2016-08-16 2016-08-16 시술용 슬리브 앵커
PCT/KR2017/001017 WO2018034398A2 (ko) 2016-08-16 2017-01-31 시술용 슬리브 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712U KR200482023Y1 (ko) 2016-08-16 2016-08-16 시술용 슬리브 앵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023Y1 true KR200482023Y1 (ko) 2016-12-08

Family

ID=57571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712U KR200482023Y1 (ko) 2016-08-16 2016-08-16 시술용 슬리브 앵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2023Y1 (ko)
WO (1) WO2018034398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4398A3 (ko) * 2016-08-16 2018-08-02 주식회사 에이알씨코리아 시술용 슬리브 앵커
KR101914778B1 (ko) * 2017-07-06 2018-11-05 (주)오스테오닉 복합 직조 구조의 전봉합사 앵커
WO2019203535A1 (ko) * 2018-04-20 2019-10-24 (주)오스테오닉 열접착형 전봉합사 앵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65114A1 (en) * 2006-02-03 2008-03-13 Biomet Sports Medicine, Inc. Method for Tissue Fixation
EP2698117A1 (en) * 2012-08-17 2014-02-19 Arthrex, Inc. Soft anchors with soft eyelets
EP2995261A1 (en) * 2014-09-11 2016-03-16 Arthrex Inc Soft anchor assembly with non-sliding flexible strand and techniques for use
KR101634796B1 (ko) * 2016-01-19 2016-06-29 주식회사 에이알씨코리아 오메가 노트형 슬리브 앵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100B1 (ko) * 2011-09-05 2012-03-16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고강도 연조직 고정 도구
KR200482023Y1 (ko) * 2016-08-16 2016-12-08 주식회사 에이알씨코리아 시술용 슬리브 앵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65114A1 (en) * 2006-02-03 2008-03-13 Biomet Sports Medicine, Inc. Method for Tissue Fixation
EP2698117A1 (en) * 2012-08-17 2014-02-19 Arthrex, Inc. Soft anchors with soft eyelets
EP2995261A1 (en) * 2014-09-11 2016-03-16 Arthrex Inc Soft anchor assembly with non-sliding flexible strand and techniques for use
KR101634796B1 (ko) * 2016-01-19 2016-06-29 주식회사 에이알씨코리아 오메가 노트형 슬리브 앵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4398A3 (ko) * 2016-08-16 2018-08-02 주식회사 에이알씨코리아 시술용 슬리브 앵커
KR101914778B1 (ko) * 2017-07-06 2018-11-05 (주)오스테오닉 복합 직조 구조의 전봉합사 앵커
WO2019203535A1 (ko) * 2018-04-20 2019-10-24 (주)오스테오닉 열접착형 전봉합사 앵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34398A3 (ko) 2018-08-02
WO2018034398A2 (ko) 2018-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86359B2 (en) Soft anchor assembly with barbed flexible strand and techniques for use
EP2224858B1 (en) Anchor assembly
JP6685883B2 (ja) 組織修復
ES2362170T3 (es) Aparato para anclar objetos a un hueso.
ES2325612T3 (es) Tornillo de sutura.
ES2336819T3 (es) Sistema y procedimiento de anclaje de sutura bioabsorbible sin nudo.
ES2252800T3 (es) Aparato para anclar injertos de tendon autogenos o artificiales en hueso.
ES2204408T3 (es) Dispositivo de sujecion quirurgico.
US734159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aft fixation
JP5117399B2 (ja) 組織移植片の固定
US9955980B2 (en) Anatomic soft tissue repair
KR200482023Y1 (ko) 시술용 슬리브 앵커
JP2014517715A (ja) 平坦な縫合糸アンカー
JP2005000660A (ja) 改善された駆動ヘッドを伴う縫合糸固定装置
KR101634796B1 (ko) 오메가 노트형 슬리브 앵커
US20210100545A1 (en) Suture anchor
US9241704B1 (en) Two suture anchor
KR102105933B1 (ko) 봉합사를 이용한 봉합앵커 제조방법 및 제조된 봉합앵커
WO2021045378A1 (ko) 봉합사의 장력 유지가 용이한 앵커
JP6636137B2 (ja) 靭帯組織を骨に固定するよう構成される可撓性ワイヤの骨内取り付けシステム
JP2012024177A5 (ko)
KR101901516B1 (ko) 봉합사 앵커 시스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 장치
EP2767241A1 (en) Knotless swivel anchor with anchor body advanced over anchor tip
JP2022517010A (ja) 改善された骨アンカーおよび関連する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612383B1 (ko) 내외측 봉합사를 구비한 오메가 노트형 슬리브 앵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