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933B1 - 봉합사를 이용한 봉합앵커 제조방법 및 제조된 봉합앵커 - Google Patents

봉합사를 이용한 봉합앵커 제조방법 및 제조된 봉합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933B1
KR102105933B1 KR1020180061558A KR20180061558A KR102105933B1 KR 102105933 B1 KR102105933 B1 KR 102105933B1 KR 1020180061558 A KR1020180061558 A KR 1020180061558A KR 20180061558 A KR20180061558 A KR 20180061558A KR 102105933 B1 KR102105933 B1 KR 102105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knot
predetermined length
anchor
b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6196A (ko
Inventor
송재영
이진권
Original Assignee
아주약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약품(주) filed Critical 아주약품(주)
Priority to KR1020180061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933B1/ko
Priority to PCT/KR2019/005111 priority patent/WO2019231114A1/ko
Priority to US16/481,565 priority patent/US11426157B2/en
Publication of KR20190136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91Sewing machines for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8Muscles; Tendons; Ligaments
    • A61F2/0811Fixation devices for tendons or lig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95Apparatus or means for preparing the cut end of the suture thread to be attached to the needle, e.g. tipping to prevent broom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8Muscles; Tendons; Lig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06Pledg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6Sutures with protrusions, e.g. bar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8Muscles; Tendons; Ligaments
    • A61F2/0811Fixation devices for tendons or ligaments
    • A61F2002/0817Structure of the anch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ardi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에 안정성이 검증된 봉합사를 특별한 방법으로 뜨개질하고 소정길이로 절단하여 소정폭과 소정길이를 가지는 편성(knitting)부재를 만들고 이 편성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손상된 관절막이나 연골, 근육, 인대 등의 연조직을 꿰어 부착할 수 있는 또 다른 봉합사를 연결설치하는 특수한 방법의 봉합사를 이용한 봉합앵커 제조방법 및 이와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특수한 구조의 봉합앵커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매듭(10a)이 형성된 채로 소정길이로 절단된 편성부재(100)를 앵커삽입장치(200)를 하여 이용하여 뼈(1)의 구멍(1a)으로 삽입한다음 매듭(10a)과 매듭(10a)사이로 길게 연결설치된 제2 봉합사(20)를 잡아 당기면 긴 막대형태에서 덩어리형태로 변형되면서 뼈(1)의 구멍(1a)의 직경보다 부피가 커지게 되어 제2 봉합사(20)를 후방으로 강하게 잡아 당겨도 덩어리형태로 변형된 편성부재(100)가 뼈(1)의 구멍(1a)으로 부터 빠지지 않도록 구성되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봉합사를 이용한 봉합앵커 제조방법 및 제조된 봉합앵커{METHOD FOR MANUFACTURING SUTURE ANCHORS USING SUTURES AND THEIR PRODUCTS}
본 발명은 봉합사를 이용한 봉합앵커 제조방법 및 제조된 앵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에 안정성이 검증된 봉합사를 특별한 방법으로 뜨개질하고 소정길이로 절단하여 소정폭과 소정길이를 가지는 편성(knitting)부재를 만들고 이 편성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손상된 관절막이나 연골, 근육, 인대 등의 연조직을 꿰어 부착할 수 있는 또 다른 봉합사를 연결설치하는 특수한 방법의 봉합사를 이용한 봉합앵커 제조방법 및 이와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특수한 구조의 봉합앵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빠른 치유를 위해 정형외과 영역에서 최소 침습수술(Minimal invasive surgery) 이나 로봇 수술(Robot surgery)의 도입 및 발전은 피할 수 없는 의료계의 현실이다.
정형외과 분야에서 스포츠 손상, 관절염 또는 퇴행성 질환으로 인대의 손상이나 근육의 파열은 이제는 관절경적시술이 현재의 추세이며 앞으로 이러한 방향으로 나아 갈 것이다.
따라서 손상된 관절막이나 연골, 근육, 인대 등의 연조직을 부착하기 위해서 앵커(suture anchor)를 사용하고 있다.
수술 과정은 병변 부위를 미세절개(mini-incision)하거나 관절 내시경(arthroscopy)으로 병변 부위를 확인한 뒤에 병변 부위 근육이나 인대를 봉합사로 고정하고(예: fiberwire suture) 병변 부위를 노출하여 그곳에 실이 달린 나사못 (앵커)을 삽입한다.
앵커에는 봉합사가 부착되어 있어 이탈된 인대나 근육을 꿰매고 잡아당겨 뼈에 부착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손상된 부분의 복구 규모(면적)이 클 경우에는 손상된 관절막이나 연골, 근육, 인대 등의 연조직을 뼈부재에 제대로 부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고정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앵커가 필요하다. 그런데 종래의 대부분의 앵커들은
국내 특허공개번호 제10-2013-0067196호, 특허공개번호 제10-2008-0055815호, 특허등록번호 제10-1626083호에서와 같이 금속성 재료나 여타의 흡수성 또는 비흡수성 폴리머 재료로 제조되는 앵커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다수의 앵커의 크기로 인해 고정지점의 갯수 및 위치가 제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앵커의 사용은 부재 복구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렇다고 앵커의 갯수를 줄이거나 또는 소형 앵커를 여러개 사용하는 것은 적절한 고정 강도를 제공 유지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인체에 안정성이 검증된 봉합사를 특별한 방법으로 다수의 매듭이 형성되도록 뜨개질하고 소정길이로 절단하여 소정폭과 소정길이를 가지는 편성(knitting)부재를 만들고 이 편성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손상된 관절막이나 연골, 근육, 인대 등의 연조직을 꿰어 부착할 수 있는 또 다른 봉합사를 연결설치하는 특수한 방법의 봉합사를 이용한 봉합앵커 제조방법 및 이와같은 방법으로 제조되는 특수한 구조의 봉합앵커를 제공함으로써,
안정성이 검증된 재료의 사용으로 신뢰성이 향상시키고,
손상된 부분의 복구 규모(면적)이 클 경우에 손상된 관절막이나 연골, 근육, 인대 등의 연조직을 뼈부재에 제대로 부착하기 위해서 적절한 고정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앵커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여 수술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연조직과 뼈에도 별 영향없이 빠른 부재 복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기재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봉합사를 이용한 봉합앵커는 기본적으로 인체에 안정성이 검증된 제1 봉합사 2줄을 한조로 하여 다수의 매듭이 연이어서 길게 형성되도록 뜨개질하고 소정길이로 절단하여 소정폭과 소정길이를 가지는 편성(knitting)부재를 만들고,
이 편성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매듭과 매듭 사이에 손상된 관절막이나 연골, 근육, 인대 등의 연조직을 꿰어 부착할 수 있는 제2 봉합사를 소정 개수 만큼 바느질로 꿰어 길게 연결설치하여 구성 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봉합사를 이용한 봉합앵커 제조방법은 기본적으로 안정성이 검증된 제1 봉합사 2줄을 한조로 하여 "U"자 형태로 절곡하는 단계(A)와;
상기 단계(A) 수행 후 "U"자 형태로 절곡된 2줄이 한조인 제1 봉합사의 일측단과 타측단을 "X"자 형태로 꼬아 전방에는 개방공간부가 만들어지고 후방에는 연결된 고리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B)와;
상기 단계(B) 수행 후 별도의 뜨개질 도구를 이용하여 고리공간부를 통과한 후 "X"자 하측으로 부터 개방공간부로 집어 넣어 일측단을 건 다음 후방으로 잡아 당기되, 고리공간부 내부로 통과시킨 상태로 후방으로 더 잡아당겨 매듭을 형성시키는 단계(C)와;
상기 단계(C) 수행으로 매듭을 형성시킨 후에는 상기 단계(C)를 수회 반복 수행하여 매듭 후방으로 연이어서 다수의 매듭을 소정길이로 형성하는 단계(D)와,
상기 단계(D) 수행 후 소정길이로 절단하되 절단과 동시에 절단부분을 융착시켜 절단부분이 풀리지 않도록 하여 다수의 매듭을 가지는 소정길이의 편성(knitting)부재를 만드는 단계(E)와;
상기 단계(E) 수행 후 소정길이를 가지는 다수의 편성(knitting)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매듭과 매듭 사이에 손상된 관절막이나 연골, 근육, 수행 후 등의 연조직을 꿰어 부착할 수 있는 제2 봉합사를 소정 개수 만큼 바느질로 꿰어 길게 연결설치하는 단계(F)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봉합앵커는 인체에 안정성이 검증된 봉합사를 특별한 방법으로 뜨개질하고 소정길이로 절단하여 소정폭과 소정길이를 가지는 편성(knitting)부재를 만들고 이 편성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손상된 관절막이나 연골, 근육, 인대 등의 연조직을 꿰어 부착할 수 있는 또 다른 봉합사를 연결설치하는 특수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이며, 편성부재를 긴 막대형태에서 덩어리형태로 손쉽게 변형시켜 뼈 구멍으로 부터 빠지지 않도록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연조직을 꿰어 잡아 당길시 비교적 큰 고정 강도를 가지는 것이어서,
안정성이 검증된 재료의 사용으로 신뢰성이 향상되고,
손상된 부분의 복구 규모(면적)이 클 경우에 손상된 관절막이나 연골, 근육, 인대 등의 연조직을 뼈부재에 제대로 부착하기 위해서 적절한 고정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앵커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수술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 진다.
또한, 종래의 대부분의 앵커들은 금속성 재료나 여타의 흡수성 또는 비흡수성 폴리머 재료로 제조되는 앵커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다수의 앵커의 크기로 인해 고정지점의 갯수 및 위치가 제한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봉합앵커는 고정지점의 갯수 및 위치에 제한이 적으며,
종래와 같이 여러 개의 뼈에 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으므로 연조직과 뼈에도 별 영향없이 빠른 조직 복구가 이루어 진다.
도 1a 내지 도 1f는 본 발명으로서 편성부재의 제작방법에 대한 설명도면 으로서,
도 1a는 2줄로된 제1 봉합사를 "U"형으로 절곡한 상태도.
도 1b는 제1 봉합사를 "X"형으로 꼰 상태도.
도 1c는 제 1봉합사를 이용하여 첫번째 매듭을 형성하기 위한 직전의 상태도.
도 1d는 제1 봉합사를 이용하여 첫번재 매듭을 형성한 상태도.
도 1e는 제1 봉합사를 이용하여 다수의 매듭을 길게 형성한 상태도.
도 1f는 소정 길이로 매듭부위를 절단하여 제조된 편성부재를 후방에서 본 상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봉합앵커 및 앵커삽입장치의 구성상태도로서,
도 2a는 본 발명의 봉합앵커 구성도.
도 2b는 본 발명의 봉합앵커를 앵커삽입장치에 결합한 상태도.
도2c는 봉합앵커와 앵커삽입장치의 결합상태 요부 확대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 봉합앵커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3a는 봉합앵커를 뼈의 구멍에 근접시킨상태도.
도 3b는 봉합앵커를 뼈의 구멍을 통해 뼛속 깊숙히 삽입한 상태도.
도 3c는 제2 봉합사를 잡아 당겨 봉합앵커를 덩어리형태로 변형시킨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1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 또는 공지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체에 안정성이 검증되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제1 봉합사(10)를 특별한 방법으로 다수의 매듭(10a)이 형성되도록 뜨개질하고 소정길이로 절단하여 소정폭과 소정길이를 가지는 편성(knitting)부재(100)를 만들고 이 편성부재(100)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방향으로 매듭(10a)과 매듭(10a) 사이에 손상된 관절막이나 연골, 근육, 인대 등의 연조직을 꿰어 부착할 수 있는 제2 봉합사(20)를 꿰어 연결설치하는 특수한 방법의 봉합사를 이용한 봉합앵커 제조방법 및 이와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특수한 구조의 봉합앵커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봉합사를 이용한 봉합앵커 제조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를 이용한 봉합앵커 제조방법은 먼저 도 1a와 같이 인체에 안정성이 검증된 제1 봉합사(10) 2줄을 한조로 하여 "U"자 형태로 절곡한다.
그런 다음, 도 1b와 같이 일측단(11)과 타측단(12)을 "X"자 형태로 꼬아 전방에는 개방공간부(b)가 만들어지고 후방에는 연결된 고리공간부(a)가 형성되도록 한다음, 예를들어 손가락 또는 뜨개바늘 등의 도구를 고리공간부(a)를 통과하여 "X"자 하측으로 부터 개방공간부(b) 하측으로 집어 넣어 일측단(11)을 건다음 후방으로 잡아 당기되, 도 1c와 같이 고리공간부(a) 내부로 통과시킨 상태로 후방으로 더 잡아 당겨 1d와 같이 첫번째 매듭(10a)을 형성시킨다.
도 1d와 같이 하여 매듭(10a)을 형성시킨 후에는 재차 손가락 또는 뜨개바늘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고리공간부(a)를 통과하여 "X"자 하측으로 부터 개방공간부(b) 하측으로 집어 넣어 일측단(11)을 건다음 후방으로 잡아 당기되, 고리공간부(a) 내부로 통과시킨 상태로 후방으로 더 잡아 당겨 매듭(10a)을 형성시키는 작업을 수회 반복하여 도 1e와 같이 다수의 매듭(10a)을 길게 형성한다음 소정길이로 절단하되 절단과 동시에 절단부분이 융착되어져 절단부분이 풀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도 1f와 같이 소정길이를 가지는 편성(knitting)부재(100)를 만든다.
그런 다음에는 도 2a와 같이 편성부재(100)의 길이방향으로 매듭(10a)과 매듭(10a) 사이로 손상된 관절막이나 연골, 근육, 인대 등의 연조직을 꿰어 부착할 수 있는 제2 봉합사(20)를 소정갯수 만큼 바느질로 꿰어 연결설치하는 단계들을 수행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는 본 발명의 봉합앵커는 인체에 안정성이 검증된 봉합사를 이용하는 것이어서, 안전성에는 전혀 문제가 없으며 소정폭과 소정길이를 가지도록 절단과 동시에 절단부분을 융착하여서 절단부분이 풀리지 않는 것은 물론 ,
편성부재(100)의 길이방향으로 매듭(10a)과 매듭(10a)사이로 손상된 관절막이나 연골, 근육, 인대 등의 연조직을 꿰어 부착할 수 있는 제2 봉합사(20)를 소정갯수 만큼 바느질로 꿰어 연결설치되어진 것이어서, 기존의 대부분의 앵커들 즉, 금속성 재료나 여타의 흡수성 또는 비흡수성 폴리머 재료로 제조되는 앵커들과는 달리 편성부재(100)의 형태를 변형시켜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진 특수한 구조를 가진다.
이에 이하에서는 본 발명 봉합앵커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봉합앵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2b 및 도 2c와 같이 먼저 수술부위에 천공도구(미도시)를 이용하여 뼈(1)에 구멍(1a)을 천공한 후, 앵커삽입장치(200)의 선단에 형성된 거치홈에 봉합앵커를 구성하는 편성부재(100)의 중간부위를 고정시키되 편성부재(10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U"자형태로 절곡시킨 상태에서 도 3a와 같이 뼈(1)에 형성된 구멍(1a) 상측에 위치 시킨다.
그런다음 도 3b와 같이 편성부재(100)를 뼈(1)의 구멍(1a)을 통과하여 뼈속 깊숙히 삽입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도3c와 같이 앵커삽입장치(200)의 선단에 형성된 거치홈부분을 후퇴시킨 상태에서 더욱 이상적인 것은 뼈(1)의 구멍(1a)의 입구를 막은 상태에서 편성부재(10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갯수 만큼 바느질로 꿰어 연결설치한 제2 봉합사(20)들의 양측단을 후방으로 잡아 당긴다. 그러면 편성부재(100)의 양측단이 오므라 들면서 점진적으로 편성부재(100) 전체가 긴 막대형태에서 덩어리형태로 변형되어져 덩어리부피가 뼈(1) 구멍(1a)의 직경보다 커지게 되어 제2 봉합사(20)를 후방으로 잡아 당겨도 덩어리형태로 변형된 편성부재(100)가 뼈(1)의 구멍(1a)으로 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2 봉합사(20)들을 이용하여 관절막이나 연골, 근육, 인대 등의 연조직을 꿰매고 소정 강도로 잡아 당겨 뼈(1) 표면에 긴밀히 부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봉합앵커는 인체에 안정성이 검증된 제1 봉합사(10)를 특별한 방법으로 다수의 매듭(10a)이 형성되도록 뜨개질하고 소정길이로 절단하여 소정폭과 소정길이를 가지는 편성(knitting)부재(100)를 만들고 이 편성부재(100)의 길이방향으로 손상된 관절막이나 연골, 근육, 인대 등의 연조직을 꿰어 부착할 수 있는 또 다른 봉합사 즉, 제2 봉합사(20)를 연결설치하는 특수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이며, 편성부재(100)를 긴 막대형태에서 덩어리형태로 손쉽게 변형시켜 뼈(1) 구멍(1a)으로 부터 빠지지 않도록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연조직을 꿰어 잡아 당길시 비교적 큰 고정 강도를 가지는 것이어서,
손상된 부분의 복구 규모(면적)이 클 경우에 손상된 관절막이나 연골, 근육, 인대 등의 연조직을 뼈(1)에 제대로 부착하기 위해서 적절한 고정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앵커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수술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손상된 부분의 복구 규모(면적)이 클 경우 종래의 대부분의 앵커들은 금속성 재료나 여타의 흡수성 또는 비흡수성 폴리머 재료로 제조되는 앵커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다수의 앵커의 크기로 인해 고정지점의 갯수 및 위치가 제한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봉합앵커는 고정지점의 갯수 및 위치에 제한이 적으며,
종래와 같이 뼈(1) 여러 개의 구멍(1a)을 뚫을 필요가 없으므로 연조직과 뼈에도 별 영향없이 빠른 조직 복구가 이루어 진다.

a:고리공간부 b: 개방공간부
1:뼈 1a:구멍
10: 제1 봉합사 10a:매듭
11: 일측단 12:타측단
20:제2 봉합사 100:편성부재
200:앵커삽입장치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안정성이 검증된 제1 봉합사(10) 2줄을 한조로 하여 "U"자 형태로 절곡하는 단계(A)와;
    상기 단계(A) 수행 후 "U"자 형태로 절곡된 2줄이 한조인 제1 봉합사(10)의 일측단(11)과 타측단(12)을 "X"자 형태로 꼬아 전방에는 개방공간부(b)가 만들어지고 후방에는 연결된 고리공간부(a)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B)와;
    상기 단계(B) 수행 후 별도의 뜨개질 도구를 이용하여 고리공간부(a)를 통과한 후 "X"자 하측으로 부터 개방공간부(b)로 집어 넣어 일측단(11)을 건 다음 후방으로 잡아 당기되, 고리공간부(a) 내부로 통과시킨 상태로 후방으로 더 잡아당겨 매듭(10a)을 형성시키는 단계(C)와;
    상기 단계(C) 수행으로 매듭(10a)을 형성시킨 후에는 상기 단계(B)와 단계(C)를 수회 반복 수행하여 매듭(10a) 후방으로 연이어서 매듭(10a)을 소정길이로 형성하는 단계(D)와,
    상기 단계(D) 수행 후 소정길이로 절단하되 절단과 동시에 절단부분을 융착시켜 절단부분이 풀리지 않도록 하여 다수의 매듭(10a)을 가지는 소정길이의 편성(knitting)부재(100)를 만드는 단계(E)와;
    상기 단계(E) 수행 후 소정길이를 가지는 편성(knitting)부재(100)의 길이방향으로 매듭(10a)과 매듭(10a) 사이에 손상된 관절막이나 연골, 근육, 인대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연조직을 꿰어 부착할 수 있는 제2 봉합사(20)를 소정 개수 만큼 바느질로 꿰어 길게 연결설치하는 단계(F)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를 이용한 봉합앵커 제조방법.
KR1020180061558A 2018-05-30 2018-05-30 봉합사를 이용한 봉합앵커 제조방법 및 제조된 봉합앵커 KR102105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558A KR102105933B1 (ko) 2018-05-30 2018-05-30 봉합사를 이용한 봉합앵커 제조방법 및 제조된 봉합앵커
PCT/KR2019/005111 WO2019231114A1 (ko) 2018-05-30 2019-04-27 봉합사를 이용한 봉합 앵커 제조방법 및 제조된 봉합 앵커
US16/481,565 US11426157B2 (en) 2018-05-30 2019-04-27 Method of preparing suture anchor using suture and prepared suture anch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558A KR102105933B1 (ko) 2018-05-30 2018-05-30 봉합사를 이용한 봉합앵커 제조방법 및 제조된 봉합앵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196A KR20190136196A (ko) 2019-12-10
KR102105933B1 true KR102105933B1 (ko) 2020-05-04

Family

ID=68697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558A KR102105933B1 (ko) 2018-05-30 2018-05-30 봉합사를 이용한 봉합앵커 제조방법 및 제조된 봉합앵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26157B2 (ko)
KR (1) KR102105933B1 (ko)
WO (1) WO20192311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8251A (ko) * 2013-12-20 2016-08-18 아서로케어 코포레이션 무매듭 올 수처 조직 복구
CN113598853B (zh) * 2021-07-26 2022-07-12 二零二零(北京)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带线锚钉制造用工装及带线锚钉制作方法
KR102439443B1 (ko) * 2022-08-03 2022-09-05 아주약품(주) 봉합앵커 제조방법 및 제조된 봉합앵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4238A (ja) 2010-03-23 2011-10-06 Tyco Healthcare Group Lp 結ばれた縫合糸のエンドエフェクタ
JP2018509255A (ja) 2015-03-22 2018-04-05 コンメッド コーポレイション 縫合フィラメントおよび縫合テープを備える縫合糸アンカー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21541B2 (en) 1999-02-02 2014-09-02 Arthrex, Inc. Suture anchor with insert-molded rigid member
US7211088B2 (en) 1999-02-02 2007-05-01 Arthrex, Inc. Bioabsorbable tissue tack with oval-shaped head and method of tissue fixation using the same
US20060161159A1 (en) 1999-02-02 2006-07-20 Dreyfuss Peter J PEEK ribbed suture anchor
US9521999B2 (en) 2005-09-13 2016-12-20 Arthrex, Inc. Fully-threaded bioabsorbable suture anchor
US20070225764A1 (en) 1999-02-02 2007-09-27 Benavitz William C Insert molded suture anchor
US6517564B1 (en) 1999-02-02 2003-02-11 Arthrex, Inc. Bioabsorbable tissue tack with oval-shaped head and method of tissue fixation using same
US8343186B2 (en) 2004-04-06 2013-01-01 Arthrex, Inc. Fully threaded suture anchor with transverse anchor pin
US7226469B2 (en) 1999-02-02 2007-06-05 Arthrex, Inc. Insert molded suture anchor
US8764797B2 (en) 2000-02-02 2014-07-01 Arthrex, Inc. Suture anchor with insert-molded suture eyelet
US8333788B2 (en) 2008-10-09 2012-12-18 Covidien Lp Knotted suture end effector
US8460379B2 (en) * 2009-03-31 2013-06-11 Arthrex, Inc. Adjustable suture button construct and methods of tissue reconstruction
US8439976B2 (en) 2009-03-31 2013-05-14 Arthrex, Inc. Integrated adjustable button-suture-graft construct with two fixation devices
US8828053B2 (en) * 2009-07-24 2014-09-09 Depuy Mitek, Llc Methods and devices for repairing and anchoring damaged tissue
US9451938B2 (en) 2010-04-27 2016-09-27 DePuy Synthes Products, Inc. Insertion instrument for anchor assembly
US9597064B2 (en) 2010-04-27 2017-03-21 DePuy Synthes Products, Inc. Methods for approximating a tissue defect using an anchor assembly
BR112012027242A2 (pt) * 2010-04-27 2017-07-18 Synthes Gmbh montagem de fixação incluindo uma âncora expansível
US9743919B2 (en) 2010-04-27 2017-08-29 DePuy Synthes Products, Inc. Stitch lock for attaching two or more structures
EP2455040B1 (en) 2010-11-17 2015-03-04 Arthrex, Inc. Adjustable suture-button construct for knotless stabilization of cranial cruciate deficient ligament stifle
US9421008B2 (en) * 2011-09-23 2016-08-23 Arthrex, Inc. Soft suture-based anchors
KR101378547B1 (ko) 2011-12-13 2014-03-28 박지수 수술용 앵커
US9345567B2 (en) * 2012-05-07 2016-05-24 Medos International Sàrl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securing tissue using snare assemblies and soft anchors
US10182806B2 (en) * 2013-03-12 2019-01-22 Arthrocare Corporation Tissue repair assembly
KR101626083B1 (ko) 2014-12-05 2016-05-3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수술용 앵커
KR101674544B1 (ko) * 2015-01-14 2016-11-09 중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방십자인대 재건을 위한 수술용 봉합기구
EP3429480B1 (en) * 2016-03-18 2020-06-17 Smith & Nephew, Inc Surgical fix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4238A (ja) 2010-03-23 2011-10-06 Tyco Healthcare Group Lp 結ばれた縫合糸のエンドエフェクタ
JP2018509255A (ja) 2015-03-22 2018-04-05 コンメッド コーポレイション 縫合フィラメントおよび縫合テープを備える縫合糸アンカ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26157B2 (en) 2022-08-30
US20200237364A1 (en) 2020-07-30
WO2019231114A1 (ko) 2019-12-05
KR20190136196A (ko) 201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7176B2 (en) Tissue repair
CN101961257B (zh) 用于修复和锚定受损组织的方法和装置
AU2018203869B2 (en) Suture leader
CN100560032C (zh) 缝合线锚固系统
KR20150022748A (ko) 봉합사 기반 무매듭 복원
KR102105933B1 (ko) 봉합사를 이용한 봉합앵커 제조방법 및 제조된 봉합앵커
CN107613884A (zh) 关节修复系统
EP3449844B1 (en) Device for tissue repair
US11357496B2 (en) Scapho-lunate and other ligament and bone repair/reconstruction
KR102439443B1 (ko) 봉합앵커 제조방법 및 제조된 봉합앵커
CN218922674U (zh) 一种骨锚固钉及骨锚固钉系统
AU2021283058A1 (en) Soft tissue implant systems, instruments, and relate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