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9443B1 - 봉합앵커 제조방법 및 제조된 봉합앵커 - Google Patents

봉합앵커 제조방법 및 제조된 봉합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9443B1
KR102439443B1 KR1020220097015A KR20220097015A KR102439443B1 KR 102439443 B1 KR102439443 B1 KR 102439443B1 KR 1020220097015 A KR1020220097015 A KR 1020220097015A KR 20220097015 A KR20220097015 A KR 20220097015A KR 102439443 B1 KR102439443 B1 KR 102439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anchor body
sleeve
sleeve anchor
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7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권
Original Assignee
아주약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약품(주) filed Critical 아주약품(주)
Priority to KR1020220097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4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2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plastically deformed during inser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성이 검증된 의료용 필라멘트사를 이용하여 중공관 형태로 길게 직조하여서된 슬리브부재(100)를 소정길이로 절단하되, 초음파절단기를 이용 절단부위를 압착하여 융착과 동시에 절단시켜서 납짝한 형태의 융착부(110)를 형성하여 절단부위가 절대로 풀리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내부가 밀폐되도록 하여 소정길이의 슬리브앵커몸체(200) 만들고,
상기 소정길이의 슬리브앵커몸체(200)에 손상된 관절막이나 연골, 근육, 인대 등의 연조직을 꿰어 부착할 수 있는 봉합사(300)를 결합하되 슬리브앵커몸체(200)의 중간부(L1)에는 봉합사(300)가 내부로 삽입되고, 중간부(L1) 양측으로는 각각 봉합사(300)가 슬리브앵커몸체(200) 상측 외부로 돌출된 후 하측 외부로 돌출되도록 소정폭으로 꿰어진 외향절곡부(L2)가 형성되며, 연이어 하측 외부로 돌출된 봉합사(300)가 상측 외부로 돌출되도록 소정폭으로 꿰어진 내향절곡부(L3)가 형성되도록 결합하는 특수한 방법의 봉합앵커 제조방법 및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특수한 구조의 봉합앵커에 관한 것으로,
슬리브앵커몸체(200)의 중간부(L1)를 앵커삽입장치(2)의 선단 거치홈에 결합하여 "U"자형태로 절곡시킨 상태로 뼈(1)에 형성한 구멍(1a) 내부로 삽입 후 봉합사(300)의 양단을 잡아 당기면 상기 슬리브앵커몸체(200)의 외향절곡부(L2)는 각각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부피가 확장되고
슬리브앵커몸체의 내향절곡부(L3)는 각각 내측으로 오므라들면서 슬리브앵커몸체(200)의 양단이 외측으로 손쉽게 벌어지며,
슬리브앵커몸체(200) 양단에 납짝한 형태로 형성된 융착부(110)가 구멍(1a)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견고하게 밀착지지 되어 뼈(1)의 구멍(1a)으로 부터 빠지지 않게 견고히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봉합앵커 제조방법 및 제조된 봉합앵커{Method for manufacturing suture anchor and manufactured suture anchor}
본 발명은 봉합앵커 제조방법 및 제조된 봉합앵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정성이 검증된 의료용 필라멘트사를 이용하여 중공관 형태로 길게 직조하여서된 슬리브부재를 소정길이로 절단하되, 초음파절단기를 이용 절단부위를 압착하여 융착과 동시에 절단시켜서 납짝한 형태의 융착부를 형성하여 절단부위가 절대로 풀리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내부가 밀폐되도록 하여 소정길이의 슬리브앵커몸체를 만들고,
이와 같이 만들어진 소정길이의 슬리브앵커몸체에 손상된 관절막이나 연골, 근육, 인대 등의 연조직을 꿰어 부착할 수 있는 봉합사를 결합하되 슬리브앵커몸체의 중간부에는 봉합사가 내부로 삽입되고, 중간부 양측으로는 각각 봉합사가 슬리브앵커몸체 상측 외부로 돌출된 후 하측 외부로 돌출되도록 소정폭으로 꿰어진 외향절곡부가 형성되며, 연이어 하측 외부로 돌출된 봉합사가 상측 외부로 돌출되도록 소정폭으로 꿰어진 내향절곡부가 형성되도록 결합하는 특수한 방법의 봉합앵커 제조방법 및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특수한 구조의 봉합앵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빠른 치유를 위해 정형외과 영역에서 최소 침습수술(Minimal invasive surgery) 이나 로봇 수술(Robot surgery)의 도입 및 발전은 피할 수 없는 의료계의 현실이다.
정형외과 분야에서 스포츠 손상, 관절염 또는 퇴행성 질환으로 인대의 손상이나 근육의 파열은 이제는 관절경적시술이 현재의 추세이며 앞으로 이러한 방향으로 나아 갈 것이다.
따라서 손상된 관절막이나 연골, 근육, 인대 등의 연조직을 부착하기 위해서 앵커(suture anchor)를 사용하고 있다.
수술 과정은 병변 부위를 미세절개(mini-incision)하거나 관절 내시경(arthroscopy)으로 병변 부위를 확인한 뒤에 병변 부위 근육이나 인대를 봉합사로 고정하고(예: fiberwire suture) 병변 부위를 노출하여 그곳에 실이 달린 나사못 (앵커)을 삽입한다.
앵커에는 봉합사가 부착되어 있어 이탈된 인대나 근육을 꿰매고 잡아당겨 뼈에 부착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손상된 부분의 복구 규모(면적)이 클 경우에는 손상된 관절막이나 연골, 근육, 인대 등의 연조직을 뼈부재에 제대로 부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고정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앵커가 필요하다. 그런데 종래의 대부분의 앵커들은 국내 특허공개번호 제10-2013-0067196호, 특허공개번호 제10-2008-0055815호, 특허등록번호 제10-1626083호에서와 같이 금속성 재료나 여타의 흡수성 또는 비흡수성 폴리머 재료로 제조되는 앵커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다수의 앵커의 크기로 인해 고정지점의 갯수 및 위치가 제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앵커의 사용은 부재 복구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렇다고 앵커의 갯수를 줄이거나 또는 소형 앵커를 여러개 사용하는 것은 적절한 고정 강도를 제공 유지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안정성이 검증된 의료용 필라멘트사를 이용하여 중공관 형태로 길게 직조하여서된 슬리브부재를 소정길이로 절단하되, 초음파절단기를 이용 절단부위를 압착하여 융착과 동시에 절단시켜서 납짝한 형태의 융착부를 형성하여 절단부위가 절대로 풀리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내부가 밀폐되도록 하여 소정길이의 슬리브앵커몸체 만들고,
슬리브앵커몸체에 손상된 관절막이나 연골, 근육, 인대 등의 연조직을 꿰어 부착할 수 있는 봉합사를 결합하되 슬리브앵커몸체 중간부에는 봉합사가 내부로 삽입되고, 중간부 양측으로는 각각 봉합사가 슬리브앵커몸체 상측 외부로 돌출된 후 하측 외부로 돌출되도록 소정폭으로 꿰어진 외향절곡부가 형성되며, 연이어 하측외부로 돌출된 봉합사가 상측 외부로 돌출되도록 소정폭으로 꿰어진 내향절곡부가 형성되도록 결합하는 특수한 봉합앵커 제조방법을 안출하여,
사용시 봉합사의 양단을 외측으로 잡아 당기면 슬리브앵커몸체의 외향절곡부는 각각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부피가 확장되고,
이와 동시에 슬리브앵커몸체의 내향절곡부는 각각 내측으로 오므라들면서 슬리브앵커몸체의 양단이 외측으로 손쉽게 벌어지며,
또한, 슬리브앵커몸체 양단에 납짝한 형태로 융착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슬리브앵커몸체 중앙으로 부터 양측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므로 양측단이 좀더 용이하게 벌어지면서도 융착부가 다른 부분에 비해 비교적 단단하므로 구멍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견고하게 밀착지지 되어 뼈의 구멍으로 부터 빠지지 않게 고정되도록 하는 등 봉합앵커를 뼈의 구멍으로 부터 빠지지 않도록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연조직을 꿰어 잡아 당길시 기존의 단순 중공관 형태로만 제작된 슬리브부재를 사용하는 것보다 비교적 큰 고정 강도를 가지는 특수한 구조의 봉합앵커를 제작하여 제공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안전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손상된 부분의 복구 규모(면적)이 클 경우에 손상된 관절막이나 연골, 근육, 인대 등의 연조직을 뼈부재에 제대로 부착하기 위해서 적절한 고정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앵커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여 수술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연조직과 뼈에도 별 영향없이 빠른 복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주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기재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봉합사를 이용한 봉합앵커는 기본적으로 안정성이 검증된 의료용 필라멘트사를 이용하여 중공관 형태로 길게 직조하여서된 슬리브부재를 소정길이로 절단하되, 초음파절단기를 이용 절단부위를 압착하여 융착과 동시에 절단시켜서 납짝한 형태의 융착부를 형성하여 절단부위가 절대로 풀리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슬리브부재 내부가 밀폐도록 제조된 소정길이의 슬리브앵커몸체;
상기 소정길이의 슬리브앵커몸체에 봉합사를 결합하되 슬리브앵커몸체 중간부에는 봉합사가 내부로 삽입되고, 중간부 양측으로는 각각 봉합사가 슬리브앵커몸체 상측 외부로 돌출된 후 하측 외부로 돌출되도록 소정폭으로 꿰어진 외향절곡부가 형성되며, 연이어 하측외부로 돌출된 봉합사가 상측 외부로 돌출되도록 소정폭으로 꿰어진 내향절곡부가 형성되도록 결합된 봉합사;를 포함하여,
상기 슬리브앵커몸체를 앵커삽입장치의 선단 거치홈에 결합하여 "U"자형태로 절곡시킨 상태로 뼈에 형성한 구멍 내부로 삽입 후 봉합사의 양단을 잡아 당기면 상기 슬리브앵커몸체의 외향절곡부는 각각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부피가 확장되고
슬리브앵커몸체의 내향절곡부는 각각 내측으로 오므라들면서 슬리브앵커몸체의 양단이 외측으로 손쉽게 벌어지며,
슬리브앵커몸체 양단에 납짝한 형태로 형성된 융착부가 구멍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견고하게 밀착지지 되어 뼈의 구멍으로 부터 빠지지 않게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봉합앵커 제조방법은 기본적으로 안정성이 검증된 의료용 필라멘트사를 이용하여 중공관 형태로 길게 직조하여서된 슬리브부재를 준비하는 단계(A)와;
상기 중공관 형태의 길이가 긴 슬리브부재를 소정길이로 절단하되, 초음파절단기를 이용 절단부위를 압착하여 융착과 동시에 절단시켜서 납짝한 형태의 융착부를 형성하여 절단부위가 절대로 풀리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양단에 형성된 융착부에 의해 슬리브부재 내부가 밀폐된 소정길이의 개별 슬리브앵커몸체를 만드는 단계(B)와;
상기 개별 슬리브앵커몸체에 봉합사를 결합하되,
개별 슬리브앵커몸체 중간부에는 봉합사가 내부로 삽입되고, 중간부 양측으로는 각각 봉합사가 슬리브앵커몸체 상측 외부로 돌출된 후 하측 외부로 돌출되도록 소정폭으로 꿰어진 외향절곡부가 형성되며, 연이어 하측외부로 돌출된 봉합사가 상측 외부로 돌출되도록 소정폭으로 꿰어진 내향절곡부가 형성되도록 결합하는 단계(C)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봉합앵커는 안정성이 검증된 의료용 필라멘트사를 이용하여 중공관 형태로 길게 직조하여서된 슬리브부재를 소정길이로 절단하되, 초음파절단기를 이용 절단부위를 압착하여 융착과 동시에 절단시켜서 납짝한 형태의 융착부를 형성하여 절단부위가 절대로 풀리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내부가 밀폐되도록 하여 소정길이의 슬리브앵커몸체 만들고,
상기 소정길이의 슬리브앵커몸체에 손상된 관절막이나 연골, 근육, 인대 등의 연조직을 꿰어 부착할 수 있는 봉합사를 결합하되 슬리브앵커몸체 중간부에는 봉합사가 내부로 삽입되고, 중간부 양측으로는 각각 봉합사가 슬리브앵커몸체 상측 외부로 돌출된 후 하측 외부로 돌출되도록 소정폭으로 꿰어진 외향절곡부가 형성되며, 연이어 하측외부로 돌출된 봉합사가 상측 외부로 돌출되도록 소정폭으로 꿰어진 내향절곡부가 형성되도록 결합하는 특수한 방법으로 제작된 것이어서,
봉합사의 양단을 외측으로 잡아 당기면 슬리브앵커몸체의 외향절곡부는 각각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부피가 확장되고,
이와 동시에 슬리브앵커몸체의 내향절곡부는 각각 내측으로 오므라들면서 슬리브앵커몸체의 양단이 외측으로 손쉽게 벌어지며,
또한, 슬리브앵커몸체 양단에 납짝한 형태로 융착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슬리브앵커몸체 중앙으로 부터 양측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므로 양측단이 좀더 용이하게 벌어지면서도 융착부가 다른 부분에 비해 비교적 단단하므로 구멍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견고하게 밀착지지 되어 뼈의 구멍으로 부터 빠지지 않게 고정되는 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동작이 거의 동시에 완벽하게 이루어 짐은 물론 이때 특히, 상기 슬리브앵커몸체의 양단에는 납짝한 형태로 융착된 융착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융착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비교적 단단하므로 지지력이 매우 좋아져 봉합사를 비교적 힘껏 당겨도 뼈의 구멍으로 부터 빠지지 않아서 안정성이 더욱 보장됨은 물론,
슬리브앵커몸체의 양단에는 납짝한 형태로 융착된 융착부에 의해 슬리브앵커몸체의 내부가 밀폐되면서 중공관 형태를 유지하려고 하는 형태유지력이 대폭 증대되어 봉합사를 잡아 당겨 슬리브앵커몸체가 일부 절곡되어도 중공관 형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면서 절곡되어지는 것이어서 이로 인해 안전성이 더욱 더 보장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여기에 더불어 슬리브앵커몸체의 양단이 납짝한 형태로 융착되어 있어서 슬리브앵커몸체의 양단의 필라멘트사가 풀어져 너덜거려 외관이 훼손되거나 이로 인해 버티는 지지력이 크게 떨어져 뼈의 구멍으로 부터 쉽게 빠지는 등의 염려가 전혀 없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봉합앵커는 뼈의 구멍으로 부터 빠지지 않도록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연조직을 꿰어 잡아 당길시 기존의 단순 중공관 형태로만 제작된 슬리브부재를 사용하는 것보다 비교적 큰 고정 강도를 가지는 것이어서,
손상된 부분의 복구 규모(면적)이 클 경우에 손상된 관절막이나 연골, 근육, 인대 등의 연조직을 뼈에 제대로 부착하기 위해서 적절한 고정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많은 개수의 앵커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수술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 빠른 조직 복구가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봉합앵커 및 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으로서,
도 1은 안정성이 검증된 의료용 필라멘트사를 이용하여 중공관 형태로 길게 직조하여서된 슬리브부재를 보인 도면.
도 2는 중공관 형태의 길이가 긴 슬리브부재를 소정길이로 절단하되, 절단부위를 압착하여 융착과 동시에 절단시켜서 납짝한 형태의 융착부를 형성하여 절단부위가 절대로 풀리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양단에 형성된 융착부에 의해 슬리브부재 내부가 밀폐되도록 만들어진 소정길이의 개별 슬리브앵커몸체를 보인 도면.
도 3은 슬리브앵커몸체에 봉합사를 결합하되, 슬리브앵커몸체 중간부(L1)에는 봉합사가 내부로 삽입되고, 중간부(L1) 양측으로는 각각 봉합사(300)가 슬리브앵커몸체(200) 상측 외부로 돌출된 후 하측 외부로 돌출되도록 소정폭으로 꿰어진 외향절곡부(L2)가 형성되며, 연이어 하측외부로 돌출된 봉합사가 상측 외부로 돌출되도록 소정폭으로 꿰어진 내향절곡부(L3)가 형성되도록 결합하여 제조된 봉합앵커를 보인 도면.
도 4는 슬리브부재 양단에 융착부를 형성하되 상,하 양측에서 압착시킨 형태의 융착부로 형성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슬리브부재 양단에 융착부를 형성하되 상측에서만 압착시킨 형태의 융착부로 형성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 봉합앵커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6a는 봉합앵커를 뼈의 구멍에 근접시킨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b는 봉합앵커를 뼈의 구멍을 통해 뼛속 깊숙히 삽입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c는 봉합사를 잡아 당겨 봉합앵커를 소정형태로 변형시킨 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 또는 공지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안정성이 검증된 의료용 필라멘트사를 이용하여 중공관 형태로 길게 직조하여서된 슬리브부재를 소정길이로 절단하되, 초음파절단기를 이용 절단부위를 압착하여 융착과 동시에 절단시켜서 납짝한 형태의 융착부를 형성하여 절단부위가 절대로 풀리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내부가 밀폐되도록 하여 소정길이의 슬리브앵커몸체 만들고,
상기 소정길이의 슬리브앵커몸체에 손상된 관절막이나 연골, 근육, 인대 등의 연조직을 꿰어 부착할 수 있는 봉합사를 결합하되 슬리브앵커몸체 중간부에는 봉합사가 내부로 삽입되고, 중간부 양측으로는 각각 봉합사가 슬리브앵커몸체 상측 외부로 돌출된 후 하측 외부로 돌출되도록 소정폭으로 꿰어진 외향절곡부가 형성되며, 연이어 하측외부로 돌출된 봉합사가 상측 외부로 돌출되도록 소정폭으로 꿰어진 내향절곡부가 형성되도록 결합하는 특수한 방법의 봉합앵커 제조방법 및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특수한 구조의 봉합앵커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연조직 복구용 봉합앵커 제조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조직 복구용 봉합앵커 제조방법은 먼저 도 1a와 같이 인체에 안정성이 검증된 의료용 필라멘트사를 이용하여 중공관 형태로 길게 직조하여서된 슬리브부재(100)를 준비 한다(단계(A)).
그런 다음 도 2와 같이 상기 중공관 형태의 길이가 긴 슬리브부재(100)를 소정길이로 절단하게 되는데, 이때 본 발명에서는 초음파절단기(미도시)를 이용 절단부위를 압착하여 이때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절단시키되, 특징적인 것은 절단부위를 융착시킴과 동시에 절단시켜서 납짝한 형태의 융착부(110)를 형성시켜 줌으로써 절단부위가 절대로 풀리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양단에 형성된 융착부(110)에 의해 슬리브부재(100) 내부를 밀폐시킨 소정길이의 개별 슬리브앵커몸체(200)를 만든 다는 것에 있다(단계(B)).
이와 같이 하여 소정 길이를 갖는 낱개로된 특수한 형태의 슬리브앵커몸체(200)를 만든 다음에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개별 슬리브앵커몸체(200)에 역시 특수한 형태로 역시 인체에 안정성이 검증된 봉합사(300)를 결합하여 본 발명의 봉합앵커를 만들어야 하는데,
이때에는 봉합사(300)를 결합 할 때 개별 슬리브앵커몸체(200) 중간부(L1)에는 봉합사(300)가 내부로 삽입되고, 중간부(L1) 양측으로는 각각 봉합사(300)가 슬리브앵커몸체(200) 상측 외부로 돌출된 후 하측 외부로 돌출되도록 소정폭으로 꿰어진 외향절곡부(L2)가 형성되며, 연이어 하측 외부로 돌출된 봉합사(300)가 상측 외부로 돌출되도록 소정폭으로 꿰어진 내향절곡부(L3)가 형성되도록 결합 한다(단계(C)).
본 발명에서 봉합사(300)의 결합 과정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상기 단계(A)와 단계(B)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양단에 납짝한 형태의 융착부(110)를 형성시켜 줌으로써 절단부위가 절대로 풀리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양단에 형성된 융착부에 의해 슬리브부재(100) 내부가 밀폐된 상태로 제조된 소정 길이의 개별 슬리브앵커몸체(200)의 좌측, 또는 우측 어느 한쪽에서 결합을 시작해서 타측단으로 이동해가면서 결합을 진행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단계(B)에서 슬리브부재(100) 양단에 형성되는 융착부(110)는 상기 제시된 일예의 형태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 4에 일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양측에서 압착시킨 형태로 형성할 수 도 있는 것은 물론 도 5에 일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에서만 압착시킨 형태로 형성할 수 도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융착부(110)를 형성하는 도구 또는 장치 또한 초음파절단기로만 한정되어 사용하는 것이 아니며, 융착부(110) 형성 방법 또한, 융착하면서 절단할 수 도 있는 것은 물론, 절단 후 융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는 본 발명의 봉합앵커는 슬리브앵커몸체(200)가 인체에 안정성이 검증된 의료용 필라멘트사를 이용하여 중공관 형태로 길게 직조하여서된 슬리브부재(100)로 만들어진 것이고,
봉합사(300) 또한 인체에 안정성이 검증된 것을 이용하는 것이어서, 안전성에는 전혀 문제가 없으며,
특히, 슬리브앵커몸체(200)의 경우에는 양측단에 납짝한 형태의 융착부(110)를 형성함으로써 절단부위가 절대로 풀리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양단에 형성된 융착부(110)에 의해 내부가 밀폐되도록 한 특수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슬리브앵커몸체(200)의 경우에는 봉합사(300)가 결합되어 있는데,
이때에는 슬리브앵커몸체(200) 중간부(L1)에는 봉합사(300)가 내부로 삽입되고, 중간부(L1) 양측으로는 각각 봉합사(300)가 슬리브앵커몸체(200) 상측 외부로 돌출된 후 하측 외부로 돌출되도록 소정폭으로 꿰어진 외향절곡부(L2)가 형성되며, 연이어 하측 외부로 돌출된 봉합사(300)가 상측 외부로 돌출되도록 소정폭으로 꿰어진 내향절곡부(L3)가 형성되도록 결합되어 있는 특수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양단에 납짝한 형태의 융착부(110)를 형성하여 절단부위가 절대로 풀리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내부가 밀폐도록 제조된 소정길이의 슬리브앵커몸체(200)에 결합 되어 꿰어지는 봉합사(300)를 하나로 사용하는 것을 일예로 제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일 뿐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이하에서는 본 발명 봉합앵커의 사용상태를 도 6a 내지 도6c에 의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봉합앵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수술부위에 천공도구(미도시)를 이용하여 뼈(1)에 구멍(1a)을 천공한 후, 앵커삽입장치(2)의 선단에 형성된 거치홈에 본 발명 봉합앵커의 중간부(L1) 중간을 고정시키되 봉합앵커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U"자형태로 절곡시킨 상태에서 뼈(1)에 형성된 구멍(1a) 상측에 위치 시킨다.
그런 다음 도 6b와 같이 봉합앵커를 뼈(1)의 구멍(1a)을 통과하여 뼈속 깊숙히 삽입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6c와 같이 앵커삽입장치(2)의 선단에 형성된 거치홈부분을 후퇴시킨 상태에서 더욱 이상적인 것은 뼈(1)의 구멍(1a) 입구를 막은 상태에서 상기 봉합사(300)의 양단을 외측으로 잡아 당기면,
본 발명의 봉합앵커를 구성하는 슬리브앵커몸체(200)의 외향절곡부(L2)는 각각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부피가 확장되고,
이와 동시에 슬리브앵커몸체(200)의 내향절곡부(L3)는 각각 내측으로 오므라들면서 슬리브앵커몸체(200)의 양단이 외측으로 손쉽게 벌어지며,
또한, 슬리브앵커몸체(200) 양단에 납짝한 형태로 융착부(110)가 형성되어 있어서 슬리브앵커몸체(200) 중앙으로 부터 양측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므로 양측단이 좀더 용이하게 벌어지면서도 융착부(110)가 다른 부분에 비해 비교적 단단하므로 구멍(1a)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견고하게 밀착지지 되어 뼈(1)의 구멍(1a)으로 부터 빠지지 않게 고정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동작이 거의 동시에 완벽하게 이루어 짐은 물론 이때 특히, 상기 슬리브앵커몸체(200)의 양단에는 납짝한 형태로 융착된 융착부(11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융착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비교적 단단하므로 지지력이 매우 좋아져 봉합사(300)를 비교적 힘껏 당겨도 뼈(1)의 구멍(1a)으로 부터 빠지지 않아서 안정성이 보장된다.
그리고, 슬리브앵커몸체(200)의 양단에는 납짝한 형태로 융착된 융착부(110)에 의해 슬리브앵커몸체(200)의 내부가 밀폐되면서 중공관 형태를 유지하려고 하는 형태유지력이 대폭 증대되어 봉합사(300)를 잡아 당겨 슬리브앵커몸체(200)가 일부 절곡되어도 중공관 형태가 최대한 유지되면서 절곡되어지는 것이어서 이로 인해 안전성이 더욱 더 보장된다.
또한, 여기에 더불어 슬리브앵커몸체(200)의 양단이 납짝한 형태로 융착되어 있어서 슬리브앵커몸체(200)의 양단의 필라멘트사가 풀어져 너덜거려 외관이 훼손되거나 이로 인해 버티는 지지력이 크게 떨어져 뼈(1)의 구멍(1a)으로 부터 쉽게 빠지게 되는 등의 염려가 전혀 없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봉합앵커는 고정력이 우수하여 봉합사(300)로 관절막이나 연골, 근육, 인대와 같은 연조직을 꿰매고 소정 강도로 잡아 당겨 뼈(1) 표면에 긴밀히 부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뼈(1) 구멍(1a)으로 부터 빠지지 않도록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연조직을 꿰어 잡아 당길시 융착부가 없이 단순 중공관 형태로만 제작된 슬리브부재를 이용한 기존의 봉합앵커를 사용하는 것보다 비교적 큰 고정 강도를 가지는 것이어서,
손상된 부분의 복구 규모(면적)이 클 경우에 손상된 관절막이나 연골, 근육, 인대 등의 연조직을 뼈(1)에 제대로 부착하기 위해서 적절한 고정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앵커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수술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L1: 중간부 L2: 외향절곡부
L3: 내향절곡부
1:뼈 1a:구멍
100: 슬리브부재 110:융착부
200:슬리브앵커몸체 300:봉합사

Claims (3)

  1. 안정성이 검증된 의료용 필라멘트사를 이용하여 중공관 형태로 길게 직조하여서된 슬리브부재(100)를 소정길이로 절단하되, 초음파절단기를 이용 절단부위를 압착하여 융착과 동시에 절단시켜서 납짝한 형태의 융착부(110)를 형성하여 절단부위가 절대로 풀리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슬리브부재(100) 내부가 밀폐도록 제조된 소정길이의 슬리브앵커몸체(200);
    상기 소정길이의 슬리브앵커몸체(200)에 봉합사(300)를 결합하되 슬리브앵커몸체(200) 중간부(L1)에는 봉합사(300)가 내부로 삽입되고, 중간부(L1) 양측으로는 각각 봉합사(300)가 슬리브앵커몸체(200) 상측 외부로 돌출된 후 하측 외부로 돌출되도록 소정폭으로 꿰어진 외향절곡부(L2)가 형성되며, 연이어 하측외부로 돌출된 봉합사(300)가 상측 외부로 돌출되도록 소정폭으로 꿰어진 내향절곡부(L3)가 형성되도록 결합된 봉합사(300);를 포함하여,
    상기 슬리브앵커몸체(200)를 앵커삽입장치(2)의 선단 거치홈에 결합하여 "U"자형태로 절곡시킨 상태로 뼈(1)에 형성한 구멍(1a) 내부로 삽입 후 봉합사(300)의 양단을 잡아 당기면 상기 슬리브앵커몸체(200)의 외향절곡부(L2)는 각각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부피가 확장되고
    슬리브앵커몸체의 내향절곡부(L3)는 각각 내측으로 오므라들면서 슬리브앵커몸체(200)의 양단이 외측으로 손쉽게 벌어지며,
    슬리브앵커몸체(200) 양단에 납짝한 형태로 형성된 융착부(110)가 구멍(1a)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견고하게 밀착지지 되어 뼈(1)의 구멍(1a)으로 부터 빠지지 않게 고정되도록 이루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앵커.
  2. 제1항에 있어서,
    양단에 납짝한 형태의 융착부(110)를 형성하여 절단부위가 절대로 풀리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내부가 밀폐도록 제조된 소정길이의 슬리브앵커몸체(200)에 결합 되어 꿰어지는 봉합사(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앵커.
  3. 안정성이 검증된 의료용 필라멘트사를 이용하여 중공관 형태로 길게 직조하여서된 슬리브부재(100)를 준비하는 단계(A)와;
    상기 중공관 형태의 길이가 긴 슬리브부재(100)를 소정길이로 절단하되, 초음파절단기를 이용 절단부위를 압착하여 융착과 동시에 절단시켜서 납짝한 형태의 융착부(110)를 형성하여 절단부위가 절대로 풀리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양단에 형성된 융착부(110)에 의해 슬리브부재(100) 내부가 밀폐된 소정길이의 개별 슬리브앵커몸체(200)를 만드는 단계(B)와;
    상기 개별 슬리브앵커몸체(200)에 봉합사(300)를 결합하되,
    개별 슬리브앵커몸체(200) 중간부(L1)에는 봉합사(300)가 내부로 삽입되고, 중간부(L1) 양측으로는 각각 봉합사(300)가 슬리브앵커몸체(200) 상측 외부로 돌출된 후 하측 외부로 돌출되도록 소정폭으로 꿰어진 외향절곡부(L2)가 형성되며, 연이어 하측외부로 돌출된 봉합사(300)가 상측 외부로 돌출되도록 소정폭으로 꿰어진 내향절곡부(L3)가 형성되도록 결합하는 단계(C)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앵커 제조방법.
KR1020220097015A 2022-08-03 2022-08-03 봉합앵커 제조방법 및 제조된 봉합앵커 KR102439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015A KR102439443B1 (ko) 2022-08-03 2022-08-03 봉합앵커 제조방법 및 제조된 봉합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015A KR102439443B1 (ko) 2022-08-03 2022-08-03 봉합앵커 제조방법 및 제조된 봉합앵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9443B1 true KR102439443B1 (ko) 2022-09-05

Family

ID=83279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7015A KR102439443B1 (ko) 2022-08-03 2022-08-03 봉합앵커 제조방법 및 제조된 봉합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4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31722A1 (en) * 2011-11-23 2013-05-23 Howmedica Osteonics Corp. Filamentary suture anchor
JP2013233435A (ja) * 2012-05-07 2013-11-21 Depuy Mitek Llc スネアアセンブリ及びソフトアンカーを用いる組織を固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デバイス、及び方法
KR20180090320A (ko) * 2015-12-28 2018-08-10 콘메드 코포레이션 비-슬라이딩 봉합 테이프를 구비하여 앵커를 제공하기 위한 봉합 테이프 구조물
KR20190136196A (ko) * 2018-05-30 2019-12-10 아주약품(주) 봉합사를 이용한 봉합앵커 제조방법 및 제조된 봉합앵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31722A1 (en) * 2011-11-23 2013-05-23 Howmedica Osteonics Corp. Filamentary suture anchor
JP2013233435A (ja) * 2012-05-07 2013-11-21 Depuy Mitek Llc スネアアセンブリ及びソフトアンカーを用いる組織を固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デバイス、及び方法
KR20180090320A (ko) * 2015-12-28 2018-08-10 콘메드 코포레이션 비-슬라이딩 봉합 테이프를 구비하여 앵커를 제공하기 위한 봉합 테이프 구조물
KR20190136196A (ko) * 2018-05-30 2019-12-10 아주약품(주) 봉합사를 이용한 봉합앵커 제조방법 및 제조된 봉합앵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83813B2 (ja) 自己のあるいは人工の腱移植片を骨に固定するための装置
AU2018203869B2 (en) Suture leader
US6932834B2 (en) Suture anchor
EP2774545B1 (en) Knotless filamentary fixation devices
CN100560032C (zh) 缝合线锚固系统
CN111163705B (zh) 自钻全缝线锚插入器
JP2005503889A (ja) 拡張用靭帯移植片固定システム
AU201424920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ng tissue
WO2016148941A1 (en) Microanchors for knotless tissue repair
US20210290359A1 (en) Soft tissue implant systems, instruments and related methods
AU2021203670B2 (en) Hybrid suture anchor
US11426157B2 (en) Method of preparing suture anchor using suture and prepared suture anchor
KR102439443B1 (ko) 봉합앵커 제조방법 및 제조된 봉합앵커
US20220133466A1 (en) Bone anchor insertion system having inserter coupling and decoupling
CA3122107C (en) Self-drilling anchor inserter
US20220361867A1 (en) Knotless soft tissue implant systems and related methods
JP2023528443A (ja) 軟組織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器具、および関連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