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798Y1 - 파티션 장치 - Google Patents

파티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798Y1
KR200481798Y1 KR2020160001567U KR20160001567U KR200481798Y1 KR 200481798 Y1 KR200481798 Y1 KR 200481798Y1 KR 2020160001567 U KR2020160001567 U KR 2020160001567U KR 20160001567 U KR20160001567 U KR 20160001567U KR 200481798 Y1 KR200481798 Y1 KR 2004817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iece
horizontal bar
upper panel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5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정묵
Original Assignee
임정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정묵 filed Critical 임정묵
Priority to KR20201600015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7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7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7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743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00Suspended or hinged panels forming a table; Wall tables
    • E04B1/4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2001/405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002/7446Post-like profiles for connecting panels at an ang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83Details of furniture, e.g. tables or shelves, associated with the 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들의 사이에 고정결합되는 상측 패널; 상기 수직프레임들의 사이에 고정결합되되 상단이 상기 상측 패널의 하단과의 사이에 이격부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하측 패널; 상기 상측 패널과 상기 하측 패널 사이에 형성된 이격부에 배치되는 수평바아; 및 일측은 상기 하측 패널과 상기 수평바아 사이에 지지되며, 타측에는 안착면이 형성된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는 파티션 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패널을 상하 둘로 나누고 그 사이에 상하 이동가능한 수평바아를 설치함으로써 상판 설치용 브라켓을 별도의 도구없이 수평바아에 손쉽게 착탈식으로 조립할 수 있어 선반이나 사무용 상판을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배치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파티션 장치 {Partition apparatus}
본 고안은 사무공간을 구획하여 사용할 수 있는 파티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티션은 실내의 사무공간을 원하는 용도에 따라 분할하여 사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가구의 한 종류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 파티션을 사용하여 실내의 공간을 복수로 구획하고, 구획된 각 공간에 책상이나 사무용품 및 사무기기(예: 복합기, 냉온수기) 등을 각각 배치하여 작업공간을 정리정돈한 상태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파티션은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사각틀 형상의 본체 내부에 패널이 나사 결합되는데, 상기 프레임들은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패널은 목재 재질의 플레이트 외부에 장식천이 커버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수직프레임에는 통상 레일이 형성되며, 인접한 또 다른 파티션의 수직프레임과 서로 슬라이딩 연결되는 구조로서 격자구조를 통해 바닥에 일체로 지지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파티션은 다리가 구비된 완제품 형태의 책상을 대체하기 위해 양측 패널 상에 사무용 상판을 지지 설치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사전에 별도의 도구(예: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상판 설치용 지지브라켓을 수직프레임의 각각의 일정 높이에 고정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설치된 지지브라켓을 분해할 경우에도 별도의 도구가 필요함은 물론이다.
또한, 지지브라켓이 수직프레임의 일정 위치(지지브라켓의 이격 거리가 정해짐)에 설치되므로 폭이 작은 크기의 사무용 상판을 설치할 수 없으며, 사무용 상판의 폭이 클 경우 분해하여 보관시 보관 공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파티션에 상판 설치용 지지브라켓을 보다 쉽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파티션에 선반이나 사무용 상판을 도구없이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파티션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폭이 작은 사무용 상판을 비롯하여 다양한 폭의 사무용 상판을 설치할 수 있는 파티션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파티션 장치는,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들의 사이에 고정결합되는 상측 패널;
상기 수직프레임들의 사이에 고정결합되되 상단이 상기 상측 패널의 하단과의 사이에 이격부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하측 패널;
상기 상측 패널과 상기 하측 패널 사이에 형성된 이격부에 배치되는 수평바아; 및
일측은 상기 하측 패널과 상기 수평바아 사이에 지지되며, 타측에는 안착면이 형성된 지지브라켓;
을 포함한다.
상기 상측 패널과 상기 하측 패널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바아는,
'H'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격부 상에서 상하 슬라이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바아는,
상기 상측 패널의 하단을 수용하는 제1공간이 형성된 제1수용부; 및
상기 제1수용부의 하측으로 상기 하측 패널의 상단을 수용하는 제2공간이 형성된 제2수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수용부는,
각각 상하측으로 개구된 'ㄷ'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수용부의 제2공간 폭이 상기 제1수용부의 제1공간 폭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제2수용부의 제2공간에 수납되는 수납편;
상기 수납편의 일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일정길이로 수직 연장되는 수직연장편; 및
상기 수직연장편의 단부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안착면을 이루는 안착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수납편의 타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수직 연장되는 지지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편에는,
적어도 하나의 볼트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바아는,
하측으로 슬라이딩시 상기 이격부를 완전히 폐쇄하며, 상측으로 슬라이딩시 상기 수납편과 상기 지지편이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이격부의 일부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파티션 장치에 의하면, 패널을 상하 둘로 나누고 그 사이에 상하 이동가능한 수평바아를 설치함으로써 상판 설치용 브라켓을 별도의 도구없이 수평바아에 손쉽게 착탈식으로 조립할 수 있어 선반이나 사무용 상판을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배치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판 설치용 브라켓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폭의 사무용 상판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 장치를 보인 도면,
도 2은 도 1의 요부 분해도,
도 3은 도 3의 요부 결합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요부 작동도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 장치의 설치 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 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 장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10), 상측 패널(120), 하측 패널(130), 수평바아(140) 및 지지브라켓(1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110)은,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며 그 길이방향으로 레일(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되어 인접한 또 다른 파티션의 수직프레임과 서로 슬라이딩 결합이 가능하다. 이들을 복수 개로 연결하여 통상의 격자구조를 이루어 바닥에 일체로 지지시키게 된다.
상기 상측 패널(120)은, 상기 수직프레임(110)들의 사이에 나사 결합되는데, 목재 재질의 플레이트 양 판면 외부에 장식천이 커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하측 패널(130) 역시 상기 상측 패널(120)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작되어 상기 수직프레임(110)들의 사이에 고정결합되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이 상기 상측 패널(120)의 하단과의 사이에 이격부(C)를 형성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상측 패널(120)과 상기 하측 패널(130)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평바아(140)는, 상기 상측 패널(120)과 상기 하측 패널(130) 사이에 형성된 이격부(C)에 배치되는데, 본 고안에서 상기 수평바아(140)는, 'H'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이격부(C) 상에서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수평바아(140)는, 상기 상측 패널(120)의 하단을 수용하는 제1공간(141a)이 형성된 제1수용부(141); 및 상기 제1수용부(141)의 하측으로 상기 하측 패널(130)의 상단을 수용하는 제2공간(142a)이 형성된 제2수용부(1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상기 제1,2수용부(141)(142)는, 각각 상하측으로 개구된 'ㄷ'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수용부(142)의 제2공간(142a) 폭(D1)이 상기 제1수용부(141)의 제1공간(141a) 폭(D2)보다 더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의 구조에 의하면, 상기 수평바아(140)는, 하측으로 슬라이딩시 상기 이격부(C)를 완전히 폐쇄(도 1 참조)하며, 상측으로 슬라이딩(도 4의 화살표방향 참조)시 후술할 상기 지지브라켓(150)의 수납편(151), 지지편(154)이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이격부(C)의 일부를 개방(도 4 참조)시키게 된다. 이때 개방되는 이격부(C)의 높이는 상기 지지브라켓(150)의 지지편(154)의 길이와 같거나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지지브라켓(150)은, 일측은 상기 하측 패널(130)과 상기 수평바아(140) 사이에 지지되며, 타측에는 안착면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지지브라켓(1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수용부(142)의 제2공간(142a)에 수납되는 수납편(151); 상기 수납편(151)의 일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일정길이로 수직 연장되는 수직연장편(152); 및 상기 수직연장편(152)의 단부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한 안착면을 이루는 안착편(153);을 포함한다.
상기 수납편(151)은 상기 수평바아(140)의 제2수용부(142) 길이방향, 즉 제2공간(142a) 상에서 수평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안착편(153)에는, 적어도 하나의 볼트공(153a)이 형성되며, 선반이나 사무용 상판이 그 위에 얹혀진 상태에서 나사 결합을 통해 선반, 사무용 상판 등이 견고히 지지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지지브라켓(150)은, 상기 제2수용부(142)에 보다 견고히 수납되도록 상기 수납편(151)의 타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수직 연장되는 지지편(1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지지브라켓(150)의 수납편(151), 지지편(154)이 상기 제2수용부(142)의 제2공간(142a)에 수납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편(154)과 상기 수직연장편(152) 간의 거리(D3)가 상기 제1수용부(141)의 제1공간(141a) 폭(D2)과 동일하게 되어 동일한 두께로 형성된 상기 상측 패널(120)과 상기 하측 패널(130) 상에 조립시 조립유격을 배제할 수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 '111'은 상측 패널(120)의 상단에 조립되는 상부측 수평프레임이고, '112'는 하측 패널(130)의 하단에 조립되며 저부에 높이조절부(112-1)가 설치되는 하부측 수평프레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고안의 파티션 장치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상측 패널(120)과 하측 패널(130)을 수직프레임(110)으로 이격부(C)를 형성하도록 설치함에 있어 그 사이, 즉 이격부(C)에 수평바아(140)를 위치시켜서 일체로 조립한다.
따라서 이격부(C)에 설치된 수평바아(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된다. 즉, 하측으로 슬라이딩시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부(C)를 완전히 폐쇄시키게 되며, 상측으로 슬라이딩시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부(C)의 일부를 개방시키게 된다.
지지브라켓(150)은 수평바아(140)가 상측으로 슬라이딩 되었을 때에 수평바아(140)의 제2수용부(142)의 적당한 위치에 수평 이동식으로 수납될 수 있으며, 필요한 개수의 지지브라켓(150)을 수납(이격거리를 조절하여 설치)한 후에는 수평바아(140)를 하측으로 슬라이딩시켜서 복수의 지지브라켓(150)들을 고정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패널(120)(130)들이 수직프레임(110)을 통해 연결되어 격자구조로 이루어진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된 공간의 내측으로 수평바아(140) 상에 위와 같이 복수의 지지브라켓(150)을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편의에 따라 사무용 상판(P1)이나 선반(P2) 등을 그 위에 올린 후 나사결합하여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파티션 장치에 의하면, 패널을 상하 둘로 나누고 그 사이에 상하 이동가능한 수평바아를 설치함으로써 상판 설치용 브라켓을 별도의 도구없이 수평바아에 손쉽게 착탈식으로 조립할 수 있어 선반이나 사무용 상판을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배치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판 설치용 브라켓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폭의 사무용 상판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10: 수직프레임 120: 상측 패널
130: 하측 패널 140: 수평바아
141: 제1수용부 141a: 제1공간
142: 제2수용부 142a: 제2공간
150: 지지브라켓 151: 수납편
152: 수직연장편 153: 안착편
153a: 볼트공 154: 지지편

Claims (9)

  1.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10);
    상기 수직프레임(110)들의 사이에 고정결합되는 상측 패널(120);
    상기 수직프레임(110)들의 사이에 고정결합되되 상단이 상기 상측 패널(120)의 하단과의 사이에 이격부(C)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하측 패널(130);
    'H' 형상으로 상기 상측 패널(120)과 상기 하측 패널(130) 사이에 형성된 이격부(C) 상에서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하측으로 슬라이딩시 상기 이격부(C)를 완전히 폐쇄하며, 상측으로 슬라이딩시 상기 이격부(C)의 일부를 개방시키는 수평바아(140); 및
    일측은 상기 하측 패널(130)과 상기 수평바아(140) 사이에 지지되며, 타측에는 안착면이 형성된 지지브라켓(150);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바아(140)는, 상기 상측 패널(120)의 하단을 수용하도록 상측으로 개구된 'ㄷ' 자 형상의 제1공간(141a)이 형성된 제1수용부(141); 및 상기 제1수용부(141)의 하측으로 상기 하측 패널(130)의 상단을 수용하도록 하측으로 개구된 'ㄷ' 자 형상의 제2공간(142a)이 형성된 제2수용부(142);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브라켓(150)은, 상기 제2수용부(142)의 제2공간(142a)에 수납가능한 수납편(151); 상기 수납편(151)의 일단에서 하측으로 일정길이로 수직 연장되는 수직연장편(152); 상기 수직연장편(152)의 단부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안착면을 이루며 적어도 하나의 볼트공(153a)이 형성된 안착편(153); 및 상기 수납편(151)의 타단에서 하측으로 수직 연장되는 지지편(154);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납편(151)과 상기 지지편(154)은, 상기 수평바아(140)가 상측으로 슬라이딩시 개방된 상기 이격부(C)의 일부를 통해 상기 제2수용부(142)와 상기 하측 패널(130)의 상단 사이로 삽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패널(120)과 상기 하측 패널(130)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수용부(141)(142)는,
    상기 제2수용부(142)의 제2공간(142a) 폭이 상기 제1수용부(141)의 제1공간(141a) 폭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2020160001567U 2016-03-23 2016-03-23 파티션 장치 KR2004817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567U KR200481798Y1 (ko) 2016-03-23 2016-03-23 파티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567U KR200481798Y1 (ko) 2016-03-23 2016-03-23 파티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798Y1 true KR200481798Y1 (ko) 2016-11-09

Family

ID=57485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567U KR200481798Y1 (ko) 2016-03-23 2016-03-23 파티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79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532Y1 (ko) * 1993-10-28 1997-05-13 장영돈 실내장식 기능과 선반기능을 갖는 조립식 벽판넬 시스템
KR0133373Y1 (ko) * 1995-09-13 1999-02-18 손동창 칸막이의 선반지지장치
KR20090005809U (ko) * 2007-12-10 2009-06-15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책상과 파티션의 결합구조
KR20130001942U (ko) * 2011-09-16 2013-03-26 에이치원스틸(주) 파티션용 벽걸이타입 책꽂이 받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532Y1 (ko) * 1993-10-28 1997-05-13 장영돈 실내장식 기능과 선반기능을 갖는 조립식 벽판넬 시스템
KR0133373Y1 (ko) * 1995-09-13 1999-02-18 손동창 칸막이의 선반지지장치
KR20090005809U (ko) * 2007-12-10 2009-06-15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책상과 파티션의 결합구조
KR20130001942U (ko) * 2011-09-16 2013-03-26 에이치원스틸(주) 파티션용 벽걸이타입 책꽂이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01404C (en) Furniture component fastening apparatus, furniture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furniture for a work space
US20150053635A1 (en) Modular Storage System having Self Locking Components that are Reconfigurable without the need for Tools and/or Fasteners
JP6675857B2 (ja) 天板付き家具
US7752813B2 (en) Partitioning system
KR200481798Y1 (ko) 파티션 장치
JP6638155B2 (ja) 天板昇降式什器
KR200422339Y1 (ko) 붙박이장 도어의 하부레일
JP2008079777A (ja) 昇降天板付きデスク装置
KR200486886Y1 (ko) 공구없이 쾌속조립 가능한 수납장
KR101257195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파티션
JP4274065B2 (ja) 支持部材の取付装置
JP2018126319A (ja) 天板昇降式什器
KR101701884B1 (ko) 파티션 책장 및 이를 포함하는 파티션 책상
CN107440416B (zh) 一种升降办公台用的同步浮动屏风机构
JP5288604B2 (ja) システムキッチン
KR101542768B1 (ko) 수납함을 구비한 조립식 파티션
JPH08131851A (ja) 実験台
KR101630263B1 (ko) 선반용 시스템 가구
JP7192357B2 (ja) 家具
JP2021016635A (ja) 組み合わせデスク
RU172370U1 (ru) Рабочий стол
JP6877103B2 (ja) 什器
JP2022027211A (ja) キッチンユニット
JP6985105B2 (ja) 什器
KR200492752Y1 (ko) 거치가 용이한 욕실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