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1942U - 파티션용 벽걸이타입 책꽂이 받침대 - Google Patents

파티션용 벽걸이타입 책꽂이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1942U
KR20130001942U KR2020110008354U KR20110008354U KR20130001942U KR 20130001942 U KR20130001942 U KR 20130001942U KR 2020110008354 U KR2020110008354 U KR 2020110008354U KR 20110008354 U KR20110008354 U KR 20110008354U KR 20130001942 U KR20130001942 U KR 201300019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shelf
partition
support
wall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83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용주
Original Assignee
에이치원스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원스틸(주) filed Critical 에이치원스틸(주)
Priority to KR20201100083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1942U/ko
Publication of KR201300019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94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742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separate framed panels without intermediary support po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5/0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002/7418Accessories supported on the free upper edge, e.g. auxiliary panels, noise abatement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83Details of furniture, e.g. tables or shelves, associated with the partitions

Abstract

본 고안은 파티션용 책꽂이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볼트 체결 없이 파티션에 벽걸이 타입으로 견고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는 파티션용 벽걸이타입 책꽂이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책꽂이 받침대는 칸막이 상단에 끼워지는 공간이 형성된 상단 끼움부와, 상단 끼움부의 일측으로부터 아래로 길게 연장되어 책꽂이의 후방을 지지하는 수직지지판과, 상기 수직지지판의 하단부로부터 수직 절곡되어 수평자세로 길게 연장되어 책꽂이의 하면을 받쳐주는 수평 받침판으로 이루어진 책꽂이 지지대와, 칸막이의 상단에 끼워진 상기 책꽂이 지지대와 책꽂이를 함께 감싸면서 고정하는 고정캡을 포함하는 새로운 형태를 구현함으로써, 무게가 무거운 책꽂이를 벽걸이 타입으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모든 파티션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티션용 벽걸이타입 책꽂이 받침대{Wall type bookshelf surpport for partition}
본 고안은 파티션용 책꽂이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볼트 체결 없이 파티션에 벽걸이 타입으로 견고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는 파티션용 벽걸이타입 책꽂이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티션(Partition)을 이루는 조립식 칸막이는 최근 들어 그 사용의 편리성 및 설치의 신속성 그리고 시설 설비가 저렴한 이유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조립식 칸막이는 사무실을 임의로 구획하여 업무 공간을 나누어 개개인의 업무 공간을 확보해주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조립식 칸막이는 통상적으로 책상의 앞면과 옆면에 밀착되어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조립식 칸막이에 의해 구획되는 개개인의 업무 공간은 책상 면적에 대응하는 면적으로 한정되어 있어 그 공간이 넓지 않다.
더욱이, 책상 위에 기본적으로 구비되는 컴퓨터, 스탠드 조명등, 탁상용 달력, 전화기 등을 설치하는 경우에 업무 공간이 더욱더 제한되고, 특히 업무용 서류 및 책 등을 꽂아서 정리할 수 있는 책꽂이는 그 부피가 커서 많은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책상 위에 설치시 업무 공간이 크게 제한되어 작업에 많은 불편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조립식 칸막이는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 하고 보편적으로 메모지를 꽂아두거나 달력 등을 걸어두는 정도로 그 활용이 미약한 실정이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91033호에는 조립식 칸막이에 의해 구획되는 업무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조립식 칸막이에 부착시켜서 사무용품이나 서류 파일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접철식 간이 선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동 공보에 개시된 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60)의 양단에 좌우측판(70a)(70b)이 경첩(80a)(80b)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선반(100)을 제작한 다음 좌우측판(70a)(70b)의 후방부로 돌출한 다수의 장착돌기(71a~73c)를 조립식 칸막이(50)에 등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장착공(51)에 삽입 결착시킴으로써 칸막이에 선반을 설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동 공보에 개시된 종래 기술은 선반을 칸막이에 설치함에 있어 선반의 측면의 후방에 후크 구조로 돌출된 다수의 장착돌기가 칸막이에 형성된 장착공에 걸리는 구조로 설치되기 때문에 책꽂이와 같이 무게가 무거운 사무 용품을 오랜 시간 동안 적재되는 경우에 장착돌기가 책꽂이의 자중을 이기지 못하고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선반을 이루는 좌우측판에 다수의 장착돌기를 가공하기 위해서 별도의 금형을 제작하여 프레스 가공을 해야 하기 때문에 그 제조 단가가 증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선반의 장착돌기를 걸 수 있는 장착구멍이 상하로 뚫려 있는 칸막이에 한에 사용될 수 있어 그 사용이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91033호(2000. 08. 16. 공고)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사무실에서 조립식 칸막이로 이용되는 파티션에 책꽂이와 같이 무게가 무거운 사무 용품을 볼트 체결 없이 벽걸이 타입으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파티션용 벽걸이타입 책꽂이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구조를 간단히 하여 제작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모든 파티션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파티션용 벽걸이타입 책꽂이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파티션용 벽걸이타입 책꽂이 받침대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파티션을 이루는 조립식 칸막이에 벽걸이타입으로 설치되는 책꽂이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책꽂이 받침대는 상기 칸막이 상단에 칸막이의 상면과 전후면을 감싸지게 끼워지는 공간이 형성된 상단 끼움부와, 상기 상단 끼움부의 일측으로부터 아래로 길게 연장되어 후면이 칸막이를 이루는 면에 접촉되고 전면이 책꽂이의 후방을 지지하는 수직지지판과, 상기 수직지지판의 하단부로부터 수직 절곡되면서 수평자세로 길게 연장되어 책꽂이의 하면을 받쳐주는 수평 받침판이 일체로 형성된 책꽂이 지지대를 포함한다.
여기서, 책꽂이 받침대는 책꽂이 받침대는 칸막이의 상단에 끼워진 상기 책꽂이 지지대의 상단 끼움부와 수평 받침판에 설치된 책꽂이의 후면 측벽 상단을 함께 감싸면서 고정하는 고정캡을 더 포함한다.
이때 고정캡은 상판과 상기 상판의 폭 방향 양쪽 단부에서 각각 수직 절곡되어 일정 길이를 갖는 측벽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갖는다.
한편, 상기 책꽂이 지지대는 칸막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좌우 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이 마련되어 책꽂이 좌우 측을 균형있게 지지하고, 상기 고정캡은 한 쌍을 이루는 각 책꽂이 지지대에 하나씩 배속되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책꽂이 지지대와 고정캡은 스테인레스 스틸의 금속판을 절곡하여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파티션용 벽걸이타입 책꽂이 받침대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른 책꽂이 받침대는 파티션을 이루는 조립식 칸막이의 상단에 끼움 고정되면서 벽걸이 타입으로 책꽂이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칸막이 연결 부위가 책꽂이 자중에 의해 파손될 염려가 전혀 없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른 책꽂이 받침대는 칸막이에 책꽂이 받침대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을 추가적으로 마련할 필요가 없어 파티션의 종류에 제한 없이 모든 파티션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셋째, 본 고안에 따른 책꽂이 받침대는 책꽂이 지지대와 고정캡에 의한 이중 끼움 구조로 칸막이에 고정되기 때문에 벽걸이 타입으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넷째, 본 고안에 따른 책꽂이 받침대는 책꽂이가 고정캡에 의해 칸막이에 고정되어 있어 외부의 힘을 받더라도 전후 및 좌우로 움직임이 없이 칸막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섯째, 본 고안에 따른 책꽂이 받침대는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볼트 체결 없이 칸막이에 고정 설치될 수 있어 조립이 용이하고, 분해 시에도 그 손상이 전혀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티션용 벽걸이타입의 선반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용 벽걸이타입 책꽂이 받침대가 칸막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용 벽걸이타입 책꽂이 받침대가 칸막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용 벽걸이타입 책꽂이 받침대가 칸막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용 벽걸이타입 책꽂이 받침대가 칸막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단", "하단", "전방", "후방", "전면", "후면", "수직", "수평", "두께 방향" 그리고 이에 상응하는 용어들은 도면에서 나타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용 벽걸이타입 책꽂이 받침대가 칸막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용 벽걸이타입 책꽂이 받침대가 칸막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및 결합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용 벽걸이타입 책꽂이 받침대(10)는 파티션을 이루는 조립식 칸막이(20)의 상단에 끼워져 실질적으로 책꽂이(30)를 지지하는 책꽂이 지지대(11)와, 칸막이(20)에 끼움 고정된 책꽂이 지지대(11)와 책꽂이 지지대(11)에 놓인 책꽂이(30)를 칸막이(20)에 함께 고정 결합시키는 고정캡(12)으로 크게 구성된다.
여기서, 책꽂이 지지대(11)는 책꽂이(30)를 책상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조립식 칸막이(20)에 벽걸이 타입으로 조립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책꽂이 지지대(11)는 그 상부가 조립식 칸막이(20) 상단에 끼움 고정되면서 책꽂이(30)의 후면과 하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 폭을 갖는 판 형상의 금속이 일정한 형상으로 수차례 절곡되어 제작된다.
보다 상세하게, 책꽂이 지지대(11)는 상부에 조립식 칸막이(20) 상단에 끼워지는 공간이 마련된 상단 끼움부(11a)와, 상단 끼움부(11a)의 칸막이(20) 전면을 향하는 일측으로부터 아래로 길게 연장되어 후면이 칸막이(20)를 이루는 면에 접촉되고 전면이 책꽂이(30)의 후방을 지지하는 수직지지판(11b)과, 수직지지판(11b)의 하단으로부터 상단 끼움부(11a)의 반대 방향으로 수직 절곡되면서 수평 자세로 길게 연장되어 책꽂이(30)의 하면을 받쳐주는 수평 받침판(11c)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단 끼움부(11a)는 양쪽 측면과 하면이 터진 개방부가 형성된 대략 'ㄷ'자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져 칸막이(20) 상단에 칸막이(20) 두께 방향으로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칸막이(20)의 상단 상면 및 전후 면을 감싸도록 끼워진다.
이때, 상단 끼움부(11a)의 터진 개방부의 폭('A')은 칸막이(20)의 두께보다 작게 제작된다. 이에 의해 상단 끼움부(11a)가 칸막이(20)에 끼움 진행 중에는 상단 끼움부(11a)의 서로 마주보는 전면과 후면이 자체 탄성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칸막이(20)에 용이하게 진입됨과 동시에 끼움 완료 후에는 상단 끼움부(11a)의 전면과 후면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려는 탄성력, 즉 칸막이(20) 측으로 복귀하려는 탄성력에 의해 칸막이(20) 상단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책꽂이 지지대(11)는 책꽂이(30)와 동일한 크기로 제작되어 칸막이(20)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나, 재료의 절감을 위해 일정 폭을 갖는 두 개의 책꽂이 지지대(11)를 칸막이(20)에 일정 간격을 두고 좌우 측에 한 쌍으로 고정 설치하여 책꽂이(30)의 좌우 측을 균형있게 지지할 수 있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책꽂이 받침대는 파티션을 이루는 조립식 칸막이의 상단에 끼움 고정되면서 벽걸이 타입으로 책꽂이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종래와 같이 칸막이 연결 부위가 책꽂이 자중에 의해 파손될 염려가 전혀 없으며, 특히 칸막이에 책꽂이 받침대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을 추가적으로 마련할 필요가 없어 파티션의 종류에 제한 없이 모든 파티션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책꽂이(30)를 책꽂이 지지대(11) 측에 밀착 고정함과 동시에 책꽂이(30)와 책꽂이 지지대(11)를 칸막이(20)에 일체로 고정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책꽂이 받침대(10)는 책꽂이(20)와 책꽂이 지지대(11)를 칸막이(20)에 함께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캡(12)이 더 포함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고정캡(12)은 책꽂이 지지대(11)의 상단 끼움부(11a)의 형상과 동일하게 양쪽 측면과 하면이 터진 개방부가 형성된 대략 'ㄷ'자 형상의 단면으로 책꽂이 지지대(11)와 구별되는 단일 부품으로 탄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의 직사각형의 판을 양측으로 수직 절곡하여 제작된다.
보다 상세하게, 고정캡(12)은 사각 형태의 상판(12a)과, 이 상판(12a)의 폭 방향 양쪽 단부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일정 길이 연장되어 서로 마주보는 측벽(12b)으로 이루어지고, 측벽(12b) 내측으로 끼움 공간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고정캡(1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칸막이(20) 상단에 고정된 책꽂이 지지대(11)에 책꽂이(30)가 놓인 상태에서 책꽂이 지지대(11)의 상단 끼움부(11a)와 책꽂이(30) 후면 측벽(31) 상단을 함께 감싸면서 고정할 수 있도록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끼워진다.
이로 인해, 책꽂이(30)는 책꽂이 지지대(11)가 설치된 칸막이(20)에 완전 밀착된 상태로 고정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힘을 받더라도 전혀 움직임이 없이 칸막이(20)에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책꽂이 받침대(10) 역시 책꽂이 지지대(11)의 상단 끼움부(11a)와 고정캡(12)에 의한 이중 구조로 칸막이(20)에 끼움 고정되어 전체적으로 칸막이(2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때, 고정캡(20)에서 양쪽 측벽(12b)이 이루는 폭('B')은 책꽂이 지지대(11)의 상단 끼움부(11a)의 상면 폭과 책꽂이(30) 후면 측벽(31)의 두께를 합한 크기보다 작게 제작된다. 이에 의해 고정캡(20)이 칸막이(20) 측에 끼움 진행 중에는 고정캡(20)의 양쪽 측벽(12b)이 자체 탄성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책꽂이 지지대(11)의 상단 끼움부(11a)와 책꽂이(30) 후면 측벽(31)의 외측으로 용이하게 진입됨과 동시에 끼움 완료 후에는 고정캡(20)의 양쪽 측벽(12b)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려는 탄성력에 의해 책꽂이 지지대(11)와 책꽂이(30)를 포함한 칸막이 상단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책꽂이 받침대(10)는 책꽂이 지지대(11)와 고정캡(12)에 의한 이중 끼움 구조로 인해 조립식 칸막이(2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또한 고정캡(12)에 의해 책꽂이(30)가 책꽂이 받침대(10)에 외부의 힘에 영향을 받더라고 전후 및 좌우로 어떠한 움직임이 없이 칸막이(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책꽂이 받침대(10)를 구성하는 책꽂이 지지대(11)와 고정캡(12)은 녹이나 부식 등에 강하고 강도 및 탄성력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진다.
이하, 이와 같이 구성되는 파티션용 벽걸이타입 책꽂이 받침대를 칸막이에 고정하여 책꽂이를 설치하는 작업 순서를 간단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2개의 책꽂이 지지대(11)를 준비하여 이들을 칸막이(20)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하되, 각 책꽂이 지지대(11)에서 상단 끼움부(11a)의 개방된 하면이 칸막이(20)의 상단을 향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칸막이(20) 두께 방향으로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끼운다. 이때, 상단 끼움부(11a)의 개방된 하면의 폭은 칸막이의 두께보다 작게 제작되므로 일정한 힘을 가하여 위에서 아래로 눌러서 끼운다.
다음, 칸막이(20)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각 책꽂이 지지대(11)에 책꽂이를 책꽂이 받침판(11c) 위에 좌우 측 균형을 맞추면서 책꽂이 지지대(11)의 수직지지판(11b)에 밀착되게 설치한다.
마지막으로, 2개의 고정캡(12)을 준비하여 이들을 각 책꽂이 지지대(11)의 상단 끼움부(11a)와 책꽂이 후면 측벽(31) 상부가 함께 끼워지도록 고정캡(12)의 개방된 하면이 칸막이(20) 측을 향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칸막이(20) 두께 방향으로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끼운다.
이로 인해 파티션을 이루는 조립식 칸막이에 벽걸이 타입으로 책꽂이가 고정된 상태로 책꽂이 받침대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조립식 칸막이에 설치된 책꽂이를 분해하는 과정은 상술한 조립 작업의 반대의 순서로 진행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및 변경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책꽂이 받침대 11: 책꽂이 지지대
11a : 상단 끼움부 11b : 수직 지지판
11c : 수평 받침판 12 : 고정캡
20 : 조립식 칸막이 30 : 책꽂이
31 : 책꽂이 후면 측벽

Claims (5)

  1. 파티션을 이루는 조립식 칸막이(20)에 벽걸이타입으로 설치되는 책꽂이 받침대(10)에 있어서,
    상기 책꽂이 받침대(10)는 상기 칸막이(20) 상단에 칸막이(20)의 상면과 전후면을 감싸지게 끼워지는 공간이 형성된 상단 끼움부(11a)와, 상기 상단 끼움부(11a)의 일측으로부터 아래로 길게 연장되어 후면이 칸막이(20)를 이루는 면에 접촉되고 전면이 책꽂이(30)의 후방을 지지하는 수직지지판(11b)과, 상기 수직지지판(11b)의 하단부로부터 수직 절곡되면서 수평자세로 길게 연장되어 책꽂이(30)의 하면을 받쳐주는 수평 받침판(11c)이 일체로 형성된 책꽂이 지지대(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용 벽걸이타입 책꽂이 받침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책꽂이 받침대(10)는 칸막이(20)의 상단에 끼워진 상기 책꽂이 지지대(11)의 상단 끼움부(11a)와 수평 받침판(11c)에 설치된 책꽂이(30)의 후면 측벽(31) 상단을 함께 감싸면서 고정하는 고정캡(1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용 벽걸이타입 책꽂이 받침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캡(12)은 상판(12a)과 상기 상판(12a)의 폭 방향 양쪽 단부에서 각각 수직 절곡되어 일정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측벽(12b)으로 이루어져, 상기 한 쌍의 측벽(12b)이 책꽂이 지지대(11)의 상단 끼움부(11a)와 책꽂이(30)의 후면 측벽(31) 상단의 외측을 감싸면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용 벽걸이타입 책꽂이 받침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책꽂이 지지대(11)는 칸막이(20)에 일정 간격을 두고 좌우 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이 마련되어 책꽂이(30) 좌우 측을 균형있게 지지하고, 상기 고정캡(12)은 한 쌍을 이루는 각 책꽂이 지지대(11)에 하나씩 배속되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용 벽걸이타입 책꽂이 받침대.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책꽂이 지지대(11)와 고정캡(12)은 스테인레스 스틸의 금속판을 절곡하여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용 벽걸이타입 책꽂이 받침대.




KR2020110008354U 2011-09-16 2011-09-16 파티션용 벽걸이타입 책꽂이 받침대 KR2013000194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354U KR20130001942U (ko) 2011-09-16 2011-09-16 파티션용 벽걸이타입 책꽂이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354U KR20130001942U (ko) 2011-09-16 2011-09-16 파티션용 벽걸이타입 책꽂이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942U true KR20130001942U (ko) 2013-03-26

Family

ID=52429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8354U KR20130001942U (ko) 2011-09-16 2011-09-16 파티션용 벽걸이타입 책꽂이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194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798Y1 (ko) * 2016-03-23 2016-11-09 임정묵 파티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798Y1 (ko) * 2016-03-23 2016-11-09 임정묵 파티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632115A (zh) 櫃子
KR20100010943U (ko) 이동식 텐션 북엔드가 구비된 서가
JP5802985B2 (ja) 仕切りシステムを有する引出し
KR200470013Y1 (ko) 조립식 책장
US11425999B2 (en) Supporting arm for a storage rack
KR20130001942U (ko) 파티션용 벽걸이타입 책꽂이 받침대
CN202514981U (zh) 一种组合橱柜
KR200440191Y1 (ko) 사무환경 개선용 수납대
KR20110008380A (ko) 조립식 가구
KR101393691B1 (ko) 철제 가구
KR200418240Y1 (ko) 조립식 책상
RU2527704C1 (ru) Колодка обеспечения устойчивости стеллажа для хранения предметов
JP3156536U (ja) 組み立てラック
CN204048676U (zh) 组合式厨柜
KR101318967B1 (ko) 조립이 용이한 학생용 책상
CN208640020U (zh) 一种随意分隔板组件
JP6800643B2 (ja) 棚板用支柱
JP4921405B2 (ja) 積層可能ユニット
CN211582062U (zh) 一种料理台
CN205306386U (zh) 一种可调节式双面图书架
CN210930565U (zh) 一种展示架的层板支撑组件
CN218869766U (zh) 一种卯合拼接式书柜
CN204199839U (zh) 存放架的嵌入式箱体
CN108323945B (zh) 组合货架
CN212686165U (zh) 书籍包装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