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746Y1 - 가습대 - Google Patents

가습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746Y1
KR200481746Y1 KR2020150000491U KR20150000491U KR200481746Y1 KR 200481746 Y1 KR200481746 Y1 KR 200481746Y1 KR 2020150000491 U KR2020150000491 U KR 2020150000491U KR 20150000491 U KR20150000491 U KR 20150000491U KR 200481746 Y1 KR200481746 Y1 KR 2004817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e
humidifying
water
cloth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4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2654U (ko
Inventor
신정차
Original Assignee
큰길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큰길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큰길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04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746Y1/ko
Publication of KR201600026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6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7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7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24F6/04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with self-sucking action, e.g. wi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력에너지와 같은 동력이 필요 없고 사용이 간편하면서 충분한 습도를 제공할 수 있고, 가습대를 벽면에 밀착시켜 사용하여도 가습력이 저하되지 않고, 가습대의 하부 쪽에서 공기의 유입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가습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가습대는 내부에 물이 담겨 저장되는 수분 저장부; 상기 수분 저장부의 일측면에서 간격을 띄우며 수분 저장부에 설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조립되고 내부에 물이 담겨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 수분 공급부; 상기 수분 저장부에 거치되어 수분 저장부에 담긴 수분 및 수분 공급부에 담긴 수분을 흡수하여 가습을 행하는 가습천을 포함하는 가습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습대{NATURAL HUMIDIFIER}
본 고안은 가습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력이 필요 없고 사용이 간편한 가습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공기를 적당한 습도로 유지하면 호흡기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또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적정습도는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따라서 겨울철과 같이 건조한 계절이나 다른 요인으로 인해 적절한 습도가 필요할 때 가습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가습기는 여러 가지 종류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 중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를 배출시키는 가열식 가습기와, 초음파를 이용하여 물을 입자화 시켜 배출하는 초음파 가습기가 사용되고 있다.
가열식 가습기는 물을 끓이기 때문에 세균 살균효과는 우수하지만 뜨거운 증기로 인해 유아 및 어린이들이 화상을 입을 가능성이 있고, 또 전력 소모가 많은 단점이 있다.
초음파 가습기는 물을 가열하지 않으므로 화상을 입을 염려는 없지만 물속에 존재하는 세균이 살균되지 않은 채로 습기와 함께 분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물을 매일 갈아주어야 하고 수조 등을 수시로 청소해야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이와 같은 가습기는 물을 끓이거나 초음파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전력에너지가 반드시 필요한 단점이 있는데, 이러한 전력에너지가 필요 없고 자연적인 습도를 제공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실용신안공개 20-2009-0007409호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수평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한 쌍의 하부수평프레임에서 각각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연속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및 몸체프레임을 형성하고 몸체프레임의 상부에 가습천이 지지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의 자연가습대는 수분을 갖는 가습천을 몸체프레임에 걸쳐놓으면 가습천의 수분이 자연적으로 증발하면서 실내공간의 습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렇게 빨래처럼 가습천이 자연 건조되는 방식으로 습도를 자연스럽게 제공할 수 있는데,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가습천에 물을 공급하지 않으면 완벽하게 건조되므로 세균 발생 등의 문제가 없고 전력에너지가 없어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가습천의 수분이 증발하면 가습천을 몸체프레임에서 걷어내고 이를 물에 적셔 적당한 수분을 보유하도록 한 다음, 이를 다시 몸체프레임에 걸쳐놓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함으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가습천은 몸체프레임에 걸쳐 놓은 초기상태에서는 가습력이 높지만 시간이 경과하면서 가습천의 수분이 증발하므로 가습력이 약해질 수밖에 없다.
이와 가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의 한국공개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14-0005246호 "가습대"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가습대는 수분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프레임 상부에 거치된 가습천이 흡수하여 수분이 증발되면서 일정한 공간을 가습하게 된다.
이때 가습천은 하부 쪽에서는 수분 저장부의 수분을 흡수하고 상부 쪽에서는 수분 공급부의 수분을 흡수하므로 가습천 전체에는 항상 충분한 수분이 흡수되어 높은 가습력을 발휘하게 된다.
이러한 가습력은 수분 저장부 및 수분 공급부에 물이 남아있는 상태에서는 동일한 가습력이 유지되며, 수분 공급부의 물이 소진되면 수분 공급부에 물을 보충하면 가습이 지속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가습대는 프레임이 수분 저장부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가습대를 벽면에 밀착시켜 사용할 경우 가습천이 벽면에 근접된 상태로 위치하므로 가습천의 수분 증발이 낮아진다.
또한 상기 가습대는 수분 저장부의 바닥면에 하나의 개구부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습대의 하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이 약한 단점도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9-0007409호 한국공개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14-0005246호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력에너지와 같은 동력이 필요 없고 사용이 간편하면서 충분한 습도를 제공할 수 있는 가습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가습대를 벽면에 밀착시켜 사용하여도 가습력이 저하되지 않고, 가습대의 하부 쪽에서 공기의 유입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가습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제안하는 가습대는 내부에 물이 담겨 저장되는 수분 저장부; 상기 수분 저장부에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고정되며, 수분 저장부의 중심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측으로 편중된 상태로 설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조립되고 내부에 물이 담겨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 수분 공급부; 상기 수분 저장부에 거치되어 수분 저장부에 담긴 수분 및 수분 공급부에 담긴 수분을 흡수하여 가습을 행하는 가습천을 포함하는 가습대를 제공한다.
상기 수분 저장부는 바닥면에 간격을 유지하며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바닥면 외측 하부에는 다리가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프레임부는 단위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프레임부재를 조립하여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분 공급부는 길이방향 양측 외측면을 따라서 가습천이 면 접촉되며 거치될 수 있는 안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면은 외향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착면에는 가습천이 거치된 상태에서 흘러내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가습대는 가습천의 하부 및 상부에서 수분을 공급하는 구조이므로 높은 가습력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 가습량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이 수분 저장부의 중심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측으로 편중된 상태로 설치되어 가습대를 벽면에 밀착시켜 사용하여도 가습천이 벽면에서 간격을 유지하며 위치하여 가습량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 거치되는 가습천의 길이를 다르게 하여 가습대가 놓이는 장소에 따라서 가습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기습천이 거치되는 수분 공급부에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가습천이 거치된 상태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습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조립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습대에 제공된 프레임이 수분 저장부의 일측으로 편중된 상태로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습대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습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조립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습대에 제공된 프레임이 수분 저장부의 일측으로 편중된 상태로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습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습대는 내부에 물이 담겨 저장되는 수분 저장부(2)와, 상기 수분 저장부(2)에 길이방향 양측으로 서로 마주보며 고정되는 한 쌍의 프레임부(4)와, 상기 프레임부(4)의 상부에 고정되고 내부에 물이 담겨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 수분 공급부(6)와, 상기 수분 저장부(2)의 상부에 거치된 상태로 상기 수분 저장부(2)에 담긴 수분을 흡수하여 가습을 행하는 가습천(8)을 포함한다.
상기 수분 저장부(2)는 직사각형의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물이 담겨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는 개방부로 이루어진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수분 저장부(4)는 플라스틱과 같은 소재를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그 형상도 본실시 예에서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프레임부(4)가 조립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느 형상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수분 저장부(2)의 바닥면 상부에는 프레임부(4)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조립될 수 있도록 고정부(10)가 형성되는데, 이 고정부(10)는 프레임부(4)가 수분 저장부(2)의 길이방향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중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일측으로 치우친 상태로 형성된다.
또한 수분 저장부(2)는 바닥면 중앙부를 따라서 다수의 개구부(12)가 형성되며, 이들 각각의 개구부(12)를 따라서 바닥면과 연결되는 격벽(14)이 형성된다. 따라서 수분 저장부(2)에 담겨진 물이 개구부(12)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담겨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수분 저장부(2)의 바닥면 외측으로는 다리(16)가 형성되어 수분 저장부(2)의 하부 쪽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이렇게 유입된 공기는 개구부(12)를 통하여 수분 저장부(2)의 상부 쪽으로 유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구부(12)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로 인하여 수분 공급부(6)에 거치된 가습천(8) 내부 쪽으로 공기가 공급되어 가습 효과를 높일 수 있는데, 상기 개구부(12)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대량의 공기가 유통될 수 있으므로 가습천(8)에 더욱 많은 공기를 공급하여 가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4)는 "H"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하 양단부는 서로 끼워 조립될 수 있는 복수개의 프레임부재(4a)(4b)(4c)로 구성된다.
이렇게 프레임부(4)를 조립식으로 형성하면 가습대의 포장 시 최소한의 부피를 갖도록 할 수 있으므로 가습대의 유통 및 보관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프레임부재(4a)(4b)(4c)가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3개의 부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동일한 프레임부재를 2개만 조립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아니면 4개 이상의 부재를 조립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가습대에 제공된 프레임부(4)는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수분 공급부(6)에 거치되는 가습천을 짧은 길이로 이루어진 것을 거치시키거나 또는 이보다 길이가 긴 가습천을 거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은 가습량이 필요한 장소에서 가습대를 사용할 경우에는 프레임부(4)의 길이를 짧게 형성하고, 상대적으로 많은 가습량이 필요한 장소에서는 프레임부(4)의 길이를 상기보다 더 길게 형성하면 이들 프레임부에 거치되는 가습천의 길이를 짧은 것을 사용하거나 또는 이보다 더 긴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가습천에서 증발되는 수분 량도 달라 가습량을 다르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부(4)는 하단부를 수분 저장부(2)에 형성된 고정부(10)에 끼움 결합으로 고정할 수 있는데, 이렇게 고정된 프레임부(4)는 고정부(10)가 편중된 상태로 형성되므로 프레임부(4)도 수분 저장부(2)의 길이방향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중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프레임부(4)와 수분 저장부(2)의 양측단부 사이는 도 3에서와 같이 측면에서 보면 일측은 넒은 공간(A)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이보다 좁은 공간(B)으로 형성된다.
즉, 프레임부(4)는 수분 저장부(2)의 길이방향 일측면이 벽면에 밀착되어 놓이더라도 벽면으로부터 간격을 유지하며 위치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렇게 프레임부(4)와 수분 저장부(2)의 양측면 사이 공간을 다르게 형성하는 이유는 가습대를 시용할 때 넓은 공간(A)이 형성된 쪽을 벽면 쪽으로 위치시켜 사용하면 수분 공급부(6)에 거치된 가습천(8)이 벽면에 근접된 상태로 위치하지 않고 벽면으로부터 충분히 이격되므로, 이격된 공간으로 공기가 충분히 유통될 수 있어 가습천(8)의 수분 증발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충분한 가습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부(4)의 상단부에는 수분 공급부(6)가 조립되는데, 이를 위하여 수분 공급부(6)의 하부면 에는 프레임부(4)의 상단부가 끼워져 조립되는 고정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수분 공급부(6)는 내부에 물이 담겨질 수 있는 공간을 갖추고 상부는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분 공급부(6)는 길이방향 양측 외측면을 따라서 가습천(8)이 거치될 수 있도록 안착면(18)이 형성된다.
이 안착면(18)은 가습천(8)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도록 외향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또 안착면(18)에는 다수의 돌기(20)가 형성되어 수분 공급부(6)에 거치된 가습천(8)이 하부 쪽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가습대를 사용할 때 가습천(8)은 수분 공급부(6)에 거치시킨 상태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가습천(8)은 수분을 흡수하고 있으므로 그 무게에 의하여 수분 공급부(6)의 하부로 흘러내릴 수 있다. 그러나 안착면(18)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가습천(8)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고, 게다가 안착면(18)에는 다수의 돌기(20)들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습천(8)은 안착면(18) 및 돌기(20)에 의하여 하부 쪽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가습대를 사용할 때 수분 공급부(6)에 가습천(8)을 거치시키고, 가습천(8)의 일측 또는 양쪽 끝단부는 수분 저장부(2) 바닥면에 닿도록 하여 수분 공급부(6)가 위치한 부분의 가습천(8)에 물을 부우면, 수분 공급부(6)에 물이 담겨지면서 이와 아울러 가습천(8)에서 물을 흡수하여 하부 쪽의 수분 저장부(2)로 공급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습천(8)의 하부 쪽에서는 수분 저장부(2)의 수분을 흡수하고, 가습천(8)의 상부 쪽에서는 수분 공급부(6)의 수분을 흡수하므로 가습천(8) 전체에 충분한 수분이 흡수되어 가습력을 높일 수 있다.
즉, 수분 공급부(6)가 없다고 가정하면, 가습천(8)은 수분 저장부(2)의 수분을 흡수하여 가습천(8)의 하부로부터 수분을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가습천(8)의 상부 쪽으로 올라갈수록 수분 흡수력이 떨어지므로 가습천(8)의 상부 쪽에는 충분한 수분이 흡수되지 않아 가습을 충분하게 할 수 없다. 그러나 본 고안의 가습대는 수분 저장부(2) 및 수분 공급부(6)를 통하여 가습천(8)의 상부 및 하부 쪽에서 동시에 수분을 공급하므로 높은 가습력을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습천(8)은 수분을 충분히 보유할 수 있으면서 보유한 수분이 쉽게 증발할 수 있는 섬유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가습천(8)은 수분 공급부(6)에 거치된 그 일측단부 또는 양측단부는 수분 저장부(2)의 바닥에 닿는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습대를 사용하려면, 먼저 각각의 프레임부재(4a)(4b)(4c)를 조립하여 2개의 프레임부(4)를 준비하고, 이들 프레임부(4)를 수분 저장부(2)에 형성된 고정부(10)에 끼워 조립한다.
그리고 프레임부(4)의 상단부에 수분 공급부(6)의 하부를 끼워 수분 공급부(6)를 프레임부(4)에 고정시킨다.
이렇게 조립된 가습대는 설치할 장소에 안착시키면 되는데, 이때 프레임부(4)와 수분 저장부(2)의 사이 공간이 넓은 공간(A)이 형성된 쪽을 벽면 쪽으로 위치시켜 안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수분 공급부(6)의 상부면과 안착면(18)에 가습천(8)을 거치시키면 되는데, 이때 가습천(8)의 일측단부 또는 양단부가 수분 저장부(2)에 접촉되도록 하면서 가습천(8)을 거치시킨다.
이렇게 가습대의 설치가 완료된 후, 수분 공급부(6)가 위치한 부분의 가습천(8)에 물을 천천히 공급하면, 공급되는 물은 가습천(8)을 통과하여 수분 공급부(6)에 담겨지고, 이 물이 수분 공급부(6)의 용량을 초과하면 가습천(8)에 흡수된 후 가습천(8)을 따라서 수분 저장부(2)로 흘러 저장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수분 저장부(2)에 원하는 양만큼의 물이 공급되면 수분 공급부(6)에 투입되는 물 공급을 중단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하면서 가습천(8)에서 수분이 증발되어 가습대가 설치된 공간의 가습을 하게 된다.
이때 가습천(8)은 하부 쪽에서는 수분 저장부(2)의 수분을 흡수하고 상부 쪽에서는 수분 공급부(6)의 수분을 흡수하므로 가습천(8) 전체에는 항상 충분한 수분이 흡수되어 높은 가습력을 발휘하게 된다.
이러한 가습력은 수분 저장부(2) 및 수분 공급부(6)에 물이 남아있는 상태에서는 동일한 가습력이 유지될 수 있다.
이렇게 가습을 행할 때 수분 저장부(2)의 개구부(12)를 통하여 가습천(8)의 하부 쪽으로 공기가 유통되므로 가습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이렇게 가습을 하다 수분 저장부(2) 또는 수분 공급부(6) 중에서 어느 하나에 담긴 물이 모두 소진되면 상기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수분 공급부(6)에 물을 공급하여 물을 보충하면 된다.
그리고 가습력을 낮추거나 높이려면 프레임부(4)의 길이를 조절한 후, 이에 맞추어 상기 실시예보다 길이가 짧은 가습천을 수분 공급부(6)에 거치시키거나 또는 상기 실시예보다 길이가 긴 가습천을 거치시키면 가습천의 길이가 다르므로 가습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예시를 목적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2: 수분 저장부 4: 프레임부
6: 수분 공급부 8: 가습천
10: 고정부 12: 개구부
14: 격벽 16: 다리
18: 안착면 20: 돌기

Claims (6)

  1. 내부에 물이 담겨 저장되는 수분 저장부;
    상기 수분 저장부의 길이방향 양쪽단에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조립되고 내부에 물이 담겨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 수분 공급부;
    상기 수분 저장부에 거치되어 수분 저장부에 담긴 수분 및 수분 공급부에 담긴 수분을 흡수하여 가습을 행하는 가습천;
    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수분 저장부의 길이방향 중심부로부터 일측으로 편중된 상태로 설치된 가습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분 저장부는 바닥면에 간격을 유지하며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바닥면 외측 하부에는 다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단위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프레임부재를 조립하여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분 공급부는 길이방향 양측 외측면을 따라서 가습천이 면 접촉되며 거치될 수 있는 안착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은 외향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대.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에는 가습천이 거치된 상태에서 흘러내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대.
KR2020150000491U 2015-01-21 2015-01-21 가습대 KR2004817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491U KR200481746Y1 (ko) 2015-01-21 2015-01-21 가습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491U KR200481746Y1 (ko) 2015-01-21 2015-01-21 가습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654U KR20160002654U (ko) 2016-07-29
KR200481746Y1 true KR200481746Y1 (ko) 2016-11-04

Family

ID=56613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491U KR200481746Y1 (ko) 2015-01-21 2015-01-21 가습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746Y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897U (ko) * 1998-04-22 1999-11-15 정한성 실내 가습기.
KR101281962B1 (ko) 2006-04-11 2013-07-08 아레나 파마슈티칼스, 인크. 특정 개체에게서 골 질량을 증가시키는 데에 유용한 화합물을 확인하기 위해 gpr119 수용체를 사용하는 방법
WO2012098550A1 (en) 2011-01-19 2012-07-26 Nova Measuring Instruments Ltd. Optical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in three-dimensional structures
KR20140024779A (ko) * 2012-08-21 2014-03-03 주식회사 와이엘통상 빨래거치대 및 상기 빨래거치대가 구비된 빨래건조대
KR20140005246U (ko) * 2013-03-28 2014-10-08 큰길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가습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654U (ko) 2016-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8275B2 (en) Humidifier for use with heated air source
KR101390129B1 (ko) 대류현상에 의하여 습도를 조절하는 자연증발 가습기
JP2012149812A (ja) 滴下式気化機
KR200481746Y1 (ko) 가습대
KR20140005246U (ko) 가습대
KR101433850B1 (ko) 자연증발식 가습기
KR20140135425A (ko) 자연 증발식 천연 가습기
KR101346249B1 (ko) 증발식 가습기
KR101227699B1 (ko) 조명용 전기스탠드 겸용 자연가습기
US8833740B2 (en) Natural evaporation type humidifier and air control device having the same
JP2023102749A (ja) サウナシステム
KR20180127265A (ko) 자연증발식 슬림형 가습장치
KR200477015Y1 (ko)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
KR20170028242A (ko) 기화식 가습기 및 이에 사용된 가습필터
KR200453235Y1 (ko) 전열 가습기
KR200468188Y1 (ko) 자연 가습장치
KR200231312Y1 (ko) 스크린가습기_
KR102592045B1 (ko) 액자형 살균 탈취 가습장치
JP2019152389A (ja) 加湿器
KR20140003329U (ko) 한지 가습기
KR20110067089A (ko) 난방관을 이용한 가습과 공기정화 시스템
KR102210130B1 (ko) 수직형 자연증발식 가습장치
KR20180033664A (ko) 고온 살균 가습키트
KR20210109710A (ko) 자연 증발식 가습기
KR20110009315U (ko) 가습기능을 갖는 전열식 발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