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611Y1 -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1611Y1 KR200481611Y1 KR2020140009584U KR20140009584U KR200481611Y1 KR 200481611 Y1 KR200481611 Y1 KR 200481611Y1 KR 2020140009584 U KR2020140009584 U KR 2020140009584U KR 20140009584 U KR20140009584 U KR 20140009584U KR 200481611 Y1 KR200481611 Y1 KR 20048161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key
- spring
- housing
- lock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키꽂이부와 잠금편을 다이캐스팅 성형으로 일체가 되도록 형성하여 도어 손잡이의 동작을 원할하게 하고 수명이 오래가는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력을 안전하게 공급하기 위한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에 있어서, 몸체(10)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의 내측부에 수납부(12)가 형성된 본체(102)와; 상기 본체(102)의 내측부에 형성된 수납부(12)에 수납되고 소정의 각도(A)로 개폐되는 도어 손잡이(106)와; 상기 본체의 내측 하부에 형성된 수납부(12)의 하부에 수납되고 키를 이용하여 도어를 잠그거나 열기 위한 키뭉치(108)를 포함하되, 상기 키뭉치(108)는,
상기 몸체(10)의 수납부(12)에 안착되어 탄력적으로 작용하는 탄력수단(110)과; 상기 탄력수단(110)과 결합되고 탄력적으로 전후 이동되고, 도어를 잠그거나 열기 위한 회전하는 잠금편(54)을 일체가 되도록 구비하는 키꽂이부(112)와; 상기 키꽂이부(112)와 결합되고 고정핀(62)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단 후부에 링크편(58,59)을 구비하며, 내측부에는 키꽂이부 결합부(68)가 형성되고, 우측면부에는 버튼부(70)를 구비하는 키하우징(1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전력을 안전하게 공급하기 위한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에 있어서, 몸체(10)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의 내측부에 수납부(12)가 형성된 본체(102)와; 상기 본체(102)의 내측부에 형성된 수납부(12)에 수납되고 소정의 각도(A)로 개폐되는 도어 손잡이(106)와; 상기 본체의 내측 하부에 형성된 수납부(12)의 하부에 수납되고 키를 이용하여 도어를 잠그거나 열기 위한 키뭉치(108)를 포함하되, 상기 키뭉치(108)는,
상기 몸체(10)의 수납부(12)에 안착되어 탄력적으로 작용하는 탄력수단(110)과; 상기 탄력수단(110)과 결합되고 탄력적으로 전후 이동되고, 도어를 잠그거나 열기 위한 회전하는 잠금편(54)을 일체가 되도록 구비하는 키꽂이부(112)와; 상기 키꽂이부(112)와 결합되고 고정핀(62)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단 후부에 링크편(58,59)을 구비하며, 내측부에는 키꽂이부 결합부(68)가 형성되고, 우측면부에는 버튼부(70)를 구비하는 키하우징(1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키꽂이부와 잠금편을 다이캐스팅 성형으로 일체가 되도록 형성하여 도어 손잡이의 동작을 원할하게 하고 열리는 각도를 크게 함과 동시에 수명이 오래가는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 배전반은 실외, 선박, 전신주, 건물벽, 발전소, 변전소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스위치 계기 등을 일정하게 넣어 관리하는 장치를 말한다.
배전반은 각각의 전기를 사용하기 위해 보내어지는 배선용 차단기 등이 판넬 내부에 들어있다. 그 시설로는 기중차단기(ACB), 전력콘덴서, 차단기 등이 들어 있고, 그 외부에는 도어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는 도어를 여닫기 위해서 전면에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에는 잠금장치를 설치하여 관리자만이 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는 일반형과 밀폐형으로 구분되어 지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외부의 공기나 수분, 이물질 등이 내부로 유입되어도 함체 내부에 구비되는 장치물 기능에 지장을 주지않는 일반용과, 내부의 기구물 특성에 따라 방수 내지는 방출장치를 필요로하여 보다 완전한 밀폐를 할 수 있는 밀폐형으로 나뉘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는 키 열쇠뭉치를 프레스로 가공하여 키뭉치와 키 꽂이가 도어 손잡이와 일체가 되도록 설치되고 도어 손잡이가 초기 상태에서는 몸체에 매립되어 있다가 키를 꽂고 회전시킨 후, 하부에 별도로 마련된 푸시버튼을 눌러서 도어 손잡이를 개폐하였다.
이때, 도어 손잡이의 하단부에는 키뭉치를 일체화되도록 설치하였고, 상기 키뭉치에는 도어를 잠그기 위한 도어 잠금편을 프레스로 가공하여 별도 제작하였으며, 도어 잠금편과 키뭉치를 고정핀으로 연결 설치하도록 고정하는 방식이었다.
상기와 같은 도어잠금장치는 동작이 불확실하였고, 도어 손잡이가 튀어나오는 각도가 작아서 손잡이로 이용하기가 매우 어려웠고, 끼꽂이가 도어 손잡이와 일체로 되어 있어서 도어 잠금편을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본 고안을 사용하기에 용이하고 안전하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키뭉치를 도어 손잡이와 별도로 수납 설치하여 도어 손잡이가 큰 각도로 열리도록 하여 손잡이를 잡기가 매우 쉽도록 이루어진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키뭉치를 버튼부와 일체로 설치하여 동작이 원할하게 잘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도어 손잡이의 몸체 하부를 제거하여 키뭉치의 잠금편이 잘 돌아가도록 설치하여 작동이 원활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키뭉치와 키꽂이부와 버튼부를 일체가 되도록 성형하여 작업이 편리한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키꽂이부의 잠금편을 다이캐스팅 성형법으로 몸체를 일체화하여 성형 제조함으로써 내마모성에 강하고 정밀하며 외관이 수려한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력을 안전하게 공급하기 위한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에 있어서, 몸체(10)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의 내측부에 수납부(12)가 형성된 본체(102)와; 상기 본체(102)의 내측부에 형성된 수납부(12)에 수납되고 소정의 각도(A)로 개폐되는 도어 손잡이(106)와; 상기 본체의 내측 하부에 형성된 수납부(12)의 하부에 수납되고 키를 이용하여 도어를 잠그거나 열기 위한 키뭉치(108)를 포함하되,
상기 키뭉치(108)는, 상기 몸체(10)의 수납부(12)에 안착되어 탄력적으로 작용하는 탄력수단(110)과; 상기 탄력수단(110)과 결합되고 탄력적으로 전후 이동되고, 도어를 잠그거나 열기 위한 회전하는 잠금편(54)을 일체가 되도록 구비하는 키꽂이부(112)와; 상기 키꽂이부(112)와 결합되고 고정핀(62)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단 후부에 링크편(58,59)을 구비하며, 내측부에는 키꽂이부 결합부(68)가 형성되고, 우측면부에는 버튼부(70)를 구비하는 키하우징(1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 손잡이(10)는, 직사각형상의 몸체(36)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36)의 상단 좌측부에 고정턱 머리(38)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36)의 중간 좌측부에 스프링 걸림턱(42)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36)의 하단부에는 후크형상의 손가락 걸이부(44)가 형성되며, 상기 손가락 걸이부(44)이 하면에는 걸림돌부(46)가 상기 손가락 걸이부(44)를 따라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본체(102)의 수납부(12)에는 상기 도어 손잡이(106)와 결합되어 탄력적으로 탄발하여 상기도어 손잡이(106)를 개폐하기 위한 손잡이 스프링(104)을 구비하되, 상기 손잡이 스프링(104)은 양 갈래로 분기된 후부 스프링(30)과, 상기 후부 스프링(30)와 연결되는 연결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32)와 연결되되 디귿자(ㄷ)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도어 손잡이(106)의 스프링 걸림턱(42)과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2)는 직사각형상의 몸체(10)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10)의 내측부에는 수납부(12)가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2)의 내측부에는 스프링 받침돌부(2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0)의 상단 후부에는 회동홈부(18)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22)에는 탄력수단 고정판(24)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홈부(18)는 티(T)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하부에 오목한 막음부(19)가 더 형성되어 상기 도어 손잡이(106)의 고정턱 머리(38)가 접촉되어 회동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키꽂이부(112)는, 원통형상의 몸체(48)와; 상기 몸체(48)의 전면부에 키구멍(51)이 형성되고, 상기 키하우징(114)과 결합되는 키꽂이부 몸체(50)와; 상기 몸체(48)의 후부에 돌출되어 상기 탄력수단(108)과 결합고정되는 스프링 고정돌기(52); 및 상기 몸체(48)의 후부면에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10)의 개구부(22) 내에서 회동하도록 이루어진 잠금편(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하우징(114)은, 상기 사각형상의 키하우징 몸체(56)와; 상기 키하우징 몸체(56)의 좌측부에는 형성된 한 쌍의 링크편(58,59)과; 상기 키꽂이부(112)가 결합되도록 상기 키하우징 몸체(56)의 중앙부에 형성된 키꽂이부 결합부(68)를 포함 할 수있다.
상기 키하우징 몸체(56)의 우측부에는 하단부에 라운드형으로 완만하게 굴곡지고 상방향으로 돌출된 누름돌기(72)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 손잡이(106)는 상기 본체(102)에서 열렸을 때 각도(A)가 40도 내지 50도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에 의하면, 키꽂이부와 잠금편을 일체화하여서 다이캐스팅으로 성형함에 따라 내구성이 우수하고 수명이 오래가는 효과가 있고, 도어 손잡이가 열리는 각도를 크게 할 수 있어서 손잡이를 잡고 열고 닫을 수 있는 활용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으며, 키뭉치의 잠금편의 회전이 원활하여 동작이 자유롭고 잘 이루어지며 편리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키꽂이부와 잠금편이 일체로 되어 있어서 별도의 핀을 끼워서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재료손실이 적어지고 비용부담이 작아져서 생산성이 우수해지는 효과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정면도
도 5는 도 1의 배면도
도 6은 도 1의 측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정면도
도 5는 도 1의 배면도
도 6은 도 1의 측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한 설명은,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에 적용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또한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용도와 목적에 적용될 수 있는 것임을 미리 밝힌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배면도이며 도 6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다.
이러한, 도 1 내지 도 8은 본 고안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여 보면, 우선, 본 고안의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의 몸체(10)를 갖는 본체(102)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102)의 일측부,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부에 도어 손잡이(10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어 손잡이(106)는 상기 본체(102) 내부에 수납된 손잡이 스프링(104)에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 스프링(104)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회동하며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 손잡이(106)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하부에는 키뭉치(10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키뭉치(108)는 탄력수단(110)과, 키꽂이부(112)와, 키하우징(114)이 수납 설치됨으로써 탄력적으로 작용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키뭉치(108)의 내측부에는 상기 탄력수단(110)이 설치되고, 상기 탄력수단(110)에 의해 도어 손잡이가 탄발하면서 전후로 움직이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력수단(110)은 코일 스프링, 헬리컬 스프링, 판스프링 등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고, 본 고안에서는 원추형상의 헬리컬 스프링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력수단(110)은 상기 키꽂이부(112)와 상기 몸체(10)의 사이에 설치되어 손으로 누르는 누름 동작시 탄력적으로 반발 작용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키꽂이부(112)는 키하우징(114)에 결합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키꽂이부(112)와 키하우징(114)은 일체가 되도록 끼움 결합되어져서 손으로 눌렀을 때 동시에 눌려지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키꽂이부(112)에는 후술되는 잠금편(54)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키꽂이부(112)와 잠금편(54)은 다이캐스팅으로 성형되고, 그 재질은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합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도어 손잡이(10)는 상기 키꽂이부(112)의 키구멍(51)에 열쇠를 넣고 돌림으로써 상기 키꽂이부(112)와 일체로 형성된 잠금편(54)이 회전하여 잠금장치가 해제되고, 상기 키하우징(114)을 눌러서 도어 손잡이를 열수 있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보면, 본 고안의 도어잠금장치(100)는 우선, 도어 손잡이(106) 및 키뭉치(108)가 수납 설치되도록 수납부(12)가 구비된 몸체(10)로 이루어지는 본체(10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2)에는 직사각형상의 몸체(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10)의 우측부에는 판형상의 상부몸체(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0)에는 직사각형상의 수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부(12)에는 상기 도어 손잡이(106) 및 상기 키뭉치(108)가 삽입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좌,우측방향으로 관통되어서 각각 핀공(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0)의 내측부 상단에는 원형 또는 반원형상의 스프링 지지돌부(16)가 좌,우측부분에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0)의 상단 후부에는 티(T)자형상의 회동홈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동홈부(18)의 하부에는 오목한 막음부(19)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막음부(19)는 후술되는 도어 손잡이(106)가 과도하게 열리지 않도록 방지한다. 즉, 후술되는 고정턱 머리(38)가 회동하지 않도록 막아줌으로써 도어 손잡이(106)가 과동하게 회동하여 열리는 것을 막아주는 것이다.
상기 수납부(12)의 내측부 중간부분에는 가로방향으로 돌출되어서 스프링 받침돌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지지돌부(16)와 상기 스프링 받침돌부(20)는 상기 손잡이 스프링(104)의 후부를 지지하고 받쳐주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더 나아가서는 상기 손잡이 스프링(104)을 탄력적으로 동작하도록 후부 스프링(30)을 받쳐줌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후부 하단부는 하부가 개구된 형태의 개구부(22)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22)의 가운데 부분이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진 탄력수단 고정판(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력수단 고정판(24)의 하단부는 하측 막음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측 막음부(26)는 반원형상의 이루어져 있고, 상기 탄력수단 고정판(24)의 외측변부를 따라 우측방향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탄력수단 고정판(24)의 내측부는 상기 탄력수단(108)의 일측부가 안착되도록 안착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력수단 고정판(24)은 상기 탄력수단(108)이 이탈하지 않고 안정되게 동작하도록 하측 막음부(26)가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손잡이 스프링(104)은 상기 수납부(12)의 상단부에 수납되어 탄력적으로 작용하여 상기 도어 손잡이(106)를 탄발시켜서 소정의 각도(A)로 열리도록 설치되는바, 역브이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후부에는 양다리가 길게 연장되어 후부 스프링(30)을 이루어도록 형성되고 중간부분에는 원형으로 감긴 상태의 연결부(32)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32)의 전부에는 디귿자(ㄷ) 형상의 전부 스프링(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손잡이 스프링(104)의 후부 스프링(30)의 끝단은 상기 스프링 받침돌부(20)에 걸리도록 지지되고 상기 후부 스프링(30)의 중간부분은 상기 스프링 지지돌부(16)에 얹혀지도록 받쳐져서 설치된다
이어서, 상기 손잡이 스프링(104)의 전부 스프링(34)는 상기 도어 손잡이(106)를 탄발하여 밀어내도록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상기 도어 손잡이(106)는 장방형상으로 길게 형성되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몸체(3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36)의 상단 좌측부에는 고정턱 머리(38)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36)의 상단부에는 상부 고정턱(39)이 형성되어 있고, 몸체(36)의 상단부 좌,우측방향으로 관통되어서 핀공(4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36)의 좌측면부에는 쐐기형상의 스프링 걸림턱(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36)의 하단 좌측부에는 후크형상의 손가락 걸이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핀공(40)에는 상기 고정핀(15)이 끼워져서 고정되는바, 상기 고정핀(15)은 상기 핀공(14)과 핀공(40)에 끼워지고, 상기 손잡이 스프링(104)의 연결부(32)에 끼워져서 설치되며, 상기 도어 손잡이(106)가 상기 고정핀(15)을 중심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 동작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부 스프링(34)이 상기 스프링 걸림턱(42)에 걸려서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전부 스프링(34)은 상기 도어 손잡이(106)를 탄발적으로 밀어내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어 손잡이(106)가 회동하면서 열리는 소정의 각도(A)는 40도 내지 50도가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도어 손잡이를 손으로 모두 잡고 열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각도이다.
또한, 상기 몸체(36)의 하단부에 형성된 손각락 걸이부(44)의 밑면에는 걸림돌부(4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부(46)는 상기 도어 손잡이(106)가 닫혔을 때 상기 키하우징(116)의 상단변부의 걸림턱(47)에 걸려서 고정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돌부(46)는 손가락 걸이부(44)의 후크형상을 따라 유선형상으로 밑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돌부(46)는 후술되는 걸림턱(47)과 접촉되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도어 손잡이(106)의 하부에는 키뭉치(108)가 설치되어 지는바, 상기 키뭉치(108)는 원추형상의 탄력수단(108)과, 상기 탄력수단(108)의 우측부에 결합 고정되고 키를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키꽂이부(112)와, 상기 키꽂이부(112)가 결합되는 키하우징(1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력수단(108)은 좌측부는 상기 수납부(12)의 하단부에 형성된 탄력수단 고정판(24)에 안착되고, 우측부는 상기 키꽂이부(112)의 좌측면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키꽂이부(112)는 원통형상의 몸체(48)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48)의 우측부에는 키꽂이부 몸체(5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48)의 좌측면부에는 스프링 고정돌기(5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48)의 하부에는 하방으로 연장 되어 밴드형상으로 이루어진 잠금편(5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잠금편(54)은 상기 몸체(10)의 개구부(22)를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22) 내에서 회전동작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개구부(22)에서 회동하면서 좌우로 걸리는 것이 없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키꽂이부 몸체(50)에는 열쇠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키구멍(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고정돌기(50)에는 상기 탄력수단(108)의 우측부가 끼워져서 탄력적으로 작용하도록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키꽂이부(112)는 상기 잠금편(54)이 상기 몸체(48)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열쇠를 이용하여 개폐시 상기 몸체(48)와 잠금편(54)이 일체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키꽂이부(112)는 다이캐스팅 성형법에 의해 성형되며, 상기 잠금편(54)을 일체로 형성하여 잠궈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상기 키꽂이부(112)는 상기 키하우징(114)에 결합 설치되는바, 상기 키하우징(114)은 손으로 누를 수 있도록 푸시버튼 기능을 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사각형상의 키하우징 몸체(56)를 갖으며, 상기 키하우징 몸체(56)의 후부에는 링크편(58,5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링크편(58,59)에는 좌우측방향으로 관통해서 핀공(6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핀공(60)에는 고정핀(62)이 끼워져서 고정된다.
상기 키하우징 몸체(56)의 내측부에는 결합공(64) 및 키꽂이부 결합공(66)으로 이루어진 키꽂이부 결합부(6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키하우징 몸체(56)의 우측면부에는 손으로 눌러서 동작시킬 수 있도록 버튼부(7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버튼부(70)의 하단부에는 반원형상의 누름돌기(7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버튼부(70)는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누름돌기(72)는 완만하게 라운드형상으로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버튼부(70)를 누를경우, 상기 하단부에 힘이 가해져서 상기 고정핀(62)을 중심으로 유동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상기 키뭉치(108)는 상기 키하우징(114)에 상기 키꽂이부(112)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키하우징(114)는 상기 수납부(12)에 수납설치되는바, 이때, 상기 키하우징(114)의 핀공(60)이 상기 몸체(10)의 하단부에 형성된 핀공(14)과 일치하도록 하여 고정핀(62)을 이용하여 끼워서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키하우징(114)를 누르면 상기 키꽂이부(112)에 의해 탄력수단(108)이 눌려지면서 상기 고정핀(62)을 중심으로 회동이 이루어지고, 이와 동시에 상기 키하우징(114)의 상단부가 뒤로 후퇴하면서 상기 걸림돌부(46)가 해제되어서 상기 도어 손잡이(106)의 하단부가 화살표 방향으로 울라가면서 도어 손잡이(106)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40도 각도 이상으로 열리게 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여 보면, 상기 본체(102)의 몸체(10)에 구비된 수납부(12)에 도어 손잡이(106)가 수납 설치되어 있고, 상기 도어 손잡이(106)의 상부에는 손잡이 스프링(104)이 게재되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 손잡이(106)의 상단부는 상부 고정턱(39)에 의해 몸체(10)에 고정되어지고, 상기 도어 손잡이(106)의 하단부는 상기 걸림돌부(46)에 의해 상기 키하우징(114)의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턱(47)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 스프링(104)는 상기 도어 손잡이(106)에 의해 가압되어 탄발되도록 눌려져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납부(12)의 하부에는 키뭉치(108)가 수납 설치되어 있다.
상기 키뭉치(108)는 먼저, 키하우징(114))에 키꽂이부(112)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수납부(12)에 상기 키하우징(114)이 수납되어 있으며, 상기 키꽂이부(112)위 좌측부에는 상기 탄력수단(110)이 내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키하우징(114)의 버튼부(70) 또는 누름돌기(72)를 누르면 상기 탄력수단(110)이 눌려짐과 동시에 상기 고정핀(62)를 중심으로 상기 키하우징 몸체(56)가 회동한다.
이때, 상기 키하우징 몸체(56)가 회동하면서 상기 도어 손잡이(106)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돌부(46)가 해제되고, 상기 손잡이 스프링(104)의 탄발력에 의해 도어 손잡이(106)가 화살표방향으로 탄력적으로 회동하면서 열리게 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여 보면, 상기 도어 손잡이가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도어 손잡이(106)를 잡았을 때의 상태도이고, 상기 도어 손잡이(106)의 손가락 걸이부(44)에 손가락을 걸고 여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열쇠를 이용하여 키꽂이부(112)를 회전시켜서 잠금편(54)이 회전함으로써 잠금장치를 해제하게 되면 상기 도어 손잡이(106)의 하단부에 설치된 키하우징(114)을 눌러서 도어 손잡이(106)가 돌출되도록 하여 분배전반용 도어를 개폐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몸체 12 : 수납부
14 : 핀공 15 : 고정핀
16 : 스프링 지지돌부 18 : 회동홈부
20 : 스프링 받침돌부 22 : 개구부
24 : 탄력수단 고정판 26 : 하측 막음부
28 : 안착부 30 : 후부 스프링
32 : 연결부 34 : 전부 스프링
36 : 몸체 38 : 고정턱 머리
40 : 핀공 42 : 스프링 걸림턱
44 : 손가락 걸이부 46 : 걸림돌부
47 : 걸림턱 48 : 몸체
50 : 키꽂이부 몸체 52 : 스프링 고정돌기
54 : 잠금편 56 : 키하우징 몸체
58,59 : 링크편 60 : 핀공
62 : 고정핀 64 : 결합공
66 : 키꽂이부 결합공 68 : 키꽂이부 결합부
70 : 버튼부 72 : 누름돌기
100 :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
102 : 본체
104 : 손잡이 스프링 106 : 도어 손잡이
108 : 키뭉치 110 : 탄력수단
112 : 키꽂이부 114 : 키하우징
14 : 핀공 15 : 고정핀
16 : 스프링 지지돌부 18 : 회동홈부
20 : 스프링 받침돌부 22 : 개구부
24 : 탄력수단 고정판 26 : 하측 막음부
28 : 안착부 30 : 후부 스프링
32 : 연결부 34 : 전부 스프링
36 : 몸체 38 : 고정턱 머리
40 : 핀공 42 : 스프링 걸림턱
44 : 손가락 걸이부 46 : 걸림돌부
47 : 걸림턱 48 : 몸체
50 : 키꽂이부 몸체 52 : 스프링 고정돌기
54 : 잠금편 56 : 키하우징 몸체
58,59 : 링크편 60 : 핀공
62 : 고정핀 64 : 결합공
66 : 키꽂이부 결합공 68 : 키꽂이부 결합부
70 : 버튼부 72 : 누름돌기
100 :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
102 : 본체
104 : 손잡이 스프링 106 : 도어 손잡이
108 : 키뭉치 110 : 탄력수단
112 : 키꽂이부 114 : 키하우징
Claims (9)
- 전력을 안전하게 공급하기 위한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에 있어서,
몸체(10)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의 내측부에 수납부(12)가 형성된 본체(102);
상기 본체(102)의 내측부에 형성된 수납부(12)에 수납되고 소정의 각도(A)로 개폐되는 도어 손잡이(106); 및
상기 본체의 내측 하부에 형성된 수납부(12)의 하부에 수납되고 키를 이용하여 도어를 잠그거나 열기 위한 키뭉치(108); 를 포함하며,
상기 키뭉치(108)는,
도어를 잠그거나 열기 위해 회전하는 잠금편(54)을 일체로 구비하는 키꽂이부(112);
상기 몸체(10)의 수납부(12)에 안착하여 상기 키꽂이부를 상기 몸체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력수단(110); 및
상기 키꽂이부(112)와 결합되고 고정핀(62)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단 후부에 링크편(58,59)을 구비하며, 내측부에는 키꽂이부 결합부(68)가 형성되고, 우측면부에는 버튼부(70)를 구비하는 키하우징(11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손잡이(10)는,
직사각형상의 몸체(36)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36)의 상단 좌측부에 고정턱 머리(38)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36)의 중간 좌측부에 스프링 걸림턱(42)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36)의 하단부에는 후크형상의 손가락 걸이부(44)가 형성되며, 상기 손가락 걸이부(44)이 하면에는 걸림돌부(46)가 상기 손가락 걸이부(44)를 따라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
-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2)의 수납부(12)에는 상기 도어 손잡이(106)와 결합되어 탄력적으로 탄발하여 상기도어 손잡이(106)를 개폐하기 위한 손잡이 스프링(104)을 구비하되,
상기 손잡이 스프링(104)은 양 갈래로 분기된 후부 스프링(30)과,
상기 후부 스프링(30)와 연결되는 연결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32)와 연결되되 디귿자(ㄷ)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도어 손잡이(106)의 스프링 걸림턱(42)과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2)는 직사각형상의 몸체(10)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10)의 내측부에는 수납부(12)가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12)의 내측부에는 스프링 받침돌부(2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0)의 상단 후부에는 회동홈부(18)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02)의 후부 하단부에는 하부가 개구된 형태의 개구부(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22)의 중간에는 가운데 부분이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진 탄력수단 고정판(2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홈부(18)는 티(T)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하부에 오목한 막음부(19)가 더 형성되어 상기 도어 손잡이(106)의 고정턱 머리(38)가 접촉되어 회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꽂이부(112)는,
원통형상의 몸체(48);
상기 몸체(48)의 전면부에 키구멍(51)이 형성되고, 상기 키하우징(114)과 결합되는 키꽂이부 몸체(50);
상기 몸체(48)의 후부에 돌출되어 상기 탄력수단(110)과 결합고정되는 스프링 고정돌기(52); 및
상기 몸체(48)의 후부면에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10)의 개구부(22) 내에서 회동하도록 이루어진 잠금편(5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하우징(114)은,
사각형상의 키하우징 몸체(56);
상기 키하우징 몸체(56)의 좌측부에는 형성된 한 쌍의 링크편(58,59); 및
상기 키꽂이부(112)가 결합되도록 상기 키하우징 몸체(56)의 중앙부에 형성된 키꽂이부 결합부(6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키하우징 몸체(56)의 우측부에는 하단부에 라운드형으로 완만하게 굴곡지고 상방향으로 돌출된 누름돌기(72)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손잡이(106)는 상기 본체(102)에서 열렸을 때 각도(A)가 40도 내지 50도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9584U KR200481611Y1 (ko) | 2014-12-26 | 2014-12-26 |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9584U KR200481611Y1 (ko) | 2014-12-26 | 2014-12-26 |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2341U KR20160002341U (ko) | 2016-07-06 |
KR200481611Y1 true KR200481611Y1 (ko) | 2016-10-28 |
Family
ID=56498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9584U KR200481611Y1 (ko) | 2014-12-26 | 2014-12-26 |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1611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103938A (zh) * | 2019-12-16 | 2020-05-05 | 和信精密科技(吴江)有限公司 | 一种具有面板锁的服务器hdd机架 |
KR102407005B1 (ko) * | 2021-02-15 | 2022-06-08 | 안성준 | 잠금체결용 원터치 손잡이 및 그 제조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8963Y1 (ko) | 2000-07-28 | 2001-01-15 | 최종욱 | 밀폐용 도어핸들 |
KR200250466Y1 (ko) | 1999-04-30 | 2001-11-16 | 한상준 | 배전반 도어 잠금장치의 손잡이부 체결구조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14726Y1 (ko) * | 1995-04-12 | 1998-10-01 | 신명식 | 도어핸들의 잠금장치 |
KR100351882B1 (ko) | 2000-12-09 | 2002-09-12 | 엘지산전 주식회사 | 배전반의 도어 잠금장치 |
KR20030054826A (ko) * | 2001-12-26 | 2003-07-02 | 삼성하이텍핸들(주) | 배전반용 도어의 핸들 구조 |
-
2014
- 2014-12-26 KR KR2020140009584U patent/KR200481611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0466Y1 (ko) | 1999-04-30 | 2001-11-16 | 한상준 | 배전반 도어 잠금장치의 손잡이부 체결구조 |
KR200208963Y1 (ko) | 2000-07-28 | 2001-01-15 | 최종욱 | 밀폐용 도어핸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2341U (ko) | 2016-07-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80268329A1 (en) | Battery Latching Assembly | |
KR200481611Y1 (ko) | 분배전반용 도어잠금장치 | |
CN212462071U (zh) | 具有把手的端子台 | |
KR200448297Y1 (ko) | 사물함용 손잡이형 잠금장치 | |
JP2005247232A (ja) | リッド開閉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小物入れ装置 | |
US20140042755A1 (en) | Case latch assembly | |
CN111155836B (zh) | 烤箱及其门体组件和拉手组件 | |
KR20060086655A (ko) | 밀폐형 도어핸들의 결합구조 | |
KR100608457B1 (ko) | 사물함 | |
JP2006236677A (ja) | コンセントカバー装置 | |
JP2009252602A (ja) | 充電台 | |
JP3691350B2 (ja) | 蓋体を具えた機器 | |
KR101545180B1 (ko) | 좌우 양측으로 개폐가능한 도어시스템 | |
KR200450979Y1 (ko) | 도어용 손잡이 | |
CN216797246U (zh) | 一种旋钮启闭的杯盖 | |
CN221040921U (zh) | 一种防误触翘板开关 | |
KR100887617B1 (ko) | 도어용 핸들구조 | |
KR20120055953A (ko) | 드로우 래치 록킹장치 | |
CN216165648U (zh) | 一种带有锁定结构的拉链头 | |
CN217459987U (zh) | 门体组件及家用电器 | |
KR100661570B1 (ko) | 휴대폰의 배터리 잠금장치 | |
EP3945641A1 (en) | Power socket having a base part, an aesthetic cover, and a drive member for a movable cover of the aesthetic cover | |
CN118121060A (zh) | 一种自锁式杯盖及储水容器 | |
KR20080107626A (ko) | 잠금수단이 구비된 함체 도어핸들용 핸들 | |
KR20110011865A (ko) | 핸들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복합장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