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607Y1 - 김장매트 - Google Patents

김장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607Y1
KR200481607Y1 KR2020160001331U KR20160001331U KR200481607Y1 KR 200481607 Y1 KR200481607 Y1 KR 200481607Y1 KR 2020160001331 U KR2020160001331 U KR 2020160001331U KR 20160001331 U KR20160001331 U KR 20160001331U KR 200481607 Y1 KR200481607 Y1 KR 2004816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kimchi
bottom plate
mat
en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3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1459U (ko
Inventor
박태범
Original Assignee
박태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범 filed Critical 박태범
Priority to KR20201600013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607Y1/ko
Publication of KR201600014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4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6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6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27Mixing bow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1/00Devices having a modular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thtub Accessories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김장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면에 배치되는 바닥판(10); 및 상기 바닥판의 테두리 전체에서 상향 연장되어 울타리를 형성하는 벽체(11);를 포함하는 김장매트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과 벽체의 연결부위로 수분이 누수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위를 방수하기 위한 방수포(12)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바닥판과 벽체 사이의 재봉부를 방수하기 위한 방수포를 마련하여, 재봉부에서 누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누수에 따른 외부 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벽체의 높이를 연장시키기 위한 연장벽체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여, 다량의 김장을 일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김장 작업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벽체가 외측으로 넘어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원추 구조형 벽체를 갖도록 하여 내부의 물이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김장 작업시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김장매트{MAT FOR MAKING KIMCHI}
본 고안은 김장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판과 벽체 사이의 재봉부를 방수하기 위한 방수포가 마련되고, 벽체의 높이를 연장시키기 위한 연장벽체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며, 벽체가 외측으로 넘어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원추 구조형 벽체를 갖는 김장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장매트는 김장을 하기 위한 용도로서 내부에 다량의 배추와 양념 등을 투입하기 위한 대형 용기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보통 김장 중 발생되는 수분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닐 등의 방수 재질을 사용하며 원판 형상의 바닥판과 이 바닥판의 테두리에서 상향 연장되는 링 형상 벽체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김장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사람이 들어가서 눕거나 할 수 있는 매트 기능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김장매트는 바닥판과 벽체의 연결부위를 제봉하여 제작하기 때문에 이 제봉부분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벽체도 일정높이로 제작되어 높이를 연장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김장시 내용물 투입량에 한계가 있어 김장을 일괄적으로 한번에 끝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벽체가 비닐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벽체 자체의 강성이 약하여 김장매트 내부에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물이 벽체로 쏠릴 경우 벽체가 외측으로 무너져 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2913호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바닥판과 벽체 사이의 재봉부를 방수하기 위한 방수포를 마련하여, 재봉부에서 누수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김장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벽체의 높이를 연장시키기 위한 연장벽체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함으로써, 다량의 김장을 일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김장매트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벽체가 외측으로 넘어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원추 구조형 벽체를 갖도록 하여 내부의 물이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김장매트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장매트는 바닥면에 배치되는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의 테두리 전체에서 상향 연장되어 울타리를 형성하는 벽체;를 포함하는 김장매트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과 벽체의 연결부위로 수분이 누수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위를 방수하기 위한 방수포가 더 구비되고, 김장 절임 작업 중 김장매트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경우 물이 상기 벽체로 쏠리더라도 상기 벽체가 외측으로 밀려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상기 벽체는 상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원추 구조로 되며, 상기 벽체는 배추 절임용에서 배추 버무림용으로 전환을 위해 상기 벽체의 일측에 열림수단인 지퍼를 구비하고 상기 지퍼를 연 후 상기 벽체의 상단부를 말아 접어서 높이를 낮추면 배추 버무림용으로 용도가 변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김장매트에 있어서, 상기 방수포는 바닥판의 상면 전체와 벽체의 내측면 전체를 커버한 상태로 그 상단부가 상기 벽체의 상단 외측으로 연장되어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김장매트에 있어서, 상기 방수포는 바닥판의 상면 전체와 벽체의 내측면 전체를 커버한 상태로 그 상단부가 상기 벽체의 상단 외측으로 연장되어 착탈부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김장매트에 있어서, 상기 벽체의 상단부에 벽체의 전체 높이를 상향 연장시키기 위한 연장벽체가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삭제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김장매트에 있어서, 상기 벽체의 상단부에 상기 벽체의 상단부의 직경이 좁아지도록 하는 조임부가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김장매트는 바닥판과 벽체 사이의 재봉부를 방수하기 위한 방수포를 마련하여, 재봉부에서 누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누수에 따른 외부 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또한, 벽체의 높이를 연장시키기 위한 연장벽체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여, 다량의 김장을 일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김장 작업속도를 향상시키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또한, 벽체가 외측으로 넘어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원추 구조형 벽체를 갖도록 하여 내부의 물이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김장 작업시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장매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장매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김장매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김장매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김장매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김장매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장매트는 바닥면에 배치되는 바닥판(10) 및 상기 바닥판(10)의 테두리 전체에서 상향 연장되어 울타리를 형성하는 벽체(1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10)과 벽체(11)의 연결부위로 수분이 누수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위를 방수하기 위한 방수포(12)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방수포(12)는 바닥판(10)의 상면 전체와 벽체(11)의 내측면 전체를 커버한 상태로 상기 바닥판(10)과 벽체(11)에 밀착되고 그 상단부가 상기 벽체(11)의 상단부에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방수포(12)의 상단부가 벽체(11)의 외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이 연장단부를 벽체(11)의 상단 외측에 융착 등을 통해 일체형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에서 나타낸 것처럼, 방수포(15)는 바닥판(10)의 상면 전체와 벽체(11)의 내측면 전체를 커버한 상태로 상기 바닥판(10)과 벽체(11)에 밀착되고 상기 방수포(15)의 상단부가 상기 벽체(11)의 상단부로 연장되어 이 연장단부와 벽체(11)의 상단부가 별도의 착탈부(17)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형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착탈부(17)는 방수포(15)의 상단부와 벽체(11)의 상단부에 각각 벨크로폴 등을 이용하여 서로 간의 부착 및 부착 해제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시예들의 벽체는 배추 버무림용으로 높이는 대략 15cm의 높이를 갖는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4에서 나타낸 것처럼, 벽체(11)의 상단부에 벽체(11)의 전체 높이를 상향 연장시키기 위한 연장벽체(20)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장벽체(20)는 상기 벽체(11)의 상단부와 그 하단부가 연결되는 구조로, 별도의 접착수단(벨크로폴 등)을 통해 서로 간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장벽체(20)와 벽체(11)의 연결부위 역시 방수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겹침 구조 등을 강구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연장벽체(20)의 하단 외측면이 상기 벽체(11)의 상단 내측면에 상하로 소정길이만큼 겹치도록 하여 서로 간을 연결함으로써 이 연결부위에 방수 기능이 부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장벽체(20)를 부착하게 되면 배추 절임용의 용도를 갖게 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서 나타낸 것처럼, 벽체(30)는 상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원추 구조로 할 수 있다.
이렇게 상향 원추 구조로 벽체(30)를 구성함으로써, 김장 절임 작업 중 김장매트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경우 물이 벽체로 쏠리더라도 벽체(30)가 외측으로 밀려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벽체(30)는 배추 절임용으로써, 대략 바닥에서 50cm의 높이를 갖고 있으며, 배추 버무림용으로 전환을 위해 상기 벽체(30)의 일측에 열림수단, 즉 지퍼(31) 등을 구비하여 지퍼(31)를 연 후 벽체(30)의 상단부를 말아 접어서 높이를 15cm 정도로 낮추면 배추 버무림용으로 용도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서 나타낸 것처럼, 벽체(40)의 상단부에 조임부(41)가 마련된 것으로써, 상기 조임부(41)는 벽체(40)의 상단부에 링형 공간부를 형성하고 일측에 관통공을 형성한 후 상기 공간부에 끈을 투입하여 끈의 양단부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한 다음 이 끈의 양단부를 잡아당기면 벽체(40)의 상단부 직경이 좁아지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벽체(40)는 배추 절임용으로 대략 바닥에서 50cm의 높이를 갖고 있으며, 배추 버무림용으로 전환시 상기 벽체(40)의 상단부를 말아 접어서 높이를 15cm 정도로 낮추면 배추 버무림용으로 용도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김장매트는 내부에 김장용 재료를 투입하고 여러 사람이 한꺼번에 김장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김장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사람이 들어가서 자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등의 다용도 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모든 실시예들은 바닥판과 벽체 사이의 재봉부를 방수하기 위한 방수포가 기본적으로 구비됨은 자명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장매트는 바닥판과 벽체 사이의 재봉부를 방수하기 위한 방수포를 마련하여, 재봉부에서 누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누수에 따른 외부 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벽체의 높이를 연장시키기 위한 연장벽체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여, 다량의 김장을 일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김장 작업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벽체가 외측으로 넘어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원추 구조형 벽체를 갖도록 하여 내부의 물이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김장 작업시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를 종래의 공지 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변형예는 물론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은 본 고안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바닥판 11 : 벽체
12 : 방수포 15 : 방수포
17 : 착탈부 20 : 연장벽체
30 : 벽체 31 : 지퍼
40 : 벽체 41 : 조임부

Claims (6)

  1. 바닥면에 배치되는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의 테두리 전체에서 상향 연장되어 울타리를 형성하는 벽체;
    를 포함하는 김장매트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과 벽체의 연결부위로 수분이 누수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위를 방수하기 위한 방수포가 더 구비되고,
    김장 절임 작업 중 김장매트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경우 물이 상기 벽체로 쏠리더라도 상기 벽체가 외측으로 밀려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상기 벽체는 상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원추 구조로 되며,
    상기 벽체는 배추 절임용에서 배추 버무림용으로 전환을 위해 상기 벽체의 일측에 열림수단인 지퍼를 구비하고 상기 지퍼를 연 후 상기 벽체의 상단부를 말아 접어서 높이를 낮추면 배추 버무림용으로 용도가 변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장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포는 바닥판의 상면 전체와 벽체의 내측면 전체를 커버한 상태로 그 상단부가 상기 벽체의 상단부에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장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포는 바닥판의 상면 전체와 벽체의 내측면 전체를 커버한 상태로 그 상단부가 상기 벽체의 상단부에 착탈부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장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의 상단부에 벽체의 전체 높이를 상향 연장시키기 위한 연장벽체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장매트.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의 상단부에 상기 벽체의 상단부의 직경이 좁아지도록 하는 조임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장매트.
KR2020160001331U 2016-03-13 2016-03-13 김장매트 KR2004816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331U KR200481607Y1 (ko) 2016-03-13 2016-03-13 김장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331U KR200481607Y1 (ko) 2016-03-13 2016-03-13 김장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459U KR20160001459U (ko) 2016-05-04
KR200481607Y1 true KR200481607Y1 (ko) 2016-10-19

Family

ID=56023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331U KR200481607Y1 (ko) 2016-03-13 2016-03-13 김장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60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948U (ko) 2016-09-28 2018-04-05 윤종식 원터치 김장매트
KR101947023B1 (ko) * 2017-06-01 2019-02-25 주식회사 삼진테크 방수 및 논슬립 기능을 갖는 다용도 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294300B1 (ko) 2021-02-02 2021-08-25 남용숙 다용도 매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5156B2 (ja) * 1994-03-15 2001-08-06 株式会社住友シチックス尼崎 チタンの製造方法
KR200435341Y1 (ko) * 2006-08-23 2007-01-17 이재권 탈부착기능을 갖는 채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5156A (ja) * 1989-12-25 1991-08-26 Hitachi Ltd 回線再配置方法及び装置
KR200443704Y1 (ko) * 2007-11-02 2009-03-09 이정애 손바구니접이덮개
KR20110007830U (ko) * 2010-02-01 2011-08-09 노춘근 김치 양념버물이판
KR101242913B1 (ko) 2012-08-12 2013-03-12 성부경 세척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5156B2 (ja) * 1994-03-15 2001-08-06 株式会社住友シチックス尼崎 チタンの製造方法
KR200435341Y1 (ko) * 2006-08-23 2007-01-17 이재권 탈부착기능을 갖는 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459U (ko) 201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1607Y1 (ko) 김장매트
US20070261977A1 (en) Waterproof gear container
US9510641B1 (en) Waterproof boot assembly
KR100647075B1 (ko) 빗물 낙수방지용 우산커버
US2129654A (en) Decorative bag
US20080216401A1 (en) Waterproof plant pot holder
KR200469040Y1 (ko)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
CN213355378U (zh) 一种多层复合编织袋
KR101535656B1 (ko) 자석을 이용한 뚜껑 고정구조를 갖는 가방
US1439180A (en) Collapsible bucket
KR101547277B1 (ko) 가방용 커버
CN203483123U (zh) 可拆卸布艺储物凳
KR200298380Y1 (ko) 휴대용 방수 비누각
JP2007313258A (ja) 収納具
KR102294300B1 (ko) 다용도 매트
JP3116648U (ja) 流し台用水跳防止具
KR200451525Y1 (ko) 골프백 커버
JP3157432U (ja) 折畳み傘収納ケース
KR200479427Y1 (ko) 천막용 창 구조
JP4316415B2 (ja) 釣用バケツ
JP6315934B2 (ja) 釣用容器
JP2509947Y2 (ja) 活餌携帯用容器
KR200291932Y1 (ko) 휴대용 휴지케이스
JPS5832673Y2 (ja) 簡易傘カバ−
CN205931624U (zh) 纸质盘条成形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