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7277B1 - 가방용 커버 - Google Patents

가방용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7277B1
KR101547277B1 KR1020150026766A KR20150026766A KR101547277B1 KR 101547277 B1 KR101547277 B1 KR 101547277B1 KR 1020150026766 A KR1020150026766 A KR 1020150026766A KR 20150026766 A KR20150026766 A KR 20150026766A KR 101547277 B1 KR101547277 B1 KR 101547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cover
sheet
cut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주
Original Assignee
김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주 filed Critical 김우주
Priority to KR1020150026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72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277B1/ko
Priority to PCT/KR2016/001635 priority patent/WO201613715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06Ladies' handbags
    • A45C3/08Handbags provided with removable or washabl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방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가 반으로 접혀져 형성되어, 일측 및 양싸이드 모서리가 개방되어 형성되고, 상기 시트의 일측 모서리 중간 지점에서 접혀진 모서리 측으로 상측 덮개 영역을 남겨두고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상측에는 상측 덮개 영역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내측 덮개 영역과 외측 덮개 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 하측에 인접하여 상기 일측 모서리의 개방된 부분을 일부 결합시키는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용 커버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가방의 치수를 고려하여 시트의 모서리의 길이, 개방된 정도, 절개부, 결합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가방용 커버를 형성할 수 있으며, 사용 용도에 따라 방수 시트 또는 원단 등을 사용할 수 있어, 우천시 또는 가방의 보관시에 빗물 또는 오염으로부터 가방을 완전히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가방용 커버{cover for bag}
본 발명은 가방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반으로 접혀진 시트에 각각 한 쌍의 절개부 및 결합부를 형성하여 간편하게 가방에 덮어씌워 빗물이나 오염으로부터 가방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가방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방은 사용목적이나 착용하는 형태에 따라 여행용가방, 백팩, 핸드백, 숄더백 등으로 불리어지고 있으며, 직물, 비닐이나 가죽 등의 소재로 만들어져 내부에 물건이 수납될 수 있도록 수납부와 착용을 위한 어깨끈,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방들은 바느질 마감 부분이나 재질 자체가 물기에 취약한 재질로 형성되어, 비나 눈이 올 때 우산의 소지 유무와 관계없이 물기에 젖거나 물이 내부에 스며들어 수납부에 수납된 내용품들이 젖는 경우가 많다.
특히, 등에 매는 백팩 형태에 비해 옆으로 들거나 걸쳐매는 핸드백이나 숄더백 류의 가방들은 우산이 비를 막아줄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있는 경우가 많아 가방이나 가방속 내용품들이 젖게 될 위험에 더 크게 노출되어있다.
또한, 가죽 가방의 경우 물기에 자주 노출되면, 유분기가 빠져 뻣뻣해지게 되어 가죽 부분이 부스러지거나 탈색되는 현상 등을 초래하게 되어 가방 자체의 가치를 떨어뜨리게 된다.
또한, 고가의 명품 가방을 비롯한 가방들을 보관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물기뿐만 아니라, 오염에 노출되지 않도록 더욱 주의를 요하는 경향이 있다.
종래에는 이와 같이 비나 눈 또는 오염으로부터 가방을 보호하기 위해 커버 등이 사용되어져 왔다.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92897호 "방수커버를 갖는 가방", 등록번호 20-0426044호 "가방용 방수커버" 등이 있다.
상기 종래기술들은 백팩에 대한 방수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첫 번째 종래기술은 테두리에 밴드선을 형성하고, 패스너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여 가방 앞쪽으로 덮어 씌우는 것이며, 두 번째 종래기술은 테두리에 탄성수단을 구비하여 가방 자체에 방수커버를 구비하여 가방 앞쪽으로 덮어 씌우는 것으로서, 필요할 때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종래기술은 기본적으로 백팩에 대한 것으로서, 이를 일반적인 손잡이나 어깨끈이 있는 가방에 적용하는 경우에도 테두리에 밴드선 또는 탄성수단을 구비하여 덮어 씌우거나 에워싸는 형태로 사용되어져 왔다.
하지만, 이러한 주머니 형태의 방수커버는, 수직방향으로 내리는 빗방울을 막아줌에 있어서 지면과 평행한 '횡 방향'으로 목표물인 가방을 모두 감쌀 수 있는 백팩에는 적합하다고 할 수 있지만, 핸드백이나 숄더백 류의 가방들은 기본적으로 가방의 소지를 행할 수 있게끔 해주는 부분들(어깨끈이나 손잡이)이 가방의 본체와 '종 방향'으로 연속되어 이어져 있고, 결국에는 손이나 어깨에 이르러 이와 함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각 부분들(어깨끈이나 손잡이)을 단독적으로 보더라도 이 자체가 불연속적으로 끊어져 있는 부분없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이어진 형태이기 때문에, 백팩과 같이 '횡 방향'으로는 감싸질 수 없고, 지면과 수직한 '종 방향'으로의 착용이 불가피하게 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일반적으로 핸드백 혹은 숄더백 류의 가방에 사용되어지는 커버들은 아래쪽에서 위쪽 방향으로 감싸지게 되는데, 이때는 손잡이나 어깨끈에 걸려 안정된 착용이 어려우며, 설사 적용이 가능하더라도 손잡이나 어깨끈 사이와 그 근처에는 제대로 커버가 이루어지지 않아 수직방향으로 내리는 빗물에 그 사이 부분은 그대로 노출되어 젖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가방 전체를 커버로 덮어 커버의 입구를 여미거나, 위쪽에서 아랫방향으로 가방 전체를 씌울 수도 있지만, 이는 가방 본연의 기능을 할 수가 없으므로 문제가 된다.
또한, 손잡이의 양끝이 가방의 폭 길이와 비슷한 정도로 형성되거나, 가방의 양측 끝과 끝에 어깨끈이 달린 경우에는 상기 커버의 경우 아무리 커버의 입구를 좁게 한다고 하더라도 걸리는 부분이 없으므로, 아래 방향으로 커버가 흘러내림이 불가피하여 커버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패스너(fasteners)나 벨크로 테이프 등과 같은 연결장치를 가방 손잡이 내측을 통과하도록 추가적으로 적용시켜 커버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유지시켜 주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20-2013-0001805호 "가방용 커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는 폐쇄되면서, 하부는 개방된 본체로 형성되고, 본체의 상부에는 가방의 손잡이 끈이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마련되어 있어 가방을 빗물이나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종래기술은 핸드백이나 숄더백, 토드백, 서류가방 등 손잡이나 어깨끈이 있는 가방에 적용은 가능하도록 하였으나, 기본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 사이 부분은 방수가 이루어질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어깨끈의 탈착이 불가능한 방식의 가방에는 아예 착용자체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단추나 지퍼 끈과 같은 별도의 부가장치들이 커버의 기본적인 기능수행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되어야 하므로 제작방법이 다소 까다롭고 구성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의 종래기술들은 대게 기본적으로 가방의 형태에 맞춰 그 보다 약간 큰 규모의 직육면체 형태의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고, 각 면과 면을 봉제 혹은 본딩처리해주어 형태를 유지시켜 주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러한 기본 모양을 골조로 하여 각 구성부분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지퍼나 패스너 혹은 벨크로 테이프, 단추 등과 같은 부가장치들이 적용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제작과 사용을 다소 복잡하게 하며, 제작난이도의 수준 또한 커버 자신의 종속관계의 주체 혹은 목적이라 할 수 있는 가방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제각기 다른 디자인을 가진 복수의 가방들에 커버를 적용시킨다고 할 때, 전체적인 폭뿐만 아니라, 손잡이 양쪽 기둥의 간격, 어깨끈의 간격 및 적용된 높이 등과 같은 주요 부위의 세부 스펙에 맞춰 제작하는 것이 불가피해지고, 이러한 조건들이 비슷한 범위 내에 있다고 하더라도 만약 가방의 형태가 삼각형에 가까운 마름모 형태(호보백(hobo bag) 류)이거나, 가방이 앞뒤로 부피감이 있는 뚱뚱한 형태인 경우(드로스트링백(drawstring bag) 류) 혹은 납작한 형태(바디백(body bag) 류) 혹은 옆으로 뉘어진 원통형에 가까운 형태(보스톤백(boston bag),바렐백(barrel bag), 필로우백(pillow bag) 류)를 갖거나, 세부적으로는 수십 가지 이상의 종류로 여며지는 방식을 달리하는 가방 개구부의 제작 방식의 차이로 가방 각각의 디자인적 특성이 서로 많은 차이를 보이는 경우엔 좀 더 까다로운 수준의 맞춤 제작이 불가피해져, 점점 더 패션성이 중요시되어 디자인이 다양해지는 핸드백 혹은 숄더백 류의 가방류를 덮어주는 커버로써는 소품종 대량생산이 아닌 다품종 소량생산이 불가피해져 상용화되기엔 어려운 면이 있다.
또한, 이는 이미 구조적인 형태를 갖추고 면과 면이 서로 봉제 혹은 본딩처리로 정육면체의 구조를 유지시켜 놓은 경우가 많고, 그 크기 또한 덮어줘야 하는 대상인 가방보다 크게 제작되어야 하는데, 언제 내릴지 모르는 비에 대비해 평소에 가방보다 큰 치수들로 이루어져 각 부분이 본딩 및 봉제처리로 각 면과 면을 서로 고정시켜 그 형태가 유지되고 있는 커버를 가방 안에 접어 넣어 항상 소지하고 다니기에는 다소 큰 번거로움이 존재하므로 제품 자체에 용도와 특성이 잘 부합된다고 볼 수는 없다.
그리하여, 현재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는 상용화된 가방 커버들은 가방을 통째로 집어 넣어줘야 하는 방식이거나, 비를 막아 줄 수 있는 능력이 마치 '머리 부분이 뚫려있는 우산'이나, '후드부가 없는 우비'와 같이 손잡이 사이가 비어있는 끈 혹은 고무줄이 달린 주머니형태이다.
이는 가방과 가방 안에 담긴 내용물들을 빗방울로부터 완전하게 보호하기보다는, 가방 표면에 물기가 묻거나 튀기는 것을 최소화시켜주는 정도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어, 여전히 가방을 완벽하게 보호하기 위한 가방 커버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다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반으로 접혀진 시트에 각각 한 쌍의 절개부 및 결합부를 형성하여 간편하게 가방에 덮어씌워 빗물이나 오염으로부터 가방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가방용 커버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시트가 반으로 접혀져 형성되어, 일측 및 양싸이드 모서리가 개방되어 형성되고, 상기 시트의 일측 모서리 중간 지점에서 접혀진 모서리 측으로 상측 덮개 영역을 남겨두고 한 쌍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상측에는 상측 덮개 영역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내측 덮개 영역과 외측 덮개 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 하측에 인접하여 상기 일측 모서리의 개방된 부분을 일부 결합시키는 한 쌍의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용 커버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즉, 한 장의 시트에 각각 한 쌍의 절개부와 결합부를 형성해 본 발명에 따른 가방용 커버를 완성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상측 덮개 영역의 길이와 같거나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트의 개방된 모서리 및 절개부는, 절개예정선의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시트의 개방된 모서리 및 절개부는, 지퍼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연속적인 패스너를 적용해 형성되어 개폐 영역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접혀진 시트가 본딩 혹은 봉제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접혀진 시트에 형성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패스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절개부와 결합부가 만나는 결함점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이어진 절개부 경계선의 아래쪽 일부분이 상기 결합점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고정바가 더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절개부 하측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상기 일측 모서리에서부터 상기 절개부의 모서리쪽으로 이어지는 'L'자 영역을 기준으로, 아래쪽 변 부분은 서로 점착되어 형성되고, 수직쪽 변 부분은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인 점착점을 부여해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일측 모서리에서 결합부 영역만을 제외하고, 그 나머지 일측 모서리의 외측 부분에만 절개 혹은 절개예정선을 적용시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의 일측 모서리에는, 상기 결합부를 남겨두고, 절개띠를 형성하여, 상기 시트의 일측 모서리가 개방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측 덮개 영역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절개부와 같은 방향으로 절개 예정선, 지퍼 및 복수의 연속적인 패스너 중 어느 하나를 적용시켜, 상기 상측 덮개 영역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시트는, 방수 시트 또는 원단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방수 시트는,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을 원료로 하여 필름 형태로 가공된 비닐시트, 폴리에스터(PE) 또는 나일론을 원료로 하는 합성섬유 원단 혹은 재생섬유 원단, 천연섬유원단이 방수처리된 방수섬유원단, 방수처리된 제지류인 타이벡(TYVEK), 아트지 및 기름종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방용 커버는, 상기 시트의 양싸이드 모서리가 절개예정부 형태로 구현되어, 한 단위 한 단위의 커버가 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방식으로 제공되거나, 이것이 롤 형태로 감겨져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반으로 접혀진 시트에 절개부 및 결합부를 형성하여 간편하게 가방에 덮어씌워 빗물이나 오염으로부터 가방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별도의 부가장치의 적용없이 제작이 가능해 제작 단가 절감 및 제작 시간의 단축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 치수의 동일한 디자인으로도 전체적인 가방의 크기와 손잡이나 어깨끈의 양끝 간격만 비슷하다면 세부적으로 서로 다른 모양을 가진다 하더라도 이에 상관없이 완벽하게 가방을 덮어줄 수 있으므로, 소품종 대량생산의 기획이 가능해져 상용화되기에 좋은 조건을 가진 산업친화적인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가방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시트의 모서리의 길이, 개방된 정도, 절개부, 결합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맞춤형으로 적용할 수도 있으며, 사용 용도에 따라 방수 시트 또는 원단 등을 사용할 수 있어, 우천시 또는 가방의 보관시에 빗물 또는 오염으로부터 가방을 완전히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완전평면의 일체형 디자인을 가짐으로써 사용이 간편하고, 평상시에도 갑작스러운 비를 대비해 작은 부피로 간단하게 접거나 말은 채로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뛰어난 소지성 및 보관성을 통해 관리 및 이용이 수월한 장점이 있으므로 사용 환경 상에서 제품의 기능 수행에 알맞은 조건을 가진 형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손잡이가 있거나 어깨끈이 있는 가방의 경우에도 손잡이 사이나 어깨끈 사이가 상측 덮개 영역에 의해 완전히 덮이도록 형성되어, 가방의 커버가 제대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가방을 외부환경으로부터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 또는 어깨끈 사이를 완전히 덮어 가방을 보호함과 동시에 커버가 가방의 손잡이 또는 어깨끈 사이에 걸쳐지게 되므로, 커버가 무단히 흘러내리거나 벗겨지는 것이 방지되어, 사용자가 안심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방용 커버의 형태를 이룸에 있어서 각 면과 면을 연결시켜주는 접합선이 없으므로 커버의 적용시 가방 부분의 형태에 맞춰 덮히는 데에 방해되는 요소가 없어, 가방 형태에 상관없이 자연스럽게 가방을 덮을 수 있게 되고, 커버 상부쪽에 손잡이 혹은 어깨끈이 나오는 구멍쪽에 힘이 전달되어 유격이 생기는 것이 방지되어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 - 종래의 가방용 커버에 대한 모식도.
도 2 - 본 발명에 따른 가방용 커버의 제작방법에 대한 모식도.
도 3 - 본 발명에 따른 가방용 커버의 사용방법에 대한 모식도.
도 4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어깨끈 가방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
도 5 내지 도 8 - 본 발명에 따른 가방용 커버의 결합부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모식도.
도 9 -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 가방용 커버에 절개띠를 구현한 모식도.
도 10 -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방수 시트로 형성된 가방용 커버의 공급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
본 발명은 가방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반으로 접혀진 시트에 각각 한 쌍의 절개부 및 결합부를 형성하여 간편하게 가방에 덮어씌워 빗물이나 오염으로부터 가방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제작 방식이 간단하고 별도의 부가장치의 도입없이 제작이 가능해 제작 단가 절감 및 제작 시간의 단축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완전 평면의 일체형 디자인을 가짐으로써 사용이 간편하고, 비가 오지 않을 때에도 갑작스러운 비를 대비해 작은 부피로 간단하게 접거나 말은 채로 가방에 넣고 다니기 용이하며, 평소에 보관하기도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뛰어난 소지성 및 보관성을 통해 관리 및 이용이 수월한 장점이 있으므로 사용환경상에서 제품의 기능수행에 알맞은 조건을 가진 형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손잡이가 있거나 어깨끈이 있는 가방의 경우에도 손잡이 사이나 어깨끈 사이가 완전히 덮이도록 형성되어, 가방의 커버가 제대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가방을 보호하고, 그 속의 내용품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 또는 어깨끈 사이를 완전히 덮어 가방을 보호함과 동시에 커버가 가방의 손잡이 또는 어깨끈 사이에 걸쳐지게 되어, 커버가 무단히 흘러내리거나 벗겨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사용자가 안심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버의 각 면과 면을 연결시켜 주는 접합선이 없으므로 커버의 적용시 가방부분 부분의 형태에 맞춰 덮이는 데에 방해되는 요소가 없어, 자연스럽게 가방을 덮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각각의 디자인을 가진 복수의 가방들이 전체적인 크기와 손잡이 혹은 어깨끈의 양쪽 기둥의 간격만 서로 비슷하다면, 세부적으로 서로 다른 모양을 가진다고 하더라도 단일 치수의 커버로 완벽하게 가방을 덮어줄 수 있으므로, 소품종 대량생산의 기획이 가능해져 상용화되기에 좋은 조건을 가진 산업친화적인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방용 커버는, 우천시에 사용할 경우에는 방수 시트로 형성하여 빗물로부터 가방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가방의 보관시에 사용할 경우에는 항균 재질 또는 부직포와 같은 통풍이 잘 되는 재질로 형성하여 가방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방용 커버의 제작방법에 대한 모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방용 커버의 사용 방법에 대한 모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어깨끈 가방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방용 커버의 결합부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 가방용 커버에 절개띠를 구현한 모식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방수 시트로 형성된 가방용 커버의 공급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방용 커버는, 시트(100)가 반으로 접혀져 형성되어, 일측 및 양싸이드 모서리가 개방되어 형성되고, 상기 시트(100)의 일측 모서리 중간 지점에서 접혀진 모서리 측으로 상측 덮개 영역(up)을 남겨두고 한 쌍의 절개부(110)가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110)를 기준으로 상측에는 상측 덮개 영역(up)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내측 덮개 영역(in)과 외측 덮개 영역(out)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110) 하측에 인접하여 상기 일측 모서리의 개방된 부분을 일부 결합시키는 한 쌍의 결합부(1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가방용 커버의 제작원리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각형에 가까운 한 장의 시트(100)를 4등분의 영역으로 나눠 좌측상단부터 시계방향으로 1번 사각형, 2번 사각형, 3번 사각형, 4번 사각형이라고 가정할 때, 시트(100)의 좌측상단영역은 1번 사각형, 우측상단영역은 2번 사각형, 우측하단영역은 3번 사각형, 좌측하단영역은 4번 사각형이 된다.
첫 번째 절개부(110)는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100)의 상측 영역에 존재하는 1번 사각형의 우측변과 2번 사각형의 좌측변이 서로 접하게 되는 접선상에 존재하게 되며, 접선의 위쪽 방향으로부터 총 접선 길이의 반과 같거나, 더 긴 길이로 아래쪽 방향에 이르게 된다.
두 번째 절개부(110) 역시 시트의 하측 영역에 존재하는 3번 사각형의 좌측변과 4번 사각형의 우측변이 서로 접하게 되는 접선상에 존재하게 되며, 접선의 아래쪽 방향으로부터 총 접선 길이의 반과 같거나 조금 더 긴 길이로 위쪽 방향에 이르게 된다.
이렇게 두 개의 절개부(110)를 형성시킨 후 두 개의 결합부(120)를 형성시키기 위해, 시트의 상측 영역과 하측 영역의 중간을 접어준다. 즉, 1번 사각형과 2번 사각형이 각각 4번 사각형과 3번 사각형에 겹쳐질 수 있도록 정사각형과 가까운 형태의 한 장의 시트(100)를 위아래로 접어주게 된다. 접혀진 후의 시트(100)의 형태는 높이의 길이가 폭의 길이보다 짧은 직사각형의 형태가 된다.
이렇게 생긴 가로로 긴 형태의 직사각형의 영역을 또다시 둘로 나눠 도 2(c)의 도면과 같이 좌측 영역을 A 사각형, 우측 영역을 B 사각형이라고 가정해보면, 1번 사각형과 4번 사각형이 포개져서 생긴 A 사각형 그리고 2번 사각형과 3번 사각형이 포개져서 생긴 B 사각형 모두의 위쪽 모서리는 붙어있고, 아래쪽 모서리는 개방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A 사각형의 우측 모서리와 B 사각형의 좌측 모서리는 서로 접하는 접선 영역의 위쪽 영역은 절개되어 있지 않고, 아래쪽 영역은 절개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A 사각형과 B 사각형 사이의 절개부를 기준으로 절개부 하단부 양쪽방향으로 일부 영역을 결합시켜 한 쌍의 결합부(120)를 형성시켜주면 본 발명에 따른 가방용 커버를 위한 시트가 완성되게 된다.
즉, 1번 사각형과 4번 사각형이 겹쳐져 형성이 된 A 사각형의 우측하단영역에 1번 사각형과 4번 사각형을 서로를 연결 혹은 접합시켜주는 결합부(120)가 위치하게 되고, 2번 사각형과 3번 사각형이 겹쳐져 형성이 된 B 사각형의 좌측하단영역에 2번 사각형과 3번 사각형 서로를 연결 혹은 접합시켜주는 결합부(120)가 각각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제작된 본 발명에 따른 가방용 커버는, 시트(100)가 반으로 접혀져 형성되어, 한쪽 모서리는 접혀진 부분으로 밀폐되어 형성되며, 세 방향의 모서리 즉, 일측 및 양싸이드 모서리는 개방되어 형성된다.
또한, 접혀진 시트(10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를 띄는 것이 바람직하며, 길이가 긴 모서리 중 하나가 밀폐되어 있고, 그 양싸이드 모서리는 개방되어 있으며, 나머지 길이가 긴 모서리도 개방되어 있다.
이는 접혀진 시트(100)에서의 반은 가방을 커버함에 있어서 안쪽(내측 덮개 영역(in))에 위치하게 되고, 반은 가방을 커버함에 있어서 바깥쪽(외측 덮개 영역(out))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즉, 가방을 이중으로 덮게 되므로, 내측 덮개와 외측 덮개가 필요하므로 길이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태를 띄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접혀진 직사각형 시트(100)에 있어서, 길이가 긴 접혀진 부분의 모서리 및 그에 대향되는 일측 모서리는 본 발명에 따른 가방용 커버를 가방에 덮어씌웠을 때, 가방의 앞쪽 및 뒤쪽 면에 중앙에 수직으로 위치하게 되므로, 길이가 긴 쪽의 모서리가 길면 길수록 가방의 아랫부분까지 커버가 내려오도록 형성되며, 커버의 아랫부분에 여유가 생기게 된다.
즉, 긴 모서리 부분의 길이는 가방의 높이를 고려하여 제작되게 되며, 보급형 커버로 제공될 경우에는 충분히 여유있는 길이로 제작되어 가방의 크기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가방에 따른 맞춤형 커버로 제공될 경우에는 해당되는 가방의 높이를 고려하여 적절한 길이로 형성한다.
그리고, 접혀진 직사각형 시트(100)에 있어서, 길이가 짧은 부분의 양싸이드 모서리는 본 발명에 따른 가방용 커버를 가방에 덮어씌웠을 때, 접혀진 시트(100) 사이로 가방이 들어가게 되므로, 가방의 폭 및 너비의 크기에 대응되게 된다. 즉, 길이가 짧은 부분의 양싸이드 모서리를 길게 하면 폭 또는 너비가 더 넓은 가방을 커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가방용 커버는 상기 시트(100)의 일측 모서리 중간 지점에서 접혀진 모서리 측으로 위쪽엔 상측 덮개 영역(up)을 남겨두고 아래쪽엔 절개부(110)가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110)를 기준으로 상측에는 상측 덮개 영역(up)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내측 덮개 영역(in)과 외측 덮개 영역(out)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100)가 반으로 접혀져 형성되어, 일측 및 양싸이드 모서리는 개방되어 형성되면서, 일측 모서리 중간 지점에서 적절한 높이까지 절개부(110)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절개부(110)는 반으로 접혀진 시트(100)의 길이 방향으로 긴 모서리 측의 절반 지점에서 시트(100)가 잘리어져 형성되는 것으로서, 전체가 다 잘리는 것이 아니라, 상측 덮개 영역(up)이 형성될 만큼의 길이는 남겨두고 자른다.
여기에서, 상기 상측 덮개 영역(up)은 손잡이 또는 어깨끈 사이의 가방의 상측을 커버하는 부분으로, 가방의 크기 또는 손잡이 및 어깨끈의 간격에 따라 절개부(110)의 잘리어진 정도를 조절하여 형성한다.
또한, 상기 상측 덮개 영역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절개부와 같은 방향으로 절개 예정선, 지퍼 및 복수의 연속적인 패스너 중 어느 하나를 적용시켜, 상기 상측 덮개 영역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가방용 커버의 착용 중에 상측 덮개 영역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여, 손잡이 및 어깨끈의 간격에 따라 상측 덮개 영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절개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가방용 커버를 가방에 씌웠을 때, 가방의 상측(손잡이 또는 어깨끈 인접부위)에 손잡이 또는 어깨끈을 에워싸는 형태로 형성되게 되며, 절개부(11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어 나뉘어진 양쪽 시트(100)는 각각 가방의 내측 덮개 영역(in)과 외측 덮개 영역(out)을 이루게 된다.
즉, 한 쌍의 절개부(110)에 의해 생겨난 4개의 경계선들은 각각 양쪽으로 솟아 올라와 있는 손잡이 혹은 어깨끈의 양쪽 기둥 중 한쪽 편 기둥의 내측의 중간지점을 시작으로 기둥의 외측 방향으로 돌아 기둥을 감싼 후, 가방 전면 혹은 후면의 상측 중앙에 위치하게 되는 것으로, 커버에 존재하는 총 4개의 경계선들이 각각 전면측 오른편, 전면측 왼편, 후면측 오른편, 후면측 왼편에 위치해 각 기둥을 감싸안게 되면, 그 결과로 기둥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의 부분들을 시트로 덮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가방의 폭 및 손잡이 혹은 어깨끈 양쪽 기둥의 간격에 따라 상기 절개부(110)의 길이를 적정한 길이로 조절하게 되며, 이와 종속관계라 할 수 있는 상측 덮개 영역(up)은 그 길이를 조절함에 있어서, 애초에 옆으로 긴 직사각형 형태인 시트의 높이 부분 즉, 양측의 모서리 길이가 긴 규격의 시트(100)로 준비를 해주거나, 동일한 규격의 시트(100)이더라도 절개부(110)의 길이를 보다 짧게 해줌으로써, 상측 덮개 영역(up)의 범위를 넓혀줄 수 있게 되고, 반대의 경우엔 상측 덮개 영역(up)의 범위가 좁혀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측 덮개 영역(up)이 넓을수록 손잡이 혹은 어깨끈의 양쪽 기둥의 간격이 보다 넓게 위치해 있는 상태의 내측영역을 덮어줄 수 있게 되고, 좁을수록 양쪽 기둥의 간격이 좁은 상태의 내측영역을 덮기에 적정한 규격이 된다.
한편, 손잡이 혹은 어깨끈의 기둥간격을 감안하여 상측 덮개 영역(up)의 길이를 정해줌에 있어서, 적정 길이를 기준으로 보다 넓게 정해지는 것은 기능상 무관하게 역할을 수행할 수 있지만, 보다 짧게 정해지는 것은 양쪽 기둥 내측의 가장자리 부분을 덮어주지 못하게 되므로 적정 길이에 유념해 제작이 되어야 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상측 덮개 영역(up)의 길이와 종속관계에 있는 절개부(110) 부분은 길이가 길수록 보다 넓은 간격을 두고 있는 양쪽 기둥의 외측영역을 덮어줄 수 있고, 길이가 짧을수록 양쪽 기둥의 간격이 좁은 형태의 가방에 이용하기 적정한 규격이 된다.
이때 역시 마찬가지로 손잡이 혹은 어깨끈의 기둥간격을 감안하여 절개부(110)의 길이가 정해져야 하는데, 적정길이를 기준으로 보다 짧게 정해지면 손잡이 혹은 어깨끈의 양쪽 기둥이 시작되는 뿌리부분까지 덮개를 덮어주기가 어려워진다. 다시 말해, 내측 덮개 영역(in) 혹은 외측 덮개 영역(out)이 손잡이 혹은 어깨끈이 시작되는 부분까지 이르지 못하고, 그보다 위쪽에서 시작되는 모습으로 착용되어지는 것이다.
반대로 적정길이를 기준으로 보다 길게 정해지면 손잡이 혹은 어깨끈의 양쪽 기둥을 절개부(110)의 각 경계선이 느슨하게 감싸안게 되므로, 양측 기둥 외측의 시작 부분이 비어있게 되는 '벌어짐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벌어짐 현상'은 마치 길거리에 걸려있는 길다란 현수막 중간부분이 불가피하게 가라안게 되는 '쳐짐현상'과 비슷한 힘이 작용해 어느 정도 비어있는 부분이 메워지게 된다. 즉, 적용되는 재질의 무게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내측(in) 혹은 외측 덮개 영역(out)의 시작지점 즉 절개부(110)의 경계선이 서로 만나게 되는 지점이 서로 일직선상에 놓인 채로 팽팽하게 유지되려는 힘보다 기둥을 느슨하게 감싸서 생겨난 여유공간을 없애면서 아래쪽으로 쳐지게 되려는 힘이 더 크게 되므로 비어있는 부분이 매워지게 되고, 절개부(110)의 길이가 적정 길이보다 길어져 버리는 경우엔, 기능적인 하자가 없을 수 있는 정도의 허용오차범위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길이의 차이가 일정한 수준 이상으로 나게 되는 경우에는 절개부의 경계선이 만나는 부위를 직접 아래로 잡아당겨 커버와 가방표면의 사이 공간으로 이를 접어 집어넣어 형태를 유지시켜 주는 등의 조치로 문제를 해결해줘야 하는 불편을 초래하게 되므로, 적정길이에 유념해 제작되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측 덮개 영역(up)이 덮어줘야 하는 영역인 손잡이 혹은 어깨끈의 양쪽 기둥 사이의 내측 간격의 길이가 절개부(110)의 각 경계선이 한쪽 기둥을 감싸안고 다른쪽 기둥에 이르는 구간의 간격 즉 양쪽 기둥의 끝과 끝의 간격보다 넓을 수는 없고, 양쪽 기둥의 내측영역이 가방 전체 폭에 대비해 가장 넓을 수 있는 형태인 어깨끈이 가방 양쪽 끝에 달린 경우에만 이 두 구간의 간격이 비슷해진다.
그리하여 절개선(110)의 길이는 상측 덮개 영역(up)보다 짧아도 즉 상측 덮개 영역(up)이 적정길이보다 길더라도 기능상에는 이상이 없지만, 덮개와 가방사이에 불필요한 잉여공간을 만들게 되고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이므로, 절개선(110)의 길이는 상측 덮개 영역(up)과 같거나 더 길게 제작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접혀진 시트(100)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110)의 하측에 인접하여 상기 일측 모서리의 개방된 부분을 일부 결합시키는 결합부(120)가 형성된다.
즉, 반으로 접혀진 시트(100)에 있어서, 일측 및 양싸이드 모서리는 개방되고, 일측 모서리의 중간지점에서는 상측 덮개 영역(up)을 제외하고 절개부(110)가 형성되되, 상기 절개부(110)의 하측에 인접하여서는 접혀진 시트(100) 양면이 상호 붙어 있도록 하는 결합부(120)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부(120)는 상기 절개부(110)의 하측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개방된 일측 모서리 부분을 일부 결합시켜 형성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가방용 커버가 가방에 씌워졌을 때, 일측 모서리 부분이 가방의 전면 및 후면 상단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되, 상측에는 결합부(120)에 의해 접혀진 양쪽 시트(100)가 붙어 있게 되며, 하측은 개방된 일측 모서리에 의해 접혀진 양쪽 시트(100)가 'ㅅ'자 형태와 같이 벌어진 모습으로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가방의 형태를 고려하여, 상기 결합부(120)의 범위 및 위치는 하단에 명시된 원리들에 입각해 형성이 되어야 한다.
즉, 폭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접혀진 시트(100)를 두 부분으로 구분하여 왼쪽영역을 A 사각형 오른쪽 영역을 B 사각형이라고 가정하면 A 사각형과 B 사각형이 만나는 부분에 아래쪽에 한 쌍의 결합부(120)가 형성이 되게 되는데, A 사각형의 형성된 단일 결합부(120)를 기준으로 설명하자면, 결합부(120)가 A 사각형의 아래측 모서리에 우측 가장자리 부분을 시작으로 좌측영역까지 결합이 형성이 되어있을수록 내측 덮개 영역(in) 혹은 외측 덮개 영역(out)의 덮개의 틔어진 부분이 결합부(120) 부분을 시작으로 'ㅅ'자 형태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러한 커버를 가방에 착용시켰을 땐, 가방의 전면과 후면 부분에 'ㅅ'자로 벌어진 덮개와 완전히 닫혀진 덮개가 덮혀지는 것이 아니라, 두 개의 완전히 닫혀진 덮개가 씌워지는 형태이므로 보다 견고한 착용과 보호가 가능해진다.
또한, A 사각형을 기준으로 우변영역 하단 가장자리 부분을 시작으로 상단쪽 영역까지 결합이 형성이 되어있을수록 손잡이 혹은 어깨끈의 양쪽기둥을 감쌀 수 있는 둘레의 길이가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원리에 입각해, 본 발명에 따른 가방용 커버가 안정적으로 가방에 덮어씌어지도록 가방 각 부의 형태 및 위치를 고려하여, 결합부(120)를 형성시켜 주어야 한다.
한편, 상기 시트(100)의 개방된 모서리 및 절개부(110)는 절개예정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의해 평상시에는 일체형의 직사각형 형태로 반으로 접혀진 시트(100)를 간편하게 접거나 말아서 작은 부피로 가방 속에 보관하고 있다가, 우천시에나 필요시에 절개예정선을 절취하여 각 모서리 및 절개부(110)를 개방시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형태의 시트(100)는 보급형으로 제작될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 형태로 공급될 수 있는데, 이는 반으로 접혀진 시트(100)의 양싸이드 모서리가 절개예정부(140) 형태로 형성되어 각 단위의 시트들이 서로 이어져, 이를 롤에 감아 필요시 상기 양싸이드 모서리의 절개예정부(140)를 절취해 한 단위의 가방용 커버를 획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시트의 개방된 모서리 및 절개부는 지퍼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연속적인 패스너를 적용해 개폐영역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커버를 사용하지 않을 때 절개부를 모두 닫아줘 소지를 위해 커버를 접거나 말 때 좀 더 용이하게 해줄 수 있다.
또한 커버를 사용함에 있어서 전체적인 크기는 비슷하지만 세부적으로 서로 다른 디자인을 가진 복수의 가방들에 있어서, 단일 규격의 커버로 상측 덮개 영역(up)과 절개부(110)의 길이 비를 조절하여 복수의 가방들에 적용이 가능해지고, 손잡이와 어깨끈이 동시에 적용이 된 단일 가방에 있어서도 단일 규격의 커버로 상측 덮개 영역(up)과 절개부(110)의 길이 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손잡이 혹은 어깨끈 중 하나를 선택해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120)는 길이가 긴 일측의 모서리는 개방되어 있되, 결합부(120)가 위치하는 영역에서만 반으로 접혀진 시트(100)의 앞뒷면을 본딩 혹은 봉제 등으로 점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커버와 가방의 규격이 서로 맞는다면 커버의 사용 시 이를 따로 분리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접혀진 시트(100)의 앞뒷면의 대응하는 위치에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벨크로 테이프(도 5) 또는 똑딱이 단추(도 6) 등과 같은 패스너(fastener)를 형성하여 구현할 수도 있는데 복수의 패스너(fastener)를 적용시켜줌으로 인해, 전체적인 크기는 비슷하지만 세부적으로 서로 다른 디자인을 가진 복수의 가방들에 있어서, 절개부(110)의 길이를 조절하여 복수의 가방들에 적용이 가능해지고, 손잡이와 어깨끈이 동시에 적용이 된 단일 가방에 있어서도 단일 규격의 커버로 절개부(110)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손잡이 혹은 어깨끈 중 하나를 선택해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120)는 상기 절개부(110)와 결합부(120)가 만나는 결합점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이어진 절개부(110) 경계선의 아래쪽 부분이 상기 결합점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고정바(130)가 더 형성이 되도록 해 줄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로 겹쳐져 있는 한 쌍의 절개부(110)의 하단의 끝과 끝이 이어져 결합부가 형성됨에 있어서, 끝과 끝이 만나는 결합점을 중심으로 이어진 두 개의 절개부(110) 경계선의 아래쪽 부분이 서로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하기 위한 고정바(130)가 함께 형성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의해 단일 규격의 커버를 복수의 서로 다른 디자인의 가방들에 적용시킴에 있어서, 절개선(110)과 상측 덮개 영역(up)의 비가 이미 적정한 규격을 가진 가방에는 고정바(130) 형태의 장치가 없을 때와 동일한 모습으로 착용이 되지만, 절개선(110)이 적정길이보다 긴 경우 즉, 손잡이 혹은 어깨끈 양쪽 기둥의 간격이 더 좁은 가방에 적용되는 경우, 절개부(110)가 펼쳐진 둘레의 길이를 자동으로 좁게 조정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절개부(110)에 의해 생겨난 경계선들을 고정바(130)를 통해 한번 씩 꺾어주게 됨으로써 절개부(110)의 길이를 단축시켜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며, 이와 함께 결합부(120) 부근에 생기게 되는 쳐짐 현상의 강도도 함께 증폭시켜 줌으로써 절개부(110)의 길이를 조절해줌에 있어서 별도의 대응을 해주지 않고도 손잡이 외측을 감싸는데 있어서 적정한 상태가 유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별도의 재질에 의해 구현되는 결합부(120)는 보급형보다는 각 가방에 따라 맞춤형 커버로 제작되는 경우에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120)는 상기 절개부(110) 하측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상기 일측 모서리에서부터 상기 절개부의 모서리쪽으로 이어지는 L'자 영역을 기준으로, 아래쪽 변 부분은 서로 점착되어 형성되고, 수직쪽 변 부분은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인 점착점을 부여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단가가 낮은 보급형 제품으로도 서로를 해체시켜줄수있는 연속적인 점착점의 도입을 통해 절개부(110)의 길이조절이 가능해지고, 이로인해 단일 치수의 커버를 복수의 디자인을 가진 가방에 적용시킬수 있음과 동시에 어깨끈과 손잡이 모두에 사용이 가능해진다.
이는 'L'자 영역에 앞판과 뒤판을 부착시켜 줄 수 있는 복수의 점착점만을 부여해 간단히 제작이 가능하므로 보급형 제품으로 적용이 적절한 형태이지만, 사용자가 커버가 필요한 상황에 자신의 가방에 맞는 길이로 절개예정부 역할을 하는 점착점들을 해체시켜 주면 다시 이를 부착할 수 없게 되므로 손잡이 혹은 어깨끈의 간격이 더 좁은 디자인을 갖는 가방에는 재사용이 힘들다는 이용 상의 한계가 존재해 일회용품으로 적용되기에 적절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120)는 일측 모서리에서 결합부 영역만을 제외하고, 그 나머지 일측 모서리의 외측 부분에만 절개 혹은 절개예정선을 적용시켜 형성될 수 있다.
즉, 절개부(110) 하단의 두 모서리를 서로 각종 방식으로 연결시켜 주는 것이 아닌, 연속적인 시트에 결합부 역할을 하는 부분만을 남겨두고 그 나머지 외측 부분만 절개 혹은 절개예정선이 적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결합부(120)를 형성하는 점착 과정이 생략되고 재단공정만으로 커버의 제작이 가능해져 제작 공정을 더욱 간소 하게 해주는 것이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방수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가장 저렴한 재질이라고 할 수 있는 비닐원단은 제작 시 PE등을 원료로 하는 고분자칩을 녹여 시트의 형태로 만들어지게 되는데, 이때 시트가 원통형으로 기계에서 뽑아져 나와 이를 납작하게 감아 출하가 되는 방식이 보편적이기 때문이다. 즉, 비닐원단의 생산을 의뢰하기 전 시점에 제작하고자하는 직사각형 형태의 커버 완성품의 높이 부분을 정확하게 정하게 되면 보다 더 제작효율을 증대시키고 원가절감을 실현시킬 수 있는 효과를 누릴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의 일측 모서리에는, 상기 결합부(120)를 남겨두고, 절개띠(150)를 형성하여, 상기 시트의 일측 모서리가 개방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언급한 납작한 원통 형태의 시트 일측 모서리에 절개 혹은 절개예정선을 가해줌에 있어서, 일측 모서리 하단부에 일정폭의 여유를 두고 재단선을 위치시켜 결합부(120)의 역할을 해주는 부위에 연결된 긴 절개띠(150)가 형성되게끔 해주는 것이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를 가방에 착용시 한 쌍의 절개띠(150)를 가방 아래로 묶어 줌으로써, 내측 덮개 영역(ip)과 외측 덮개 영역(out)이 보다 견고하게 가방을 감싸게 되고, 이와 함께 결합부(120) 부분이 함께 아래쪽으로 잡아당겨 지게 되는 정도를 조절하며, 단일 치수의 커버로 복수의 가방으로의 범용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가방용 커버는 우천시 등에 빗물로부터 가방을 보호하기 위해 가방에 덮어씌우거나, 보관시에 오염물 또는 습기 등으로부터 가방을 보호하기 위해 가방에 덮어씌워 사용할 수 있다.
우천시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방수 시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관시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통풍이 잘 되는 부직포 재질이나, 가방에 스크래치가 나지 않도록 하는 부드러운 재질, 항균 처리가 되어 있는 재질 등과 같은 원단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방수 시트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등을 원료로 하여 필름 형태로 가공되는 각종 비닐시트나 폴리에스터(PE), 나일론 등을 원료로 하는 합성섬유 원단 혹은 재생섬유 원단, 천연섬유원단이 방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특수 처리된 방수섬유원단이나 방수처리된 제지류인 타이벡(TYVEK), 아트지, 기름종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시트의 재질이 비닐일 경우 양싸이드 모서리가 서로 연속적으로 붙어있는 절개예정부 형태로 구현되어 롤 형태로 감겨져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방수 시트나 원단은 완전한 평면의 일체형 디자인을 가지므로 인쇄가 수월하며, 필요에 의해 여러 가지 문양이나 기업 홍보 문건, 상점의 홍보 문건, 맞춤형 커버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가방 상표 및 기업 로고 등을 인쇄하여 공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가방용 커버의 사용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00)가 반으로 접혀져 형성되어, 일측 및 양싸이드 모서리가 개방되어 형성되고, 상기 시트(100)의 일측 모서리 중간 지점에서 접혀진 모서리 측으로 상측 덮개 영역(up)을 남겨두고 한 쌍의 절개부(110)가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110)를 기준으로 상측에는 상측 덮개 영역(up)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내측 덮개 영역(in)과 외측 덮개 영역(out)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110) 하측에 인접하여 상기 일측 모서리의 개방된 부분을 일부 결합시키는 한 쌍의 결합부(120)가 형성된 가방용 커버를 준비한다.
즉, 상기 절개부(110)를 중심으로 한쪽에는 내측 덮개 영역(in)이 형성되고, 다른쪽에는 외측 덮개 영역(out)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110) 상측으로는 상측 덮개 영역(up)이 형성된다.
커버의 사용을 위해, 먼저 외측 덮개 영역(out)의 몸통 전체를 상측 덮개 영역(up)과 결합부(120)에 의해 펼쳐졌을 때 원형으로 형성되는 절개부(110) 사이로 통과시켜 뒤집어 준다(도 3(b)). 이 경우, 내측 덮개 영역(in)은 표면이 바깥으로 보이나, 외측 덮개 영역(out)은 내면이 바깥으로 보이게 된다.
그 다음, 내측 덮개 영역(in)을 가방에 먼저 씌우는데, 상기 절개부(110) 측으로는 가방의 손잡이를 통과시키고, 길이가 긴 접혀진 모서리 및 개방된 모서리는 절개부(110)에 의해 반으로 나뉘어져 가방의 전면 또는 후면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게 되면서, 결합부(120)도 가방의 상측 중앙 지점에 위치하도록 한다(도 3(c)).
그리고, 현재 뒤집어진 상태의 외측 덮개 영역(out)을 잡아(도 3(d)), 손잡이 내부로 완전히 통과시키고(도 3(e)), 다시 이를 내측 덮개 영역(in)을 덮어 줄 때와 같은 방식으로 외측 덮개 영역(out)에 형성된 절개부(110)로 손잡이를 통과시켜주고, 양싸이드 모서리 및 개방된 일측의 모서리를 가방 밑으로 내려주면(도 3(f)), 본 발명에 따른 가방용 커버의 착용이 완료되게 된다(도 3(g)).
이에 의해 착용이 완료된 시트는, 내측 덮개 영역(in)은 가방에 먼저 덮어 씌워져 내측에 위치하게 되고, 외측 덮개 영역(out)은 상기 손잡이 사이로 통과하고 다시 가방의 반대로 넘기는 방법에 의해 상측 덮개 영역(up)은 손잡이 사이를 커버하면서 상기 내측 덮개 영역(in)과는 반대 형태로 상기 내측 덮개 영역(in) 상측에서 가방에 덮어 씌워지게 되고, 이때는 착용 준비단계 때와는 달리 내측 덮개 영역(in), 외측 덮개 영역(out) 모두 같은 단면을 바깥쪽으로 노출시키는 상태가 된다.
도 4는 도 3의 손잡이가 달린 가방이 아닌 어깨끈이 달린 가방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손잡이 또는 어깨끈이 달린 가방의 경우 모두 그 사용 방법은 동일하나, 만약 이와 동일한 치수의 커버를 어깨끈이 아닌 손잡이 부분에 사용하였을 경우, 간격이 좁으므로 상측 덮개 영역(up)에 주름이 생기는 모습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가방의 치수를 고려하여 시트의 모서리의 길이, 개방된 정도, 절개부, 결합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가방용 커버를 형성할 수 있으며, 사용 용도에 따라 방수 시트 또는 원단 등을 사용할 수 있어, 우천시 또는 가방의 보관시에 빗물 또는 오염으로부터 가방을 완전히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제조방법적인 측면에서 보면, 본 발명은 반으로 접혀진 시트에 절개부 및 결합부를 형성하여 간편하게 가방에 덮어씌워 빗물이나 오염으로부터 가방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별도의 부가장치의 적용없이 제작이 가능해 제작 단가 절감 및 제작 시간의 단축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손잡이가 있거나 어깨끈이 있는 가방의 경우에도 손잡이 사이나 어깨끈 사이가 상측 덮개 영역에 의해 완전히 덮이도록 형성되어, 가방의 커버가 제대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가방을 보호하며, 커버가 무단히 흘러내리거나 벗겨지는 것이 방지되어, 사용자가 안심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방용 커버는, 내측 덮개 영역과 외측 덮개 영역의 이중으로 덮개가 형성되어, 우천시에 사용할 경우에는 방수 시트로 형성하여 빗물로부터 가방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가방의 보관시에 사용할 경우에는 항균 재질 또는 부직포와 같은 통풍이 잘 되는 재질로 형성하여 가방을 보호할 수 있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시트 110 : 절개부
120 : 결합부 130 : 고정바
140 : 절개예정부 150 : 절개띠
in : 내측 덮개 영역
out : 외측 덮개 영역
up: 상측 덮개 영역

Claims (14)

  1. 시트가 반으로 접혀져 형성되어, 일측 및 양싸이드 모서리가 개방되어 형성되고,
    상기 시트의 일측 모서리 중간 지점에서 접혀진 모서리 측으로 상측 덮개 영역을 남겨두고 한 쌍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상측에는 상측 덮개 영역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내측 덮개 영역과 외측 덮개 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 하측에 인접하여 상기 일측 모서리의 개방된 부분을 일부 결합시키는 한 쌍의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용 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상측 덮개 영역의 길이와 같거나 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용 커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개방된 모서리 및 절개부는,
    절개예정선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용 커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개방된 모서리 및 절개부는,
    지퍼 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연속적인 패스너를 적용해 형성되어 개폐 영역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용 커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접혀진 시트가 본딩 혹은 봉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용 커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접혀진 시트에 형성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패스너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용 커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절개부와 결합부가 만나는 결합점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이어진 절개부 경계선의 아래쪽 일부분이 상기 결합점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고정바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용 커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절개부 하측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상기 일측 모서리에서부터 상기 절개부의 모서리쪽으로 이어지는 'L'자 영역을 기준으로, 아래쪽 변 부분은 서로 점착되어 형성되고, 수직쪽 변 부분은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인 점착점을 부여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용 커버.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일측 모서리에서 결합부 영역만을 제외하고, 그 나머지 일측 모서리의 외측 부분에만 절개 혹은 절개예정선을 적용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용 커버.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일측 모서리에는, 상기 결합부를 남겨두고, 절개띠를 형성하여, 상기 시트의 일측 모서리가 개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용 커버.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덮개 영역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절개부와 같은 방향으로 절개 예정선, 지퍼 및 복수의 연속적인 패스너 중 어느 하나를 적용시켜, 상기 상측 덮개 영역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용 커버.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방수 시트 또는 원단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용 커버.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시트는,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을 원료로 하여 필름 형태로 가공된 비닐시트,
    폴리에스터(PE) 또는 나일론을 원료로 하는 합성섬유 원단 혹은 재생섬유 원단,
    천연섬유원단이 방수처리된 방수섬유원단,
    방수처리된 제지류인 타이벡(TYVEK),
    아트지 및
    기름종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용 커버.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가방용 커버는,
    상기 시트의 양싸이드 모서리가 절개예정부 형태로 구현되어 롤 형태로 감겨져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용 커버.
KR1020150026766A 2015-02-25 2015-02-25 가방용 커버 KR101547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766A KR101547277B1 (ko) 2015-02-25 2015-02-25 가방용 커버
PCT/KR2016/001635 WO2016137159A1 (ko) 2015-02-25 2016-02-18 가방용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766A KR101547277B1 (ko) 2015-02-25 2015-02-25 가방용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7277B1 true KR101547277B1 (ko) 2015-09-04

Family

ID=54246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766A KR101547277B1 (ko) 2015-02-25 2015-02-25 가방용 커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47277B1 (ko)
WO (1) WO201613715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829A (ko) * 2017-09-20 2019-03-28 김우주 가방용 커버
FR3102649A1 (fr) 2019-10-31 2021-05-07 Florence POUYAUD Housse de sac à mai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014B1 (ko) 2010-11-02 2011-06-16 황광선 일회용 앞치마 및 일회용 앞치마 제조장치
JP5118681B2 (ja) 2009-10-19 2013-01-16 幸代 吉村 提げ手付きバッグ用カバーシート
KR101337088B1 (ko) 2012-10-24 2013-12-16 김우주 간편 우의의 제작방법 및 간편 우의의 제작을 위한 방수 시트 그리고 그에 의해 제작된 간편 우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2829A (ja) * 2000-11-15 2002-05-21 Tamae Ebara カバンやハンドバッグの携帯用防水保護カバー
KR200458984Y1 (ko) * 2011-08-11 2012-03-21 한화섭 캐리어 커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18681B2 (ja) 2009-10-19 2013-01-16 幸代 吉村 提げ手付きバッグ用カバーシート
KR101042014B1 (ko) 2010-11-02 2011-06-16 황광선 일회용 앞치마 및 일회용 앞치마 제조장치
KR101337088B1 (ko) 2012-10-24 2013-12-16 김우주 간편 우의의 제작방법 및 간편 우의의 제작을 위한 방수 시트 그리고 그에 의해 제작된 간편 우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829A (ko) * 2017-09-20 2019-03-28 김우주 가방용 커버
WO2019059523A1 (ko) * 2017-09-20 2019-03-28 김우주 가방용 커버
KR101987771B1 (ko) * 2017-09-20 2019-06-11 김우주 가방용 커버
FR3102649A1 (fr) 2019-10-31 2021-05-07 Florence POUYAUD Housse de sac à ma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37159A1 (ko) 2016-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07882A (en) Detachable shoe-pocket system
US5131442A (en) Golf bag cover for protecting clubs
US4516668A (en) Knock-down combination handbag and mat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172795A (en) Protective cover for handled carrying container
US20140041260A1 (en) Boot with sleeve to accomodate interchangeable decorative indicia
US20060285774A1 (en) Trash bag raincoat
US20040026488A1 (en) Complete gift wrap
US20110243482A1 (en) Gift Wrap Bag
KR101547277B1 (ko) 가방용 커버
US1341404A (en) Shopping-bag
WO2010017298A2 (en) Comprehensive handbag protection
US4856666A (en) Food covering
US6915606B2 (en) Bag for transporting flower and plant bouquets, in particular for transporting bouquets in water pouch
KR101494070B1 (ko) 백팩 보호용 커버
WO2005065093A2 (en) Tie-down reinforced infusion bag
US4575369A (en) Method of forming a knockdown handbag and mat
JP2002142829A (ja) カバンやハンドバッグの携帯用防水保護カバー
CN205512879U (zh) 一种可折叠包
KR101987771B1 (ko) 가방용 커버
JP3182430U (ja) カバンの携帯雨用カバー
KR20140002801U (ko) 보자기형 가방
JPH0344700Y2 (ko)
US20160106179A1 (en) Shoe Poncho
JP4712131B1 (ja) 使い捨て式防水靴・裾カバー
KR101264885B1 (ko) 자전거용 보호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