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830U - 김치 양념버물이판 - Google Patents

김치 양념버물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830U
KR20110007830U KR2020100001121U KR20100001121U KR20110007830U KR 20110007830 U KR20110007830 U KR 20110007830U KR 2020100001121 U KR2020100001121 U KR 2020100001121U KR 20100001121 U KR20100001121 U KR 20100001121U KR 20110007830 U KR20110007830 U KR 2011000783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mchi
mix
air
vinyl
kimja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1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춘근
Original Assignee
노춘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춘근 filed Critical 노춘근
Priority to KR20201000011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7830U/ko
Publication of KR201100078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83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8Pails for kitchen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김장김치 안에 넣을 소를 버무릴 때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한 안건이다.
보통 일반 가정집에서 김장김치 소를 만들 때 에는 큰 그릇에 고춧가루, 젓갈, 무채, 마늘 다진 것 등 여러 재료를 넣고 섞게 되는데, 재료의 양은 많고 그릇의 높이는 높고 작아서 섞기에 힘이 많이 들뿐 아니라, 젓갈 등 수분은 맨 밑바닥으로 흘러내려 재료를 고루 섞기가 어려웠다.
옛날 시골에서 많은 양의 김치를 담글때 큰 비닐 장판을 넓게 펴고 네변의 끝 쪽에 덕석을 말아 고정시키고 그 속에서 소를 섞고 배추를 버무린 것을 생각하고, 11월 14일 김장 김치를 담그면서 별첨과 같이 만들어보았다. 비닐 네변에 둥근 원통을 대고 젓갈 등의 국물이 흐르지 않도록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는데 착안하여 (김장)김치 양념버무림 판을 고안하였다.
이 고안은 공기주입구에 공기만 불어 넣으면 일정한 높이의 넓은 판이 형성되기 때문에 손쉽게 또한 골고루 소를 섞을 수 있으며 그 자리에서 바로 김치소를 넣을 수 있어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크기는 대형 100cm*200cm와 소형 70cm*90cm로 구분하여 실용성을 추구하였고 공기를 빼서 작게 접어 손쉽게 폐기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크기는 용도에 따라 몇 가지 샘플로 만들 수 있다)
Figure P2020100001121
원통형 가장자리, 공기주입구

Description

김치 양념버물이판{Kimchi Seasoning Mixing plate}
본 고안은 김장시 양념을 효과적으로 버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사각형의 틀을 이용하여 주부들이 양념을 버무리면서 투입되는 힘의 양을 줄여주어 손쉽게 양념을 버무릴 수 있도록 한 김장용 양념 버물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김장용 양념을 버무리기 위해서는 대체로 깊이가 깊고 둥근 모양의 용기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버무리는 양념의 양도 제한될뿐더러 용기가 깊은 관계로 상단과 하단의 양념을 섞기 위해서는 투입되는 힘의 양이 많았으며, 젓갈 등 수분은 밑으로 흘러내려 고루 섞기가 힘들었고, 장시간 양념을 버무리게 됨으로 주부들에게 많은 피로감을 주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투입되는 힘의 양과 효과적으로 양념이 섞이지 못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용기의 모양과 깊이에 있어 개선이 필요했다.
본 고안은 김장시 양념을 효과적으로 버무릴 수 있게 하며, 김장을 할 때 소모되는 힘을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해 양념을 섞는 용기를 개선하는데 그 목적이 있 다.
김장을 할 때 힘의 최소 투입으로 양념을 효과적으로 버무릴 수 있게 하기 위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플라스틱 및 금속 재질의 용기를 비닐 재질의 용기로 개선하였다.
비닐 재질의 용기로 개선함으로서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해졌으며, 다양한 사이즈로 생산이 가능하여 대량의 김장으로부터 가정에서 소량의 김장을 할 때도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은 많은 양의 김장을 할 때 소수의 인원이 최소한의 힘으로 효과적으로 양념을 섞을 수 있기 때문에 가정에서 뿐만 아니라 군부대, 고아원, 양로원 등의 일손이 부족한 곳에서도 힘을 적게 들여 손쉽게 김장 양념을 버무릴 수 있고 큰 대야나 다른 그릇을 준비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김장을 하는 중국이나 일본, 미국 등 김장을 하는 모든 나라가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을 첨부된 사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장용 양념 섞기 용기를 기존의 플라스틱이나 금속 재질의 용기가 아닌 비닐 재질의 용기로 개선한 것으로, 기본 형태는 사각형 형태의 용기(100cm * 200cm)로 ①은 용기의 비닐바닥이며, ②∼⑤까지는 비닐의 가장 자리 부분이다. 가장자리 부분은 양념을 섞을 때 양념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를 주입하여 각 부분을 부풀어 오르게 함으로써 원통형(지름 7cm)의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⑥은 사각 가장자리 부분에 공기를 불어넣기 위한 공기주입구이다
도1B 내지 도1D는 도1A를 이용하여 실제 사용형태를 만든 사진이다.
도2A)는 도)1A와 같은 형태이나, 식탁 위나 책상위에서 김치를 버무릴 수 있도록 크기만 작게 만들었다.
도2B 내지 도2D는 도2A를 이용하여 실제 사용형태를 만든 사진이다.
.

Claims (4)

  1. 김치 버물일 재료들이 놓여지는 비닐 재질의 판; 및 상기 비닐 재질의 판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공기가 주입될 수 있는 가이드 판;을 포함하는 김치 양념 버물이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판의 일측에는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공기주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원통기둥, 타원형기둥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는 김치 양념 버물이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 재질 판은 사각형, 원형, 타원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김치 양념 버물이판
  4. 제1항에 있어서,
    비닐 재질의 판의 크기는 모든 크기의 판을 포함하는 김치 양념 버물이판
KR2020100001121U 2010-02-01 2010-02-01 김치 양념버물이판 KR2011000783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121U KR20110007830U (ko) 2010-02-01 2010-02-01 김치 양념버물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121U KR20110007830U (ko) 2010-02-01 2010-02-01 김치 양념버물이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830U true KR20110007830U (ko) 2011-08-09

Family

ID=45596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121U KR20110007830U (ko) 2010-02-01 2010-02-01 김치 양념버물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783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459U (ko) * 2016-03-13 2016-05-04 박태범 김장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459U (ko) * 2016-03-13 2016-05-04 박태범 김장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7830U (ko) 김치 양념버물이판
CA2441360A1 (en) Invertible food container
CN104522613A (zh) 一种蘸水辣椒酱及其制备方法
CN207383914U (zh) 一种用于调味料的盛放装置
CN205696530U (zh) 一种带有抗菌功能的家用饭桌
CN201641340U (zh) 饭碗
CN204600150U (zh) 一种能量锅
CN201675569U (zh) 一种儿童餐碗
CN201683573U (zh) 一种新型碗
CN205162858U (zh) 一种色拉碗
CN205758272U (zh) 一种多功能厨具
CN202776015U (zh) 一种砧板
CN202287460U (zh) 一种碗
CN204427665U (zh) 新型煲汤锅
CN206473136U (zh) 一种便于用户调料的筷子
CN208941884U (zh) 大功率手持式多功能搅拌机
CN207411944U (zh) 指接盘
CN105747674A (zh) 一种靠垫
CN206596977U (zh) 一种厨房调料盒
CN207721722U (zh) 一种改进的料理机搅拌杯
CN205923846U (zh) 一种调味料料架
CN203041346U (zh) 书架椅子
CN206227964U (zh) 一种便于拆卸和组装的茶几
CN206675360U (zh) 西餐餐具
ATE361358T1 (de) Neue aktive hefe in form von trockenen granulaten oder in pulver form ergestellt durch die verarbeitung einer mischung von bekannten hefen, und deren verwendung in langlebigen vorgepackten produkte, die durch wasser zusatz rekonstruiert werden könn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