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284Y1 - 케이블 커넥터 탈착 클립 - Google Patents

케이블 커넥터 탈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284Y1
KR200481284Y1 KR2020140007949U KR20140007949U KR200481284Y1 KR 200481284 Y1 KR200481284 Y1 KR 200481284Y1 KR 2020140007949 U KR2020140007949 U KR 2020140007949U KR 20140007949 U KR20140007949 U KR 20140007949U KR 200481284 Y1 KR200481284 Y1 KR 2004812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resent
cable connector
clip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9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1574U (ko
Inventor
이재성
최형길
이상우
윤명륜
권용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Priority to KR20201400079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284Y1/ko
Publication of KR201600015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5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2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2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two parts of a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2Hand tools for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bases or cases for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05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with a panel or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2Hand to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4Assembling by moulding on contac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 커넥터 탈착 클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해 분배반에 밀착 설치된 커넥터를 떼어내거나 또는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커넥터탈착부(10)는, 커넥터의 외주면에 삽입되도록 삽입공(12)이 형성된 몸체(11); 및 상기 몸체(11)의 외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손잡이(14)(15);가 포함된 케이블 커넥터 탈착 클립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분배반에 밀착 설치된 커넥터를 간단하게 떼어내거나 또는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작업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 커넥터 탈착 클립{A Cable connector detachable clip}
본 고안은 케이블 커넥터 탈착 클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배반에 밀착 설치된 커넥터를 간단하게 떼어내거나 또는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작업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일반적으로 광분배함은 광케이블을 광단국장치 또는 광중계장치에 접속하여 시스템간 연결, 절체하는 것으로, 다수의 분배기가 구비되어 있는 분배판과, 광케이블의 여장을 수납함과 더불어 점퍼코드를 접속하는 접속여장부가 구비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광분배함은 광분배시스템에 인입된 광섬유를 다른 광단국장치 또는 광중계장치 등과의 접속이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광섬유에 점퍼코드를 접속하고, 여장을 수납한 후 상기 점퍼코드를 분배판의 분배기에 접속하여 다른 기기와의 접속이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광분배함에 커넥터를 장착하기 위한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다.
도 1 은 광분배함에 커넥터가 조립 장착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 과 같은 상태에서 현장 작업자(남성)의 손가락으로 커넥터를 탈착시킬 때 도 2 와 같이 부츠단을 잡아당겨서 탈착을 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커넥터의 부츠단을 잡아당겨서 탈착시킬 때 도 3 과 같이 코드가 끊어지거나 밴딩이 생겨 광섬유에 손실을 입히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은 별도의 도구가 없기 때문에 작업자가 커넥터의 부츠단을 잡고 탈/장착을 하였다.
이렇게 커넥터를 손으로 잡고 어댑터로부터 탈/장착하는 경우에는, 손이 잘 들어가지 않는 좁은 공간에 위치한 어댑터에 커넥터를 탈/장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첫째 탈/장착 작업이 매우 어렵고, 둘째 이웃의 다른 커넥터를 건드림으로 인해서 고장발생의 우려가 있으며, 셋째 원하지 않는 커넥터를 탈착하는 경우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손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아래와 같은 선행기술문헌이 출원된바 있으나,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두껍기 때문에 인접한 커넥터를 건드리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23942호(2012. 11. 12)가 출원된바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삽입공과 돌기가 형성된 몸체 및 한 쌍의 손잡이가 형성된 커넥터탈착부가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제2목적은 분배반에 밀착 설치된 커넥터를 간단하게 떼어내거나 또는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또한 제3목적은 분배반에 커넥터의 탈/장착 작업이 매우 용이한 효과를 제공하게 되고, 제4목적은 케이블 커넥터 탈착 클립이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심플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이웃의 다른 커넥터를 건드림으로 인해서 고장발생의 우려가 있는 문제점을 일거에 해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5목적은 상기한 구조적 이점에 의해 원하지 않는 커넥터를 탈착하는 경우가 없을 뿐만 아니라 손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아 작업이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도록 한 것이고, 제6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작업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케이블 커넥터 탈착 클립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분배반에 밀착 설치된 커넥터를 떼어내거나 또는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커넥터탈착부는 커넥터의 외주면에 삽입되도록 삽입공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손잡이;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탈착 클립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삽입공과 돌기가 형성된 몸체 및 한 쌍의 손잡이가 형성된 커넥터탈착부가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분배반에 밀착 설치된 커넥터를 간단하게 떼어내거나 또는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분배반에 커넥터의 탈/장착 작업이 매우 용이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케이블 커넥터 탈착 클립이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심플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이웃의 다른 커넥터를 건드림으로 인해서 고장발생의 우려가 있는 문제점을 일거에 해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본 고안은 상기한 구조적 이점에 의해 원하지 않는 커넥터를 탈착하는 경우가 없을 뿐만 아니라 손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아 작업이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효과로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작업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분배반에 커넥터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도.
도 2 는 손가락으로 커넥터를 탈착시키는 상태도.
도 3 은 커넥터의 부츠단을 잡아 당겨 코드가 끊어지거나 밴딩이 생겨 광섬
유에 손실을 입힌 상태도.
도 4 는 본 고안 케이블 커넥터 탈착 클립의 도면으로,
(a)는 케이블 커넥터 탈착 클립의 사시도이고,
(b)는 케이블 커넥터 탈착 클립의 정면도이다.
도 5 는 커넥터 코드에 탈착 클립을 끼우는 상태도.
도 6 은 커넥터에 탈착 클립을 장착시키는 상태도.
도 7 은 커넥터에 탈착 클립을 장착시킨 상태도.
도 8 은 커넥터탈착부를 분리시키기 위해 손잡이를 잡은 상태도.
도 9 는 탈착 클립을 이용해 커넥터를 분배반에서 분리시키는 상태도.
본 고안에 적용된 케이블 커넥터 탈착 클립은 도 4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고안은 도 4(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반에 밀착 설치된 커넥터를 떼어내거나 또는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커넥터탈착부(1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탈착부(10)는 커넥터의 외주면에 삽입되도록 삽입공(12)이 형성된 몸체(1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1)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손잡이(14)(15)가 구비된 케이블 커넥터 탈착 클립이 제공된다.
특히 본 고안에 적용된 상기 삽입공(12)은 커넥터를 잡고 떼어내거나 또는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커넥터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적용된 상기 삽입공(12)의 내주면에는 커넥터를 잡고 떼어내거나 또는 결합시킬 때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13)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고안에 적용된 상기 손잡이(14)(15)는 벌어졌다 오무려지기 쉽도록 텐션력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본 고안에 적용된 상기 손잡이(14)(15)는 상호 벌리기 쉽도록 상호 어긋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케이블 커넥터 탈착 클립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은 분배반에 밀착 설치된 커넥터를 간단하게 떼어내거나 또는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적용된 도 5 는 커넥터 코드에 탈착 클립을 끼우는 상태도로, 작업자가 손잡이(14)(15)를 벌린 상태로 커넥터 코드에 끼운다.
이때 상기 손잡이(14)(15)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체 텐션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손잡이(14)(15)를 벌린 후 힘을 제거하면 최초 상태로 원상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도 6 은 커넥터에 탈착 클립을 장착시키는 상태도로, 커넥터탈착부(10)를 커넥터 코드에 끼운상태로 커넥터 몸체쪽으로 밀어 넣어 체결시킨다.
상기와 같이 커넥터탈착부(10)를 안쪽으로 밀어 넣으면 도 7 과 같이 손쉽게 커넥터에 탈착 클립을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 효과에 의한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은 이웃의 다른 커넥터를 건드림으로 인해서 고장발생의 우려가 있는 문제점을 일거에 해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아울러 구조적 이점에 의해 원하지 않는 커넥터를 탈착하는 경우가 없을 뿐만 아니라 손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아 작업이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커넥터탈착부(10)를 커넥터에 간단히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즉, 도 8 은 커넥터탈착부(10)를 분리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손잡이(14)(15)를 잡은 상태도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손잡이(14)(15)를 잡고 잡아당기게 되면 도 9 와 같이 커넥터를 간단히 분배반에서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손이 잘 들어가지 않는 좁은 공간에 위치한 커넥터를 커넥터탈착부(10)를 이용하여 손쉽게 탈/장착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게 되고 이로 인해 작업성과 작업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 케이블 커넥터 탈착 클립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고안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커넥터탈착부
11: 몸체
12: 삽이공
13: 돌기
14, 15: 손잡이

Claims (5)

  1. 분배반에 밀착 설치된 커넥터를 떼어내거나 또는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커넥터탈착부(10)는,
    커넥터의 외주면에 삽입되도록 삽입공(12)이 형성된 몸체(11);
    상기 몸체(11)의 외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손잡이(14)(15);가 포함되되,
    상기 삽입공(12)은 커넥터를 잡고 떼어내거나 또는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커넥터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공(12)의 내주면에는 커넥터를 잡고 떼어내거나 또는 결합시킬 때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13)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탈착 클립.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4)(15)는,
    벌어졌다 오무려지기 쉽도록 텐션력을 갖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탈착 클립.
  5. 청구항 1 또는 4 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4)(15)는,
    상호 벌리기 쉽도록 상호 어긋나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탈착 클립.
KR2020140007949U 2014-10-31 2014-10-31 케이블 커넥터 탈착 클립 KR2004812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949U KR200481284Y1 (ko) 2014-10-31 2014-10-31 케이블 커넥터 탈착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949U KR200481284Y1 (ko) 2014-10-31 2014-10-31 케이블 커넥터 탈착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574U KR20160001574U (ko) 2016-05-13
KR200481284Y1 true KR200481284Y1 (ko) 2016-09-09

Family

ID=56023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949U KR200481284Y1 (ko) 2014-10-31 2014-10-31 케이블 커넥터 탈착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284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3210A (ja) * 1999-02-01 2000-08-11 Hitachi Cable Ltd 電力ケーブル機器直結端末取り外し工具
JP2001035592A (ja) 1999-07-23 2001-02-09 Hirose Electric Co Ltd L型電気コネクタの引抜きタブ及びこれを有するコネクタ装置
JP2006100008A (ja) 2004-09-28 2006-04-13 Oki Techno Creation:Kk コネクタ抜き取り工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169U (ja) * 1992-03-19 1994-03-1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抜去取っ手付コネクタ
KR20120123942A (ko) 2011-05-02 2012-11-12 주식회사 케이티 원통형 커넥터용 플라이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3210A (ja) * 1999-02-01 2000-08-11 Hitachi Cable Ltd 電力ケーブル機器直結端末取り外し工具
JP2001035592A (ja) 1999-07-23 2001-02-09 Hirose Electric Co Ltd L型電気コネクタの引抜きタブ及びこれを有するコネクタ装置
JP2006100008A (ja) 2004-09-28 2006-04-13 Oki Techno Creation:Kk コネクタ抜き取り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574U (ko) 2016-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9781B2 (en) Removable sleeve for fiber optic connectors for high density applications
US9052474B2 (en) Clip device for facilitating insertion and removal of a push-pull fiber optic connector
JP5209503B2 (ja) 光ファイバスプリッタモジュール
US20140161407A1 (en) Optical fiber adapter security, optical fiber connector security, and removal tool for use therewith
US20140331464A1 (en) Coupling housing connector pull tab
US10921529B2 (en) Long push pull sleeve indicating orientation
RU2011126625A (ru) Система защиты для оптических разъемных соединителей
WO2006127400A2 (en) Fiber optic splitter module
US20140325816A1 (en) Optical interface insertion and extraction tool
US9678294B2 (en) Optical fiber connection apparatus
JP2017090798A (ja) 光コネクタ
US9482828B2 (en) One-piece alignment socket holder with locking means
TWM537749U (zh) 光纖連接器的插拔裝置
JP5653967B2 (ja) ケーブルホルダー
KR200481284Y1 (ko) 케이블 커넥터 탈착 클립
US9606303B2 (en) Grouping device for high density connector arrangements
JP2019158946A (ja) 光コネクタ、取り外し用治具、及びキャップ
US10168490B2 (en) Communication module
JP5248154B2 (ja) 成端用光コネクタプラグ
JP2006252952A (ja) ケーブルアライナ
JP3157159U (ja) 光コネクタの誤抜防止治具
JP5362390B2 (ja) コネクタ着脱工具
JP2008180818A (ja) 光コネクタ脱着工具
US20150316740A1 (en) Attachable and detachable fiber optic cable radius controller
JP6724071B2 (ja) キャップ着脱用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