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992Y1 - 조립식 펜스 - Google Patents

조립식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992Y1
KR200480992Y1 KR2020150007736U KR20150007736U KR200480992Y1 KR 200480992 Y1 KR200480992 Y1 KR 200480992Y1 KR 2020150007736 U KR2020150007736 U KR 2020150007736U KR 20150007736 U KR20150007736 U KR 20150007736U KR 200480992 Y1 KR200480992 Y1 KR 2004809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receiving groove
metal wire
fixed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7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응섭
Original Assignee
배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응섭 filed Critical 배응섭
Priority to KR20201500077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9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9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9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4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ly adapted wire, e.g. barbed wire, wire mesh, toothed strip or the like; Coupl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펜스는, 복수의 결합홈이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소정 간격으로 지면에 매설되는 복수의 제1지주; 결합홈에 체결되는 복수의 고정볼트;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고정볼트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복수의 제1고정부재; 및 제1지주와 고정볼트 사이에 고정되는 복수의 금속선을 포함하되, 제1고정부재는 고정볼트와 마주보는 면에 금속선이 삽입되는 제1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펜스{Prefabricated Fence}
본 고안은 조립식 펜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에 매설되는 지주와 수평으로 설치되는 금속선이 고정부재를 이용해 상호 체결됨으로 각각의 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용접 작업이 포함되지 않고 간단한 체결 작업만으로 펜스를 구성할 수 있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제작 및 설치시 발생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디자인적으로 심미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펜스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일정 공간을 구획하거나 부지의 경계선을 구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조립식 펜스는 대지 소유자의 경계 구획을 나눔으로서 일정 구획에 설치된 출입구만으로 통행이 가능하도록 하며 건축물 및 담장 내측을 경계하는 기능, 사람 또는 동물의 외부침입을 방지, 외부 시선의 차단 등을 위해 다양한 재질과 구조의 조립식 펜스들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조립식 펜스는 목책, 철책, 철망, 스틸울타리, 벽돌, 콘크리트 등 다양하지만 이런 조립식 펜스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기성품으로 구성된 각각의 부재를 많은 인력이 투입되어 각 부재마다 결합 및 용접작업을 해야 함으로 작업 능률이 저하되며 설치비용이 과중되고, 유지 및 보수가 어렵고 각 부재의 구매 비용이 고가라는 문제를 두고 고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현재 조립식 펜스의 설치 작업을 간소화 할 수 있어 적은 인력으로 설치가 가능하며 설치 작업으로 소비되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각 부재마다 결합 및 용접 작업을 하지 않고 단순 체결만으로 조립식 펜스를 설치함으로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조립식 펜스의 필요성이 대두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 조립식 펜스는 각각의 펜스 부재를 용접하여 설치시키는 것과 각각의 기성 부재를 현장에서 모두 조립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나누어지는데 각각의 펜스 부재를 용접하여 설치되는 조립식 펜스는 각 부제마다 모두 용접작업을 하여 설치됨으로 견고하고 튼튼하긴 하지만 많은 인력이 투입되어야 하며 용접작업에 따른 부대비용이 발생되고, 작업이 더디게 진행되어 능률이 저하되며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지 않아 파손시 새로 구입을 해야 함으로 추가비용이 발생되는 어려움이 있다.
조립식 펜스의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587222호 (2002.02.08)를 통해 펜스 설치작업이나 펜스의 설치위치 변경이 편리하게 되고, 부분 파손시 이의 교체가 용이하므로 유지·보수가 유리한 조립식 펜스가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립식 펜스는 각각의 펜스 부재를 상호 조립하여 결합시킴으로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고, 용접을 이용하는 조립식 펜스와 같이 부대비용이 발생되지 않으며 기존의 조립식 펜스보다 설치작업이 용이한 것에만 그칠 뿐, 각각의 부재를 작업자가 매번 조립하여 결합해야 함으로 작업의 능률이 크게 향상되는 것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그리고 한번 설치되면 큰 이동 없이 계속해서 사용되는 조립식 펜스의 특성상 설치위치의 변경이 편리한 것은 불필요하며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기는 하나 펜스를 구성하는 부재가 너무 다양하여 파손된 부위의 부재를 구입하는데 추가비용이 가중되고, 파손된 각 부재를 찾아 모두 구입하는데 불필요한 노동력이 소비될 수 있어 비효율적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평으로 설치되는 금속선이 고정부재를 이용해 지주대에 연속하여 설치될 수 있으므로 용접 작업 또는 각각의 수평부재를 매번 조립할 필요가 없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제작 및 설치비용이 절감되며 와이어부재를 이용함으로 유지 및 보수가 간편하고, 디자인적으로 심미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펜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펜스는, 복수의 결합홈이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소정 간격으로 지면에 매설되는 복수의 제1지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펜스는, 결합홈에 체결되는 복수의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펜스는,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고정볼트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복수의 제1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펜스는, 제1지주와 고정볼트 사이에 고정되는 복수의 금속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펜스는, 제1고정부재는 고정볼트와 마주보는 면에 금속선이 삽입되는 제1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펜스에 있어서, 제1고정부재는 제1수용홈이 양쪽 면에 형성되고, 금속선이 제1지주와 고정볼트 사이에 이중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펜스는,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고정볼트에 끼워져서 제1고정부재와 고정볼트 사이에 고정되는 복수의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펜스는,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금속선이 삽입되는 제1수용홈과 제2수용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펜스에 있어서, 제1고정부재는 제1수용홈이 양쪽 면에 형성되거나, 제2고정부재는 제2수용홈이 양쪽 면에 형성되어, 금속선이 제1지주와 고정볼트 사이에 이중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펜스에 있어서, 제1고정부재는 제1수용홈이 양쪽 면에 형성되고, 제2고정부재는 제2수용홈이 양쪽 면에 형성되며, 금속선이 제1지주와 고정볼트 사이에 삼중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펜스에 있어서, 제1고정부재는 제1수용홈 내측으로 금속선의 일단이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제1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펜스에 있어서, 제2고정부재는 제2수용홈 내측으로 금속선의 일단이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제2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펜스는, 복수의 지지볼트가 상하로 이격되어 결합되고 소정 간격으로 지면에 매설되는 복수의 제2지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펜스는, 지지볼트에 결합되는 체결홈이 일측에 형성되고 체결홈에 연통되는 관통홀이 타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펜스는,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체결홈 내부에 삽입되어 지지부재로 고정되는 복수의 제3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펜스는, 제2지주와 지지부재 사이에 고정되는 복수의 금속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펜스는, 금속선의 일단을 관통홀과 관통공을 통과시킨 후 구부리고, 지지부재를 지지볼트에 조임으로써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펜스에 있어서, 제3고정부재는 관통공을 통과한 후 구부러진 금속선이 삽입되는 제3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펜스에 있어서, 제3고정부재는 제3수용홈 내측으로 금속선의 일단이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제3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지주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이용해 수평으로 설치되는 금속선을 연속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유지 및 보수가 간편하며 제작 및 설치가 기성품보다 저렴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디자인적으로 심미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2는 종래의 조립식 펜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조립식 펜스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고정부재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7은 본 고안에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를 원형 지주에 설치하는 경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조립식 펜스의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11은 도 8의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에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조립식 펜스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부분 확대 분해도이다.
도 15 내지 17은 도 12의 지지부재 및 제3고정부재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를 조합한 조립식 펜스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펜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펜스는, 복수의 결합홈(12)이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소정 간격으로 지면(3)에 매설되는 복수의 제1지주(10); 상기 결합홈(12)에 체결되는 복수의 고정볼트(20);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32)을 통해 상기 고정볼트(20)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복수의 제1고정부재(30); 및 상기 제1지주(10)와 고정볼트(20) 사이에 고정되는 복수의 금속선(40)을 포함하되, 상기 제1고정부재(30)는 상기 고정볼트(20)와 마주보는 면에 상기 금속선(40)이 삽입되는 제1수용홈(34)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펜스는 제1고정부재(30)에 형성된 제1수용홈(34) 또는 후술할 제2 고정부재(50)의 제2수용홈(54)에 금속선(40)을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볼트(20)을 조여 제1고정부재(30) 또는 제2고정부재와 고정볼트(20)의 헤드부가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금속선(40)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되는 고정볼트(20)는 일반적인 볼트 형상인 T자 단면형상의 고절볼트(20)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에는 육각볼트, 십자형 볼트, 일자형 볼트 등이 있다.
상기 제1지주(10)는 결합홈(12)이 상하 방향으로 여러 개가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고정볼트(20)가 결합되고, 펜스를 설치하고자 하는 지면(3)에 소정 간격을 두고 매설할 수 있으므로 제1지주(10) 사이의 간격을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주(10)에는 고정볼트(20)가 결합홈(12)에 나사결합으로 체결되고, 제1지주(10)와 고정볼트(20) 사이에 위치하는 고리 형태의 제1고정부재(30)는 고정볼트(2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30)는 상기 금속선(4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제1수용홈(34)이 고정볼트(20)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수용홈(34)에 금속선(40)을 넣고 고정볼트(20)로 조이면 상기 금속선(40)이 제1수용홈(34)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부재(30)는 제1수용홈(34)을 양쪽 면에 형성하여, 제1지주(10)와 제1고정부재(30) 사이와 제1고정부재(30)와 고정볼트(20) 사이에 금속선(40)을 위치시키고 고정볼트(20)를 조이면, 상기 금속선(40)은 상기 제1수용홈(34)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금속선(40)을 이중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도 6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주(10)는 단면이 원형일 수 있으며, 이경우 제1고정부재(30)는 제1지주(10)와 마주보는 면을 곡선으로 형성하여 원형의 단면을 갖는 제1지주(10)에 접하게 함으로써, 제1고정부재(3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부재(30)와 고정볼트(20) 사이에는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52)을 통해 상기 고정볼트(20)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복수의 제2고정부재(50)를 배치할 수 있다. 즉, 제1지주(10), 제1고정부재(30), 제2고정부재(50) 그리고 고정볼트(20) 순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고정부재(50)는 상기 제1고정부재(30)와 마찬가지로 필요에 따란 한쪽 또는 양쪽 면에 금속선(40)이 삽입되는 제2수용홈(54)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2수용홈(54)은 상기 제1수용홈(34)과 마찬가지로 금속선(4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30)와 제2고정부재(50)를 이용해 금속선을 고정할 때, 제1고정부재(30)에만 제1수용홈(34)을 형성하거나, 제2고정부재(50)에만 제2수용홈(54)을 형성하거나, 제1고정부재(30)와 제2고정부재(50) 양쪽에 제1수용홈(34)와 제2수용홈(54)을 형성할 수 있다. 제1고정부재(30)에만 제1수용홈(34)을 형성하거나, 제2고정부재(50)에만 제2수용홈(54)을 형성하는 경우, 금속선이 완전히 수용될 수 있는 깊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고정부재(30)와 제2고정부재(50)를 이용해 제1지주(10)와 제1고정부재(30) 사이, 제1고정부재(30)와 제2고정부재(50) 사이, 그리고 제2고정부재(50)와 고정볼트(20) 사이에 금속선(40)을 필요에 따라 배치함으로써, 이중 또는 삼중으로 금속선(40)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30)는 제1수용홈(34) 내측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제1고정홀(36)을 필요에 따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2고정부재(50)는 제2수용홈(54) 내측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제2고정홀(56)을 필요에 따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홀(36)과 제2고정홀(56)은 끊어진 금속선(40)의 일단을 고정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끊어진 금속선(40)의 각 단부를 제1고정홀(36)과 제2고정홀(56)에 각각 삽입한 후에 고정볼트(20)로 조이면 상기 금속선(40)이 제1고정부재(30) 또는 제2고정부재(5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고정된 금속선(40)은 꺾인 부분이 예각을 이루도록 상기 제1수용홈(34)과 제1고정홀(36), 제2수용홈(54)과 제2고정홀(56)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끊어진 금속선(40)의 길이에 따라서 금속선(40)의 각 단부를 복수로 형성된 제1고정홀(36) 또는 제2고정홀(56)에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홀(36)과 제2고정홀(56)을 이용하면, 제1지주(10)을 기준으로 한쪽 방향으로만 금속선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1지주(10)를 조립식 펜스의 가장자리 지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펜스의 가운데 부분에 관한 것이며, 이하에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펜스의 가장자리 부분을 설명한다.
도 12 내지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펜스는, 복수의 지지볼트(62)가 상하로 이격되어 결합되고 소정 간격으로 지면(3)에 매설되는 복수의 제2지주(60); 상기 지지볼트(62)에 결합되는 체결홈(72)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72)에 연통되는 관통홀(74)이 타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부재(70); 중앙에 관통공(82)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72)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재(70)로 고정되는 복수의 제3고정부재(80); 및 상기 제2지주(60)와 지지부재(70) 사이에 고정되는 복수의 금속선(40)을 포함하되, 상기 금속선(40)의 일단을 상기 관통홀(74)과 관통공(82)을 통과시킨 후 구부리고, 상기 지지부재(70)를 지지볼트(62)에 조임으로써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주(60)는 지지볼트(62)가 상하 방향으로 여러 개가 소정 간격을 두고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재(70)가 결합되고, 펜스를 설치하고자 하는 지면(3)에 소정 간격을 두고 매설할 수 있으므로 제2지주(60) 사이의 간격을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주(60)에는 지지부재(70)가 지지볼트(62)에 나사결합으로 체결되고, 제2지주(60)와 지지부재(70) 사이에 위치하는 고리 형태의 제3고정부재(80)는 지지부재(7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지지부재(70)는 막대 형태로 일측에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형의 체결홈(72)이 형성되고, 타측은 금속선(40)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74)이 상기 체결홈(72)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3고정부재(80)는 상기 금속선(4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중앙에 상기 관통홀(74)을 통과한 금속선(40)이 통과하는 관통공(8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82)을 통과한 금속선(40)은 옆으로 꺾인 후에 상기 지지부재(70)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상기 관통홀(74)과 관통공(82)를 통해서 복수의 금속선(40)을 통과시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3고정부재(80)는 관통공(82)을 통과한 후 구부러진 금속선(40)이 삽입되는 제3수용홈(84)이 형성되어 고정된 금속선(40)의 움직임과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제3수용홈(84) 내측으로 상기 금속선(40)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3고정홀(86)이 형성하여 더욱 확실하게 금속선(40)을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금속선(40)의 길이에 따라서 금속선(40)의 일단을 복수로 형성된 제3고정홀(86)에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5 내지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홀(74)과 관통공(82)을 통해 복수의 금속선(40)을 고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3고정홀(86)에 각각의 금속선(40)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관통홀(74)을 통과한 복수의 금속선(40)을 각각을 제3고정홀(86)을 통해 분리해서 통과시킨 후 관통공(82)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펜스는 상기 제2지주(60)를 가장 외곽에 배치하고, 상기 제1지주(10)를 상기 제2지주(60) 사이에 배치하여 전체 펜스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1지주(10)만을 이용해 전체 펜스를 구축하는 것도 가능하고, 제2지주(60)만을 이용해 전체 펜스를 구축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펜스를 실시하기 위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3: 지면
4: 통상의 조립식 펜스
5: 통상의 지주대
6: 통상의 결합부재
7: 통상의 수평부재
8: 통상의 용접결합부
10: 제1지주
12: 결합홈
20: 고정볼트
30: 제1고정부재
32: 관통공
34: 제1수용홈
36: 제1고정홀
40: 금속선
50: 제2고정부재
52: 관통공
54: 제2수용홈
56: 제2고정홀
60: 제2지주
62: 지지볼트
70: 지지부재
72: 체결홈
74: 관통홀
80: 제3고정부재
82: 관통공
84: 제3수용홈
86: 제3고정홀

Claims (11)

  1. 복수의 결합홈이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소정 간격으로 지면에 매설되는 복수의 제1지주;
    상기 결합홈에 체결되는 복수의 T자 단면형상의 고정볼트;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상기 고정볼트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복수의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제1지주와 고정볼트 사이에 고정되는 복수의 금속선을 포함하되,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고정볼트와 마주보는 면에 상기 금속선이 삽입되는 제1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용홈은 상기 금속선이 완전히 수용되는 깊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제1수용홈이 양쪽 면에 형성되고,
    상기 금속선이 제1지주와 고정볼트 사이에 이중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3. 복수의 결합홈이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소정 간격으로 지면에 매설되는 복수의 제1지주;
    상기 결합홈에 체결되는 복수의 T자 단면형상의 고정볼트;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상기 고정볼트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복수의 제1고정부재;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상기 고정볼트에 끼워져서 상기 제1고정부재와 고정볼트 사이에 고정되는 복수의 제2고정부재; 및
    상기 제1지주와 고정볼트 사이에 고정되는 복수의 금속선을 포함하되,
    상기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상기 금속선이 삽입되는 제1수용홈과 제2수용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제1수용홈 내측으로 상기 금속선의 일단이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제1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제1수용홈이 양쪽 면에 형성되어,
    상기 금속선이 제1지주와 고정볼트 사이에 이중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제1수용홈이 양쪽 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제2수용홈이 양쪽 면에 형성되며,
    상기 금속선이 제1지주와 고정볼트 사이에 삼중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제1수용홈 내측으로 상기 금속선의 일단이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제1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7.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제2수용홈 내측으로 상기 금속선의 일단이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제2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8. 복수의 지지볼트가 상하로 이격되어 결합되고 소정 간격으로 지면에 매설되는 복수의 제2지주;
    상기 지지볼트에 결합되는 체결홈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에 연통되는 관통홀이 타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부재;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재로 고정되는 복수의 제3고정부재; 및
    상기 제2지주와 지지부재 사이에 고정되는 복수의 금속선을 포함하되,
    상기 금속선의 일단을 상기 관통홀과 관통공을 통과시킨 후 구부리고, 상기 지지부재를 지지볼트에 조임으로써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고정부재는 관통공을 통과한 후 구부러진 금속선이 삽입되는 제3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고정부재는 상기 제3수용홈 내측으로 상기 금속선의 일단이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제3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따른 조립식 펜스를 사이에,
    제1항 또는 제3항에 따른 조립식 펜스를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KR2020150007736U 2015-11-26 2015-11-26 조립식 펜스 KR2004809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736U KR200480992Y1 (ko) 2015-11-26 2015-11-26 조립식 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736U KR200480992Y1 (ko) 2015-11-26 2015-11-26 조립식 펜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992Y1 true KR200480992Y1 (ko) 2016-08-01

Family

ID=56719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736U KR200480992Y1 (ko) 2015-11-26 2015-11-26 조립식 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992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5511A (ja) * 2000-04-13 2001-10-26 Nippon Kokan Light Steel Kk 網状体接続構造
KR200436803Y1 (ko) * 2007-07-23 2007-10-05 (주)경동기술공사 와이어로프가 내장된 안전난간
KR20140119572A (ko) * 2013-04-01 2014-10-10 승룡산업 (주) 울타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5511A (ja) * 2000-04-13 2001-10-26 Nippon Kokan Light Steel Kk 網状体接続構造
KR200436803Y1 (ko) * 2007-07-23 2007-10-05 (주)경동기술공사 와이어로프가 내장된 안전난간
KR20140119572A (ko) * 2013-04-01 2014-10-10 승룡산업 (주) 울타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9123B1 (en) Readily installable fence system, and method therefor
JP4767881B2 (ja) 柵のビーム取付構造
RU154895U1 (ru) Сборно-разборная секция ограждающей конструкции
KR101324966B1 (ko) 가로시설물과 지주의 조립 장치
US20070261333A1 (en) Enclosure panels
KR101230498B1 (ko) 신호등 장치
KR200480992Y1 (ko) 조립식 펜스
KR101828912B1 (ko) 조립식 휀스
EP3775441B1 (en) Fence post with attaching means and a modular fencing system
KR200479334Y1 (ko) 조립식 펜스
KR100497055B1 (ko) 분해조립이 가능한 도로용 지주의 고정구조
KR102266784B1 (ko) 무천공 지주와 클립형 클램프를 이용한 메시형 울타리 및 이의 설치 자율 방향 시공 방법
KR200438011Y1 (ko) 울타리
KR101474720B1 (ko) 데크용 가드레일포스트
KR102491817B1 (ko) 울타리 기둥의 확장연결장치
KR100740856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KR20190115781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펜스
KR101777370B1 (ko) 하자보수가 용이한 목재 펜스 조립방법
KR20090002532U (ko) 메쉬휀스와 주주의 결합구조
KR200355405Y1 (ko) 조립식 난간
JP2004285816A (ja) 柱の継手構造とそれに用いる接合部材
KR20200100960A (ko) 조립식 휀스
JP4628244B2 (ja) フェンス用固定金具
JP2006214121A (ja) フェンス
KR200468811Y1 (ko) 조립식 경계휀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