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0960A - 조립식 휀스 - Google Patents

조립식 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0960A
KR20200100960A KR1020190018980A KR20190018980A KR20200100960A KR 20200100960 A KR20200100960 A KR 20200100960A KR 1020190018980 A KR1020190018980 A KR 1020190018980A KR 20190018980 A KR20190018980 A KR 20190018980A KR 20200100960 A KR20200100960 A KR 20200100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frame
coupling
vertical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희준
Original Assignee
(주)가을디자인휀스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가을디자인휀스개발 filed Critical (주)가을디자인휀스개발
Priority to KR1020190018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0960A/ko
Publication of KR20200100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9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4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ly adapted wire, e.g. barbed wire, wire mesh, toothed strip or the like; Coupl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6Parts for wire fen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6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 E04H17/161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using wire panels
    • E04H17/163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using wire panels using wired panels with fram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휀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휀스를 구성하는 다수의 구조물을 조립식으로 구성하므로서 내구성이 우수하고 제조 및 유지보수가 편리한 조립식 휀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로철선(11)의 전면 또는 후면에 가로철선(12)이 위치하여 세로철선(11)과 가로철선(12)이 용접결합되어 중첩구성되는 가림망체(1)의 둘레에 세로철선(11) 및 가로철선(12)이 휀스프레임(2)의 내측으로 투입되어 걸림되도록 하여 조립식휀스에 있어서:
판재를 절곡하여 사각형상의 파이프체로 구성하되, 절곡되는 판재의 양측 단부 사이에 일정폭의 간격을 두어 절개홈(212)(222)을 형성하며 양단에 결합홈(211)(221)을 형성한 휀스프레임(2)을 가림망체(1)의 세로철선(11) 및 가로철선(12)이 휀스프레임(2)의 내측으로 투입되어 절개홈(212)(222)의 내측에서 걸림되도록 가림망체(1)의 사면둘레에 휀스프레임(2)을 결합하여 휀스조립체(A)를 형성하며 휀스프레임(2)에 휀스결합부재(4)를 돌출형성하여 지주체(6)에 결합된 지주결합부재(5)와 결합볼트(9)로 결합하므로서 휀스프레임과 지주체를 결합하는 고정부재가 볼트로 결합되므로 지주체로부터 휀스프레임을 다양한 각도로 조정하여 고정할수 있으며 원가가 저렴한 금속판재 및 파이프를 이용하여 휀스프레임 및 지주체를 형성하므로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휀스를 조립식으로 구성하므로서 설치및 유지보수가 편리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휀스{Prefabricated fence}
본 발명은 조립식 휀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휀스를 구성하는 다수의 구조물을 조립식으로 구성 하므로서 내구성이 우수하고 제조 및 유지보수가 편리한 조립식 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휀스는 구역을 구획하는 경계에 설치하는 것으로 울타리라고도 하며 도로와 통행로의 경계지점과 같이 위험물이 존재하는 지역으로 출입을 제한 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으로 지면으로부터 설치되는 지주사이에 망체 또는 판재등으로 되는 가림체를 장치하여 특정공간으로 출입을 방지하고 위험물로 부터 접근을 제한하는 등 주로 공간을 구획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휀스는 종래에는 주로 용접에 의해 지주와 가림체를 결합하는 것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이는 대개 설치현장이 아닌 휀스의 생산과정에서 지주와 가림체를 먼저 용접한 다음 용접된 휀스를 설치현장으로 옮겨 시공하고 있기 때문에 지주체와 수평체들이 연결된 휀스의 크기에 의해 설치현장까지 휀스의 운반이 어렵고 운반 도중에 휀스의 파손되는 위험성이 크고 설치현장에서 지주체와 수평체들을 용접에 의해 연결할 경우 연결부위의 용접부가 외부에 노출되어 미감이 떨어지며 용접부분에 대한 표면처리가 어려우며 용접기 등의 전기설비를 설치현장에 설치하여 용접작업을 진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보행자의 통행에 지장을 초래함은 물론 여러 장비들을 같이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여 조립체의 휀스로 구성하여 설치현장에서 조립 설치하는 조립식 휀스가 다수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일 예로 실용신안등록 제 0459322호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 0459322호를 보면 수직대 프로파일(18) 하단에 받침판(20)이 연결고정되는 지주(10)와 좌우지주(10) 사이사이에 연결편(24)을 통하여 분리가능케 연결고정되는 상하보강대 프로파일(12)(14) 및 지주(10)와 보강대 프로파일(12)(14)의 걸림홈(12b)(18a) 사이에 결합고정되는 용접망(16)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안전휀스에 있어서, 상기 지주(10)가 갖는 받침판(20)은 수직대 프로파일(18)의 하단 전후에 형성되게 하고, 용접망(16)은 좌우 단부에 갖는 걸림용 세로철선(32)과 상하단부에 갖는 걸림용 가로철선(34)이 지주(10)의 수직대 프로파일(18)과 상하보강용 프로파일(12)(14)이 갖는 걸림홈(12b)(18a)에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좌우지주(10)가 갖는 수직대 프로파일(18)과 상하보강대 프로파일(12)(14)을 연결하는 연결편(24)은각각 일측에 갖는 걸림돌편(28)이수직대 프로파일(18)의 양측 전후에 갖는 걸림홈(18b)에 결합되게 함과 아울러 타측에 갖는 통공(30)은 상하보강대 프로파일(12)(14)의 걸림홈(12a)에 끼워진 너트(27)와 연통되게 하여 볼트(26)의 죄임에 의해 연결고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이는 용접망(16)이 지주(10)의 수직대 프로파일(18) 및 좌우 수직대 프로파일(18) 사이에 연결편(24)으로 연결고정되는 상하 보강대 프로파일(12)(14)의걸림홈(12b)(18a) 사이에 결합고정되므로 상하 보강대 프로파일(12)(14)에 의한 용접망(16)의강도보강으로 안전휀스로서의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있고 또 부득이한 위험지역의 출입 및 이전설치 등을 위한 분해조립성을 만족하면서 제작시 용접없이 단순조립에 의해 구성되므로 현저한 생산성 향상을 가져올 수가 있고, 더 나아가용접부위나 또는 용접부위에 의한 녹발생우려를 없애줄 수 있는만큼 매끈하고 미려한 외관을 갖도록 할 수가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지만 용접망(16)의 걸림용 세로철선(32)과 상하단부에 갖는 걸림용 가로철선(34)이 걸림홈(18b)에 결합되게 하는 수직대 프로파일(18)및 보강대 프로파일(12)(14)은 그 재질이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합금으로 구성되므로 제조원가가 지나치게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접망(16)을 수직대 프로파일(18)에 직접 결합하는 구성으로 되어 용접망(16)을 수직대 프로파일(18)에결합시에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어려워 휀스의 설치시에 제약을 많이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045932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도금강판과 같은 금속판재를 절곡하여 용접망을 보강하는 보강골조를 형성하며 양산되는 금속제파이프등을 지주대로 사용하여 용접망을 조립식으로 결합할수 있도록 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용접망을 고정하는 보강골조와 지주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설치가 편리한 조립식 휀스를 제안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로와이어와 가로와이어가 용접결합되는 가림망체와, 판재를사각으로 절곡하며 판재의 양측 단부 사이에 절개홈을 가지는 사각의 휀스프레임과, 사각관체로 구성되며 하면에 받침판을 가진 지주체와, 휀스프레임과 지주체에 각각 결합되며 일단이 볼트로 결합하여 휀스프레임과 지주체를 결합하는 고정부재와, 다수의 휀스프레임을 연결하여 고정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휀스 프레임의 절개홈 내측으로 가림망체의 세로 또는 가로와이어가 투입되어 걸림되게 가림망체와 휀스프레임을 결합하고 휀스프레임과 지주체를 고정부재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된 본 발명은 가림망체의 가로와이어 및 세로와이어가 휀스프레임의 내측으로 투입되어 절개홈의 입구에 걸려 고정되므로서 가림망체와 휀스프레임이 견고하게 결합하는 이점이 있다.
휀스프레임과 지주체를 결합하는 고정부재가 볼트로 결합되므로 지주체로부터 휀스프레임을 다양한 각도로 조정하여 고정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원가가 저렴한 금속판재 및 파이프를 이용하여 휀스프레임 및 지주체를 형성하므로서 제조원가를 절감할수 있으며 휀스를 조립식으로 구성하므로서 설치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 또한 편리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휀스와 지주체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도 1의 A부의 분해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휀스와 지주체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도 1의 A부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휀스와 지주체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가림망체와 휀스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가)는 가림망체의 세로철선 또는 가로철선이 휀스프레임에 걸림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도 (나)는 가림망체에 걸림돌부를 형성하여 휀스프레임에 결합한예시도
도 6은 도 1의 B부의 분해사시도로서 휀스프레임의 연결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도 1의 B부의 단면도로서 휀스프레임 연결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의 (다)는 휀스프레임과 지주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라)는 휀스프레임과 지주체의 결합각도를조절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휀스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본 발명의 조립식휀스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립식 휀스는 가림망체(1)의 둘레에 세로프레임(21) 및 가로프레임(22)으로 구성되는 휀스프레임(2)을 결합하여 휀스조립체(A)를 형성하여 가림망체(1)의 강도를 보강하며 휀스프레임(2)에 휀스결합부재(4)와 지주체(6)에 지주결합부재(5)를 각각 결합하여 결합볼트(9)로 휀스결합부재(4)와 지주결합부재(5)를 결합하므로서 휀스조립체(A)와 지주체(6)를 결합하여 조립식휀스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되는 본 발명의 조립식휀스의 가림망체와 휀스프레임의 결합구성 및 휀스프레임과 지주체의 결합구성이 도 2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본 발명의 가림망체(1)와 휀스프레임(2)의 결합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가림망체(1)는 세로철선(11)의 전면 또는 후면에 가로철선(12)이 위치하여 세로철선(11)과 가로철선(12)이 용접결합되어 중첩구성된다.
또한 휀스프레임(2)은 세로프레임(21)과 가로프레임(22)으로 구성되며 판재를 절곡하여 사각형상의 파이프체로 구성하되, 절곡되는 판재의 양측단면 사이에 일정폭의 간격을 두어 절개홈(212)(222)을 형성하며 양단에 결합홈(211)(221)을 형성한다.
상기 휀스프레임(2)은 가림망체(1)와 결합시에 세로로 설치되는 것이 세로프레임(21)이며 가로로 설치되는 것이 가로프레임(22)으로 그 설치방향에 따라 세로 및 가로 프레임(21)(22)으로 지칭한 것이며 제조되는 휀스조립체(A)의 세로 및 가로의 폭에 따라 그 길이만 다를 뿐 절개홈(212)(222) 및 결합홈(211)(221)의 구성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되는 가림망체(1) 및 휀스프레임(2)은 가림망체(1)의 외측단부가 휀스프레임(2)의 내부로 투입되며 결합되며 가림망체(1)의 외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세로철선(11) 및 가로철선(12)이 세로프레임(21) 및 가로프레임(22)의 절개홈(212)(222) 내측으로 투입되어 걸림되고 세로프레임(21)과 가로프레임(22)의 단부가 결합되어 가림망체(1)와 휀스프레임(2)이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세로프레임(21) 및 가로프레임(22)에 형성된 절개홈(212)(222)은 세로 또는 가로철선(11)(12)의 두께보다 크고 세로 및 가로철선 두께폭의 합보다 작아야 걸림됨은 당연하다.
가림망체(1)는 도 5의 (나)에서와 같이 외측둘레를 절곡하여 걸림돌부(13)를 형성하여 가림망체(1)가 휀스프레임(2)에 걸림되는 걸림부를 별도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에 세로프레임과 가로프레임의 결합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세로프레임(21)과 가로프레임(22)의 결합은 가림부재(3)와 휀스결합부재(4)를 개입시켜 세로프레임(21)과 가로프레임(22)을 결합한다.
상기의 가림부재는 "L"형으로 구성되며 바닥면에 관통공(31)을 형성하여 구성되며 휀스결합부재(4)는 전면에 폭이 넓은 쐐기형돌부(44)으로 형성하며 후측의 몸체는 직사각의 사각돌부(43)로 형성하여 사각의 돌부(43)와 쐐기형돌부(44)의 경계에 걸림턱(42)을 형성하고 쐐기형돌부(44)와 사각돌부(43)에 각각 쐐기돌부나사공(411)과 사각돌부나사공(41)을 형성하여 구성되며 세로 및 가로프레임(21)(22)의 내측으로 가림망체(1)의 외측 둘레에 위치하는 세로 및 가로철선(11)(12)이 위치하게 가림망체(1)와 휀스프레임(2)의 조립하고 가로프레임(22)의 외측에서 사각단부의 내측으로 가림부재(3)를 투입하여 가로프레임(22)의 단부가 막음되게 하고 세로프레임(21)의 결합홈(211)내측으로 휀스결합부재(4)의 사각돌부(41)를 투입하여 걸림턱(42)이 결합홈(211)의 외측에 걸려 쐐기형돌부(44)가 세로프레임(2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하여 가로프레임(22)의 결합홈(221) 내측으로 결합볼트(91)를 투입하여 결합볼트(91)가 가림부재(3)의 관통공(31)을 관통하여 휀스결합부재(4)의 사각돌부나사공(41)에 결합하므로서 가림부재(3) 및 휀스결합부재(4)를 동시에 조임하여 세로프레임(21)과 가로프레임(22)이 결합되며 가림부재(3)는 가로프레임(22)의 단부를 막게 되는 것이며 세로프레임(21)에 돌출 형성되는 휀스결합부재(4)의 쐐기형돌부(44)는 후술하는 지주체(6)의 지주결합부재(5)와 결합하여 휀스조립체(A)와 지주체(6)를 결합하게 된다.
상기 휀스프레임(2)를 구성하는 가로 및 세로프레임(21)(22)의 결합구성은 가림망체(1)의 네모서리 즉 세로프레임(21)과 가로프레임(22)의 단부가 밀착하는 부분에는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가림망체(1)와 휀스프레임(2)이 결합하여 휀스조립체(A)를 구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지주체(6)는 사각의 파이프로 구성하며 하단에 푹이 넓은 받침판(61)를 형성하고 받침판(61)의둘레에 다수의 관통공(71)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받침판(61)의 관통공(62)은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으나 팩등을 박음하거나 앙카볼트등을 이용하여 지주체(6)를 바닥으로 부터 견고하게 수직 설치할 수 있도록 한것이다.
한편 지주체(6)에는 지주결합부재(5)가 결합된다.
지주결합부재(5)는 중앙부에 지주체(6)의 단면형상을 따라 사각형상의 지주결합공(51)을 형성하고 사면의 외측 둘레에 장공(52)을 형성하며 일측 모서리부에 고정나사부(531)를 가진 고정돌부(53)를 돌출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에 있어서 지주체(6)를 지주결합공(51)의 내측으로 투입하면 지주결합부재(5)는 지주체(6)의 외면을 따라 승,하강 작동하게 되며 고정나사부(531)에 나사결합된 결합볼트(92)를 조임하면 그 위치가 고정되므로 지주체(6)에 결합된 지주결합부재(5)는 지주체(6)의 원하는 위치에서 그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되는 휀스조립체(A)와 지주체(6)의 결합구성이 도2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휀스조립체(A)와 지주체(6)의 결합구성은 휀스조립체(A)의 가로프레임(22)에 결합하여 돌출하는 쐐기형돌부(44)의 쐐기형돌부나사공(411)과 지주결합부재(5)의 장공(52)을 중첩하여 결합볼트(9)로 장공(52)을 관통하여 쐐기형돌부(44)의 쐐기형돌부나사공(411)에 나사결합하므로서 휀스조립체(A)와 지주체(6)는 결합된다.
상기에서 휀스조립체(A)는 도8의 (가)에서와 같이 지주결합부재(5)에 다수 형성 장공(52)을 선택하여 결합하거나 다수의 휀스조립체(A)를 동시에 결합할 수도 있으며 (라)에서와 같이 지주결합부재(5)로 부터 휀스결합부재(4)의 각도를 조절하여 조임할 수 있으므로 지주체(6)로부터 휀스조립체(A)의 각도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가림망을 가진 휀스조립체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가림망체가 연설된 휀스조립체의 구성이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수의 가림망을 가진 휀스조립체는 직사각의 상,하부휀스프레임연결부재를 개입시켜 세로 및 가로프레임을 결합하여 구성되는데, 상,하부휀스프레임연결부재는 직사각의 평판으로 구성되며 상부휀스프레임 연결부재는 양측에 관통공(71)을 형성하여 구성되며 하부휀스프레임연결부재는 양단에 나사공(81)을 형성한 구성이다
상기 상,하부휀스프레임연결부재의 관통공 및 나사공은 중첩시에 그 중심이 일치한다.
따라서 도6에서와 같이 배면이 밀착하는 한쌍의 세로프레임에 하부프레임연결부재(8)를 결합홈(211)에 투입하 여한쌍의 나사공이 밀착되어진 세로프레임의 중심부에 각각 위치하게 하고 상부휀스프레임 연결부재(7)를 양단의단부가 밀착하는 한쌍의 가로프레임내에사 양단이 각각의 가로프래임에 거치되게 하여 결합볼트(92)로 상부휀스프레임연결부재(7)의 관통공(71)을 관통하여 하부프레임 연결부재(8)의 나사공(81)에 나사결합하므로서 단부가맞대어진 양측의 가로프레임 및 배면이 밀착된 세로프레임은 상,하부 연결프레임(7)(8)에 의해 연결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이를 다시설명하면 일측의 가로프레임의 내측으로 상부 휀스프레임연결부재(7)의 일측을 투입하고 세로프레임의 결합홈(221)에 하부프레임연결부재(8)일측을 투입하여 결합볼트(92)로 상부휀스프레임연결부재(7)의 관통공(71)을 관통하여 하부프레임연결부재(8)의 나사공(81)에 나사결합하면 세로프레임 및 가로프레임의 외측으로 상,하부프레임연결부재(7)(8)의 일단이 돌출되게 결합되며 돌출된 하부프레임연결부재(8)의 타단을 연결하는 세로프레임의 결합홈에 투입하고 상부연결부재의 돌출부를 맞대어지는 가로프레임의 단부내측으로 투입하여 결합볼트(92)로 상부휀스프레임연결부재(7)의 관통공(71)을 관통하여 하부프레임연결부재(8)의 나사공(81)에 나사결합하면 이웃하는 세로프레임 및 가로프레임이상,하부프레임연결부재(7)(8)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다.
1 : 가림망체 11 : 세로철선
12 : 가로철선 13 : 걸림돌부
2 : 휀스프레임 21 : 세로프레임
22 : 가로프레임 211,221 : 결합홈
212,222 : 절개홈 3 : 가림부재
31 :관통공 4 : 휀스결합부재
41 : 사각돌부나사공 411 : 쐐기돌부나사공
42 : 걸림턱 43 : 사각돌부
44 : 쐐기형돌부 5 : 지주결합부재
51 : 지주결합공 52 : 장공
53 : 고정돌부 531 : 고정나사부
6 : 지주체 61 : 받침판
62 : 관통공 7 : 상부휀스프레임연결부재
71 : 관통공 8 : 하부휀스프레임연결부재
81 : 나사공 9,91,92 : 결합볼트
A : 휀스조립체

Claims (5)

  1. 세로철선(11)의 전면 또는 후면에 가로철선(12)이 위치하여 세로철선(11)과 가로철선(12)이 용접결합되어 중첩구성되는 가림망체(1)의 둘레에 세로철선(11) 및 가로철선(12)이 휀스프레임(2)의 내측으로 투입되어 걸림되도록 하여 조립식휀스에 있어서:
    판재를 절곡하여 사각형상의 파이프체로 구성하되, 절곡되는 판재의 양측 단부 사이에 일정폭의 간격을 두어 절개홈(212)(222)을 형성하며 양단에 결합홈(211)(221)을 형성한 휀스프레임(2)을 가림망체(1)의 세로철선(11) 및 가로철선(12)이 휀스프레임(2)의 내측으로 투입되어 절개홈(212)(222)의 내측에서 걸림되도록 가림망체(1)의 사면둘레에 휀스프레임(2)을 결합하여 휀스조립체(A)를 형성하며 휀스프레임(2)에 휀스결합부재(4)를 돌출형성하여 지주체(6)에 결합된 지주결합부재(5)와 결합볼트(9)로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휀스.
  2. 1항에 있어서,
    가림망체(1)는 외측 사면에 걸림돌부(13)를 형성하여 휀스프레임(2)의 내측으로 투입되어 절개홈(212)(222)의내측에서 걸림돌부(13)이 걸림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휀스.
  3. 제 1항에 있어서,
    휀스결합부재(4)는 전면에 폭이 넓은 쐐기형돌부(44)으로 형성하며 후측의 몸체는 직사각의 사각돌부(43)로 형성하여 사각돌부(43)와 쐐기형돌부(44)의 경계에 걸림턱(42)을 형성하고 쐐기형돌부(44)와 사각돌부(43)에 각각 쐐기돌부나사공(411)과 사각돌부나사공(41)을 형성하여 결합홈(211)내측으로 휀스결합부재(4)의 사각돌부(41)를 투입하여 결합볼트(91)로 결합하므로서 세로및 가로프레임(21)(22)을 결합함과 동시에 쐐기형돌부(44)는 가로프레임(22)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휀스.
  4. 제1항에 있어서,
    지주결합부재(5)는 지주체(6)에 끼움되어 지주체(6)의 외주를 따라 승,하강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휀스
  5. 제 1항에 있어서,
    지주결합부재(5)는 외주에 다수의 장공을 형성하여 다수의 휀스조립체를 동시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휀스.
KR1020190018980A 2019-02-19 2019-02-19 조립식 휀스 KR202001009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980A KR20200100960A (ko) 2019-02-19 2019-02-19 조립식 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980A KR20200100960A (ko) 2019-02-19 2019-02-19 조립식 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960A true KR20200100960A (ko) 2020-08-27

Family

ID=72237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980A KR20200100960A (ko) 2019-02-19 2019-02-19 조립식 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096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322B1 (ko) 1996-03-25 2005-02-02 파마시아 코포레이션 Uv안정 폴리비닐부티랄시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322B1 (ko) 1996-03-25 2005-02-02 파마시아 코포레이션 Uv안정 폴리비닐부티랄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40789A1 (en) Fencing bracket
KR101997788B1 (ko) 메쉬펜스
KR102044472B1 (ko) 리폼형 방음벽 시스템
KR101828912B1 (ko) 조립식 휀스
KR101661542B1 (ko) 리브 라운드 앵글 및 철근을 이용한 선조립 기둥 및 그 제조방법
US20230123821A1 (en) Fence
KR20200100960A (ko) 조립식 휀스
US5474279A (en) Fence system
EP3775441B1 (en) Fence post with attaching means and a modular fencing system
JP6725330B2 (ja) 取付金具及び柵のビーム取付構造
KR100992055B1 (ko) 동물 안전 유도형 휀스
KR101993351B1 (ko) 메쉬펜스용 메쉬망 고정구
KR102122277B1 (ko) 전단벽 보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단벽 보강 방법
AT405067B (de) Anordnung zur verbindung von balken in einem gebäud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bäude-skeletts unter verwendung von miteinander verbundenen balken
KR20210019820A (ko) 조립식 메쉬 펜스 및 그 조립방법
KR200385723Y1 (ko) 건축용 내외장 석재패널 고정구조물
KR100650510B1 (ko) 건축용 내외장 석재패널 고정구조물
KR102011987B1 (ko) 하지 매립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이용한 층간 방화 구조
KR200480992Y1 (ko) 조립식 펜스
KR101474720B1 (ko) 데크용 가드레일포스트
EP0403484A1 (de) Schallschluckwand
JP7135259B2 (ja) 建物の両面外壁構造及び建物の両面外壁の固定方法
CN113322998B (zh) 可重复使用预制围挡基础
KR102453493B1 (ko) 안전 펜스
US20220220765A1 (en) Structure for providing a physical or visual b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