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935Y1 - 안면베개 - Google Patents

안면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935Y1
KR200480935Y1 KR2020140009066U KR20140009066U KR200480935Y1 KR 200480935 Y1 KR200480935 Y1 KR 200480935Y1 KR 2020140009066 U KR2020140009066 U KR 2020140009066U KR 20140009066 U KR20140009066 U KR 20140009066U KR 200480935 Y1 KR200480935 Y1 KR 2004809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pace portion
heat
fa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90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2089U (ko
Inventor
이창희
Original Assignee
이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희 filed Critical 이창희
Priority to KR20201400090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935Y1/ko
Publication of KR201600020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0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9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9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닥으로부터 전달되는 열기 또는 냉기를 차단할 수 있는 안면베개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커버와, 테두리가 커버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결합되며, 공간부를 상단 공간부와 하단 공간부로 구획하는 격벽시트와, 공간부에 수용되는 열차단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면베개{Face pillow for massage}
본 고안은 엎드린 상태에서 편안하게 호흡할 수 있도록 얼굴을 받쳐주는 안면베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닥으로부터 전달되는 열기 또는 냉기를 차단할 수 있는 안면베개에 관한 것이다.
안면베개는 사용자가 엎드린 상태에서 수면을 취하거나, 병원이나 마사지 ? 등에서 허리나 등 부위의 시술을 받는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면시 머리를 받쳐주는 베개를 엎드려서 사용하게 되면, 코와 입이 눌려서 호흡이 불편해지고 눌린 자국이 생기게 된다. 이에 따라, 눈과 코 및 입 부위에 해당하는 부분이 노출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홀을 형성한 안면베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온열 마사지의 경우, 베드가 소정 온도 이상으로 승온되며, 이에 따라 베드의 열이 안면베개를 거쳐 사용자의 얼굴로 전달되어,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거나 민감한 피부의 경우에는 화상을 입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냉열 마사지시에는 베드의 찬 기운이 안면베개를 통해 얼굴로 전달되어, 편안하게 엎드린 자세를 계속 유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KR 20-0413143 Y1 (2006.03.29 등록)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안면베개가 놓인 바닥으로부터 전달되는 열기 또는 냉기를 차단할 수 있는 안면베개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온열 또는 냉열 마사지시 장시간 사용에도 얼굴의 피부 손상이나 불편한 느낌을 방지할 수 있는 안면베개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커버와, 테두리가 상기 커버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결합되며, 상기 공간부를 상단 공간부와 하단 공간부로 구획하는 격벽시트와, 상기 공간부에 수용되는 열차단 부재를 포함하는 안면베개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커버는 상기 상단 공간부에 유체를 주입할 수 있도록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주입구를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열차단 부재가 상기 하단 공간부에 수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커버는, 상하로 배치된 한 쌍의 합성수지 시트가 테두리를 따라 열융착에 의해 접합되어 이루어지고, 중앙에 얼굴 안착홀이 관통 형성되며, 테두리 일측으로부터 상기 얼굴 안착홀의 일측까지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열차단 부재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스티로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열차단 부재는 적어도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돌기를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안면베개에 의하면, 열차단 부재에 의해 바닥으로부터 얼굴로 전해지는 열기 또는 냉기가 차단됨으로써, 얼굴의 피부 손상을 방지하고 장시간 사용시에도 편안한 느낌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안면베개에 의하면, 열차단 부재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돌기와, 상단 공간부에 충진되는 유체에 의해, 바닥으로부터 전해지는 열기 또는 냉기의 열전달율이 저하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다른 안면베개에 의하면, 열차단 부재의 상측면에 형성되는 돌기에 의해 얼굴의 경락이 자극되는 마사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베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면베개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베개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베개(10)는 몸체(11)의 중앙에 관통홀(12)이 형성되고, 테두리 일측으로부터 관통홀(12)까지 절개부(13)가 절개 형성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몸체(11)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이나, 이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삼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1)의 상측면 일측에는 물이나 공기 등의 유체 주입을 위한 주입구(14)가 형성되며, 주입구(14) 폐쇄를 위한 마개(15)가 주입구(14)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다.
관통홀(12)은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안면베개(10) 사용시 사용자는 엎드린 상태에서 얼굴을 안면베개(10)의 몸체(11) 상측에 지지하되, 코와 입 부위가 관통홀(12) 내에 위치하도록 자세를 취함으로써, 편안하게 호흡을 유지할 수 있다.
절개부(13)는 사용자의 얼굴 크기에 따라 관통홀(12)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필요한 경우에는 절개부(13) 양측을 벌려서 관통홀(12)의 크기를 키울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면베개(10) 사용시 절개부(13) 양측이 서로 겹쳐져서 절개부(13)를 통한 열기 또는 냉기의 전달이 없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베개(10)는 몸체(11)의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20)와, 커버(20) 내부의 공간부를 상하 구획하도록 결합되는 격벽시트(30)와, 격벽시트(30) 하부의 공간부에 수용되는 열차단 부재(40)를 포함한다.
커버(20)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시트(21)를 포함하며, 한 쌍의 시트(21)는 상하로 배치된 후, 열융착에 의해 테두리가 서로 접합하여,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한다.
이때, 한 쌍의 시트(21)는 각각 중앙부에 타원형의 제1 관통홀(22)이 관통 형성되며, 제1 관통홀(22)의 일측으로부터 테두리까지 제1 절개부(23)가 절개 형성된다. 아울러, 상측 시트(21)의 상측면 일측에는 물이나 공기 등의 유체 주입을 위한 주입구(14)가 마련된다.
한 쌍의 시트(21)를 서로 접합하여 커버(20)를 제작할 때에는, 상하 적층된 한 쌍의 시트(21)의 외측 테두리와 제1 관통홀(22)의 테두리, 그리고 제1 절개부(23)의 양측 테두리가 열융착에 의해 서로 접합된다. 이때, 제1 절개부(23)의 양측 테두리는 서로 겹쳐질 수 있도록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관통홀(22) 쪽의 내측단보다 테두리 쪽의 외측단이 더 길게 형성되어 비스듬하게 경사진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작된 커버(20)는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며, 이 공간부를 상하 2단으로 구획하기 위한 격벽시트(30)가 커버(20) 내부에 접합된다.
격벽시트(30)는 커버(20)를 형성하는 한 쌍의 시트(21)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방수성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시트(21)와 동일한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격벽시트(30)의 중앙에는 제2 관통홀(31)이 형성되고, 제2 관통홀(31)의 일측에 제2 절개부(32)가 형성된다.
여기서, 격벽시트(30)는 커버(20)를 이루는 한 쌍의 시트(21) 사이에 배치되며, 격벽시트(30)의 테두리가 커버(20) 내측에 접합됨으로써, 격벽시트(30)를 기준으로 커버(20) 내부의 공간부가 상하 2단으로 구획된다.
이때, 격벽시트(30)에 의해 구획된 상단 공간부(24)와 하단 공간부(25)가 서로 연통하지 않도록, 커버(20)를 이루는 한 쌍의 시트(21)의 테두리 사이에 격벽시트(30)의 테두리 부분이 개재된 상태로 열융착에 의해 함께 접합되어, 일정 폭의 플랜지(16)가 몸체(11)의 외측, 또는 관통홀(12)과 절개부(13)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커버(20)를 이루는 한 쌍의 시트(21) 사이에 격벽시트(30)를 개재한 후, 각각의 테두리를 열융착에 의해 서로 접합함으로써, 내부가 격벽시트(30)에 의해 상하 2단으로 밀폐 구획된 커버(20)를 제작할 수 있다.
커버(20) 내부의 하단 공간부(25)에는 열차단 부재(40)가 수용된다. 열차단 부재(40)는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수지 또는 스티로폼이나 스펀지 등 탄성을 가지고 열전달율이 낮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커버(20) 및 격벽시트(3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열차단 부재(40)의 중앙에 제3 관통홀(41)이 형성되고, 제3 관통홀(41)의 일측에 제3 절개부(42)가 절개 형성된다.
열차단 부재(40)는 커버(20)의 하단 공간부(25)에 수용되어, 안면베개(10)가 안착된 바닥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열기 또는 냉기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커버(20)의 상단 공간부(24)에는 주입구(14)를 통해 물이나 공기 등의 유체가 주입되어 채워지며, 사용자는 안면베개(10)에 얼굴을 밀착시켰을 때, 유체의 유동에 의한 안락한 쿠션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이 유체는 열차단 부재(40)를 통해 전달되는 열기 또는 냉기를 흡수 및 확산시킴으로써 커버(20) 상측면의 온도 변화율을 낮추는 역할도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면베개의 단면도이다.
이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면베개(10')는, 열차단 부재(40)의 열접촉 면적을 줄이기 위해, 열차단 부재(40)의 저면에 복수 개의 돌기(4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얼굴 부위의 경락 자극을 통한 미용 효과를 위해, 열차단 부재(40)의 상측면에 복수 개의 돌기(4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열차단 부재(40)의 상측면에 형성된 돌기(43)는 커버(20)의 상측 시트(21)로부터 소정 간격 하부에 이격하고, 그 사이에 유체가 채워져 있으므로, 평상시에는 돌기(43)에 의한 자극이 얼굴 부위에 전해지지 않으며, 경락 자극시에는 자극이 필요한 부위에 의도적으로 하중을 집중하여 누름으로써, 돌기(43)에 의한 자극을 느낄 수 있다.
즉, 평상시에는 돌기(43)에 의한 불편한 느낌 없이 편안하게 안면베개(10)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한 때에는 돌기(43)를 가압하여 얼굴의 경락을 자극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단 공간부(24)에 주입되는 유체의 충진량은 적절히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예로서, 열차단 부재(40)의 상측면에 온도 변화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온도 감응성 안료(미도시)가 도포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20)와 격벽시트(30)는 안료의 색상 변화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안료의 색상 변화시 사용자는 상단 공간부(24)에 온수 또는 냉수를 충진함으로써 안면베개(10)의 온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예로서, 얼굴 부위의 마사지 효과를 위해, 유체가 충진된 상단 공간부(24)에 구형의 마사지 볼(massage ball)(미도시)이 복수 개 투입될 수 있다.
이때, 마사지 볼의 직경 등 규격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마사지 볼의 표면에 온도 감응성 안료가 도포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커버(20)의 상측면 시트(21)는 마사지 볼의 색상 변화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10' : 안면베개 11 : 몸체
12 : 관통홀 13 : 절개부
14 : 주입구 15 : 마개
16 : 플랜지 20 : 커버
21 : 시트 22 : 제1 관통홀
23 : 제1 절개부 24 : 상단 공간부
25 : 하단 공간부 30 : 격벽시트
31 : 제2 관통홀 32 : 제2 절개부
40 : 열차단 부재 41 : 제3 관통홀
42 : 제3 절개부 43 : 돌기

Claims (6)

  1.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커버;
    테두리가 상기 커버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결합되며, 상기 공간부를 상단 공간부와 하단 공간부로 구획하는 격벽시트; 및
    상기 공간부에 수용되는 열차단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상하로 배치된 한 쌍의 합성수지 시트가 테두리를 따라 열융착에 의해 접합되어 이루어지고, 중앙에 얼굴 안착홀이 관통 형성되며, 테두리 일측으로부터 상기 얼굴 안착홀의 일측까지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베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상단 공간부에 유체를 주입할 수 있도록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주입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베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열차단 부재가 상기 하단 공간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베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차단 부재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스티로폼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베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차단 부재는 적어도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베개.
KR2020140009066U 2014-12-09 2014-12-09 안면베개 KR2004809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066U KR200480935Y1 (ko) 2014-12-09 2014-12-09 안면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066U KR200480935Y1 (ko) 2014-12-09 2014-12-09 안면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089U KR20160002089U (ko) 2016-06-17
KR200480935Y1 true KR200480935Y1 (ko) 2016-07-26

Family

ID=56344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9066U KR200480935Y1 (ko) 2014-12-09 2014-12-09 안면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9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3423A (ko) 2017-05-08 2018-11-16 주식회사 아이티엑스코퍼레이션 안면 베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3969B1 (ko) * 1992-05-04 2000-06-01 최병순 공기 공급 베개
JP2009291450A (ja) * 2008-06-06 2009-12-17 Kaneyama Insatsu Kk クッション構造体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873U (ja) * 1991-08-20 1993-03-02 明俊 町田 涼感マクラ
KR200413143Y1 (ko) 2005-12-13 2006-04-05 민일석 안면베개겸용 쿠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3969B1 (ko) * 1992-05-04 2000-06-01 최병순 공기 공급 베개
JP2009291450A (ja) * 2008-06-06 2009-12-17 Kaneyama Insatsu Kk クッション構造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3423A (ko) 2017-05-08 2018-11-16 주식회사 아이티엑스코퍼레이션 안면 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089U (ko) 201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4197Y1 (ko) 지압 베개
KR101883182B1 (ko) 기능성 베개
US20120186022A1 (en) Pillow
US20180064253A1 (en) Spine support insert for adjustable cushion device
US20130326815A1 (en) I-shaped pillow to maintain hairstyle
US20160100701A1 (en) Pillow
KR200480935Y1 (ko) 안면베개
US20190191898A1 (en) Pillow
KR101375127B1 (ko) 멀티 파우치가 내장된 건강 베개
KR101805270B1 (ko) 기능성 베개
KR101724422B1 (ko) 3d 입체 통풍 베개
KR20140040874A (ko) 접이식 건강베개
KR200393585Y1 (ko) 등베개
EP3391789A1 (en) Cervical spine support for insertion in a pillow
KR20160056619A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라텍스 베개
KR102149635B1 (ko) 기능성 베개
KR101557145B1 (ko) 높낮이 조절용 기능성 베개
CN107184035A (zh) 一种气道开放枕
KR20140026740A (ko) 나무 경침 베개
KR101322103B1 (ko) 수면 유도 베개
JP3179351U (ja) 枕用シート
KR20220033320A (ko) 거북목 교정용 경추베개 및 그 거북목 교정용 경추베개의 향기 솜 제조방법
KR200443347Y1 (ko) 튜브형 쿠션
KR102545022B1 (ko) 베개
KR200437764Y1 (ko) 숙면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