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5127B1 - 멀티 파우치가 내장된 건강 베개 - Google Patents

멀티 파우치가 내장된 건강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5127B1
KR101375127B1 KR1020120079069A KR20120079069A KR101375127B1 KR 101375127 B1 KR101375127 B1 KR 101375127B1 KR 1020120079069 A KR1020120079069 A KR 1020120079069A KR 20120079069 A KR20120079069 A KR 20120079069A KR 101375127 B1 KR101375127 B1 KR 101375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pouch
bag
built
cerv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9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1805A (ko
Inventor
김주환
김선영
Original Assignee
김선영
김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영, 김주환 filed Critical 김선영
Priority to KR1020120079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5127B1/ko
Publication of KR20140011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1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07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deodorising, fragrance releasing, therapeutic or disinfect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36Pillows with cooling or hea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파우치가 내장된 건강 베개에 관한 것으로 직사각형 겉판(1a)과 밑판(1b)이 지퍼(J)로 개폐가능하게 접합된 배게 본체(1)에 있어서,
베개 본체(1)의 밑판(1b)의 좌우 양측에 구비된 쿠션부(2)와 상기 쿠션부 사이의 베개부 영역(a)에 구비된 직사각형의 베개 주머니(3)와, 상기 베개 주머니(3)의 개구부(3n)를 통하여 내장되는 정수리 베개부의 격실(4a)과 한 쌍의 경추 베개부의 격실(4b)이 구획된 파우치 백(4)과, 상기 파우치 백(4)의 격실(4a)(4b) 에 내장되는 된 각종 충전재(m)가 개구부(5n)를 통하여 충전된 파우치(5)로 구성되어, 파우치(5)에 의해 베개의 정수리 베개부(A)와 경추 베개부(B) 및 양 귓볼 베개부(C)를 다양한 형태로 가변 배치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파우치가 내장된 건강베개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베개를 바르게 베거나 옆으로 베고 자는 등 수면 중 자세를 변경해도 정수리 베개부(A)와 경추 베개부(B) 및 양 귓볼 베개부(C)에 접촉됨에 따라 멀티 파우치에 채워진 충전물의 서로 다른 소재의 기능에 의해 각각 두부의 각 부위별로 건강이 촉진되어 종래의 베개에 비하여 보다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 파우치가 내장된 건강 베개 {MULTI-POUCH HEALTH PILLOW}
본 발명은 멀티 파우치가 내장된 건강 베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베개의 밑판에 구비된 베개 주머니와, 상기 주머니에 내장하는 파우치 백과, 상기 파우치 백에 내장하는 경추 베개부와 정수리 베개부 및 양 귓볼 베개부를 이루는 긴 파우치(pouch)와 짧은 파우치로 구성되어, 충전재가 내장된 긴 파우치 및 짧은 파우치를 파우치 백에 선택적으로 배치되게 내장한 다음 이를 베개 주머니에 수납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베개부의 배치를 자유롭게 가변할 수 있고 각종 충전재의 교체가 가능하게 된 것이다.
베개는 수면에 관계가 있기 때문에 베개가 특정한 형태를 취하여 두부의 정수리와 경추(頸椎)가 안락하게 접촉하게 된 것과, 하나의 베개 속에 각종 방향제, 한약재, 메밀, 쑥, 숯, 황토, 맥반석 등의 소재를 충전하여 베개를 베고 수면할 때 방향제, 또는 광물질에서 방출되는 유효성분에 의해 호흡시에 심신을 안정시키고 깊은 잠을 자게 된 것이 다양한 형태의 베개가 알려져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선행기술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①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428060호(2004.04.28. 공고)의 건강베개는 사람의 체형별 신체조건을 인체 공학적으로 고려하여 사용자가 바로 누운 자세에서 목을 받칠 수 있는 높이로 된 목배게부와, 옆으로 누운 때의 옆 얼굴을 받쳐 주는 높이로 된 옆얼굴받침부와, 사용자의 양 어깨에 밀착되는 어깨밀착부를 구비하여 하나의 베개로 신체조건에 맞게 사용하여 경추를 견인하고 교정하며 보호하게 된 것이다.
②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443162호(2004.08.09. 공고)의 패드에 의하여 머리높이와 경추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베개는 경추가 접촉되는 베개 본체부분과 커버 사이에는 경추높이를 조절하는 패드를 적층하게 되어 있고 머리가 접촉되는 베개본체부분과 커버 사이에 머리높이를 조절하는 패드를 적층하게 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앉은 키, 앉은 키에 따른 평균신장, 머리 두께, 머리너비의 비율을 감안하여 최적의 경추높이와 머리높이로 받칠 수 있게 패드를 적층하여 사용하게 된 것이다.
③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517080호(2005.09.27.공고)의 광화학적 치료용 베개는 인체의 뒷머리를 수용하는 베개용 몸체에 광원체를 어레이하여 660nm~890nm 파장의 치료용 광선이 방출되게 하고 베개포단에는 참숯층을 포함하며, 베개를 베고 수면중에 수면장애 치료, 탈모방지 및 치료효과, 비듬방지 및 각종 두피질환을 치료하게 된 것이다.
④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584040호(2006.05.29.공고)의 건강베개는 머리받침부와 목받침부의 높이를 다르게 하면서 원형복원력을 갖게 하며, 머리받침부와 목받침부 사이에 통기공을 구비하고 목받침부와 머리받침부의 내부에는 국화, 쑥, 숯분말이나 구슬타입, 또는 원주형 등으로 형성하여 일정량을 넣고 베개커버는 통기성의 커버로 형성하여 지퍼에 의해 건강베개의 기능을 갖게 된 것이다.
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615671호(2006.08.25.공고)의 기능성 베개는 베개의 높 낮음을 조절하는 베개로써 쿠션이 내장되는 베개 양측 단부에 조절끈이 내장되어 그 단부가 베개에 고정되고 이때 조절끈은 조절끈 고정구에 삽통하여 당길 수 있도록 베개높이 조절부가 형성되고 베개의 전단부에는 경추지지 쿠션부가 형성되며 쿠션부는 단턱으로 고정홈이 형성되며 베개의 상하부에는 단추가 착설되어 상기 베개에 경추지지 쿠션이 밀착된 쿠션고정부가 형성되어 베개를 벨때 경추를 지지하게 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선행기술의 베개는 베개부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정수리 베개부, 경추 베개부, 양 귓볼 베개부의 배치를 임의로 가변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다양한 베개의 충전물을 선택적으로 교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베개의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베개의 밑판에 구비된 베개 주머니와, 상기 주머니에 내장하는 멀티 파우치가 내장되는 파우치 백과, 상기 파우치 백에 내장하는, 경추 베개부와 정수리 베개부 및 양 귓볼 베개부를 이루는 긴 파우치와 짧은 파우치로 구성되어, 각종 방향성 식물소재 및 각종 광물성 소재의 충전재가 선택적으로 내장된 상기 긴 파우치와 짧은 파우치(pouch)를 파우치 백에 선택적으로 배치되게 내장한 다음 이를 베개 주머니에 수납하여 사용자의 취향과 건강조건, 계절에 따라 베개부의 배치를 자유롭게 가변할 수 있고 각종 충전재의 선택적인 교체가 가능하며, 방향성 충전제의 기능에 의해 숙면(熟眠)과 인체 건강을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멀티 파우치가 내장된 건강베개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베개에 정수리, 경추, 양 귓볼이 접촉되는 각 베개부를 각종 소재의 충전재가 채워진 긴 파우치와, 짧은 파우치에 의해 사용자의 취향과 건강 조건 및 계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조합 배치가 가능 한 멀티 파우치가 내장된 건강베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개의 밑판의 좌우 양측에 구비된 좌우 쿠션부 사이에 베개 주머니가 구비되고 정수리 베개부의 전후 양측에 경추 베개부가 각각 이루어지는 격실이 가로로 구획된 배게 주머니에 각종 소재의 충전물이 내장된 긴 파우치와 짧은 파우치를 선택적으로 수납하고 상기 파우치 백을 베개 주머니에 내장하여 다양한 형태로 베개부가 배치되는 멀티 파우치가 내장된 건강 베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개의 양 귓볼 베개부에 귀부분이 삽입되는 타원형 구멍이 형성된 탄성 재질의 이어 패드를 내장하여 귀에 압박을 가하지 않고 옆으로 안락하게 베개를 벨 수 있는 멀티 파우치가 내장된 건강베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문양이 디자인된 직사각형 겉판과 밑판의 일측 연부가 봉접되고 나머지 3 연부에는 지퍼로 분리가능하게 접합된 배게 본체에 있어서,
베개 본체의 밑판의 좌우 양측에는 섬유나 발포성 합성수지가 내장된 쿠션부가 구비되고 상기 좌우 쿠션부 사이의 베개부 영역에 직사각형의 베개 주머니가 구비되고 주머니의 일측 연부 구비된 개구부는 지퍼로 개폐하게 되어 있다.
상기 배게 주머니에 내장되는 파우치 백에는 정수리 베개부의 격실과 한 쌍의 경추 베개부의 격실이 상하 가로로 나란히 구획되어 있다.
상기 파우치 백의 격실에 수납되는 파우치는 파우치 백의 격실의 길이와 상응한 길이를 가진 긴 파우치와, 상기 긴 파우치의 1/3 길이를 가진 짧은 파우치가 구비되고 각 파우치에는 각종 방향성 식물 소재로 된 충전재와 음이온 및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각종 광물질 소재로 된 충전재가 단일 또는 복합적으로 충전된다.
짧은 파우치가 긴 파우치의 1/3의 길이를 갖는 이유는 정수리 배게부와 양 귓볼 베개부의 각 길이가 긴 파우치의 길이의 1/3의 길이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짧은 파우치에는 귀부분이 삽입할 수 있는 타원형 구멍이 형성된 탄성재질의 이어 패드(ear pad)를 내장한다. 이때 이어 패드에 상응하게 파우치 주머니에도 구멍을 형성하며 베개 주머니에도 이어 패드의 상응한 위치에 구멍을 형성한다.
파우치의 충전재는 선택적이며 예를 들면, 여름에는 시원한 아이스 백을 주머니에 내장하여 사용할 수 있고 봄과 가을에는 허브, 아로마, 국화, 편백나무 등의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방향성 식물 소재의 충전재가 채용되며 또 겨울에는 황토, 숯, 게르마늄 옥(玉) 등의 음이온이나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광물성 소재의 충전재가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또 체중과 체형에 맞는 베개의 높이는 주머니에 내장하는 파우치의 크기에 의해 가변할 수 있다. 파우치의 크기는 충전재의 충전량에 의해 한정된다.
또 입체적인 크기가 다른 파우치의 배치에 따라 높고 낮은 베개부로 형성하여 경추가 접촉되는 베개부와 정수리가 접촉되는 베개부의 높이를 다양한 형태로 가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충전재가 채워진 긴 파우치와 짧은 파우치를 선택하여 각각 파우치 백의 격실에 내장하여 정수리 배게부를 중앙부에 두고 전후 양측에 경추 베개부를 형성하고 파우치 백을 베개 주머니에 내장하여 베개의 겉판과 밑판의 가장자리를 지퍼로 접합하면 파우치의 부피로 인하여 베개의 겉판이 둥글게 돌출된 멀티 베개부가 형성된다. 이때 사용자의 체중과 체형에 맞는 베개의 높이를 미리 설정하여, 파우치의 충전재의 충전량을 조절하여 베개부의 높이를 알맞게 구현한다.
또 복수의 베개부를 파우치의 충전재에 의해 동일 높이로 하거나 서로 다른 높이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
베개의 사용시에는 베개 본체의 겉판에 형성된 각 파우치 사이에 생기는 요홈이 공기의 순환통로가 되어 통기작용으로 머리의 땀이 쉽게 증발되어 시원하게 잠을 잘 수 있다.
또 목이 뻐근한 경우에는 경추 베개부의 주머니에 핫 팩이나 숯을 내장하여 사용하면 경추가 이완되어 목놀림이 부드럽다.
또 양 귓볼 베개부에 아로마 허브, 국화 등의 방향성 식물 소재의 충전재가 내장되면 귓볼 베개부에 귓볼을 접촉하여 옆으로 누워 잠을 잘 때 호흡시에 천연 향이 스며들어 기분이 상쾌하고 심신이 안정되어 숙면할 수 있다.
특히 양 귓볼 베개부에 이어 패드가 내장된 경우에는 구멍부분에 귀를 대고 베개를 베면, 귀 주위의 신경계에 두부의 압박이 가해지지 않아 안락한 수면이 가능하고 귀 부분에 압박 통증이 생기지 않는다.
정수리 베개부, 또는 경추 베개부에 음이온이나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백반석, 숯 등이 내장된 파우치를 내장하면 정수리의 혈액순환이 촉진되어 머리가 시원하고 피로감이 쉽게 회복되어 깊은 숙면을 취할 수 있다.
또 여름에는 베개의 충전재로 아이스 백을 사용하면 머리를 식힐 수 있어 두뇌가 가볍고 시원하며, 정신이 맑아지고 잡념이 없어지므로 깊은 숙면이 가능하다.
또 겨울에는 베개의 경우 배개부의 주머니에 핫 백을 사용하면 추위로 근육이 굳어진 경추가 이완되어 혈액순환이 원활하고 몸이 따뜻해지면서 긴장이 풀리어 피로감이 쉽게 회복되며, 병약자의 건강회복에 유효하다.
또 각 베개부의 파우치에 각 사용자가 좋아하는 방향성 소재의 충전재, 또는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광물성 소재의 충전재를 선택적으로 내장하여 하나의 베개에서 다양한 멀티 소재의 기능에 의해 건강 베개의 효용성을 보다 높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베개의 밑판에 구비된 베개 주머니와, 상기 주머니에 내장하는 멀티 파우치가 내장되는 파우치 백과, 상기 파우치 백에 내장하는, 경추 베개부와 정수리 베개부 및 양 귓볼 베개부를 이루는 긴 파우치와 짧은 파우치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각종 방향성 식물소재 및 각종 광물성 소재의 충전재가 선택적으로 내장된 상기 긴 파우치와 짧은 파우치(pouch)를 파우치 백에 선택적으로 배치되게 내장한 다음 이를 베개 주머니에 수납하여 사용자의 취향과 건강조건, 계절에 따라 베개부의 배치를 자유롭게 가변할 수 있다.
또 양 귓볼 베개부에 타원형 구멍이 형성된 탄성재질의 이어 패드를 내장하여 귀를 이어패드의 구멍에 삽입되게 베고 자면 귀에 압박이 가해지지 않아 안락하게 잠을 잔 후에도 귀에 압박 통증이 생기지 않는다.
또 각종 충전재의 선택적인 교체가 가능하며, 방향성 충전제의 기능에 의해 숙면(熟眠)과 인체 건강을 도모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베개의 평면도
도2는 동 베개의 밑판에 구비된 베개 주머니와 파우치 백 및 파우치의 사시도
도3은 동 밑판에 구비된 정수리 베개부에 짧은 파우치 백이 내장된 평면도
도4는 동 밑판에 구비된 양 귓볼 베개부에 이어패드가 내장된 상태를 보인 평면 예시도
도5는 동 양 귓볼 베개부에 이어 패드가 내장된 베개의 평면 예시도
도6은 동 양 귓볼 베개부를 베고 잘 때의 단면 예시도
도7은 동 밑판에 구비된 경추 베개부에 짧은 파우치가 내장된 상태를 보인 평면 예시도
도8은 동 밑판에 구비된 경추 베개부와 정수리 베개부에 짧은 파우치가 내장된 상태를 보인 평면 예시도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 요소는 동일부호가 기재된다.
도1 및 도2에 표시된 바와 같이, 문양이 디자인된 직사격형 겉판(1a)과 밑판(1b)의 일측 연부가 봉접되고 나머지 3 연부에는 지퍼(J)로 분리가능하게 접합된 배게 본체(1)에 있어서,
베개 본체(1)의 밑판(1b)의 평면적인 좌우 양측에는 섬유나 발포성 합성수지의 충전재가 내장된 쿠션부(2)가 나란히 구비되고 상기 좌우 쿠션부(2) 사이의 베개부 영역(a)에 직사각형의 베개 주머니(3)가 구비되며 베개 주머니(3)의 일측 연부에 구비된 개구부(3n)는 지퍼(J)로 개폐하게 되어 있다.
상기 배게 주머니(3)에 내장되는 파우치 백(4)에는 정수리 베개부의 격실(4a)과, 한 쌍의 경추 베개부의 격실(4b)이 상하 가로로 나란히 봉접선(4i)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각 격실(4a)(4b)의 개구부(4n)은 일측 단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양측 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파우치 백(4)의 각 격실(4a)(4b)에 수납되는 파우치(5)는 파우치 백의 격실의 길이와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긴 파우치(5L)와, 상기 긴 파우치의 1/3 길이를 가진 짧은 파우치(5S)가 구비되고 각 파우치(5L)(5S)에는 각종 방향성 식물 소재, 또는 음이온 및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각종 광물질 소재로 된 충전재(m)가 단일 또는 복합적으로 충전된다.
짧은 파우치(5S)는 긴 파우치(5L)와 상응한 크기로 된 파우치 주머니(6)의 개구부(6n)를 통하여 내장하여 지퍼(J)로 개구부(6n)를 닫은 다음 파우치 백(4)의격실(4a)(4b)에 내장하게 되어 있다.
또 도4 및 도5~도6에 표시된 바와 같이, 짧은 파우치에는 귀부분이 삽입할 수 있는 타원형 구멍(5h)이 형성된 탄성재질의 이어 패드(5p)를 내장할 수 있다. 이때 이어 패드(5p)에 상응하게 파우치 주머니(4)에도 구멍(4h)이 형성되며 베개 주머니(3)에도 이어 패드의 상응한 위치에 구멍(3h)이 형성되고 베개 본체(1)의 겉판(1a)에도 구멍(1h)이 형성되어 각 구멍이 하나로 중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충전재(m)가 채워진 긴 파우치(5L)를 파우치 백(4) 정수리 베개부의 격실(4a)과 경추 베개부의 격실(4b)에 내장하여 파우치 백(4)을 베개 주머니(3)에 내장하고 개구부(3n)를 지퍼(J)로 닫은 다음 베개 본체(1)의 겉판(1a)과 밑판(1b)을 지퍼(J)에 의해 접합하면 베개 본체(1)의 표면에는 베개 주머니(3) 및 파우치 백(4)에 내장된 파우치(5L)의 부피로 인하여 좌우 양측의 쿠션부(2) 사이의 베개부 영역(a)에 정수리 배게부(A)를 중앙부에 두고 전후 양측에 경추 베개부(B)가 요입부(G)를 두고 가로로 나란히 둥글게 돌출된다.
따라서, 베개를 어느 쪽에서 베도 머리의 정수리는 정수리 베개부(A)에 접촉되고 경추는 어느 한쪽의 경추 베개부(B)에 접촉된다.
이때 사용자의 체중과 체형에 맞는 베개의 높이를 미리 설정하여, 파우치(5)의 충전재(m)의 충전량을 조절하여 베개부(A)(B)의 높이를 알맞게 구현한다.
또 복수의 베개부(A)(B)를 파우치(5)의 충전재(m)에 의해 동일 높이로 하거나 서로 다른 높이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입체적인 크기가 다른 파우치(5)의 배치에 따라 높고 낮은 베개부로 형성하여 정수리가 접촉되는 베개부(A)와 경추가 접촉되는 베개부(B)의 높이를 다양한 형태로 가변할 수 있다.
베개의 사용시에는 베개 본체(1)에 형성된 각 파우치(5) 사이에 생기는 요홈(G)이 공기의 순환통로가 되어 통기작용으로 머리의 땀이 쉽게 증발되어 상쾌하게 잠을 잘 수 있다.
또 목이 뻐근한 경우에는 경추 베개부(A)에 핫 팩이나 숯을 내장하여 사용하면 경추가 이완되어 목놀림이 부드럽다.
도3에 표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 백(4)의 정수리 격실(4a)에 3개의 짧은 파우치(5S)를 내장한 경우에는 중앙부의 정수리 베개부(A)의 좌우 양측에 양 귓볼 베개부(C)가 형성된다.
이때, 양 귓볼 베개부(C)에 아로마 허브, 국화 등의 방향성 식물 소재의 충전재(m)가 충전된 짧은 파우치를 내장하면 귓볼 베개부(C)에 귓볼을 접촉하여 옆으로 누어 잠을 잘 때, 호흡 시에 천연 향이 스며들어 기분이 상쾌하고 심신이 안정되어 숙면할 수 있다.
도4 및 도5에 표시된 바와 같이, 특히 양 귓볼 베개부(C)에 이어 패드(5p)가 내장된 경우에는 이어 패드(5p)의 구멍(5h) 부분에 파우치 팩(4)에 형성된 구멍(4h)과 베게 주머니(3)에 구비된 구멍(3h)과 베개 본체(1)의 겉판(1a)에 형성된 구멍(1h)이 하나로 중첩되어 있으므로 도6에 표시된 바와 같이, 구멍 부분에 귀를 대고 베개를 베면, 귀 주위의 신경계에 두부의 압박이 가해지지 않아 안락한 수면이 가능하고 귀 부분에 압박 통증이 생기지 않는다.
도2 및 도7에 표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 백(4)의 경추 베개부 격실(4b)에 짧은 파우치(5S)를 각각 내장한 경우에는 베개 본체(1)의 밑판(1b)에 구비된 베개 주머니(3)에는 긴 정수리 베개부(A)와 여러 개로 돌출된 경추 베개부(B)가 요입부(G)를 두고 나타난다.
상기 정수리 베개부(A), 또는 경추 베개부(B)에 음이온이나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백반석, 숯 등의 충전재(m)가 내장된 파우치(5)를 각각 내장하면 정수리의 혈액순환이 촉진되어 머리가 시원하고 피로감이 쉽게 회복되어 깊은 숙면을 취할 수 있다.
또 여름에는 베개의 충전재로 아이스 백을 사용하면 머리를 식힐 수 있어 두뇌가 가볍고 시원하며, 정신이 맑아지고 잡념이 없어지므로 깊은 숙면이 가능하다.
또 겨울에는 베개의 베개부(A)(B)에 핫 백을 사용하면 추위로 근육이 굳어진 경추가 이완되어 혈액순환이 원활하고 몸이 따뜻해지면서 긴장이 풀리어 피로감이 쉽게 회복되며, 병약자의 건강회복에 유효하다.
도2 및 도8에 표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 백(4)의 각 격실(4a)(4b)에 짧은 파우치(5S)만을 내장하면 베개 본체(1)의 밑판(1a)에 구비된 베개 주머니(3)의 정수리 베개부(A)와 경추 베개부(B) 및 양 귓볼 베개부(C)가 격자상의 요입부(G)를 두고 여러 개의 돌출부가 둥글게 돌출된다.
각 베개부의 파우치(5)에 각 사용자가 좋아하는 방향성 소재의 충전재, 또는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광물성 소재의 충전재(m)를 선택적으로 내장하여 하나의 베개에서 다양한 멀티 소재의 기능에 의해 건강 베개의 효용성을 보다 높일 수도 있다.
1 : 베개 본체, 1a :겉판, 1b : 밑판, 1n : 개구부,
2 : 쿠션부, 3 : 베개 주머니, 3n : 개구부,
4 : 파우치 백, 4a : 정수리 베개부 격실, 4b : 경추 베개부 격실,
4n : 개구부, 4i : 봉접선, 5 : 파우치, 5L : 긴 파우치, 5S : 짧은 파 우치, 5n : 개구부, 6 : 파우치 주머니, 6n : 개구부, J : 지퍼

Claims (7)

  1. 베개 본체(1)의 겉판(1a)과 지퍼(J)로 개폐가능하게 접합된 밑판(1b)의 좌우 양측에 쿠션부(2)가 구비된 멀티 파우치가 내장된 건강베개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2) 사이의 베개영역(a)에 구비된 직사각형의 베개 주머니(3)와,
    상기 주머니(3)에 개구부(3n)를 통하여 내장하는 파우치 백(4)와, 상기 파우치 백(4)에 구비된 정수리 베개부와 귓불 베개부의 격실(4a) 및 경추 베개부의 격실(4b)과, 상기 격실(4a)(4b)에 내장되는 각종 충전재(m)가 충전된 파우치(5) 및 상기 격실(4a)에 내장되는 이어패드(5p)로 구성되어 정수리 베개부(A)와 귓불 베개부(C) 및 경추 베개부(B)를 다양한 형태로 가변 배치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파우치가 내장된 건강베개.
  2. 제1항에 있어서,
    파우치(5)는 파우치 백(4)의 격실(4a)(4b)과 상응한 길이를 가진 긴 파우치(5L)와 상기 긴 파우치(5L)의 1/3 길이를 가진 짧은 파우치(5S)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파우치가 내장된 건강베개.
  3. 제1항에 있어서,
    양 귓볼 베개부(C)에는 타원형 구멍(5h)이 형성된 탄성재질의 이어 패드(5p)가 내정되어 양 볼 베개부(C)에 접촉되게 벤 귀부분이 상기 구멍(5h)에 삽입되어 귀부분의 압박을 피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파우치가 내장된 건강베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파우치 백(4)의 격실(4a)에는 긴 파우치(5L)가 내장되고 상기 파우치 백(4)의 격실(4b)에는 짧은 파우치(5S)가 내장되어 긴 정수리 베개부(A)와 여러 개의 돌출부로 된 경추 베개부(B)가 요입부(G)를 두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파우치가 내장된 건강베개.
  6. 제1항에 있어서,
    파우치 백(4)의 각 격실(4a)(4b)에는 짧은 파우치(5S)가 내장되어 여러 개의 돌출부로 된 정수리 베개부(A)와 경추 베개부(B)가 요입부(G)를 두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파우치가 내장된 건강베개.
  7. 삭제
KR1020120079069A 2012-07-20 2012-07-20 멀티 파우치가 내장된 건강 베개 KR101375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069A KR101375127B1 (ko) 2012-07-20 2012-07-20 멀티 파우치가 내장된 건강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069A KR101375127B1 (ko) 2012-07-20 2012-07-20 멀티 파우치가 내장된 건강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805A KR20140011805A (ko) 2014-01-29
KR101375127B1 true KR101375127B1 (ko) 2014-03-17

Family

ID=50143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9069A KR101375127B1 (ko) 2012-07-20 2012-07-20 멀티 파우치가 내장된 건강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51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571B1 (ko) 2014-04-28 2015-09-08 김종율 이중 구조의 베개 속을 구비한 기능성 베개
CN106263915A (zh) * 2016-08-31 2017-01-04 陈通 分体式中药保健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66092B2 (ja) * 2014-07-17 2019-02-06 ナオ・シング株式会社 枕による寝姿勢の調整方法および調整枕
KR102174549B1 (ko) * 2019-02-11 2020-11-05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의료용 지지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060B1 (ko) 2000-10-23 2004-04-28 백재수 건강베개
JP2005046608A (ja) 2003-07-11 2005-02-24 Akira Watanabe 多機能携帯枕
KR100517080B1 (ko) 2004-12-03 2005-09-27 김경목 광화학적 치료용 베개
KR20100015030A (ko) * 2008-08-04 2010-02-12 (주)마디공학 티형 지지구가 내장된 경추 보호용 기능성 베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060B1 (ko) 2000-10-23 2004-04-28 백재수 건강베개
JP2005046608A (ja) 2003-07-11 2005-02-24 Akira Watanabe 多機能携帯枕
KR100517080B1 (ko) 2004-12-03 2005-09-27 김경목 광화학적 치료용 베개
KR20100015030A (ko) * 2008-08-04 2010-02-12 (주)마디공학 티형 지지구가 내장된 경추 보호용 기능성 베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571B1 (ko) 2014-04-28 2015-09-08 김종율 이중 구조의 베개 속을 구비한 기능성 베개
CN106263915A (zh) * 2016-08-31 2017-01-04 陈通 分体式中药保健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805A (ko) 201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8470B1 (ko) 한방 건강베개
KR101021347B1 (ko) 티형 지지구가 내장된 경추 보호용 기능성 베개
JP7290888B2 (ja) 高低調節まくら
KR101021355B1 (ko) 경추 보호용 기능성 베개
KR101375127B1 (ko) 멀티 파우치가 내장된 건강 베개
KR101577903B1 (ko) 교정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베개
KR200321358Y1 (ko) 건강베개
KR20140010796A (ko) 복수의 코어 주머니가 구비된 기능성 베개
KR101818572B1 (ko) 경추 교정용 입체형 다기능 베개
KR101665115B1 (ko) 기능성 경추 베개
KR101805270B1 (ko) 기능성 베개
KR200443957Y1 (ko) 기능성 베개
KR20160016311A (ko) 바로잠베개
WO2018013025A1 (en) Weight cover with spherical elements
KR20100060786A (ko) 지압용 배게
KR102475466B1 (ko) 교정용 경추베개
KR20160004194U (ko) 베개
KR102149635B1 (ko) 기능성 베개
KR100444950B1 (ko) 기능성베개
KR20190023205A (ko) 높이조절 패드 삽입 포켓을 구비한 베개 커버
JP3147396U (ja) 快眠枕
KR101298316B1 (ko) 베개의 멀티 파우치의 부착장치
US20130090710A1 (en) Alleviative pillow
JP3137030U (ja) 高さと硬さの調整可能な快眠枕
KR101392259B1 (ko) 수맥차단 건강 수면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