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747Y1 - 무선제어형 전자척 - Google Patents

무선제어형 전자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747Y1
KR200480747Y1 KR2020140008081U KR20140008081U KR200480747Y1 KR 200480747 Y1 KR200480747 Y1 KR 200480747Y1 KR 2020140008081 U KR2020140008081 U KR 2020140008081U KR 20140008081 U KR20140008081 U KR 20140008081U KR 200480747 Y1 KR200480747 Y1 KR 2004807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orce
unit
fuel
force genera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80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2986U (ko
Inventor
한석민
Original Assignee
(주)진우산업기계
한석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우산업기계, 한석민 filed Critical (주)진우산업기계
Priority to KR20201400080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747Y1/ko
Publication of KR201500029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9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7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7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4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 B66C1/0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electromagne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6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electric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선제어형 전자척에 관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력에 의해 자기력을 발생하는 자력발생부와; 상기 자력발생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고정 지지되는 토크발생부와; 상기 토크발생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부와; 상기 발전부에서 생산된 전력을 상기 자력발생부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상기 자력발생부를 착자(着磁)시키는 착자회로부와, 탈자(脫磁)시키는 탈자회로부를 갖는 제어부와; 외부로부터 전달된 무선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여, 제어부로 하여금 자력발생부를 착자 또는 탈자 시키게 하는 신호수신부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며 인양장비에 의해 픽업되는 인양홀더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무선제어형 전자척은 전력을 발생하는 발전부가 자체적으로 구비되어 독립적으로 구동 가능하므로, 전력케이블을 이용해 인양장비의 배터리에 접속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또한 운전실에서 무선 제어를 할 수 있어 그만큼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무선제어형 전자척{Wireless control type Electromagnetic chuck}
본 고안은 무선제어형 전자척에 관한 것이다.
전자척(Electromagnetic chuck)은 산업현장에서 중요하게 사용되는 여러 장비 중 하나로서, 전자석의 흡인력을 응용하여 자력에 반응하는 금속물을 붙여 고정하거나 원하는 지점으로 이동시키는 장비이다.
상기한 전자척에는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전자척의 종류에 따라 사용용도가 약간씩 다르다. 가령 국내등록특허 제10-0939523호에 소개되어 있는 전자척은, 포크레인이나 집게차(이하, 인양장비)의 붐대 단부에 링크된 상태로 동작하여, 대상물인 고철이나 철스크랩 등을 붙여 올려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인양장비에 적용되어 있는 전자척은, 인양장비 자체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자기력을 발생한다. 이를 위하여 차량의 배터리와 전자척은 전력케이블로 연결된다. 상기 전력케이블은 붐대를 따라 배선되며 중간에 접속용 소켓을 갖는다. 상기 접속용 소켓은 전자척을 사용하지 않을 때 분리되는 전기소자이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전자척은, 전자척과 배터리가 유선 연결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고 번거로운 경우가 많았다. 일단 전자척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자척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케이블이 필요한데, 가령, 건설이나 토목공사에만 사용되던 포크레인에 전자척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포크레인에 신규한 전력케이블을 새로이 시공해야 하는 것이다.
상기 전력케이블의 일단부를 포크레인의 배터리에 연결 접속시킨 상태로, (하부로 쳐지지 않도록) 붐대와 아암에 밀착시키고 타단부를 아암의 단부에 장착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또한 상기 전력케이블은, 사용 중 외부진동에 의해 소켓이 분리되거나 또는 습기에 의해 소켓 내부에서 합선이 발생할 수 도 있다. 소켓을 접속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붐대에 직접 올라가 소켓을 접속시켜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전자척은 소켓을 구비한 전력케이블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으므로 불편하고 작업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며 전력케이블의 지속적인 유지보수가 필요하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전력을 발생하는 발전부가 자체적으로 구비되어 독립적 구동 가능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운전실에서 무선방식으로 무선방식으로 원격제어를 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한 무선제어형 전자척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무선제어형 전자척은,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력에 의해 자기력을 발생하며, 사각 형상을 갖는 자력발생부와;
상기 자력발생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고정 지지되는 토크발생부와;
상기 토크발생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부와;
상기 발전부에서 생산된 전력을 상기 자력발생부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상기 자력발생부를 착자(着磁)시키는 착자회로부와, 탈자(脫磁)시키는 탈자회로부를 갖는 제어부와;
집게차의 운전실에 장착된 페달방식의 무선신호발생기로부터 전달된 무선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여, 제어부로 하여금 자력발생부를 착자 또는 탈자 시키게 하는 신호수신부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며 인양장비에 의해 픽업되는 인양홀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는 외부에서 공급된 연료를 수용하는 연료탱크가 구비되며,
상기 토크발생부는 상기 연료탱크의 연료에 의해 작동하여 회전력을 발생하는 엔진을 포함하고,
상기 엔진에는 시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시동부는 시동버튼과, 키박스와, 당김줄이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엔진으로부터 공급된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전환하는 컨버터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착자회로부는 외부로부터 착자신호가 입력되면 통전하여, 상기 발전부에서 생산된 전기가 자력발생부로 공급되도록 유도하는 제 1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자회로부는 상기 제 1스위칭부의 단락순간 통전되어, 상기 제 1스위칭부의 통전시 흐르는 전류 방향의 반대방향의 전류를 자력발생부로 공급되도록 하여, 자력발생부의 잔류자기를 제거하는 제 2스위칭부와, 상기 제 2스위칭부의 통전시간을 조절하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의 설정시간이 종료하면 상기 자력발생부로 공급되던 역전류를 차단하는 저항부를 구비하며,
상기 저항부는 발전기의 상부에 배치됨으로써 열이 배출될 수 있고,
상기 연료탱크에는 연료탱크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주입관과, 상기 연료주입관 내부의 연료의 잔량을 나타내는 게이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의 외부에는 프레임을 감싸며 프레임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보호하는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에는 내부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배기구멍이 형성되며, 저항부로부터 발생된 열이 상기 배기구멍으로 배출되고,
상기 배기구멍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크린이 배치되며,
커버(19)에는 내부에 배치된 연료통(35)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주입관(35a)이 외부로 돌출되는 연료주입관 구멍(19d)이 형성됨으로써 연료 주입시 커버를 열지않고도 연료를 주입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의 외측부에는 외부로부터 전달된 무선신호를 받아 상기 신호수신부로 보내는 안테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무선제어형 전자척에 의하며, 전력을 발생하는 발전부가 자체적으로 구비되어 독립적으로 구동 가능하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운전실 등과 같이 외부에서 무선방식으로 원격 제어를 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형 전자척의 외부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무선제어형 전자척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무선제어형 전자척에서 커버를 떼어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도 3의 A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도 3의 B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무선제어형 전자척이 적용되는 전자척장치의 구동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형 전자척의 외부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척(11)은, 자체 동력에 의해 자기력을 발생하며 외부로부터 전달된 무선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를 위해 전자척(11) 자체에 발전기와 무선신호수신부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척(11)은, 일정두께를 갖는 원판형 자력발생부(13)와, 상기 자력발생부(13)의 상부에 구비되며,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 내부영역에 엔진(37)과 연료통(35)과 제어부(39)와 배터리 등을 수용 고정하는 프레임(17)과, 상기 프레임(17)의 측부를 감싸 보호하는 다수의 커버(19)와, 상기 프레임(17)의 상부에 고정되는 인양홀더부(27)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자력발생부(13)는 일반적인 전자척과 마찬가지로 내부에 코어와 코일이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전달된 전력에 의해 자기력을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자력발생부(13)를 디스크 형태로 적용하였지만 자력발생부(13)의 형태는 다각형 특히 사각형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17)은, 상기 자력발생부(13)의 상부에 수직으로 고정된 네 개의 기둥부(17b)와, 상기 기둥부(17b)의 상단부에 씌워지는 플레이트부(17a)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둥부(17b)는 서로에 대해 이격되며 그 사이 영역에 상기한 엔진(17)과 연료통(35)과 제어부(39)와 배터리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기둥부(17b)의 길이는 경우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플레이트부(17a)는 상기 기둥부(17b) 및 커버(19)의 상부를 덮는 판상부재로서 마치 지붕의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플레이트부(17a)의 상부에는 인양홀더부(27)가 고정된다.
상기 인양홀더부(27)는 인양장비, 가령 포크레인의 아암이나 집게차의 집게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도 1의 인양홀더부(27)는 포크레인에 적용되는 타입의 것이다.
상기 인양홀더부(27)는, 다수의 볼트에 의해 플레이트부(17a)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판부(27c)와, 상기 고정판부(27c)의 상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상호 평행한 한 쌍의 브라켓(27b)과, 상기 브라켓(27b)을 연결하는 연결핀(27a)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핀(27a)은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인양장비의 아암(51b) 단부에 연결되어 인양장비로부터 힘을 받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커버(19)는 일정두께를 갖는 금속판을 절곡 형성한 것으로서, 양측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플랜지부(19c)가 상기 기둥부(17b)에 볼트(23) 결합된다.
기본적으로 커버(19)는 프레임(17)의 내부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요소들을 보호하며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버(19) 중 일부 커버(19)에는 배기구멍(19a)이 형성된다. 상기 배기구멍(19a)은 커버(19) 내부의 공간을 환기시켜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과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통로이다. 아울러 상기 배기구멍(19a)에는 외부의 이물질이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스크린(19b)이 장착된다.
또한 다른 커버(19)에는 연료주입관구멍(19d)과 게이지확인구멍(19e)이 형성된다. 상기 연료주입관구멍(19d)은, 연료통(35)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주입관(35a)을 통과시키는 구멍이다. 상기와 같이, 연료주입관구멍(19d)을 형성하고 연료주입관(35a)의 입구를 외부로 노출시킴으로써 커버(19)를 열지 않고도 연료보급이 가능해 매우 편리하다.
아울러 상기 게이지확인구멍(19e)은 연료게이지(35b)의 전방에 형성된 구멍으로서 외부에서 연료게이지(35b)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게이지확인구멍(19e)을 통해 남아 있는 연료의 양을 수시로 체크할 수 있다.
도면부호 21는 시동부이다. 상기 시동부(21)는 후술할 엔진(37)을 온오프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동버튼(21a)과 키박스(21b)를 구비한다. 상기 시동버튼(21a)은, 한 번 누르면 엔진의 시동이 걸리고, 한 번 더 누르면 시동이 꺼진다. 이는 최근 자동차에 설치되어 있는 버튼형 시동장치를 연상케한다.
또한 상기 키박스(21b)는 시동키를 삽입하여 돌려 엔진을 기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시동키는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시동이 꺼진다. 상기 키박스(21b)를 통한 조작은 자동차의 시동원리와 동일하다.
아울러 상기 키박스(21b)의 측부에는 당김줄(21d)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당김줄(21d)도 엔진을 시동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당김줄(21d)에 고정되어 있는 당김고리(21c)에 손가락을 넣고 세게 당기면 엔진의 시동이 걸린다. 이러한 시동방식은 이를테면 전기톱에서 볼 수 있다.
상기한 시동버튼(21a)과 키박스(21b)와 당김줄(21d)은 모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제품의 사양에 따라 선택적으로 하나만 설치되는 것이다. 가령 고급형 전자척의 경우 시동버튼(21a)을 설치할 수 있고, 보급형은 키박스(21b)를, 저가형은 당김줄방식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부(15)의 상단 일측에는 수신안테나(2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신안테나(25)는 수나사형 고정부(25a)을 통해 일측 커버(19)에 결합한다. 상기 고정부(25a)를 커버(19)에 관통시킨 후 반대편에서 너트를 죄어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수신안테나(25)는 후술할 신호수신부(도 3의 39a)와 내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받은 무선신호를 신호수신부(39a)로 보낸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무선제어형 전자척(11)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17)의 상부에 다른 형태의 인양홀더부(33)가 고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인양홀더부(33)는 집게차의 집게에 물려 고정되는 타입의 것으로서, 상기 플레이트부(17a)의 상부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하부디스크(33b)와, 상기 하부디스크(33b)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디스크(33a)와, 상기 하부디스크(33b)와 상부디스크(33a)의 사이에 고정되며 다수의 삽입공간(33d)을 형성하는 분할벽(33c)으로 구성된다.
상기 분할벽(33c)은 상부디스크(33a)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며, 집게의 이(teeth)가 삽입공간(33d) 내부로 삽입되도록 유도한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무선제어형 전자척(11)에서 일부 커버(19)를 떼어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프레임(17)이 제공하는 내부공간의 일측에 엔진(37)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엔진(37)은 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으로서 회전토오크를 발생하여 발전기(도 4의 41)로 전달하여 발전기로 하여금 전력을 발생토록 한다.
또한 상기 엔진(37)의 상부에는 연료탱크(35)가 위치한다. 상기 연료탱크(35)는 엔진(37)에서 사용될 연료를 수용하며 엔진(37)측으로 공급하는 것으로서, 용량은 상황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동 가능하다.
상기 연료탱크(35)의 측부에는 연료주입관(35a)과 연료게이지(35b)가 설치된다. 상기 연료주입관(35a)은 상향 경사지며 상단부는 캡에 의해 개폐되는 튜브로서, 외부로부터 보급되는 연료를 받아 연료탱크(35)의 내부로 유도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상기 연료주입관(35a)은, 커버(19)에 형성되어 있는 연료주입관구멍(19d)을 통해 외부로 연장된다. 커버(19) 외부에서 연료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료게이지(35b)는 연료탱크(35) 내부의 연료의 잔량을 실시간으로 표시하여 작업자에게 알린다. 작업자는 게이지확인구멍(19e)을 통해 연료게이지(35b)의 눈금을 읽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연료게이지(35b)를 디지털 방식으로 적용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엔진(37)의 측부에는 제어부(3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39)는 신호수신부(39a)로부터 전달받은 동작신호를 받아 자력발생부(13)로 전달되는 전류의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자력발생부를 착자(着磁)시키거나 탈자(脫磁)시킨다. 상기 신호수신부(39a)는 상기 수신안테나(25)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신호를 가공 및 증폭하여 제어부(39)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39)에는, 온오프스위치(39f)와, 타이머(39b)와, 제 1,2스위칭부(39c,39d)와, 컨버터부(39e)가 포함된다.
상기 온오프스위치(35f)는 메인스위치로서 제어부(39) 자체의 동작을 온오프 시킨다. 상기 온오프스위치(35)가 오프상태일 경우 엔진(37)을 동작시켜도 자력발생부(13)가 동작하지 않는다. 전자척(11)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온오프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해 놓음이 좋다.
상기 제 1스위칭부(39c)는 착자회로부을 구성하는 스위치장치로서, 후술할 무선신호발생기(도 6의 47)를 밟으면 온(on) 상태가 되어, 발전기(41)에서 생산된 전기가 자력발생부(13)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발전기(41)에서 만들어진 전기는 컨버터부(39e)를 통해 직류로 변환된 후 자력발생부(13)로 전달되어 자력발생부(13)가 자력을 띄게 한다.
또한 제 2스위칭부(39d)는, 상기 무선신호발생기(47)에서 발을 떼는 순간, 상기 타이머(39b)에 설정된 시간만큼 온(on) 상태가 되어, 자력발생부(13)에 전류를 유도한다. 이 때 자력발생부(13)에 전달되는 전류는 컨버터부(39e)를 통과한 직류전류로서, 특히 상기 제 1스위칭부(39c)의 통전시 인가된 전류 방향의 반대방향이다. 자력발생부(13) 내부의 코일에 역전류, 즉 방향이 반대인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자력발생부(13)를 신속히 탈자시킬 수 있다.
상기 타이머(39b)의 설정시간은 대략 1초 내지 10초 정도일 수 있다. 즉 1초 내지 10초 동안 역전류가 인가되고, 상기 설정시간이 종료되는 순간 역전류의 공급이 중지된다. 즉, 타이머(39b)의 설정시간이 종료되면 그 순간 저항부(도 4의 45)가 회로에 투입되어, 자력발생부(13)로 향하던 역전류를 차단한다.
상기 저항부(45)는 역전류공급회로의 일부분으로서 상기 제 2스위칭부(39d)가 오프됨과 동시에 동작하여 역전류를 차단한다. 이러한 회로구성은 기본적인 전기회로 이론에 의해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상기 자력발생부(13)는 무선신호발생기(47)를 밟을 때 자기력을 발생하고 놓을 때 자기력을 상실하는 것이다.
도 4는 상기 도 3의 A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상기 도 3의 B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엔진(37)의 후방에 발전기(4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발전기(41)의 측부에는 배터리(4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발전기(41)는 엔진(37)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전기를 생산하며 생산된 전기를 전력아웃렛(41b)을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 상기 전력아웃렛(41b)은 마치 실내 벽에 구비되어 있는 전력용 콘센트와 같은 것으로서, 전력선(41a)을 끼울 수 있다.
상기 전력선(41a)은, 발전기(41)에서 생산된 전력을 상기 제어부(39)로 유도하여, 상기 전력공급회로 또는 역전류공급회로를 거쳐 자력발생부(13)로 공급되게 한다. 상기 배터리(43)는 축전용 배터리로서 상기 엔진(37)의 기동시 사용된다.
아울러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발전기(41)의 상부에 저항부(4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저항부(45)는 동작시 매우 많은 열을 발생하므로 가급적 상측부에 위치시킴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항부(45)에서 발생한 열은 상기 배기구멍(19a)을 통해 신속히 배출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무선제어형 전자척이 적용되는 전자척장치의 구동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척장치는, 상기한 전자척(11)과, 무선신호발생기(47)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척장치는, 외부와 유선으로 연결됨 없이 독자적으로 설치되는 전자척(11)과, 상기 전자척(11)과 세트를 이루며 전자척(11)의 착자와 탈자를 조절하는 무선신호발생기(47)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하튼, 도 6을 참조하면, 인양장비(51)의 아암(51b) 선단부에 전자척(11)이 연결되어 있고, 운전실(51a)의 내부에 무선신호발생기(47)가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전자척(11)은 두 개의 연결핀(27a)을 통해 아암(51b)의 단부에 고정되며 인양장비(51)를 조작함에 의해 원하는 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신호발생기(47)는 페달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 무선신호발생기는, 운전실(51a)에 배치된 상태로, 작업자가 발로 밟을 때 자력발생부의 착자신호를 출력하고, 발을 뗄 때 탈자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착자신호와 탈자신호는 무선신호로서 전자척(11)의 측부 상단에 구비되어 있는 수신안테나(25)로 전송되어 상기 제어부(39)가 동작하게 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척장치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일단 전자척(11)을 인양장비(51)에 고정시킨다. 인양장비는 포크레인이나 집게차 또는 크레인 등을 포함한다.
상기 인양장비(51)에 전자척(11)을 고정하였다면, 상기 온오프스위치(39f)가 온(on) 상태에서, 시동부(21)를 이용해 엔진(37)을 기동시킨다. 제품 모델에 따라 상기 당김줄을 당겨 시동을 걸 수 도 있다. 상기 엔진(37)이 동작하면 발전이 시작된 것이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인양장비(51)를 운전하여 전자척(11)을, 가령 철스크랩이 쌓인 지점에서 철스크랩을 옮길 지점으로 왕복시키며 상기 무선신호발생기(47)를 조작한다.
즉, 상기 무선신호발생기(47)를 밟은 상태로 전자척(11)을 내려 자력발생부(13)에 철스크랩을 붙힌 후, 전자척(11)을 올려 목적지점으로 이동시킨 후 무선신호발생기(47)에서 발을 뗀다. 발을 떼면 자력발생부(13)의 자력이 탈자되어 붙어있던 철스크랩이 낙하한다.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원하는 작업을 마무리한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전자척 13:자력발생부 15:본체부
17:프레임 17a:플레이트부 17b:기둥부
19:커버 19a:배기구멍 19b:스크린
19c:플랜지부 19d:연료주입관구멍 19e:게이지확인구멍
21:시동부 21a:시동버튼 21b:키박스
21c:당김고리 21d:당김줄 23:볼트
25:수신안테나 25a:고정부 27:인양홀더부
27a:연결핀 27b:브라켓 27c:고정판부
33:인양홀더부 33a:상부디스크 33b:하부디스크
33c:분할벽 33d:삽입공간 35:연료탱크
35a:연료주입관 35b:연료게이지 37:엔진
39:제어부 39a:신호수신부 39b:타이머
39c:제 1스위칭부 39d:제 2스위칭부 39e:컨버터부
39f:온오프스위치 41:발전기 41a:전력선
41b:전력아웃렛 43:배터리 45:저항부
47:무선신호발생기 51:인양장비 51a:운전실
51b:아암

Claims (1)

  1.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력에 의해 자기력을 발생하며, 사각 형상을 갖는 자력발생부와;
    상기 자력발생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고정 지지되는 토크발생부와;
    상기 토크발생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부와;
    상기 발전부에서 생산된 전력을 상기 자력발생부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상기 자력발생부를 착자(着磁)시키는 착자회로부와, 탈자(脫磁)시키는 탈자회로부를 갖는 제어부와;
    집게차의 운전실에 장착된 페달방식의 무선신호발생기로부터 전달된 무선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여, 제어부로 하여금 자력발생부를 착자 또는 탈자 시키게 하는 신호수신부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며 인양장비에 의해 픽업되는 인양홀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는 외부에서 공급된 연료를 수용하는 연료탱크가 구비되며,
    상기 토크발생부는 상기 연료탱크의 연료에 의해 작동하여 회전력을 발생하는 엔진을 포함하고,
    상기 엔진에는 시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시동부는 시동버튼과, 키박스와, 당김줄이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엔진으로부터 공급된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전환하는 컨버터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착자회로부는 외부로부터 착자신호가 입력되면 통전하여, 상기 발전부에서 생산된 전기가 자력발생부로 공급되도록 유도하는 제 1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자회로부는 상기 제 1스위칭부의 단락순간 통전되어, 상기 제 1스위칭부의 통전시 흐르는 전류 방향의 반대방향의 전류를 자력발생부로 공급되도록 하여, 자력발생부의 잔류자기를 제거하는 제 2스위칭부와, 상기 제 2스위칭부의 통전시간을 조절하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의 설정시간이 종료하면 상기 자력발생부로 공급되던 역전류를 차단하는 저항부를 구비하며,
    상기 저항부는 발전기의 상부에 배치됨으로써 열이 배출될 수 있고,
    상기 연료탱크에는 연료탱크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주입관과, 상기 연료주입관 내부의 연료의 잔량을 나타내는 게이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의 외부에는 프레임을 감싸며 프레임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보호하는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에는 내부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배기구멍이 형성되며, 저항부로부터 발생된 열이 상기 배기구멍으로 배출되고,
    상기 배기구멍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크린이 배치되며,
    커버에는 내부에 배치된 연료통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주입관이 외부로 돌출되는 연료주입관 구멍이 형성됨으로써 연료 주입시 커버를 열지않고도 연료를 주입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의 외측부에는 외부로부터 전달된 무선신호를 받아 상기 신호수신부로 보내는 안테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제어형 전자척.

KR2020140008081U 2014-11-05 2014-11-05 무선제어형 전자척 KR2004807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081U KR200480747Y1 (ko) 2014-11-05 2014-11-05 무선제어형 전자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081U KR200480747Y1 (ko) 2014-11-05 2014-11-05 무선제어형 전자척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9184 Division 2014-0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986U KR20150002986U (ko) 2015-08-03
KR200480747Y1 true KR200480747Y1 (ko) 2016-07-04

Family

ID=54014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8081U KR200480747Y1 (ko) 2014-11-05 2014-11-05 무선제어형 전자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74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0426B1 (ko) * 2016-12-21 2018-10-22 (주)진우산업기계 리튬이온 배터리 일체형 전자척 장치
KR20190014881A (ko) * 2017-08-04 2019-02-13 (주)진우산업기계 충전형 전자척 및 이를 위한 충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9112A (ja) * 2001-05-31 2002-12-13 Isuzu Motors Ltd リフティングマグネットの電圧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072878B1 (ko) * 2009-07-11 2011-10-17 황성조 연료전지 지게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652A (ja) * 1994-07-19 1996-01-30 Komatsu Ltd 把持機能を持つ装置に着脱可能な電磁石装置を備えた作業機械およびその作業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9112A (ja) * 2001-05-31 2002-12-13 Isuzu Motors Ltd リフティングマグネットの電圧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072878B1 (ko) * 2009-07-11 2011-10-17 황성조 연료전지 지게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0426B1 (ko) * 2016-12-21 2018-10-22 (주)진우산업기계 리튬이온 배터리 일체형 전자척 장치
KR20190014881A (ko) * 2017-08-04 2019-02-13 (주)진우산업기계 충전형 전자척 및 이를 위한 충전장치
KR101950443B1 (ko) * 2017-08-04 2019-02-20 (주)진우산업기계 충전형 전자척 및 이를 위한 충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986U (ko) 2015-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0747Y1 (ko) 무선제어형 전자척
US8476555B2 (en) Portable welding wire feed system and method
CN102883842B (zh) 具有用于进给单元的控制器的钻探设备
TW201141006A (en) Vehicle induction charging method
WO2011163018A1 (en) Systems and method for limiting welding output and ancillary features
CN109843631A (zh) 驱动液压泵的直流马达用电源系统和方法
CA3025037C (en) Tools for use in confined spaces
CN205630586U (zh) 一种输电线路施工用遥控脱挂索货运索道行走小车
CN213085225U (zh) 一种市政井盖开启设备
KR101950443B1 (ko) 충전형 전자척 및 이를 위한 충전장치
CN203398730U (zh) 一种牵电缆的装置
US8698035B2 (en) Welder
CN107655687A (zh) 减速器性能试验台
JP2008144385A (ja) コンクリートの打設高さ検知装置及び打設高さ検知方法
KR101910426B1 (ko) 리튬이온 배터리 일체형 전자척 장치
CN111320075A (zh) 一种市政井盖开启设备
CN109205450B (zh) 用于单张放板的电控永磁吊具及单张放板控制方法
KR101389342B1 (ko) 충전기능이 구비된 전자척 시스템
KR100944546B1 (ko) 전동차 주공기압축기 모터의 전기자와 계자 착탈지그
CN111098263A (zh) 一种基于无线传输技术的制动盘快速打栓系统及打栓方法
WO2017073570A1 (ja) 作業機械およびエンジン停止制御装置
JP2019062698A (ja) 非接触給電システム及び受電設備並びに給電設備
JP4723881B2 (ja) ジブクレーン
CN212712644U (zh) 一种控制电路及市政井盖开启设备
CN113675780B (zh) 手型按键装置及配电带电作业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