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2878B1 - 연료전지 지게차 - Google Patents

연료전지 지게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2878B1
KR101072878B1 KR1020090063271A KR20090063271A KR101072878B1 KR 101072878 B1 KR101072878 B1 KR 101072878B1 KR 1020090063271 A KR1020090063271 A KR 1020090063271A KR 20090063271 A KR20090063271 A KR 20090063271A KR 101072878 B1 KR101072878 B1 KR 101072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fuel cell
forklift
storage alloy
hydrogen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3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5754A (ko
Inventor
황성조
Original Assignee
황성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조 filed Critical 황성조
Priority to KR1020090063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2878B1/ko
Publication of KR20110005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를 주 동력원으로 탑재한 연료전지 지게차에 관한 것으로, 수소의 화학에너지를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해 전력으로 변환시키는 연료전지; 연료전지가 전기를 발전하는데 필요한 수소연료를 저장하고 공급하는 연료공급장치; 연료전지가 발전한 직류전기를 연료전지 지게차가 필요로 하는 전력으로 변환하고 제어해 주는 전력제어장치; 연료전지가 발전한 전력의 일부를 저장하여 연료전지 지게차를 구성하는 모든 장치들이 작동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고, 전동모터의 급격한 부하변동에 대응하기 위한 전력저장장치로서 수퍼캐패시터; 연료전지 지게차를 주행시키는 전동주행모터; 연료전지 지게차의 작업장치를 작동시키는 유압을 발생하는 유압펌프를 구동하는 유압펌프구동전동모터; 그리고 연료전지 지게차를 구성하는 모든 장치들이 최적의 상태로 작동할 수 있게 총체적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제어기를 포함하며, 종래의 엔진지게차와 전동지게차 그리고 종래의 연료전지 지게차의 단점을 해결한 효과가 있다.
연료전지, 지게차, 엔진지게차, 전동지게차, 연료전지 지게차, 하이브리드 지게차, 수소저장합금, 수소저장합금용기, 수퍼캐패시터

Description

연료전지 지게차{Fuel Cell Powered Forklift Truck}
본 발명은 연료전지 지게차(Fuel Cell Powered Forklift Truck)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소저장합금용기를 구비한 연료전지를 주 동력원으로 탑재한 연료전지 지게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forklift truck)는 화물을 들어 올리고 내리고 또 원하는 장소로 운반할 수 있는 차량의 일종으로, 각종 물류기계 중에서도 전 산업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핵심 물류기계이다.
이러한 지게차는 종래에는 내연기관을 이용하여 동력을 얻었으나, 근래에는 축전지(‘이차전지’를 지칭한다. 이하 같다)를 이용한 전동지게차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연료전지를 이용하는 연료전지 지게차가 연구 개발되면서 연료전지가 내연기관과 축전지를 대체하는 새로운 동력원으로 부상하고 있다.
지게차의 주 동력원으로서의 내연기관은 에너지효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배 기가스, 소음 등 공해를 유발한다. 이에 비하여 축전지는 공해와 소음이 없는 장점을 갖고 있는 반면에 한 번의 충전으로 작업할 수 있는 시간이 짧으며(약 4시간), 한번 작업 후 재충전하는데 장시간(약 6~8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충전과 방전을 계속 반복함에 따라 수명이 단축되어 약 2년 정도 사용하면 새로운 축전지로 교체하여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상기 내연기관을 주 동력원으로 하는 지게차(이하 ‘엔진지게차’라 칭한다)와 축전지를 주 동력원으로 하는 전동지게차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 연료전지를 탑재한 지게차의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행해지고 있다. 연료전지란 연료가 가지고 있는 화학에너지를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하여 직접 전력으로 변환시키는 발전기이다. 연료전지는 그 종류와 사용연료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열효율이 높고 공해를 유발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발전시스템이다.
연료전지가 지게차의 주 동력원이 되기 위해서는 연료전지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장치는 연료가 충전된 상태에서도 안전하고 취급이 용이하며 가격이 싸고 언제 어디에서나 쉽게 구할 수 있어야 하며, 1회 연료공급으로 장시간(8시간 이상) 작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현장에서 즉시 연료의 충전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비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재 개발 중에 있는 연료전지 지게차의 연료공급장치는 압축수소탱 크 충전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 압축수소탱크 충전방식은 지게차가 가동하고 있는 작업현장에 수소가스를 저장하고 충전할 수 있는 수소가스 충전설비를 갖추어야 한다. 그런데 한 작업현장에서 운용하고 있는 지게차의 대수가 적든지, 또는 지게차가 작업하는 장소가 일정하지 않고 수시로 이동해야 하는 경우에 작업현장에 수소가스충전설비를 갖추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연료전지 지게차의 상용화에 장애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엔진지게차와 전동지게차의 단점을 보완하고, 1회 연료공급으로 장시간 작동할 수 있는 연료공급장치를 구비한 연료전지를 주 동력원으로 탑재한 연료전지 지게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연료전지 지게차는 수소저장합금용기를 구비하여 수소연료를 고체상태로 저장하여 연료전지에 공급하고, 축전지 대신에 수퍼캐패시터(supercapacitor)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연료전지 지게차는 종래의 엔진지게차와 전동지게차의 단점과 종 래의 연료전지 지게차의 단점을 해결한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연료전지 지게차는 2개 이상의 수소저장합금용기를 구비하여 순차적으로 충전된 수소를 사용할 수 있고, 사용 후 빈 수소저장합금용기를 충전된 수소저장합금용기와 교체할 수 있으며, 여분의 수소저장합금용기를 준비할 수 있어 가동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회수된 빈 수소저장합금용기는 충전소에서 재충전하여 기존의 유통망을 통해 공급할 수 있으므로 수소연료의 공급을 위해 새로운 인프라를 구축할 필요가 없어 경제성이 크게 향상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료전지 지게차는 광범위한 물류산업 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고, 가동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작업할 수 있으며, 경제성이 크게 향상되고, 수소저장합금용기의 취급이 용이하고 안전하여 실용성과 상품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연료전지 지게차는 수소의 화학에너지를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해 전력으로 변환시키는 연료전지; 연료전지가 전기를 발전하는데 필요한 수소연료를 저장하고 공급하는 연료공급장치; 연료전지가 발전한 직류전기를 연료전지 지게차 가 필요로 하는 전력으로 변환하고 제어해 주는 전력제어장치; 연료전지가 발전한 전력의 일부를 저장하여 연료전지 지게차를 구성하는 모든 장치들이 작동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고, 전동모터의 급격한 부하변동에 대응하기 위한 전력저장장치로서 수퍼캐패시터; 연료전지 지게차를 주행시키는 전동주행모터; 연료전지 지게차의 작업장치를 작동시키는 유압을 발생하는 유압펌프를 구동하는 유압펌프구동전동모터; 그리고 연료전지 지게차를 구성하는 모든 장치들이 최적의 상태로 작동할 수 있게 총체적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제어기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지게차에서, 상기 연료공급장치로 수소저장합금용기와 수소공급조절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료전지로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를 구비한다.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는, 연료전지 중에서도 특히 운전온도가 낮으며(60~80℃) 구조가 간단하다.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의 단위 셀(cell)은 프로톤(proton)의 이온전도성이 우수한 고분자 전해질막의 양면에 연료극(anode)과 공기극(cathode)을 구비한다. 이러한 단위 셀을 여러 개 겹쳐 하나의 연료전지본체(fuel cell stack)를 구성한다.
연료인 수소는 연료극에 공급되고 산화가스인 산소는 공기극에 공급되는데 이때 연료극에서는 아래 반응식(1)의 산화반응이 일어나고, 공기극에서는 반응식(2)의 환원반응이 일어난다. 연료전지 전체로서는 반응식(3)의 기전반응이 일어난다. 본 발명에서 연료전지는 산화가스로 대기 중의 산소를 이용한다.
반응식(1) H2 → 2H+ + 2e-
반응식(2) 1/2 O2 + 2 H+ + 2e- → H2O
반응식(3) 2H+ + 1/2 O2 → H2O
본 발명에서는 연료전지의 연료인 수소가스 저장방법으로 에너지 저장밀도가 높고, 유통이 용이하며 가장 안전한 수소저장합금용기를 구비한다. 수소저장합금용기는 고체상태의 수소저장기술인데, 수소저장합금이 수소와 가역적 반응에 의해 수소를 저장하고 방출한다. 수소저장합금용기는, 수소가스의 충전은 시설을 구비한 충전소에서 행하고, 충전된 수소저장합금용기의 유통은 취급이 용이하고 안전하며, 별도의 인프라구축이 필요 없고, 사용된 빈 용기는 회수하여 다시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수소저장합금용기는 연료전지 지게차의 연료공급에 가장 유용한 방법이다.
본 발명의 연료공급장치는 상기 수소저장합금용기와 수소공급조절기로 구성한다. 연료공급장치는 2대 이상의 수소저장합금용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소저장합금용기가 2대인 경우 연료전지의 작동 중에 하나의 수소저장합금용기로부터 수소가 방출되어 연료전지에 공급되고, 다른 하나는 수소방출밸브가 닫친 상 태로 유지된다. 시스템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수소공급조절기의 작동으로 수소를 방출하고 있는 수소저장합금용기의 수소 잔량이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다른 수소저장합금용기의 수소방출밸브가 열림과 동시에 수소를 방출하고 있던 수소저장합금용기의 수소방출밸브가 닫친다. 이와 같이 연료를 계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여분의 수소저장합금용기를 준비할 수 있어 장시간 연속 운전이 가능하다.
상기 수퍼캐패시터(supercapacitor)는 연료전지가 발전한 전력의 일부를 저장하여 연료전지의 기동과 연료전지 지게차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장치들이 작동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고, 연료전지 지게차의 전동모터의 급격한 부하변동에 대응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전력저장장치로서 축전지를 사용하나, 재충전에 장시간이 소요되고,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면 축전지의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어 교체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하여 수퍼캐패시터는 화학반응을 이용하는 축전지와는 달리 전극과 전해질 계면으로의 단순한 이온의 이동이나 표면화학반응에 의한 충전현상을 이용하는 것으로, 급속충전이 가능하고 고출력 특성이 매우 우수하며 수명이 반영구적이어서 연료전지 지게차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료전지 지게차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연 료전지 지게차의 개략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연료전지 지게차의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연료공급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수소저장합금용기의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연료공급장치의 전자밸브 및 수소방출밸브의 개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수소연료게이지의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연료전지 지게차의 시스템제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료전지 지게차(100)는 크게 나누어 차량본체(110)와 작업장치(120)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차량본체(110)는 차체(111), 카운터웨이트(112), 구동륜(전륜)(113), 조향륜(후륜)(114), 운전석(115), 연료전지(210), 연료공급장치(220), 전력제어장치(230), 수퍼캐패시터(240), 전동주행모터(250), 유압펌프구공전동모터(260), 유압펌프(270)와 유압컨트롤밸브(310), 조이스틱(joystick)(320), 가속페달(330), 브레이크페달(brake pedal)(340), 조향핸들(350), 시스템제어기(30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작업장치(120)는 마스트(121), 포크(122), 리프트실린더(lift cylinder)(123), 틸트실린더(tilt cylinder)(124)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연료전지 지게차(100)는 운전석(115) 하방에 뒤쪽 카운터웨이트(112)로부터 전방으로 연료공급장치(220), 연료전지(210)와 수퍼캐패시터(240), 전력제어장치(230)와 시스템제어기(300)를 순서대로 배치시키고, 운전자 발판 밑에 유압펌프구동전동모터(260), 유압펌프(270)와 유압컨트롤밸브(310)를 배치한다.
상기 연료공급장치(220)는 연료전지 지게차(100)를 구성하는 장치들 중에서가장 무거우므로 가능하면 카운터웨이트(112) 내부에서 후방에 배치함으로써 연료공급장치(220)를 구성하는 수소저장합금용기(221)의 교체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수소저장합금용기(221)의 중량을 카운터웨이트(112)의 중량으로 활용할 수 있어 원가절감 효과를 가져 오는 이점이 있다.
상기 연료전지(210)와 수퍼캐패시터(240)도 중량이 무거운 장치들이므로 가능하면 낮게 배치함으로써 주행본체(110)의 무게중심을 낮추어 연료전지 지게차(100)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연료펌프구동전동모터(260), 연료펌프(270)와 유압컨트롤밸브(310)는 가능하면 전방 작업장치에 가깝게 배치하여 유압배관을 간단하게 하고 아울러 에너지효율을 높인다. 이들 장치들의 배치는 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실제 지게차 설계시에는 융통성 있게 변경될 수도 있다.
상기 전동주행모터(250)는 감속기일체형으로 직접 휠에 장착되어 좌우 구동륜(전륜)(113)을 독립적으로 구동하여 차량본체(110)를 주행시킨다. 종래의 엔진지게차는 내연기관의 동력을 트랜스액슬(transaxle)을 통하여 휠을 구동하는 동력전달장치를 필요로 하는데 반하여 연료전지 지게차(100)는 기계적인 동력전달장치를 필요로 하지 아니하므로 지게차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원가절감을 기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연료전지 지게차(100)의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연료전지 지게차(100)을 구성하고 있는 시스템은, 수소의 화학에너지를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해 전력으로 변환시키는 연료전지(210); 연료전지가 전기를 발전하는데 필요한 수소연료를 저장하고 공급하는 연료공급장치(220); 연료전지가 발전한 직류전기를 연료전지 지게차가 필요로 하는 전력으로 변환하고 제어해 주는 전력제어장치(230); 연료전지가 발전한 전력의 일부를 저장하여 연료전지 지게차를 구성하는 모든 장치들이 작동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고, 전동모터의 급격한 부하변동에 대응하기 위한 전력저장장치로서 수퍼캐패시터(240); 연료전지 지게차를 주행시키는 전동주행모터(250); 연료전지 지게차의 작업장치를 작동시키는 유압을 발생하는 유압펌프를 구동하는 유압펌프구동전동모터(260); 그리고 연료전지 지게차를 구성하는 모든 장치들이 최적의 상태로 작동할 수 있게 총체적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제어기(3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연료전지(210)는 연료극(anode)에 공급되는 연료가스(수소가스)와 공기극(cathode)에 공급되는 산화가스(공기)를 반응시켜 전력을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료전지(210)로서 공지의 것을 채택하고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력제어장치(230)는 분배기(231), 전동모터제어(232), 조이스틱제어 기(233)를 포함하는 전력변환장치로, 연료전지(210)가 발전한 전기를 연료전지 지게차(100)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으로 변환시키고, 조이스틱(320), 가속페달(330), 브레이크페달(340)과 조향핸들(350)의 조작신호, 그리고 각종 부하센서로부터 센싱한 신호에 의해 시스템제어기(300)가 출력하는 출력신호에 의해 연료전지(210)가 발전하는 전력으로 연료전지 지게차(100)를 구동하는 전동주행모터(250)와 유압펌프구동전동모터(260)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고, 잉여전력은 수퍼캐패시터(240)에 저장한다.
상기 수퍼캐패시터(240)는 전력저장장치로, 연료전지(210)가 작동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고, 전동주행모터(250)와 유압펌프구동전동모터(260)의 급격한 부하변동에 대처함으로써 연료전지 지게차(100)의 운전을 최적화 시켜주는 보조전원장치의 역할도 한다. 전력저장장치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축전지는 재충전에 장시간을 요하고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면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어 교체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으나, 수퍼캐패시터(240)는 급속충전이 가능하고 고출력 특성이 매우 우수하며 수명이 반영구적이어서 연료전지 지게차(100)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킨다.
상기 전동주행모터(250)는 휠에 직접 장착되어 좌우 구동륜(전륜)(113)을 구동하고, 상기 유압펌프구동전동모터(260)는 유압펌프(270)를 구동하여 유압을 발생시키며, 유압펌프(270)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는 유압컨트롤밸브(310)에 의해 리프트실린더(123)와 틸트실린더(124)를 작동시킨다.
본 발명의 연료전지 지게차(10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료공급장치(220)로 수소저장합금용기(221)와 수소공급조절기(222)를 구비하며, 수소공급조절기(222)는 전자밸브(223), 원웨이밸브(one-way valve)(224) 및 레귤레이터(regulator)(225)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수소저장합금용기(221)의 구성도로, 수소저장합금용기(221)는 가역반응에 의해 수소를 흡장하고 방출하는 수소저장합금(221a), 합금저장용기(221b), 수소튜브(221c), 수소방출밸브(221d), 오리피스(221e), 볼(221f), 스프링(221g), 센서단자(221h), 수소량센서(221j), 온도센서(221k), 가열기(221m) 등을 포함한다.
수소저장합금(221a)은 그 종류에 따라 수소의 흡장온도, 방출온도, 압력, 흡장량 등이 다르다. 따라서 수소저장합금용기(221)에 충전될 특정 수소저장합금(221a)에 따라 수소흡장 압력, 온도, 가열기의 작동, 수소잔량 감지를 위한 프로그램을 작성하여야 한다. 합금저장용기(221b)는 수소저장합금(221a)과 반응하지 아니하는 재료를 사용하며, 주로 스테인리스강판, 알루미늄합금 또는 복합재료가 사용된다.
수소튜브(221c)는 합금저장용기(221b) 내의 수소저장합금이 흡열반응에 의해 수소를 방출하면 방출된 수소가 한 곳에 모여 수소방출밸브(221d)를 통하여 쉽게 방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 반대로 수소 충전시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수소가 수소저장합금(221a)에 쉽게 흡장되도록 한다. 수소의 방출을 개폐하는 수소방출밸브(221d)는 수소를 충전할 경우에는 반대로 수소흡장밸브의 역할을 한다.
수소량센서(221j)는 수소저장합금용기(221) 내의 수소의 잔량을 감지하여 수소연료게이지(226)에 통보하며, 수소가 방출되는 경우에는 수소의 잔량을 실시간으로 통보한다. 수소저장합금(221a)이 흡장하고 있는 수소의 양에 따라 이를 통과하는 전류의 전기적 저항이 달라진다. 따라서 합금저장용기(221b) 내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센서를 설치하고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전류의 변화를 측정하면 수소의 잔량을 계산할 수 있다.
온도센서(221k)는 수소저장합금용기(221) 내의 온도를 감지하며, 그 결과 필요한 경우 가열기(221m)가 수소저장합금(221a)이 수소를 방출하는데 필요한 열을 공급한다. 완전히 충전된 수소저장합금용기(221) 내의 수소저장합금(221a)이 수소를 방출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수소저장합금용기(221) 내의 충전공간에 충전된 고압의 수소가 먼저 방출된다. 이에 따라 충전공간의 수소압력은 점차 저하되며, 계속해서 수소압력이 내려가면 수소저장합금용기(221) 내의 온도에서의 평형수소압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부터 수소저장합금(221a)이 흡장하고 있는 수소를 방출하며, 이는 흡열반응으로 온도가 저하되면 수소의 방출이 정지된다. 본 발명에서는 수소저장합금용기(221) 내에 온도센서(221k)와 가열기(221m)를 구비하여 수소방출에 필요한 열을 수소저장합금(221a)에 공급하도록 하여 수소저장합금(221a)이 계속해서 수소를 방출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수소저장합금용기(221)는 사용 후 재충전이 가능하며, 1대를 설치할 수도 있으나, 연료전지의 가동시간은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수소 연료의 양에 의해 결정되며, 가동시간을 늘리기 위해 연료저장용기의 용량을 크게 하는 것은 용기의 부피와 무게 때문에 한계가 있으므로 2대 이상을 병렬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는 3대의 수소저장합금용기(221)가 병렬로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수소저장합금용기(221)의 수소방출밸브(221d)는 시스템제어기(300)의 제어에 따른 전자밸브(223)에 의하여 개폐되며, 2대 이상의 수소저장합금용기(221)가 설치된 경우에는 시스템제어기(300)의 제어에 따라 전자밸브(223)가 하나의 수소저장합금용기(221)의 수소방출밸브(221d)만 열리게 하고 다른 수소저장합금용기(221)의 수소방출밸브(221d)는 닫친 상태로 유지시킨다.
수소를 방출 중인 수소저장합금용기(221)의 수소의 잔량이‘0’에 도달하면 시스템제어기(300)의 제어에 의해 수소공급조절기(222)의 전자밸브(223)가 다음 순 서의 수소저장합금용기(221)의 수소방출밸브(221d)를 열고, 지금까지 수소를 방출해 온 수소저장합금용기(221)의 수소방출밸브(221d)를 폐쇄시켜서 연료전지(210)에의 수소의 공급이 계속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자밸브(223) 및 수소방출밸브(221d)의 개폐 설명도로, 도 6a는 전자밸브(223) 및 수소방출밸브(221d)가 닫친 상태도이고, 도 6b는 전자밸브(223) 및 수소방출밸브(221d)가 열린 상태도이다.
전자밸브(223)는 작용부(223a), 솔레노이드부(223b) 및 작동간(223c)으로 구성되며, 작용부(223a)는 스프링(223d), 유공(223e), 내돌부(223f), 팩킹(223g), 전원단자(223h), 방출로(223j)를 포함하고, 솔레노이드부(223b)는 영구자석(223k), 솔레노이드(223m), 여자체(223n)를 포함한다. 작동간(223c)은 작용부(223a)와 솔레노이드부(223b)에 걸쳐지는 막대형상의 것으로 솔레노이드부(223b)측 단부에는 헤드(223p)가 형성되어 있고, 작용부(223a)측에는 외돌부(223s)가 형성되어 있다.
전자밸브(223)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영구자석(223k)의 자력과 스프링(223d)의 탄력에 의하여 작동간(223c)이 솔레노이드부(223b)측으로 이동하여 그 헤드(223p)가 영구자석(223k)에 흡착되고 외돌부(223s)가 내돌부(223f)에 밀착되어 있다.
수소저장합금용기(221)가 수소를 방출할 순서가 되면, 시스템제어기(300)의 제어에 의해 솔레노이드(223m)에 전원이 공급된다. 전원공급에 의해 여자체(223n)가 여자(勵磁)되면 여자체(223n)의 자력이 헤드(223p)를 당기게 되므로 작동간(223c)이 작용부(223a)측으로 이동하고 헤드(223p)가 여자체(223n)에 흡착된다.
작동간(223c)이 작용부(223a)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수소저장합금용기(221)의 수소방출밸브(221d)의 볼(221f)을 수소저장합금용기(221)의 내측으로 밀게 되고, 작동간(223c)의 외돌부(223s)도 내돌부(223f)에서 떨어지게 된다. 수소방출밸브(221d)의 볼(221f)이 내측으로 밀리면 오리피스(221e)가 열리면서 수소저장합금용기(221) 내의 수소가 방출된다.
방출된 수소는 전자밸브(223)의 작동간(223c)의 주위의 복수의 유공(223e)을 거쳐서 내돌부(223f) 쪽으로 이동한다. 작동간(223c)의 외돌부(223s)가 이미 내돌부(223f)에서 떨어져 있어 내돌부(223f) 부근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이 부근을 통과한 수소는 계속 전진하여 방출로(223j)를 통해 원웨이밸브(224)로 이동한다.
위와 같이, 전자밸브(223)의 작동에 따라 수소저장합금용기(221)로부터 방출된 수소는 원웨이밸브(224)를 통과하여 레귤레이터(225)에 도착하며, 고압의 수소를 레귤레이터(225)가 감압시켜서 연료전지(210)가 필요로 하는 양만큼 연료전지(210)에 공급한다.
수소가 방출되지 않고 있는 수소저장합금용기(221) 쪽의 전자밸브(223)는 빈 수소저장합금용기(221)를 교환하거나 수소저장합금용기(221)가 탈거된 경우에 공기가 수소방출라인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닫혀 있도록 한다.
원웨이밸브(one-way valve)(224)는 수소를 방출하지 않는 다른 수소저장합금용기(221)의 전자밸브(223)로 수소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원웨이밸브(224)의 개방압력은 대기압보다는 높고 수소방출압력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하여 전자밸브(123)를 도와 수소방출라인의 기밀유지와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한다.
팩킹(packing)(223g)은 수소방출밸브(221d)로부터 방출되는 수소의 기밀을 유지하며, 수소저장합금용기(221)의 수소량센서(221j), 온도센서(221k)와 가열기(221m)에 전원을 공급하는 센서단자(221h)는 전자밸브(223)의 전원단자(223h)와 밀착하게 되고, 이 전원단자(223h)를 통해 시스템제어기(300)에 연결된다.
수소를 방출 중인 수소저장합금용기(221)의 수소의 잔량이‘0’에 도달하면 시스템제어기(300)의 제어에 의해 수소공급조절기(222)의 전자밸브(223)가 다음 순서의 수소저장합금용기(221)의 수소방출밸브(221d)를 열고, 지금까지 수소를 방출해 온 수소저장합금용기(221)의 수소방출밸브(221d)를 폐쇄하여 연료전지(210)로 수소의 공급이 계속되도록 하는데, 이 과정에서 수소의 공급이 중단되는 일이 없도 록 하기 위해서 수소저장합금용기(221)의 최대 저장용량에서 일정량(예:1-10%)을 제한 수소의 양을 수소저장합금용기(221)의 수소저장용량으로 프로그래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소잔량이 일정수준(예: 30%와 10%)에 도달하면 점등 또는 경고음을 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은 수소연료게이지(226)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수소연료게이지(226)는 3대의 수소저장합금용기(221)를 구비하는 연료공급장치(220)의 수소잔량을 실시간으로 알려준다. 수소연료게이지(226)는 일반적으로 운전석에 전면에 있는 운전계기판(미도시) 내에 위치하며, 수소연료게이지(226)는 3대의 수소저장합금용기(221)의 각각의 순서를 표시하는 용기번호등(226a), 수소량표시등(226b), 그리고 현재 수소방출밸브(221d)가 열려 수소를 방출하고 있는 수소저장합금용기(221)를 알려주는 수소방출밸브작동등(226c)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 7은 3대의 수소저장합금용기(221) 중에서 1번 수소저장합금용기(221)는 수소를 모두 방출한 빈 용기이고, 2번 수소저장합금용기(221)는 수소를 현재 약 3분의 1 정도 방출하고 있는 용기이며, 3번 수소저장합금용기(221)는 완전 충전된 용기로 아직 수소를 방출하지 아니한 용기를 나타내는 경우를 설명한다. 운전자가 시동키를 1단 위치('ON')로 돌리면 운전계기판(미도시)의 모든 표시등이 점등된다. 이와 동시에 수소연료게이지(226)의 용기번호등(226a), 수소량표시등(226b)과 수소방출밸브작동등(226c)도 같이 점등된다.
이때 각각의 수소량표시등(226b)을 보면, 1번은 수소저장합금용기(221)가 수소를 모두 방출한 빈 용기이므로 적색(R)으로 표시된다. 2번은 수소저장합금용기(221)가 현재 작동 중에 있으며 약 3분의 1 정도 수소를 소진한 상태이므로 위 3분의 1 부분은 적색(R)으로 나타나며, 아래 3분의 2 부분은 녹색(G)으로 나타낸다. 3번은 수소저장합금용기(221)가 완전 충전된 상태이므로 녹색(G)을 나타낸다. 또한 이 경우 수소방출밸브작동등(226c)은 2번 표시등만 녹색(G) 점등을 하고 있다. 점등의 색깔은 설계 시에 변경하여도 무방하다.
만일, 1번과 2번의 수소저장합금용기(221)가 수소를 모두 소진하고 난 후 마지막 3번 수소저장합금용기(221)가 수소를 방출하고 있는데 계속해서 1번 또는 2번 수소저장합금용기(221) 중 어느 하나의 수소저장합금용기(221)도 교체가 되지 않는 경우, 현재 수소를 방출하고 있는 3번 수소저장합금용기(221)의 수소잔량이 사전에 설정된 1차 경고수준(예; 30%)에 도달하면 연료소진경고등(226d)이 점등을 하고, 이어 다음 경고수준(예; 10%)에 도달하면 경고음발생기(226e)가 경고음을 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연료전지 지게차(100)의 총체적인 시스템제어도로, 시스템제어기(300)는 컴퓨터시스템과 제어프로그램으로 구성되며,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연료전지 지게차(100)의 모든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시스템제어기(300)는 조이스틱(320), 가속페달(330), 브레이크페달(340), 조향핸들(350)의 조작신호와 전력 제어장치(230)로부터 검출되는 전동모터의 소요전력, 수퍼캐패시터(240)의 잔류전력과 도시하지 아니한 각종 센서로부터 검출되는 검출치를 입력하고, 이들 입력한 값에 기초하여 연료전지(210)와 연료공급장치(22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또한 전력제어장치(230)에 대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연료전지 지게차(100)가 주행할 때 좌우 전동주행모터(250)의 소요 구동력은 운전자가 조작하는 가속페달(330)과 조향핸들(350)의 조작신호와 노면의 상태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한다. 전력제어장치(230)를 구성하는 전동모터제어기(232)는 실시간으로 변하는 좌우 전동주행모터(250)의 각각의 소요구동력을 시스템제어기(300)의 출력신호에 따라 분배기(231)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좌우 전동주행모터(250)에 필요한 만큼 분배하여 줌으로써 연료전지 지게차(100)의 주행을 원활하게 하고, 에너지효율을 극대화 한다.
또한, 연료전지 지게차(100)가 화물을 들어 올리고 내리고 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동작은 모두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이스틱(320)의 조작신호에 의한다. 전력제어장치(230)를 구성하는 조이스틱제어기(233)는 조이스틱(320)의 조작신호와 유압컨트롤밸브(310)의 부하센서로부터 검출되는 리프트실린더(123)와 틸트실린더(124)의 부하를 입력하여 출력되는 시스템제어기(300)의 출력신호에 따라 분배기(231)로 하여금 유압펌프구동전동모터(260)에 필요로 하는 전력을 공급토록 하고, 또한 유압컨트롤밸브(310)를 제어하여 각 실린더가 필요로 하는 유량과 유압을 공급토록 제어한다.
또한, 시스템제어기(300)는 연료전지(210)가 장시간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경우에도 수퍼캐패시터(240)가 연료전지 지게차(100)를 구성하는 모든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여 언제라도 연료전지(210)가 작동할 수 있는 운전조건을 유지시킨다. 또한 시스템제어기(300)는 장시간에 걸친 전력공급으로 수퍼캐패시터(240)의 저장전력이 일정수준 이하로 감소하면 연료전지(210)를 작동시켜 수퍼캐패시터(240)를 충전시킨다.
본 발명의 연료전지 지게차(100)는 엔진지게차와 전동지게차를 대체하는 친환경적인 지게차로 빠른 시일 내에 그 실용화가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의 연료전지 지게차(100)는 운전자가 사용 후 빈 수소저장합금용기를 비용을 지불하고 충전된 수소저장합금용기와 교환할 수 있고, 연료전지 지게차(100)의 운행목적, 지역 및 상황에 따라 여분의 수소저장합금용기를 준비할 수 있어 운전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계속하여 운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료전지 지게차(100)는 수소연료의 공급자가 회수된 빈 수소저장합금용기를 충전소에서 재충전하여 기존의 유통망을 통해 공급하면 되므로 수소연료의 공급을 위해 새로운 인프라를 구축할 필요가 없어 경제성이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의 연료전지 지게차(100)는 공해를 유발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지게차로서, 운전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운전할 수 있으며, 경제성이 크게 향상되고, 수소저장합금용기의 취급이 용이하고 안전하여 실용성과 상품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된 연료전지 지게차(100)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토대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위의 기재 내용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중 괄호를 사용하여 기재한 도면부호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참고로 부기한 것으로, 본 발명은 도면상의 형태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료전지 지게차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연료전지 지게차의 개략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연료전지 지게차의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연료공급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수소저장합금용기의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연료공급장치의 전자밸브 및 수소방출밸브의 개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수소연료게이지의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연료전지 지게차의 시스템제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연료전지 지게차 110 : 차량본체
111 : 차체 112 :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
113 : 구동륜(전륜) 114 : 조향륜(후륜)
115 : 운전석 120 : 작업장치
121 : 마스트(mast) 122 : 포크(fork)
123 : 리프트실린더(lift cylinder) 124 : 틸트실린더(tilt cylinder)
210 : 연료전지 220 : 연료공급장치
221 : 수소저장합금용기 221a : 수소저장합금
221b : 합금저장용기 221c : 수소튜브
221d : 수소방출밸브 221e : 오리피스(orifice)
221f : 볼(ball) 221g : 스프링(spring)
221h : 센서단자 221j : 수소량센서
221k : 온도센서 221m : 가열기
222 : 수소공급조절기 223 : 전자밸브
223a : 작용부 223b : 솔레노이드부
223c : 작동간 223d : 스프링(spring)
223e : 유공 223f : 내돌부
223g : 팩킹(packing) 223h : 전원단자
223j : 방출로 223k : 영구자석
223m : 솔레노이드(solenoid) 223n : 여자체
223p : 헤드(head) 223s : 외돌부
224 : 원웨이밸브(one-way valve) 225 : 레귤레이터(regulator)
226 : 수소연료게이지 226a : 용기번호등
226b :수소량표시등 226c : 수소방출밸브작동등
226d : 연료소진경고등 226e : 경고음발생기
230 : 전력제어장치 231 : 분배기
232 : 전동모터제어기 233 : 조이스틱제어기
240 : 수퍼캐패시터(supercapacitor) 250: 전동주행모터
260 : 유압펌프구동전동모터 270 : 유압펌프
300 : 시스템제어기 310 : 유압컨트롤밸브
320 : 조이스틱(joystick) 330 : 가속페달
340 : 브레이크페달(brake pedal) 350 : 조향핸들

Claims (11)

  1. 수소의 화학에너지를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해 전력으로 변환시키는 연료전지(210); 연료전지가 전기를 발전하는데 필요한 수소연료를 저장하고 공급하는 연료공급장치(220); 연료전지가 발전한 직류전기를 연료전지 지게차(100)가 필요로 하는 전력으로 변환하고 제어해 주는 전력제어장치(230); 연료전지가 발전한 전력의 일부를 저장하여 연료전지 지게차(100)를 구성하는 모든 장치들이 작동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고, 각종 전동모터의 급격한 부하변동에 대응하기 위한 전력저장장치로서의 수퍼캐패시터(240); 연료전지 지게차(100)를 주행시키는 전동주행모터(250); 연료전지 지게차(100)의 작업장치를 작동시키는 유압을 발생하는 유압펌프(270)를 구동하는 유압펌프구동전동모터(260); 그리고 연료전지 지게차(100)를 구성하는 모든 장치들이 최적의 상태로 작동할 수 있게 총체적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제어기(300)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지게차(100)에서,
    상기 연료공급장치(220)로 수소저장합금용기(221)를 2대 이상 병렬로 설치하고,
    수소공급조절기(222)를 추가로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수소공급조절기(222)를 상기 수소저장합금용기(221)와 상기 시스템제어기(300)에 연결하여,
    상기 시스템제어기(3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2대 이상의 수소저장합금용기(221) 중 하나의 수소저장합금용기(221)의 수소방출밸브(221d)만이 개방되고 그 이외의 수소저장합금용기(221)의 수소방출밸브(221d)는 닫힌 상태로 제어되고,
    방출 중인 상기 수소저장합금용기(221)의 수소잔량이 일정수준에 도달하면 그 다음 순서의 수소저장합금용기(221)의 수소방출밸브(221d)가 열림과 동시에 지금까지 수소를 방출해 온 수소저장합금용기(221)의 수소방출밸브(221d)는 닫히도록 제어되어 연속운전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지게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공급조절기(222)는 전자밸브(223), 상기 전자밸브(223) 이후에 설치되는 원웨이밸브(224) 및 상기 원웨이밸브(224) 이후에 배치되는 레귤레이터(225)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밸브(223)의 방출로(223j)와 상기 원웨이밸브(224)의 입구가 수소공급관으로 연결되고,
    상기 원웨이밸브(224)의 출구와 상기 레귤레이터(225)의 입구가 수소공급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레귤레이터(225)의 출구는 수소공급관으로 상기 연료전지(210)에 연결되고,
    상기 전자밸브(223)가 상기 수소저장합금용기(221)의 수소방출밸브(221d)와 연결되어 상기 시스템제어기(3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수소방출밸브(221d)를 개폐하며,
    상기 원웨이밸브(224)는 수소를 방출하고 있지 않는 다른 수소저장합금용기(221)와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전자밸브(223)로 수소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전자밸브(223)의 작동에 따라 상기 수소저장합금용기(221)로부터 방출된 수소는 상기 원웨이밸브(224)를 통과하여 상기 레귤레이터(225)에 도착하며,
    상기 레귤레이터(225)는 상기 시스템제어기(300)의 제어에 따라 고압의 수소를 감압시켜서 상기 연료전지(210)가 필요로 하는 양만큼 상기 연료전지(210)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지게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밸브(223)는 작용부(223a), 상기 작용부(223a)의 후면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부(223b) 및 상기 작용부(223a)와 상기 솔레노이드부(223b)의 내부에 설치되는 작동간(223c)으로 구성되고,
    상기 작용부(223a)는 선단부에 팩킹(223g)과 유공(223e)을 구비하고 후단부에 내돌부(223f)와 방출로(223j)를 구비한 내부 공간부에 스프링(223d)이 장착되고 본체의 한편에 전원단자(223h)를 설치한 구성이고,
    상기 솔레노이드부(223b)는 상기 작용부(223a)의 후면에 설치되며, 그 내부에 솔레노이드(223m), 여자체(223n) 및 영구자석(223k)이 순차적으로 설치된 구성이고,
    상기 작동간(223c)은 상기 작용부(223a)와 상기 솔레노이드부(223b)에 걸쳐 설치되는 막대형상으로 솔레노이드부(223b)측 단부에는 헤드(223p)가 형성되어 있고, 작용부(223a)측에는 외돌부(223s)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밸브(223)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영구자석(223k)의 자력과 상기 스프링(223d)의 탄력에 의하여 상기 작동간(223c)이 상기 솔레노이드부(223b)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헤드(223p)가 상기 영구자석(223k)에 흡착되고 상기 외돌부(223s)가 상기 내돌부(223f)에 밀착되어 있고,
    상기 전자밸브(223)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솔레노이드부(223b)의 여자체(223n)가 여자(勵磁)되고 상기 여자체(223n)의 자력이 상기 헤드(223p)를 당기게 되어 상기 작동간(223c)이 상기 작용부(223a)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헤드(223p)가 상기 여자체(223n)에 흡착되고,
    상기 작동간(223c)이 상기 작용부(223a) 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작동간(223c)의 외돌부(223s)가 상기 내돌부(223f)에서 떨어짐과 동시에 상기 작동간(223c)은 상기 수소저장합금용기(221)의 상기 수소방출밸브(221d)의 볼(221f)을 상기 수소저장합금용기(221)의 내측으로 밀게 되어 상기 수소방출밸브(221d)의 오리피스(221e)가 열리면서 상기 수소저장합금용기(221) 내의 수소가 방출되며,
    방출된 수소는 상기 전자밸브(223)의 작동간(223c)의 주위의 복수의 유공(223e)을 거쳐서 상기 내돌부(223f) 쪽으로 이동하고, 상기 작동간(223c)의 외돌부(223s)가 이미 상기 내돌부(223f)에서 떨어져 상기 내돌부(223f) 부근이 개방되어 있는 공간을 통과한 수소는 상기 방출로(223j)를 통해 상기 원웨이밸브(224)를 통과하여 상기 레귤레이터(225)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지게차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저장합금용기(221)의 수소방출밸브(221d)는 합금저장용기(221b)의 내부에 장착시킨 수소튜브(221c)의 상단에 설치되고 오리피스(221e), 볼(221f), 스프링(221g)이 순차적으로 내부에 설치된 구성으로,
    상기 수소방출밸브(221d)는 상시에는 닫힌 상태로 유지되고, 시스템제어기(300)의 제어에 따라 전자밸브(223)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전자밸브(223)의 작동간(223c)에 의하여 열리게 되며,
    상기 수소방출밸브(221d)는 수소저장합금용기(221)에 수소를 충전할 때에는 수소충전밸브의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지게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저장합금용기(221)에 온도센서(221k)와 가열기(221m)가 설치되어, 수소저장합금(221a)의 수소방출에 필요한 열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지게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저장합금용기(221)에 수소잔량센서(221j)가 설치되어 있어, 수소저장합금용기(221) 내의 수소의 잔량을 수소연료게이지(226)에 표시하고, 수소가 방출 중에는 수소의 잔량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며, 수소의 잔량이 일정수준에 도달 하면 경고를 발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지게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제어장치(230)는 분배기(231), 전동모터제어기(232), 조이스틱제어기(233)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모터제어기(232)는 실시간으로 변하는 전동주행모터(250)와 유압펌프구동전동모터(260)의 각기 다른 소요구동력을 구하여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분배기(231)로 하여금 상기 전동주행모터(250)와 상기 유압펌프구동전동모터(260)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조이스틱제어기(233)는 조이스틱(320)의 조작신호와 유압컨트롤밸브(310)의 부하센서로부터 검출되는 리프트실린더(123)와 틸트실린더(124)의 부하를 입력하여 출력되는 시스템제어기(300)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분배기(231)로 하여금 상기 유압펌프구동전동모터(260)에 필요로 하는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며,
    또한, 상기 조이스틱제어기(233)는 상기 유압컨트롤밸브(310)를 제어하여 상기 리프트실린더(123)와 상기 틸트실린더(124)가 필요로 하는 유량과 유압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지게차
  10. 삭제
  11. 삭제
KR1020090063271A 2009-07-11 2009-07-11 연료전지 지게차 KR101072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271A KR101072878B1 (ko) 2009-07-11 2009-07-11 연료전지 지게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271A KR101072878B1 (ko) 2009-07-11 2009-07-11 연료전지 지게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754A KR20110005754A (ko) 2011-01-19
KR101072878B1 true KR101072878B1 (ko) 2011-10-17

Family

ID=43612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3271A KR101072878B1 (ko) 2009-07-11 2009-07-11 연료전지 지게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28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986U (ko) * 2014-11-05 2015-08-03 (주)진우산업기계 무선제어형 전자척
KR20160112689A (ko) 2015-03-20 2016-09-28 (주)태진이엔지 배터리를 쉽게 교환할 수 있는 전동 지게차
KR20200117611A (ko) 2019-04-05 2020-10-14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에너지 회생기능을 가지는 pem 연료전지 지게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806840D0 (en) * 2018-04-26 2018-06-13 Univ Of The Western Cape Metal hydride hydrogen storage arrangement for use in a fuel cell utility veh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70708B1 (ko) * 2020-11-18 2022-11-28 에스퓨얼셀(주) 연료전지 지게차
KR102353924B1 (ko) 2021-08-20 2022-01-2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수소연료전지 트랙터
KR102339926B1 (ko) 2021-08-20 2021-12-1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수소연료전지 구동 승용 관리기
KR102336150B1 (ko) 2021-09-07 2021-12-0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4륜 구동 트랙터의 수소연료전지 플랫폼
ES2946361A1 (es) * 2022-01-14 2023-07-17 H2Vector Energy Technoligies Sl Sistema de transmisión mixto de hidrógeno para el accionamiento de grúas hidráulicas
CN114709449B (zh) * 2022-04-19 2023-11-14 江苏集萃安泰创明先进能源材料研究院有限公司 一种以固态储氢为氢源的燃料电池叉车电源系统
JP2024095106A (ja) * 2022-12-28 2024-07-10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両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4949A (ja) * 2003-08-07 2005-03-03 Toyota Motor Corp 複数タンクからなるタンク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5312243A (ja) * 2004-04-23 2005-11-04 Nissan Motor Co Ltd 移動体の回生電力制御装置
JP2007230464A (ja) * 2006-03-03 2007-09-13 Toyota Industries Corp 荷役車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4949A (ja) * 2003-08-07 2005-03-03 Toyota Motor Corp 複数タンクからなるタンク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5312243A (ja) * 2004-04-23 2005-11-04 Nissan Motor Co Ltd 移動体の回生電力制御装置
JP2007230464A (ja) * 2006-03-03 2007-09-13 Toyota Industries Corp 荷役車両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986U (ko) * 2014-11-05 2015-08-03 (주)진우산업기계 무선제어형 전자척
KR200480747Y1 (ko) * 2014-11-05 2016-07-04 (주)진우산업기계 무선제어형 전자척
KR20160112689A (ko) 2015-03-20 2016-09-28 (주)태진이엔지 배터리를 쉽게 교환할 수 있는 전동 지게차
KR20200117611A (ko) 2019-04-05 2020-10-14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에너지 회생기능을 가지는 pem 연료전지 지게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754A (ko) 201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2878B1 (ko) 연료전지 지게차
KR101179617B1 (ko) 연료전지 굴삭기
KR101052599B1 (ko) 수소저장합금용기를 구비한 연료전지 자동차
KR101095309B1 (ko) 수소저장합금용기를 구비한 연료전지시스템
CN102780016B (zh) 燃料电池系统
US20090236182A1 (en) Fuel cell industrial vehicle
US20060147776A1 (en) Fuel cell system
JP3156582U (ja) ハイブリッド型産業車両
US8789473B2 (en) Flow battery control system for a locomotive
WO2014048253A1 (zh) 紧凑型燃料电池电源系统
KR101198667B1 (ko) 연료전지 하이브리드차의 전력분배 제어방법
KR101055643B1 (ko) 연료전지 자전거
US6691810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fuel cell vehicle
JP2005029154A (ja) 電気式の走行駆動装置を備えた産業用トレーラ
JPH08119180A (ja) 電動自転車
KR20100118309A (ko) 연료전지 휠체어
KR101051921B1 (ko) 연료전지 스쿠터
US20080003469A1 (en) Fuel Cell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3993327A (zh) 一种氢氧气体发生装置及具有其的汽车
KR20110099082A (ko) 연료전지 골프카
KR20100118303A (ko) 다용도 연료전지 스쿠터
KR102198830B1 (ko) 에너지 회생기능을 가지는 pem 연료전지 지게차
KR102347800B1 (ko) 수소충전소 정전시 비상전원공급 시스템
KR20120013492A (ko)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JP7151040B2 (ja) 無人搬送システム及び無人搬送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