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669Y1 - 도어 수동 개폐용 비상 스위치 - Google Patents

도어 수동 개폐용 비상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669Y1
KR200480669Y1 KR2020140008043U KR20140008043U KR200480669Y1 KR 200480669 Y1 KR200480669 Y1 KR 200480669Y1 KR 2020140008043 U KR2020140008043 U KR 2020140008043U KR 20140008043 U KR20140008043 U KR 20140008043U KR 200480669 Y1 KR200480669 Y1 KR 2004806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door
lock device
groove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80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1589U (ko
Inventor
이종걸
이용범
Original Assignee
(주)이건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건산전 filed Critical (주)이건산전
Priority to KR20201400080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669Y1/ko
Publication of KR201600015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5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6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6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Abstract

본 고안의 도어 수동 개폐용 비상 스위치는, 일정한 움직임 동작을 갖는 외부의 편이 걸리도록 일정한 홈을 갖는 로크 디바이스; 비상시 핸들을 잡아당기는 경우, 상기 편이 상기 로크 디바이스의 홈에 걸리도록 하여 도어의 자동 개폐동작 상태를 해제시키도록 하는 핸들 구조체; 및 외력에 의해 접점이 눌리는 경우 도어 제어기로 해제신호를 전송하여 도어의 자동 개폐동작 상태를 해제시키는 스냅 스위치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도어 수동 개폐용 비상 스위치{EMERGENCY SWITCH FOR MANUALLY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본 고안은 도어 수동 개폐용 비상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홀을 통해 수직방향으로 몸통과 볼트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로크 디바이스와, 비상시 핸들을 잡아당기는 경우, 편이 로크 디바이스의 홈에 걸리도록 하여 스냅 스위치로 하여금 도어 제어기로 해제신호를 전송하도록 하여 도어의 자동 개폐동작 상태를 해제시키도록 하는 핸들 구조체를 구비함으로써, 비상시 신속하고 안전하게 열차의 도어를 수동으로 개폐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도어 수동 개폐용 비상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대중교통을 비롯하여 주로 다수의 사람을 함께 이동시키는 대형 운송수단으로 이용되는 버스, 전철, 기차 등의 차량에는 많은 승객이 신속하게 승/하차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출입구가 구비되며, 각 출입구에는 운전자나 승무원이 간단한 조작을 통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자동 개폐되는 출입문이 설치된다.
이러한 자동 개폐식 출입문은 슬라이드식이나 회동식 등 다양한 개폐 구조를 가지며, 전동식이나 유압식 등 다양한 방식의 구동장치에 의해 작동된다. 예를 들어 전철과 같은 철도 차량에는 각 출입구 별로 설치된 한 쌍의 도어 몸체가 모터 구동장치에 의해 슬라이드 식으로 개폐되는 전동식 출입문이 설치된다.
한편, 차량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고장이 생겨 운행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비상 상황으로 인해 승객들이 하차하고자 할 때, 출입문의 자동 개방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위하여 승객들이 직접수동으로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도록 비상 개방용 해제장치가 설치된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종래 고안에 따른 도어 수동 개폐용 비상 스위치의 내부 구성 및 외부 형태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2a는 도 1a의 구성 중 종래 기술에 따른 제1 로크 디바이스의 결합 구조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2b 및 도 2c는 각각 종래 기술에 따른 제1 로크 디바이스의 결합 구조에 의할 때 제1 에러 유형 및 제2 에러 유형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종래 고안에 따른 도어 수동 개폐용 비상 스위치(100)는 핸들(10), 핸들 가이드(11), 핸들 샤프트(13) 및 편(14)으로 구성된 핸들 구조체와, 비상시 핸들(10)을 잡아당기는 경우, 편(14)이 제1 홈(25a)에 걸리는 구조를 갖는 제1 로크 디바이스(20a) 및 비상시 접점이 눌리는 동작에 의해 도어 제어기로 해제신호를 전송하여 도어의 자동 개폐동작 상태를 해제시키는 스냅 스위치(30)를 포함한다.
하지만, 종래 고안에 따른 도어 수동 개폐용 비상 스위치(100)의 구성 중 제1 로크 디바이스(20a)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는데, 이하 도 2a ~ 도2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1 로크 디바이스(20a)는 제1 수평부재(21a), 제1 수직부재(22a), 제1 홈(25a), 제1 몸통(27a) 및 제1 볼트(28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제1 몸통(27a)과 제1 수평부재(21a)가 제1 볼트(28a)에 의해 지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결합됨으로 인해, 일정시간 동안 일정한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제1 수평부재(21a)가 처음 고정위치로부터 화살표 방향으로 이탈되는 상황이 발생하곤 하였다.
이로 인해, 종래 고안은 도 2b에 도시된 바대로, 편(14)이 제1 홈(25a)에 제대로 걸리지 않거나, 심지어는 도 2c에 도시된 바대로, 편(14)이 제1 로크 디바이스(20a)의 밑으로 위치하는 에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음으로 도 1b를 참조하면, 종래 고안에 따른 도어 수동 개폐용 비상 스위치(100)의 외부 형태는 직육면체 케이스의 표면 중앙 하부 측에 설치된 둥근 홀을 갖는 키 가이드(40)와 키 가이드(40)의 내부에 조립되는 사각 형태의 머리를 갖는 제1 키 샤프트(42a)를 구비하며, 케이스의 일 측면에 접지를 위해 설치된 제1 접지볼트(51a)를 갖는다.
하지만, 종래 고안은 제1 키 샤프트(42a)의 길이가 2mm 정도에 불과하여 제1 키 샤프트(42a)의 머리 부분인 사각 돌출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정도가 미흡하였고, 이로 인해 비정상적인 해제상태에서 정상 대기상태로 복귀 시 별도로 구비된 사각키를 사각 볼록부에 끼워서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작업을 구현하는데 수월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고안은 제1 접지볼트(51a)가 비표준 규격인 M4를 사용함으로 인해, 접지선 및 치공구 사용 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29086호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홀을 통해 수직방향으로 몸통과 볼트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로크 디바이스와, 비상시 핸들을 잡아당기는 경우, 편이 로크 디바이스의 홈에 걸리도록 하여 스냅 스위치로 하여금 도어 제어기로 해제신호를 전송하도록 하여 도어의 자동 개폐동작 상태를 해제시키도록 하는 핸들 구조체를 구비함으로써, 비상시 신속하고 안전하게 열차의 도어를 수동으로 개폐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도어 수동 개폐용 비상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수동 개폐용 비상 스위치는, 일정한 움직임 동작을 갖는 외부의 편이 걸리도록 일정한 홈을 갖는 로크 디바이스; 비상시 핸들을 잡아당기는 경우, 상기 편이 상기 로크 디바이스의 홈에 걸리도록 하여 도어의 자동 개폐동작 상태를 해제시키도록 하는 핸들 구조체; 및 외력에 의해 접점이 눌리는 경우 도어 제어기로 해제신호를 전송하여 도어의 자동 개폐동작 상태를 해제시키는 스냅 스위치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고안은 비상시 신속하고 안전하게 열차의 도어를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음으로 인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 고안에 따른 도어 수동 개폐용 비상 스위치의 내부 구성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b는 종래 고안에 따른 도어 수동 개폐용 비상 스위치의 외부 형태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도 1a의 구성 중 종래 기술에 따른 제1 로크 디바이스의 결합 구조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1 로크 디바이스의 결합 구조에 의할 때 제1 에러 유형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c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1 로크 디바이스의 결합 구조에 의할 때 제2 에러 유형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수동 개폐용 비상 스위치의 내부 구성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수동 개폐용 비상 스위치의 내부 구성을 정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수동 개폐용 비상 스위치의 외부 형태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도 3a의 구성 중 본 고안에 따른 제2 로크 디바이스의 결합 구조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b는 본 고안의 구성 부품 중 사각키와 제2 키 샤프트의 외형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c는 본 고안의 구성 부품 중 키 가이드, 키 가이드 너트, 키 샤프트, 토션 스프링 및 제2 로크 디바이스의 결합 전의 분해 상태를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수동 개폐용 비상 스위치의 대기상태에서 비상상태로 동작할 때의 상태를 정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b는 도 5a의 작동에 관련되는 주요 부품을 확대해서 정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 및 도 3b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수동 개폐용 비상 스위치의 내부 구성을 사시도 및 정면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수동 개폐용 비상 스위치의 외부 형태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도 3a의 구성 중 본 고안에 따른 제2 로크 디바이스의 결합 구조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4b는 본 고안의 구성 부품 중 사각키와 제2 키 샤프트의 외형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며, 도 4c는 본 고안의 구성 부품 중 키 가이드, 키 가이드 너트, 키 샤프트, 토션 스프링 및 제2 로크 디바이스의 결합 전의 분해 상태를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3a ~ 도 4c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수동 개폐용 비상 스위치의 구성 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수동 개폐용 비상 스위치(200)는 핸들(10), 핸들 가이드(11), 압축 스프링(12), 핸들 샤프트(13), 편(14), 제2 로크 디바이스(20b) 및 스냅 스위치(3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핸들(10), 핸들 가이드(11), 압축 스프링(12), 핸들 샤프트(13) 및 편(14)은 순서대로 차례로 조립되어 완성되는 핸들 구조체를 형성한다.
핸들(10)은 비상시 손으로 잡아당길 수 있는 손잡이 형태를 가지고, 핸들 샤프트(13)는 핸들(10)과 연결되며, 중심축으로 막대 형상을 가지며, 편(14)은 핸들 샤프트(13)에 연결되며, 제2 로크 디바이스(20b)의 제2 홈(25b)에 걸리도록 판상의 조각 형태를 가지고, 핸들 가이드(11)는 핸들(10) 및 핸들 샤프트(13)를 중심축으로 가이드 해준다.
특히 압축 스프링(12)은 핸들 가이드(11)와 핸들 샤프트(13) 사이에 설치됨으로 탄성 복원력에 의해 핸들(10) 및 핸들 샤프트(13)가 다시 원래상태로 안쪽으로 밀려들어가면서 움직임이 이탈되지 않도록 해준다.
제2 로크 디바이스(20b)는 몸체 일부에 제2 홈(25b)을 구비하여 핸들 샤프트(13)에 연결된 제2 편(14)이 제2 홈(25b)에 걸리도록 해주는데, 이 경우 제2 홈(25b)의 폭은 종전의 5mm 이하에서 6mm 이상으로 확대하여 제2 편(14)이 보다 여유롭게 제2 홈(25b)에 걸리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하 도 4a를 참조하여 종래의 제1 로크 디바이스(20a)에 비해 변경된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2 로크 디바이스(20b)는 제2 수평부재(21b), 제2 수직부재(22b), 제2 홀(23b), 제2 홈(25b), 제2 몸통(27b), 제2 너트(28b) 및 제2 볼트(29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2 수평부재(21b), 제2 수직부재(22b), 제2 홀(23b) 및 제2 홈(25b)은 일체를 이루며, 제2 홀(23b)은 제2 수평부재(21b)의 연장 선 상에 사각 형태의 홀(hole)을 가지며, 제2 홈(25b)은 제2 수평부재(21b) 상의 일 부분을 ㄷ자 형태의 홈을 파서 형성되고, 제2 수직부재(22b)는 제2 수평부재(21b)와 수직방향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조립된다.
제2 몸통(27b)은 지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몸체로, 제2 몸통(27b)의 수직 끝단부에 제2 홀(23b)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제2 너트(28b)를 가지며, 제2 너트(28b)는 제2 볼트(29b)와 볼트 결합으로 체결됨으로써, 제2 몸통(27b)과 제2 로크 디바이스(20b)를 상호 고정 시킨다.
이로써, 제2 로크 디바이스(20b)는 제2 홀(23b)을 통해 수직방향으로 볼트 결합됨으로써, 종래의 제1 로크 디바이스(20a)가 제1 몸통(27a)과 수평방향으로 볼트 결합되는 방식에 비해 상하 좌우 방향으로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제2 홈(25b)에 걸리는 제2 편(14)의 유동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를 갖는다.
스냅 스위치(30)는 몸체 일부에 접점(미도시)이 있어서 접점이 일정한 외력에 의해 눌리는 경우, 도어 제어기(미도시)로 해제신호를 전송하여 자동 개폐동작을 차단시켜 수동으로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해준다.
다음으로 도 3c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비상알람 스위치(200)의 외부 형태는 직육면체 케이스의 표면 중앙 하부 측에 설치된 둥근 홀을 갖는 키 가이드(40)와 키 가이드(40)의 내부에 조립되는 사각 형태의 머리를 갖는 제2 키 샤프트(42b)를 구비하며, 케이스의 일 측면에 접지를 위해 설치된 제2 접지볼트(51b)를 갖는다.
도 4b에 도시된 바대로, 제2 키 샤프트(42b)는 사각 볼록 형태의 머리부, 둥근 형태의 몸통부 및 몸통부 보다 작은 둥근 형태의 꼬리부를 가지는데, 이 경우 머리부와 몸통부 사이에 조립되는 둥근 걸림부의 두께는 종전의 2mm에서 4mm ~ 6mm 갖도록 하여 제2 키 샤프트(42b)가 외부로 더 많이 돌출되도록 하였다.
한편 비정상적인 해제상태에서 정상 대기상태로 복귀 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머리부의 사각 볼록부에 끼워서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사각 오목부 형상의 사각키(62)를 별도로 구비한다.
또한 도 4c에 도시된 바대로, 키 가이드(40), 키 가이드 너트(41), 제2 키 샤프트(42b), 토션 스프링(2) 및 제2 로크 디바이스(20b)는 순서대로 차례로 조립됨으로 전체 부품이 일체로 작동 된다.
특히 토션 스프링(2)은 제2 키 샤프트(42b)와 제2 로크 디바이스(20b) 사이에 설치되고, 짧고 긴 각각의 다리에 의해 제2 키 샤프트(42b)와 제2 로크 디바이스(20b)가 힘을 받는 구조로 조립되는데, 이로써 핸들(10)을 잡아당길 경우 토션 스프링(2)에 힘이 들어가 탄성력에 의해 제2 로크 디바이스(20b)의 제2 홈(25b)에 제2 편(14)이 걸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토션 스프링(2)의 긴 다리가 제2 로크 디바이스(20b)에 걸치는 구조로 인해 제2 로크 디바이스(20b)의 제2 수직부재(22b)가 위에서 아래 방향(시계방향)으로 움직여 스냅 스위치(30)의 접점(31)을 누르게 된다. (도 5a, 도 5b 참조)
다음으로 제2 접지볼트(51b)는 종래의 M4 규격에서 표준화 규격인 M5 규격을 적용함으로, 종래의 비표준 규격으로 인한 접지선 및 치공구 사용 시 번거로움을 해소하였다.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수동 개폐용 비상 스위치의 대기상태에서 비상상태로 동작할 때의 상태를 정면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도 5a의 작동에 관련되는 주요 부품을 확대해서 정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수동 개폐용 비상 스위치의 작동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비상상태에 돌입되기 직전의 정상적인 대기 상태의 경우, 압축 스프링(12)에 의해 핸들(10) 및 핸들 샤프트(13)가 내부로 들어가 있고, 또한 핸들 샤프트(13)에 의해 제2 로크 디바이스(20b)와 스냅 스위치(30)가 떨어진 상태로, 제2 키 샤프트(42b)와 제2 로크 디바이스(20b) 사이에 설치된 토션 스프링(2)의 압력을 받는다.
다음으로, 비상 상태에 돌입된 경우 핸들(10)을 잡아당기면, 제2 키 샤프트(42b)와 제2 로크 디바이스(20b) 사이에 설치된 토션 스프링(2)에 힘이 들어가게 되고, 핸들 샤프트(13)의 편(14)이 제2 로크 디바이스(20b)의 제2 홈(25b)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제2 홈(25b)에 걸리게 됨으로써, 제2 로크 디바이스(20b)의 제2 수직부재(22b)의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의 움직임으로 인한 접촉에 의해 스냅 스위치(30)의 접점(31)이 눌러짐으로 해제신호를 도어 제어기(미도시)로 전송하여 자동 도어 개폐 기능을 차단하고, 수동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해제상태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비상상태 종료 후 최초의 대기 상태로 복귀하고자 하는 경우, 별도의 사각키(62)를 키 가이드(40)와 제2 키 샤프트(42b)에 맞춰 대략 30도 정도 회전시키면, 제2 키 샤프트(42b)와 제2 로크 디바이스(20b) 사이에 설치된 토션 스프링(2)에 작용되는 힘에 의해 제2 로크 디바이스(20b)도 연동되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 홈(25b)에 걸려 있던 편(14)이 빠지게 되고, 이로 인해 압축 스프링(12)에 의해 핸들(10) 및 핸들 샤프트(13)가 다시 원래상태로 밀려들어가면서 스냅 스위치(30)의 접점(31)도 떨어져 처음 상태인 대기상태를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 핸들 11 : 핸들 가이드 12 : 압축 스프링 13 : 핸들 샤프트
14 : 편
20a : 제1 로크 디바이스
21a : 제1 수평부재 22a : 제1 수직부재
25a : 제1 홈
27a : 제1 몸통 28a : 제1 볼트
20b : 제2 로크 디바이스
21b : 제2 수평부재 22b : 제2 수직부재
23b : 제2 홀
27b : 제2 몸통 28b : 제2 너트 29b : 제2 볼트
30 : 스냅 스위치 31 : 접점
40 : 키 가이드
41 : 키 가이드 너트
42a : 제1 키 샤프트 42b : 제2 키 샤프트
2 : 토션 스프링
51a : 제1 접지볼트 51b : 제2 접지볼트

Claims (3)

  1. 일정한 움직임 동작을 갖는 외부의 편이 걸리도록 일정한 홈을 갖는 로크 디바이스;
    비상시 핸들을 잡아당기는 경우, 상기 편이 상기 로크 디바이스의 홈에 걸리도록 하여 도어의 자동 개폐동작 상태를 해제시키도록 하는 핸들 구조체; 및
    외력에 의해 접점이 눌리는 경우 도어 제어기로 해제신호를 전송하여 도어의 자동 개폐동작 상태를 해제시키는 스냅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 구조체는,
    비상시 손으로 잡아당길 수 있는 핸들;
    상기 핸들과 연결되며, 중심축으로 막대 형상을 갖는 핸들 샤프트;
    상기 핸들 및 상기 핸들 샤프트를 상기 중심축으로 가이드 해주는 핸들 가이드;
    상기 핸들 샤프트에 연결되며, 상기 로크 디바이스의 홈에 걸리도록 판상의 조각 형태를 갖는 편; 및
    상기 핸들 가이드와 상기 핸들 샤프트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수동 개폐용 비상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디바이스는,
    수평의 판상을 갖는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의 일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편이 걸리도록 오목 형태로 파진 구조를 갖는 홈;
    상기 수평부재의 끝단 면에 사각형태의 구멍을 갖는 홀;
    상기 홀을 통해 상기 수평부재를 고정시키도록 수직방향으로 볼트 결합되는 몸통;
    상기 몸통의 끝단부에 볼트 결합을 하기 위한 너트; 및
    상기 너트와 볼트 결합을 체결하기 위한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수동 개폐용 비상 스위치.
  3. 삭제
KR2020140008043U 2014-11-05 2014-11-05 도어 수동 개폐용 비상 스위치 KR2004806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043U KR200480669Y1 (ko) 2014-11-05 2014-11-05 도어 수동 개폐용 비상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043U KR200480669Y1 (ko) 2014-11-05 2014-11-05 도어 수동 개폐용 비상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589U KR20160001589U (ko) 2016-05-13
KR200480669Y1 true KR200480669Y1 (ko) 2016-06-22

Family

ID=56023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8043U KR200480669Y1 (ko) 2014-11-05 2014-11-05 도어 수동 개폐용 비상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66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8105A1 (zh) * 2020-05-26 2021-12-02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清洁时车门和照明的控制方法、系统及车辆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407B1 (ko) * 2021-04-27 2023-04-24 주식회사 코하마 전동차의 전원차단용 비상레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446B1 (ko) * 2009-01-06 2011-06-27 주식회사 코하마 스크린 도어의 개폐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장치
KR101186937B1 (ko) * 2010-05-17 2012-09-28 흥일기업주식회사 철도차량용 비상해제 장치
KR101338257B1 (ko) * 2012-05-21 2013-12-06 주식회사 모코 트렁크 리드 래치의 비상용 레버
KR101471544B1 (ko) 2012-08-31 2014-12-11 한국교통연구원 열차 플랫폼 스크린 안전장치의 스크린도어 개폐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8105A1 (zh) * 2020-05-26 2021-12-02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清洁时车门和照明的控制方法、系统及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589U (ko) 2016-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4589B1 (ko) 전기식 도어 잠금장치
KR101560979B1 (ko) 2단 해제용 후드래치
US20130082469A1 (en) Window restrictor
KR200480669Y1 (ko) 도어 수동 개폐용 비상 스위치
US20160130845A1 (en) Outside handle device for vehicle
US20160160537A1 (en) Side door occupant latch with manual release and power lock
US11164705B2 (en) Switching apparatus and associated switch
KR20160037000A (ko) 차량용 후드래치
KR101146493B1 (ko) 안전 도어록
KR20160034506A (ko) 2단 해제용 후드래치
KR20160021401A (ko) 차량용 후드래치
KR101646090B1 (ko) 토잉 후크 캡
KR101751265B1 (ko) 차량용 도어잠금장치
AU2018250423B2 (en) Emergency Exit Window System
KR101902494B1 (ko) 미닫이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
CN210439840U (zh) 一种用于门护栏的锁定装置
KR20160144115A (ko) 창호용 잠금장치
JP5965710B2 (ja) 車両のドアハンドル装置
KR101868425B1 (ko) 락킹장치
KR101481261B1 (ko) 지하철 승강장의 스크린 도어의 비상문의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지하철 승강장의 비상문
EP2821571A1 (en) Locking mechanism, opening system and motor vehicle
US3336066A (en) Automobile door lock
JP5965623B2 (ja) ドアロック装置
US9447616B2 (en) Window opening control device
CN108590394B (zh) 一种平开窗微通风装置和平开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