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425B1 - 락킹장치 - Google Patents

락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425B1
KR101868425B1 KR1020170067475A KR20170067475A KR101868425B1 KR 101868425 B1 KR101868425 B1 KR 101868425B1 KR 1020170067475 A KR1020170067475 A KR 1020170067475A KR 20170067475 A KR20170067475 A KR 20170067475A KR 101868425 B1 KR101868425 B1 KR 101868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main body
bracket
locking
bod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귀국
이필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하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하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하마
Priority to KR1020170067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4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 E05Y2900/4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for railway platform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하우징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탄성부재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탄성부재의 서로 다른 방향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간단한 구성으로도 도어를 잠그거나 열리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락킹장치{Locking device}
본 발명은 락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에 형성되는 잠금핀(103)과 외주면에 함몰형성되는 걸림홈(102)을 포함하는 연결샤프트(101);와, 하부에 상기 연결샤프트(101)가 통과되는 제1 통공(111)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잠금핀(103)이 통과되는 제2 통공(112)이 형성되며, 양측에 함몰홈(114)이 형성된 걸림플레이트(113)가 형성되는 본체하우징(110);과, 상기 함몰홈(114)에 삽입되되, 내측에는 상기 연결샤프트(101)가 통과되는 제3 통공(121)이 형성되는 걸림브라켓(120);과, 상기 본체하우징(110)과 상기 걸림브라켓(120)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탄성부재(140);와, 상기 본체하우징(110) 내에 위치한 상기 연결샤프트(101)의 외측을 감싸는 제2 탄성부재(150);로 구성되어, 상기 걸림홈(102)이 상기 제3 통공(121)의 내주연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걸림브라켓(120)을 가압하는 경우, 상기 걸림홈(102)이 상기 제3 통공(121)의 내주연으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연결샤프트(101)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입구, 현관, 지하철 승강장 등에 설치되는 도어에는 도어를 잠그거나 열릴 수 있도록 락킹장치가 다양한 실시예로 설치된다.
이러한 락킹장치는 도어의 손잡이부분에 설치되어 단순히 도어를 잠그거나 열리도록 구성되는 타입과 도어의 상, 하부에 설치되어 락킹장치와 연결된 조작부재의 조작에 따라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타입 등으로 나뉘게 된다.
이중 하기 특허문헌 1의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록킹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4073호)”는 자동문과 고정문 및 상기 자동문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자동문을 구동하는 구동유닛을 감싸는 구동부 본체를 포함하는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상기 자동문을 잠그고 해제하는 록킹장치에 있어서, 외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자동문을 자동으로 열고 잠그도록 하는 록킹유닛;과, 상기 자동문에 설치되어 선로측에서 사용자가 상기 자동문을 수동으로 열 수 있도록 하는 제1수동 해제유닛; 및, 상기 구동부 본체에 설치되어 승강장측에서 사용자가 상기 자동문을 수동으로 열 수 있도록 하는 제2수동 해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구동부 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외부 프레임; 상기 자동문의 상단에 형성된 삽입홈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자동문의 이동을 구속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벗어나 상기 자동문의 구속을 해제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걸림봉; 외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솔레노이드; 및, 상기 외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걸림봉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솔레노이드와 연결되어, 상기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상기 걸림봉을 상기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힘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동 해제유닛은, 상기 자동문의 외부에 노출되는 록킹해제 손잡이; 및, 상기 록킹해제 손잡이와 연동하도록 상기 자동문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해제 손잡이의 작동시 상승하여 상기 걸림봉을 상기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푸시봉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동작을 안정적으로 실현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록킹장치”는 구조적으로 복잡하게 이루어져 생산의 효율성이 낮고,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유지보수시 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록킹장치의 일부면이 외부에 노출되어 외부로부터의 먼지 또는 이물질이 록킹장치의 내부로 인입됨에 따라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어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407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하우징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탄성부재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탄성부재의 서로 다른 방향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간단한 구성으로도 도어를 잠그거나 열리게 하는 락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체하우징 및 커버부를 별도로 탈착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먼지 또는 이물질 등이 본체하우징에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락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락킹장치는, 상부에 형성되는 잠금핀(103)과 외주면에 함몰형성되는 걸림홈(102)을 포함하는 연결샤프트(101);와, 하부에 상기 연결샤프트(101)가 통과되는 제1 통공(111)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잠금핀(103)이 통과되는 제2 통공(112)이 형성되며, 양측에 함몰홈(114)이 형성된 걸림플레이트(113)가 형성되는 본체하우징(110);과, 상기 함몰홈(114)에 삽입되되, 내측에는 상기 연결샤프트(101)가 통과되는 제3 통공(121)이 형성되는 걸림브라켓(120);과, 상기 본체하우징(110)과 상기 걸림브라켓(120)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탄성부재(140);와, 상기 본체하우징(110) 내에 위치한 상기 연결샤프트(101)의 외측을 감싸는 제2 탄성부재(150);로 구성되어, 상기 걸림홈(102)이 상기 제3 통공(121)의 내주연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걸림브라켓(120)을 가압하는 경우, 상기 걸림홈(102)이 상기 제3 통공(121)의 내주연으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연결샤프트(101)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하우징(110)의 외측에는 상기 본체하우징(110)의 전면 및 양측을 감싸도록 커버부(160)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브라켓(120)의 후면측에는 상기 제1 탄성부재(140)의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걸림브라켓(120)과 결합되도록 결합돌기(1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 통공(121)은 상기 연결샤프트(101)가 상기 제3 통공(1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브라켓(120)이 눌려짐에 따라 상기 걸림브라켓(120)이 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연결샤프트(101)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브라켓(120)의 전면에는 눌림돌기(1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하우징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탄성부재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탄성부재의 서로 다른 방향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간단한 구성으로도 도어를 잠그거나 열리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체하우징 및 커버부를 별도로 탈착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먼지 또는 이물질 등이 본체하우징에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락킹장치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락킹장치의 구성 중 커버부를 제거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락킹장치의 분해된 모습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락킹장치의 작동 전의 모습을 보인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락킹장치의 작동 후의 모습을 보인 실시예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장치(100)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2 또는 도 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장치(100)는 크게, 본체하우징(110), 연결샤프트(101), 걸림브라켓(120), 제1 탄성부재(140) 및 제2 탄성부재(150)로 구성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명확하고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 2, 도 4, 도 5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락킹장치(100)의 구성 중 커버부(160)의 도시를 생략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먼저, 본체하우징(1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본체하우징(110)은 도 3 또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ㄷ“자 형태로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본체하우징(110)의 하부에는 후술할 연결샤프트(101)가 통과되는 제1 통공(111)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하우징(110)의 상부에는 후술할 잠금핀(103)이 통과되는 제2 통공(112)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하우징(110)의 양측에 함몰홈(114)이 각각 형성된 판형상의 걸림플레이트(113)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본체하우징(110)의 외측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본체하우징(110)의 전면 및 양측을 감싸도록 커버부(160)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커버부(160)의 전면에는 후술할 눌림돌기(130)가 상기 커버부(16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통과되도록 통과공(미도시)이 타공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연결샤프트(101)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연결샤프트(101)는 도 3 또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본체하우징(110)과 연결되어 후술할 걸림브라켓(120)의 작동여부에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연결샤프트(101)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걸림브라켓(120)의 제3 통공(121)의 내주연에 걸릴 수 있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링형상의 걸림홈(10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연결샤프트(101)의 상부에는 도어프레임(미도시)에 삽입되는 잠금핀(10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걸림브라켓(1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걸림브라켓(120)은 도 2, 도 3 또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자 형태로 형성되어 수평면(도 4를 기준으로 가로방향의 면)은 상기 함몰홈(114)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샤프트(101)와 연결되어 상기 걸림브라켓(120)의 누름여부에 따라 상기 연결샤프트(101)를 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걸림브라켓(120)의 내측에는 상기 연결샤프트(101)가 통과되는 제3 통공(12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3 통공(121)은 도 3 또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연결샤프트(101)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연결샤프트(101)가 상기 제3 통공(1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브라켓(120)이 눌려짐에 따라 상기 걸림브라켓(120)이 상기 연결샤프트(101)의 방해를 받지 않고 후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또한, 상기 걸림브라켓(120)의 전면에는 상기 통과공(미도시)를 통과하여 상기 커버부(16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눌림돌기(13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커버부(160)가 상기 본체하우징(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의 힘을 상기 걸림브라켓(120)에 전달하여 작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또한, 상기 걸림브라켓(120)의 후면에는 후술할 제1 탄성부재(140)의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걸림브라켓(120)과 결합되도록 결합돌기(122)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탄성부재(140)가 상기 걸림브라켓(1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다음으로, 제1 탄성부재(14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탄성부재(140)는 도 4 또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연결샤프트(101)의 외측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하우징(110)의 하부 내측면과 상기 걸림브라켓(120)의 수평면 사이에 형성되는 일종의 스프링으로서, 상기 제1 탄성부재(140)는 상기 제3 통공(121)의 내주연에 상기 걸림홈(102)이 걸린 상태에서 상기 걸림브라켓(120)을 가압하는 경우, 상기 걸림홈(102)이 상기 제3 통공(121)으로부터 이동제한이 풀림에 따라 이동이 가능한 상기 연결샤프트(101)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연결샤프트(101)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제2 탄성부재(15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2 탄성부재(150)는 도 4 또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본체하우징(110)의 후측 내측면과 상기 결합돌기(122) 사이에 형성되는 일종의 스프링으로서, 상기 제2 탄성부재(140)는 상기 제3 통공(121)으로부터 상기 걸림홈(102)이 이탈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샤프트(101)가 외부의 힘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제3 통공(121)의 내주연에 상기 걸림홈(102)이 지나가는 찰나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3 통공(121)의 내주연에 상기 걸림홈(102)이 끼워져 상기 연결샤프트(101)가 고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연결샤프트(101)의 외측연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연결샤프트(101)가 상기 제1 탄성부재(140)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샤프트(101)에 탄성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연결샤프트(101)의 외주연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탄성부재(140)를 지지하는 와셔부재(170)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락킹장치 101: 연결샤프트
102: 걸림홈 103: 잠금핀
110: 본체하우징
111: 제1 통공 112: 제2 통공
113: 걸림플레이트 114: 함몰홈
120: 걸림브라켓 121: 제3 통공
122: 결합돌기
130: 눌림돌기
140: 제1 탄성부재
150: 제2 탄성부재
160: 커버부
170: 와셔부재

Claims (5)

  1. 상부에 형성되는 잠금핀(103)과 외주면에 함몰형성되는 걸림홈(102)을 포함하는 연결샤프트(101);
    하부에 상기 연결샤프트(101)가 통과되는 제1 통공(111)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잠금핀(103)이 통과되는 제2 통공(112)이 형성되며, 양측에 함몰홈(114)이 형성된 걸림플레이트(113)가 형성되는 본체하우징(110);
    상기 함몰홈(114)에 삽입되되, 내측에는 상기 연결샤프트(101)가 통과되는 제3 통공(121)이 형성되는 걸림브라켓(120);
    상기 본체하우징(110)과 상기 걸림브라켓(120)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탄성부재(140);
    상기 본체하우징(110) 내에 위치한 상기 연결샤프트(101)의 외측을 감싸는 제2 탄성부재(150);로 구성되어,
    상기 걸림홈(102)이 상기 제3 통공(121)의 내주연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걸림브라켓(120)을 가압하는 경우, 상기 걸림홈(102)이 상기 제3 통공(121)의 내주연으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연결샤프트(101)가 상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걸림브라켓(120)의 전면에는 눌림돌기(1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장치(100).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하우징(110)의 외측에는 상기 본체하우징(110)의 전면 및 양측을 감싸도록 커버부(160)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장치(100).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브라켓(120)의 후면측에는 상기 제1 탄성부재(140)의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걸림브라켓(120)과 결합되도록 결합돌기(1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장치(100).
  4.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통공(121)은
    상기 연결샤프트(101)가 상기 제3 통공(1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브라켓(120)이 눌려짐에 따라 상기 걸림브라켓(120)이 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연결사프트(101)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장치(100).
  5. 삭제
KR1020170067475A 2017-05-31 2017-05-31 락킹장치 KR101868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475A KR101868425B1 (ko) 2017-05-31 2017-05-31 락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475A KR101868425B1 (ko) 2017-05-31 2017-05-31 락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8425B1 true KR101868425B1 (ko) 2018-06-20

Family

ID=62770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475A KR101868425B1 (ko) 2017-05-31 2017-05-31 락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42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7309A (ja) * 2008-06-25 2010-01-14 Shibutani:Kk 防火扉のロック具およびロック装置
KR100984073B1 (ko) 2009-11-30 2010-09-28 주식회사 피에쓰링크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록킹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7309A (ja) * 2008-06-25 2010-01-14 Shibutani:Kk 防火扉のロック具およびロック装置
KR100984073B1 (ko) 2009-11-30 2010-09-28 주식회사 피에쓰링크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록킹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8857B1 (ko)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US10030413B2 (en) Outer handle device for vehicle door
JP2006024213A (ja) ポータブルコンピュータのラッチ装置
CN114016827B (zh) 杠杆式压缩闩锁
GB2575738A (en) Zipper lock
US11933068B2 (en) Pull handle structure
KR101868425B1 (ko) 락킹장치
KR101697873B1 (ko) 도어록킹장치
KR101943733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US11835981B2 (en) Operating device
US11840865B2 (en) Pull handle structure
KR200480669Y1 (ko) 도어 수동 개폐용 비상 스위치
KR101923684B1 (ko) 푸쉬풀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해제를 위한 조립체
US12006732B2 (en) Pull handle structure
KR101356843B1 (ko) 유모차의 가드 아암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유모차
KR101909173B1 (ko) 도어용 래치유닛
US6976714B2 (en) Cabinet door system
KR20180026192A (ko) 미닫이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
CN115046092B (zh) 一种电子装置
AU2020254139B2 (en) Operating device
JP4746160B1 (ja) スライド操作子
JP5609733B2 (ja) 誤ロック防止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窓用ロック装置
KR101877676B1 (ko) 방범 프레임용 록킹 장치
KR20110008912U (ko) 안전창의 잠금장치
JP3192403U (ja) 扉用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