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595Y1 - 안전표찰 - Google Patents

안전표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595Y1
KR200480595Y1 KR2020150008677U KR20150008677U KR200480595Y1 KR 200480595 Y1 KR200480595 Y1 KR 200480595Y1 KR 2020150008677 U KR2020150008677 U KR 2020150008677U KR 20150008677 U KR20150008677 U KR 20150008677U KR 200480595 Y1 KR200480595 Y1 KR 2004805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opening
vertical
edge
left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6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현
Original Assignee
박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현 filed Critical 박지현
Priority to KR20201500086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5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5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5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02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 G09F7/08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the elements being secured or adapted to be secured by means of grooves, rails, or sl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002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weather-proof panels or boar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56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6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suspended, e.g. secured to the cei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상부 영역에 개구가 형성된 앞판, 상기 앞판의 상기 개구에 일치하는 내면 영역에 제1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내용이 기재된 뒷판, 상기 앞판과 상기 뒷판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서, 테두리 영역만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테두리 영역 내부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중간판, 및 상기 중간판의 개구에 끼워져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고 상기 앞판의 내면과 접하는 제1면 상에 제2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내용이 기재되어 있는 삽입판을 포함하는 안전표찰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안전표찰에서, 상기 삽입판이 상기 중간판의 개구에서 하부 영역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앞판의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뒷판에 기재된 상기 제1의 상태 표시내용이 외부로 표출되고, 상기 삽입판이 상부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뒷판의 상기 제1의 상태 표시내용을 덮을 때에는 상기 앞판의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삽입판에 기재된 상기 제2의 상태 표시내용이 외부로 표출된다. 본 고안의 안전표찰은 하나의 표찰로 밸브 및 스위치 등의 현재 상태를 표현할 수 있으면서도 그 구조가 간단하고 얇은 두께로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작이 간편하다.

Description

안전표찰{Safety Label}
본 고안은 안전표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위치 또는 밸브의 상태를 하나의 표찰로 표시할 수 있는 안전표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설비의 각종 밸브 및 스위치의 현재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임의조작 등을 방지하여 안전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안전표찰을 밸브 및 스위치 등에 게시한다. 안전표찰은 주로 '열렸음(OPEN)' 및 '닫혔음(CLOSED)'을 각각 표시하는 표찰, 즉 2개의 표찰로 이루어진다.
실용신안등록 제0110177호(1998. 10. 01. 공고)는 안전표찰을 개시하는데, 이러한 안전표찰은 밀폐된 투명의 케이스내에 용도별로 다양한 종류의 표찰화면이 색인된 표찰지를 상하부에 설치된 회전축에 감아 회전레바를 회전시키게 되면 원하는 표찰화면이 표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허등록 제10-0736167호(2007. 06. 29. 등록)는 가스 중간밸브의 안전표시용 커버를 개시한다. 개시된 안전표시용 커버는 상하의 호스끼움홈이 형성된 베이스부 상에 밸브노출공이 형성된 전면부가 단턱지게 연장 형성된 본체를 구성하고, 본체의 전면부에는 밸브노출공이 형성된 안전 안내 표찰과 상기 표찰을 본체의 전면부에 고정시키는 표찰고정테가 조립 결합되어 구성된다. 표찰에는 가스 중간밸브의 상태, 즉 열림과 닫힘이 표시되어 있어 편리하고, 표찰의 분실 염려가 없다.
특허등록 제10-1446063호(2014. 09. 24. 등록)는 가변정보표지를 개시한다. 개시된 가변정보표지는 다수의 표지판이 회전하여 하나의 평면을 이루게 되면 정보의 내용이 표출되고 수직으로 세워지면 정보의 내용이 표출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특허등록 제10-1079761호(2011. 10. 28. 등록)는 전자표찰을 개시한다. 개시된 전자표찰은 스위치부에 의하여 광투과성 필름에 표시된 표시내용을 발광부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표출시키는 것으로서, 표찰의 내용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고 야간에도 식별이 용이하므로 편리하다.
실용신안등록 제0110177호에 개시된 안전표찰은 밸브 및 스위치 등의 현재 상태를 하나의 표찰로 표현할 수 있어 편리한 측면이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고 표찰의 두께를 얇게 구현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자는 하나의 표찰로 밸브 및 스위치 등의 현재 상태를 표현할 수 있으면서도 그 구조가 간단하고 얇은 두께로 구현할 수 있으며, 조작이 간편한 안전표찰에 대하여 연구를 하였다. 그런 결과로 본 고안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표찰로 밸브 및 스위치 등의 현재 상태를 표현할 수 있으면서도 그 구조가 간단하고 얇은 두께로 구현할 수 있으며, 조작이 간편한 안전표찰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안전표찰은 상부 영역에 개구가 형성된 앞판, 상기 앞판의 개구에 일치하는 내면 영역에 제1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내용이 기재된 뒷판, 상기 앞판과 상기 뒷판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서, 테두리 영역만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테두리 영역 내부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중간판, 및 상기 중간판의 개구에 끼워져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고 상기 앞판의 내면과 접하는 제1면 상에 제2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내용이 기재되어 있는 삽입판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안전표찰에서, 상기 삽입판이 상기 중간판의 개구에서 하부 영역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앞판의 개구를 통하여 상기 뒷판에 기재된 상기 제1의 상태 표시내용이 외부로 표출되고, 상기 삽입판이 상부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뒷판의 상기 제1의 상태 표시내용을 덮을 때에는 상기 앞판의 개구를 통하여 상기 삽입판에 기재된 상기 제2의 상태 표시내용이 외부로 표출된다.
상기 앞판, 상기 중간판 및 상기 뒷판은 크기가 서로 일치하고 또한 서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중간판에 형성된 내부 모서리는 상기 중간판의 개구를 정의하도록 상부 모서리, 하부 모서리, 우측 모서리 및 좌측 모서리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모서리는 상부 좌측 모서리와 하부 좌측 모서리로 구분되며, 상기 상부 좌측 모서리는 상기 하부 좌측 모서리보다 좌측으로 들어간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좌측 모서리와 상기 하부 좌측 모서리 사이에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좌측 모서리에는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상부 좌측 모서리 돌출부가 상기 하부 좌측 모서리로부터 연장된 선에 이르는 높이로 또는 그것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판에 형성된 좌측 모서리에는 상기 상부 좌측 모서리에 형성된 상기 상부 좌측 모서리 돌출부에 대응하는 좌측 모서리 요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판의 상기 상부 모서리에는 상부 모서리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판의 상기 상부 모서리에는 상부 모서리 요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삽입판이 상기 중간판의 개구에서 상부방향으로 슬라이딩할 때에는 상기 중간판의 상기 상부 모서리 돌출부가 상기 삽입판의 상기 상부 모서리 요홈부 내부에 수용될 뿐이고 상기 삽입판의 상기 상부 모서리 요홈부와 결합하지 않지만, 상기 삽입판을 좌측으로 밀면 상기 중간판의 상기 상부 모서리 돌출부가 상기 삽입판의 상기 상부 모서리 요홈부와 결합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판의 상부 모서리에 형성되는 상기 상부 모서리 돌출부는 하부로 돌출된 수직 돌출부 및 상기 수직 돌출부로부터 하부로 돌출된 후 상기 수직 돌출부보다 우측으로 돌출된 수직 수평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판의 상부 모서리에 형성되는 상기 상부 모서리 요홈부는 상기 중간판의 상부 모서리에 있는 상기 수직 돌출부의 수평길이 및 상기 수직 수평 돌출부 중 상기 수직 돌출부보다 우측으로 돌출된 영역의 수평길이의 합과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큰 수평길이 및 상기 수직 돌출부의 높이와 동일한 수직길이를 가지는 수직 요홈부 및 상기 수직 요홈부로부터 하부로 요입된 후 상기 수직 요홈부보다 우측으로 요입되어 형성되는 수직 수평 요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의 상태 표시내용은 스위치 또는 밸브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열렸음 또는 OPEN이고 상기 제2의 상태 표시내용은 닫혔음 또는 CLOSED이거나, 또는 그 반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안전표찰은 하나의 표찰로 밸브 및 스위치 등의 현재 상태를 표현할 수 있으면서도 그 구조가 간단하고 얇은 두께로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작이 간편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표찰이 제1의 표시내용을 표출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표찰이 제2의 표시내용을 표출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표찰에서 제1의 표시내용 상태에서 제2의 표시내용 상태로 변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표찰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표찰에서 중간판의 개구 하부에 삽입판이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삽입판을 중간판의 개구에서 상부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서 삽입판의 상부 모서리를 중간판의 상부 모서리에 접촉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삽입판을 좌측으로 밀어넣어 중간판의 돌출부들에 삽입판의 요홈부들을 결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표찰에서 뒷판의 외면에 표시된 내용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안전표찰(10)은 앞판(100), 뒷판(200), 중간판(300) 및 삽입판(40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앞판(100)과 뒷판(200) 사이에 중간판(300)이 개재되고, 삽입판(40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중간판(300)의 개구(320)에 끼워진다. 앞판(100), 뒷판(200) 및 중간판(300)의 크기는 서로 일치하며 서로 일체로 결합한다. 앞판(100), 뒷판(200), 중간판(300) 및 삽입판(400)은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아크릴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판(100), 뒷판(200), 중간판(300) 및 삽입판(400)의 두께는 대체로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1 mm 정도일 수 있다. 안전표찰(10)의 상단부에는 걸이공(11)이 형성될 수 있다.
앞판(100)은 상부 영역에 개구(110)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110)의 형상은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사각형 등 다른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앞판(100)은 외부로 표출되는 외면 및 후술하는 바와 같이 중간판(300) 및 중간판(300)에 끼워지는 삽입판(400)과 접촉하며 외부로 표출되지 않는 내면을 포함한다. 앞판(100)의 외면에서 개구(110) 아래에는 '조작금지'와 같은 경고문구(120)가 표시되어 있고, 그 아래에는 담당자 기재부(130)가 표시되어 있다. 담당자 기재부(130)에는 담당자의 '소속', '성명' 및 '연락처'를 기재할 수 있는 항목이 마련되어 있고 또한 '게시일자'를 기재할 수 있는 항목이 마련되어 있다.
앞판(100)에서 개구(110)는 상부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하부 영역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개구(110)가 앞판(100)의 상부 영역에 형성되는지 또는 하부 영역에 형성되는지는 임의적으로 선택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개구(110)가 앞판(100)의 상부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기준으로 본 고안을 설명하기로 한다.
뒷판(200)은 앞판(100)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데, 앞판(100)의 개구에 일치하는 내면 영역에 예를 들어 '열렸음(OPEN)'과 같은 제1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본 고안의 안전표찰(10)은 스위치 또는 밸브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표출되는 뒷판(200)의 외면(220)에는 '조작금지'와 같은 경고문구(222)가 기재되어 있고, 시각적으로 조작금지의 의미를 가지는 경고심벌(224)이 기재되어 있다.
중간판(300)은 앞판(100)과 뒷판(200) 사이에 개재되는 것이다. 중간판(300)은 테두리 영역만을 가진다. 즉, 중간판(300)은 테두리부(310)만을 가진다. 중간판(300)의 테두리부(310) 내부에는 개구(320)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320)의 전체적인 형상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앞판(100)의 내면과 접하는 삽입판(400)의 제1면 상에는 예를 들어 '닫혔음(CLOSED)'와 같은 제2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삽입판(400)은 중간판(300)의 개구(320)에 끼워진다. 이때, 삽입판(400)의 폭은 중간판(300)의 개구(320)의 폭과 대체로 일치한다. 삽입판(400)은 앞판(100)과 뒷판(200)에 의하여 지지되며 개구(320)에 끼워져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삽입판(400)은 중간판(300)의 개구(320)에 끼워질 때 자중에 의하여 아랫방향으로 슬라이딩하지 않을 정도로 중간판(300)의 개구(320)에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삽입판(400)의 상하방향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판(400)의 일부가 앞판(100)의 개구(110)에 항상 노출되어야 한다. 삽입판(400)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손가락, 손톱 또는 다른 도구를 사용하여 삽입판(400)을 잡아 슬라이딩을 시키기 위하여 슬라이딩용 홈(44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삽입판(400)은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중간판(300)의 개구(320)에 끼워질 때 그것의 자중에 의하여 아랫쪽으로 내려감으로써 결과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안전표찰(10)을 똑바로 세우면 삽입판(400)은 아래로 내려가 숨게 되어 앞판(100)의 개구(110)를 통하여 표출되지 않는 상태가 되고, 본 고안의 안전표찰(10)을 꺼꾸로 세우면 삽입판(400)은 앞판(100)의 개구(110)를 통하여 표출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방식은 본 고안의 안전표찰(10)을 똑바로 세워진 상태에서 걸어 사용하기 때문에 그리고 아래에서 언급하는 바와 같이, 삽입판(400)을 표출시키는 경우에는 삽입판(400)의 좌측 모서리 요홈부(420)와 상부 모서리 요홈부(430)를 중간판(300)의 상부 좌측 모서리 돌출부(350) 및 상부 모서리 돌출부(360)와 각각 결합시켜서 삽입판(400)을 중간판(300)에 고정시키기 때문에 삽입판(400)의 상하슬라이딩과 열렸음 표시와 닫혔음 표시를 선택하는 것이 양립될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의 안전표찰(10)에서, 삽입판(400)이 중간판(300)의 개구(320)에서 하부 영역에 위치할 때에는 삽입판(400)은 뒷판(200)의 상태 표시내용(210)을 가리지 못하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판(100)의 개구(110)를 통하여 뒷판(200)에 기재된 제1의 상태 표시내용(210), 즉 '열렸음(OPEN)'이 외부로 표출된다. 반면에 삽입판(400)이 상부로 슬라이딩하여 고정됨으로써 뒷판(200)의 제1의 상태 표시내용(210), 즉 '열렸음(OPEN)'을 덮을 때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판(100)의 개구(110)를 통하여 삽입판(400)에 기재된 제2의 상태 표시내용(410), 즉 '닫혔음(CLOSED)'이 외부로 표출된다.
한편, 삽입판(400)이 슬라이딩하여 중간판(300)의 개구(320)에서 상부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삽입판(400)에 기재된 제2의 상태 표시내용(410), 즉 '닫혔음(CLOSED)'이 외부로 표출되는데,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삽입판(400)이 자중에 의하여 아랫방향으로 슬라이딩하지 않을 정도로 중간판(300)의 개구(320)에 끼워진 경우라 하더라도, 이러한 상태에서 외부적인 힘, 예를 들어 지속적인 진동이 작용하는 경우에 삽입판(400)은 중력의 작용에 의하여, 즉 그것의 자중에 의하여 중간판(300)의 개구(320)에서 아래로 천천히 미끄러져 내려올 가능성이 있다. 그러한 경우에는 본 고안의 안전표찰(10)이 잘못된 내용을 표시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에, 본 고안의 안전표찰(10)은 삽입판(400)이 중간판(300)의 개구(320)에서 상부 영역에 위치할 경우에 그러한 위치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수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결합수단은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중간판(300)에는 결합돌출부를 형성하고 삽입판(400)에는 결합요홈부를 설치하여 상부로 슬라이딩이 완료된 삽입판(400)을 중간판(300)에 결합하는 것이다. 그러한 결합수단은 삽입판(400)이 중간판(300)의 개구(320)에 끼워질 때 그것의 자중에 의하여 아랫쪽으로 내려감으로써 결과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경우에는 반드시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판(300)의 개구(320)를 정의하는 중간판(300)의 내부 모서리(340)는 상부 모서리(342), 하부 모서리(344), 우측 모서리(330) 및 좌측 모서리(348)로 구분되고, 좌측 모서리(348)는 상부 좌측 모서리(348-1)와 하부 좌측 모서리(348-2)로 구분된다. 상부 좌측 모서리(348-1)는 하부 좌측 모서리(348-2)보다 좌측으로 들어간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 좌측 모서리(348-1)와 하부 좌측 모서리(348-2) 사이에는 단턱(348-3)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좌측 모서리(348-1)에는 하나 이상의 상부 좌측 모서리 돌출부(350)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는 2개의 상부 좌측 모서리 돌출부(350)가 형성되어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상부 좌측 모서리 돌출부(350)는 하부 좌측 모서리(348-2)로부터 연장된 선에 이르는 높이와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삽입판(400)이 중간판(300)의 개구(320)에서 상부방향으로 슬라이딩할 때 상부 좌측 모서리 돌출부(350)에 걸리지 않고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중간판(300)에 형성된 이러한 구성에 호응하여, 삽입판(400)의 좌측 모서리(408)에는 중간판(300)의 상부 좌측 모서리(348-1)에 형성된 상부 좌측 모서리 돌출부(35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좌측 모서리 요홈부(42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삽입판(400)의 폭은 중간판(300)의 개구(320) 중 하부 영역의 폭과 일치한다. 삽입판(400)은 앞판(100)과 뒷판(200)에 의하여 지지되고 삽입판(400)의 일부가 앞판(100)의 개구(110)에 항상 노출되기 때문에 삽입판(400)은 중간판(300)의 개구(320)에서 상부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다. 삽입판(400)의 상부방향 슬라이딩은 삽입판(400)의 상부 모서리(402)가 중간판(300)의 상부 모서리(342)에 접촉할 때까지 하부 좌측 모서리(348-2)의 연장선을 따라 계속된다. 즉, 삽입판(400)의 위치는 도 5의 상태에서 도 6의 상태로 변화된다. 삽입판(400)의 상부방향 슬라이딩이 완료된 상태에서 삽입판(400)을 좌측으로 밀면 중간판(300)의 상부 좌측 모서리 돌출부(350)가 삽입판(400)의 좌측 모서리 요홈부(420) 내에 끼워져서 결합하게 된다(도 7). 따라서, 삽입판(400)은 중간판(300)의 개구(320)의 상부 영역에 위치하더라도 안정적으로 그 위치에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중간판(300) 및 삽입판(400)의 좌측 모서리에 돌출부(350) 및 요홈부(420)를 설치한 예를 설명하였으나, 우측 모서리에 돌출부 및 요홈부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좌측 모서리에 그러한 결합수단을 설치할 것인지 우측 모서리에 설치할 것인지는 단순한 선택적 사항에 불과하다. 이하에서는, 좌측 모서리에 결합수단을 설치한 예를 기준으로 계속하여 설명한다.
삽입판(400)이 중간판(300)의 개구(320)의 상부 영역에서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판(300)의 상부 모서리(342)에는 상부 모서리 돌출부(360)를 형성하고, 삽입판(400)의 상부 모서리(402)에는 상부 모서리 요홈부(43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삽입판(400)이 중간판(300)의 개구(320)에서 상부방향으로 슬라이딩할 때에는 중간판(300)의 상부 모서리 돌출부(360)가 삽입판(400)의 상부 모서리 요홈부(430) 내부에 수용될 뿐이고 삽입판(400)의 상부 모서리 요홈부(430)와 결합하지 않으며(도 6), 삽입판(400)을 좌측으로 밀면 중간판(300)의 상부 모서리 돌출부(360)가 비로소 삽입판(400)의 상부 모서리 요홈부(430)와 결합하게 된다(도 7).
더욱 구체적으로, 중간판(300)의 상부 모서리(342)에는 하부로 돌출된 수직 돌출부(362) 및 수직 돌출부(362)로부터 하부로 돌출된 후 수직 돌출부(362)보다 우측으로 돌출된 수직 수평 돌출부(364)로 이루어진 상부 모서리 돌출부(360)가 형성되어 있다. 수직 수평 돌출부(364)는 수직 돌출부(362)의 전체 모서리로부터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돌출부(362)의 우측 영역으로부터만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대응하여, 삽입판(400)의 상부 모서리(402)에는 상부 모서리 요홈부(430)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모서리 요홈부(430)는 수직 요홈부(432) 및 수직 수평 요홈부(434)를 포함한다. 수직 요홈부(432)는 중간판(300)의 상부 모서리(342)에 있는 수직 돌출부(362)의 수평길이 및 수직 수평 돌출부(364) 중 수직 돌출부(362)보다 우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수평길이의 합과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큰 수평길이 및 수직 돌출부(362)의 높이와 동일한 수직길이를 가진다. 수직 수평 요홈부(434)는 수직 요홈부(432)로부터 하부로 요입된 후 수직 요홈부(432)보다 우측으로 요입되어 형성된다. 이때 수직 수평 요홈부(434)에서 수직 요홈부(432)보다 우측으로 요입된 부분은 수직 수평 돌출부(364) 중 수직 돌출부(362)보다 우측으로 돌출된 부분과 일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부 모서리 요홈부(430)의 우측 모서리 라인은 상부 모서리 돌출부(360)의 우측 모서리 라인과 일치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삽입판(400)이 중간판(300)의 개구(320)에서 상부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삽입판(400)의 상부 모서리(402)가 중간판(300)의 상부 모서리(342)에 접촉하게 되면, 중간판(300)의 상부 모서리 돌출부(360)는 삽입판(400)의 상부 모서리 요홈부(430) 내에 수용된다(도 6). 이때에는 중간판(300)의 상부 모서리 돌출부(360)는 삽입판(400)의 상부 모서리 요홈부(430)와 결합하지는 않은 상태이다. 이어서, 삽입판(400)을 좌측으로 밀면, 중간판(300)의 상부 모서리 돌출부(360)는 삽입판(400)의 상부 모서리 요홈부(430)와 결합하게 된다(도 7).
이와 같이, 중간판(300)의 상부 좌측 모서리 돌출부(350)와 삽입판(400)의 좌측 모서리 요홈부(420) 간의 결합 그리고 중간판(300)의 상부 모서리 돌출부(360)와 삽입판(400)의 상부 모서리 요홈부(430) 간의 결합에 의하여, 삽입판(400)은 중간판(300)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안전표찰(10)은 하나의 표찰로 밸브 및 스위치 등의 현재 상태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안전표찰(10)은 그 구조가 간단하고 얇은 두께로 구현할 수 있어 설치가 편리하고, 조작도 또한 간편하다.
한편, 상기에서 상부 모서리 돌출부(360) 등은 중간판(300)의 상부 모서리(342)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며, 실제로는 중간판(300)이 약간의 두께지만 두께를 가지는 판상이므로, 상부 모서리 돌출부(360)는 당연히 상부 모서리(342)를 포함하는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임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사항은 중간판(300)의 다른 돌출부들 및 삽입판(400)의 요홈부들에 대해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10: 안전표찰 11: 걸이공
100: 앞판 110: 개구
120: 경고문구 130: 담당자 기재부
200: 뒷판 210: 상태 표시내용
220: 뒷판 외면 222: 경고문구
224: 경고심벌 300: 중간판
310: 테두리부 320: 개구
330: 외부 모서리 340: 내부 모서리
342: 상부 모서리 344: 하부 모서리
346: 우측 모서리 348: 좌측 모서리
348-1: 상부 좌측 모서리 348-2: 하부 좌측 모서리
348-3: 단턱 350: 상부 좌측 모서리 돌출부
360: 상부 모서리 돌출부 362: 수직 돌출부
364: 수직 수평 돌출부 400: 삽입판
402: 상부 모서리 404: 하부 모서리
406: 우측 모서리 408: 좌측 모서리
410: 상태 표시내용 420: 좌측 모서리 요홈부
430: 상부 모서리 요홈부 432: 수직 요홈부
434: 수직 수평 요홈부 440: 슬라이딩용 홈

Claims (6)

  1. 상부 영역에 개구가 형성된 앞판, 상기 앞판의 개구에 일치하는 내면 영역에 제1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내용이 기재된 뒷판, 상기 앞판과 상기 뒷판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서, 테두리 영역만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테두리 영역 내부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중간판, 및 상기 중간판의 개구에 끼워져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고 상기 앞판의 내면과 접하는 제1면 상에 제2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내용이 기재되어 있는 삽입판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판이 상기 중간판의 개구에서 하부 영역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앞판의 개구를 통하여 상기 뒷판에 기재된 상기 제1의 상태 표시내용이 외부로 표출되고, 상기 삽입판이 상부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뒷판의 상기 제1의 상태 표시내용을 덮을 때에는 상기 앞판의 개구를 통하여 상기 삽입판에 기재된 상기 제2의 상태 표시내용이 외부로 표출되는 것이며,
    상기 앞판, 상기 중간판 및 상기 뒷판은 크기가 서로 일치하고 또한 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표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판에 형성된 내부 모서리는 상기 중간판의 개구를 정의하도록 상부 모서리, 하부 모서리, 우측 모서리 및 좌측 모서리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모서리는 상부 좌측 모서리와 하부 좌측 모서리로 구분되며, 상기 상부 좌측 모서리는 상기 하부 좌측 모서리보다 좌측으로 들어간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좌측 모서리와 상기 하부 좌측 모서리 사이에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좌측 모서리에는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상부 좌측 모서리 돌출부가 상기 하부 좌측 모서리로부터 연장된 선에 이르는 높이로 또는 그것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판에 형성된 좌측 모서리에는 상기 상부 좌측 모서리에 형성된 상기 상부 좌측 모서리 돌출부에 대응하는 좌측 모서리 요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표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판의 상부 모서리에는 상부 모서리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판에 형성된 상부 모서리에는 상부 모서리 요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삽입판이 상기 중간판의 개구에서 상부방향으로 슬라이딩할 때에는 상기 중간판의 상기 상부 모서리 돌출부가 상기 삽입판의 상기 상부 모서리 요홈부 내부에 수용될 뿐이고 상기 삽입판의 상기 상부 모서리 요홈부와 결합하지 않지만, 상기 삽입판을 좌측으로 밀면 상기 중간판의 상기 상부 모서리 돌출부가 상기 삽입판의 상기 상부 모서리 요홈부와 결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표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판의 상부 모서리에 형성되는 상기 상부 모서리 돌출부는 하부로 돌출된 수직 돌출부 및 상기 수직 돌출부로부터 하부로 돌출된 후 상기 수직 돌출부보다 우측으로 돌출된 수직 수평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판의 상부 모서리에 형성되는 상기 상부 모서리 요홈부는 상기 중간판의 상부 모서리에 있는 상기 수직 돌출부의 수평길이 및 상기 수직 수평 돌출부 중 상기 수직 돌출부보다 우측으로 돌출된 영역의 수평길이의 합과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큰 수평길이 및 상기 수직 돌출부의 높이와 동일한 수직길이를 가지는 수직 요홈부 및 상기 수직 요홈부로부터 하부로 요입된 후 상기 수직 요홈부보다 우측으로 요입되어 형성되는 수직 수평 요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표찰.
  6. 제1항, 제3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상태 표시내용은 스위치 또는 밸브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열렸음 또는 OPEN이고 상기 제2의 상태 표시내용은 닫혔음 또는 CLOSED이거나, 또는 그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표찰.
KR2020150008677U 2015-12-31 2015-12-31 안전표찰 KR2004805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677U KR200480595Y1 (ko) 2015-12-31 2015-12-31 안전표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677U KR200480595Y1 (ko) 2015-12-31 2015-12-31 안전표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595Y1 true KR200480595Y1 (ko) 2016-06-13

Family

ID=56136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677U KR200480595Y1 (ko) 2015-12-31 2015-12-31 안전표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595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4874B2 (ja) * 1995-06-12 2000-07-12 ソニー株式会社 コネクタプラグ
US6978565B1 (en) 2001-11-19 2005-12-27 Tom Tollius Device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with housekeeping services
KR100623383B1 (ko) * 2005-03-09 2006-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4874B2 (ja) * 1995-06-12 2000-07-12 ソニー株式会社 コネクタプラグ
US6978565B1 (en) 2001-11-19 2005-12-27 Tom Tollius Device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with housekeeping services
KR100623383B1 (ko) * 2005-03-09 2006-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조립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23806A1 (en) Container for Providing Aromatic Sampling And Visualization Of Contents
US9630747B2 (en) Container for providing aromatic sampling and visualization of contents
CN101874263B (zh) 具有简单的基于磁体结构的易于可变的标牌设备
US6908334B2 (en) Interlining panel structure for multiple socket
US8146528B2 (en) Manual prescription use recording device
RU2447532C2 (ru) Качающаяся клавиша со светодиодным окном
US20180222246A1 (en) Container with a magnetic rewriteable display surface
KR200480595Y1 (ko) 안전표찰
ES2894937T3 (es) Dispositivo indicador
KR101462791B1 (ko) 전자 상품 표시기 어셈블리
US20130192107A1 (en) Messaging Sign Having A Reversible Fastening System For Moveable Display Articles
CN102045973A (zh) 壳体
JP3186408U (ja) 電子棚札及びそれに取り付けるpop表示具
CN202457751U (zh) 一种可显示有无信件的信箱
CA3052452A1 (en) Container with a magnetic rewriteable display surface
CN207198763U (zh) 一种服务器托盘面板及托盘和服务器
US20140183071A1 (en) Shake Me & Look Inside, Interactive Footwear Container
JP3041681U (ja) 手動利器の展示ケース
JP3202073U (ja) 御朱印帳ケース
KR200497642Y1 (ko) 화폐 보관케이스를 구비한 장식용 액자
KR100341694B1 (ko) 비디오대여점용비디오케이스
JP2020116080A5 (ko)
JP3010672U (ja) 自動販売機の商品見本展示構造、およびこれに用いる支持台
KR200258268Y1 (ko) 양면 액자
KR200442893Y1 (ko) 안내 표지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