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481Y1 - 부재 거치용 치공구 - Google Patents

부재 거치용 치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481Y1
KR200480481Y1 KR2020140004798U KR20140004798U KR200480481Y1 KR 200480481 Y1 KR200480481 Y1 KR 200480481Y1 KR 2020140004798 U KR2020140004798 U KR 2020140004798U KR 20140004798 U KR20140004798 U KR 20140004798U KR 200480481 Y1 KR200480481 Y1 KR 2004804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groove
body plate
plate
mounting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7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030U (ko
Inventor
송장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47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481Y1/ko
Publication of KR201600000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0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4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4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obotics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부재 거치용 치공구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닥면에 접촉 지지되는 저면 모서리와, 저면 모서리와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부재 측면부를 접촉 지지하는 측면 모서리를 구비하며, 부재 일측이 끼움 결합 가능한 가로 방향의 제 1 끼움홈이 마련된 바디 플레이트; 및 바디 플레이트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제 1 끼움홈과 평행하도록 펼침되거나, 제 1 끼움홈과 직교하도록 회동되어 측면 모서리와의 사이에 세로 방향의 제 2 끼움홈을 형성하는 회동바;를 포함하는, 부재 거치용 치공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부재 거치용 치공구 {SUPPORTING JIG}
본 고안은 거치용 치공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앵글, 티바 등의 부재를 거치 및 지지하고 부재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한 부재 거치용 치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해양 구조물 등에는 각종 선내외 설비나 보강 구조 등을 위하여 다수의 앵글(angle), 티바(T-bar)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앵글 등의 부재를 보관 및 적치하거나 조립 위치 등에 용접 접합하기 위하여, 앵글 등의 부재를 지지 또는 거치시켜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예컨대, 화물창이나 격벽 등에 보강 구조를 위해 앵글 등을 용접 조립하는 경우, 먼저 준비된 앵글 부재를 조립 위치에 안전하게 거치 및 지지시키는 작업이 요구되게 된다. 특히, 선박 등 대형 구조물에 사용되는 앵글 등의 부재는 강재로 이루어진 중량물이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지지 및 거치되지 못할 경우, 전도되어 안전사고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2599호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고정 지그가 제안된 바 있으나, 특정 종류의 부재나 설치 형태에 한하여 사용이 가능하여 그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보관이나 관리가 불편하여 실제 작업장에서 활용되는 경우가 미미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2599호 (2013년 05월 02일 공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종류의 부재에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그 활용도를 높이고, 보관이나 관리가 용이한 부재 거치용 치공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닥면에 접촉 지지되는 저면 모서리와, 상기 저면 모서리와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부재 측면부를 접촉 지지하는 측면 모서리를 구비하며, 상기 부재 일측이 끼움 결합 가능한 가로 방향의 제 1 끼움홈이 마련된 바디 플레이트; 및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제 1 끼움홈과 평행하도록 펼침되거나, 상기 제 1 끼움홈과 직교하도록 회동되어 상기 측면 모서리와의 사이에 세로 방향의 제 2 끼움홈을 형성하는 회동바;를 포함하는, 부재 거치용 치공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부재 거치용 치공구는, 부재를 안정적으로 지지 및 거치하여 작업장이나 조립 위치에 거치된 부재가 전도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부재 거치용 치공구는, 앵글, 티바 등의 다양한 부재를 다양한 자세로 거치 및 지지시킬 수 있어 그 활용도가 매우 높으며, 적층된 형태로 적치 및 보관될 수 있어 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재 거치용 치공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재 거치용 치공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부재 거치용 치공구가 앵글의 거치에 사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부재 거치용 치공구가 티바의 거치에 사용된 모습 및 보관을 위해 적층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부재 거치용 치공구의 변형예들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변형예들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재 거치용 치공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재 거치용 치공구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부재 거치용 치공구(이하, '거치용 치공구(100)'로 지칭함)는, 바디 플레이트(11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플레이트(110)는 거치용 치공구(1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소정 두께 및 넓이를 가지는 플레이트(plat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바디 플레이트(110)는 강판(steel plate) 등을 소정 형상으로 절단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레이트 형태는 거치용 치공구(100)의 제작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불사용시 다수의 거치용 치공구(100)가 쌓여진 상태로 보관 및 적치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할 도 4를 참조하여 부연키로 한다.
바디 플레이트(110)는 전체적으로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 플레이트(110)의 외곽 모서리는 대략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다만, 바디 플레이트(11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예시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디 플레이트(110)는 저면 모서리(111) 및 측면 모서리(112)를 구비할 수 있다. 저면 모서리(111)는 바디 플레이트(110) 하단에 배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저면 모서리(111)는 바닥면에 접촉 지지되어 거치용 치공구(100)가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제공하게 된다. 측면 모서리(112)는 바디 플레이트(110) 측단에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측면 모서리(112)는 저면 모서리(111)와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거치용 치공구(100)의 사용시 부재의 측면을 접촉 지지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할 도 3 등을 참조하여 부연키로 한다.
바디 플레이트(110)는 가로 방향의 제 1 끼움홈(113)을 구비할 수 있다. 제 1 끼움홈(113)은 바디 플레이트(110)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가로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 1 끼움홈(113)으로는 앵글(angle), 티바(T-bar) 등 부재의 일측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1 끼움홈(113)은 후술할 회동바(120)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끼움홈(121)과 대응되며, 세로 방향의 제 2 끼움홈(121)과 대략 'ㄱ'자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디 플레이트(110)는 손잡이홀(114)을 구비할 수 있다. 손잡이홀(114)은 거치용 치공구(100)의 운반이나 설치시 작업자의 파지를 위한 것으로, 바디 플레이트(110)의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2의 경우, 대략 삼각형 형상의 손잡이홀(114)이 바디 플레이트(110)에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다만, 손잡이홀(114)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예시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바디 플레이트(110)는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돌출 형성된 정렬돌기(115) 및, 정렬돌기(115)의 반대면에 형성된 정렬홈(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바디 플레이트(110)의 전면부에 정렬돌기(115)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정렬홈이 바디 플레이트(110)의 후면부에 마련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다만, 도 1 및 2에서는 바디 플레이트(110)의 전면부를 주면으로 도시하는 바, 이와 같은 정렬홈은 도시되고 있지 않다). 이와 같은 정렬돌기(115) 및 정렬홈은 각 거치용 치공구(100)의 적층시 인접한 다른 거치용 치공구(100)의 정렬홈이나 정렬돌기(115)에 결합되어, 다수의 거치용 치공구(100)가 정렬된 상태로 안전하게 적층 및 보관될 수 있게 한다 (도 4 참고). 필요에 따라, 정렬돌기(115) 및 정렬홈은 상호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상호 이격 배치된 2개의 정렬돌기(115)가 바디 플레이트(110)의 전면부에 형성될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거치용 치공구(100)는 바디 플레이트(11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회동바(120)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바(120)는 바디 플레이트(110)와 대응되는 두께를 가진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소정 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동바(120)는 바디 플레이트(110)의 일측에 힌지핀(122) 등을 통해 결합되어, 바디 플레이트(110)에 대해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동바(120)는 바디 플레이트(110)에 가로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 1 끼움홈(113)과 평행하게 전개되거나(이하, '평행 전개 상태'로 지칭함), 제 1 끼움홈(113)과 대략 직교하도록 회동되어 바디 플레이트(110)의 측면 모서리(112)와의 사이에 제 2 끼움홈(121)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직각 회동 상태'로 지칭함). 이때, 제 2 끼움홈(121)은 회동바(120)가 직각 회동 상태로 회동시, 바디 플레이트(110)의 측면 모서리(112)와 회동바(120)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세로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 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제 1 끼움홈(113)과 대략 직각을 이룰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회동바(120)는 앵글, 티바 등 부재의 종류나 부재를 바닥면에 적치시키는 자세 등에 따라 평행 전개 상태 또는 직각 회동 상태로 전환되어, 다양한 종류의 부재를 다양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대하여는 도 3 및 4를 참조하여 부연키로 한다.
한편, 필요에 따라 회동바(120)는 구속수단에 의해 회동이 구속되거나 제한될 수 있다. 예컨대, 회동바(120)는 힌지핀(122)을 대체하여 볼트 및 너트에 의해 바디 플레이트(1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볼트 및 너트의 조임이나 풀림에 의해 회동이 구속되거나 제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회동바(120)가 평행 전개 상태 또는 직각 회동 상태로 유지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3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부재 거치용 치공구가 앵글의 거치에 사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거치용 치공구(100)는 대략 'ㄱ'자형의 횡단면을 가지는 앵글(A)를 거치 및 지지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앵글(A)을 작업장에 적치하는 경우나, 선체, 화물창에 앵글(A)을 조립 설치하는 경우 등에, 본 실시예에 따른 거치용 치공구(100)가 앵글(A)에 설치되어 앵글(A)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의 (a)는 'ㄱ'자형 앵글(A)의 절곡부(A1)가 상부측으로 향하게 바닥면(S)에 적치되는 경우, 거치용 치공구(100)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를 참고하면, 앵글(A)은 절곡부(A1)가 제 1 끼움홈(113)으로 끼움 결합되고, 측면부(A2)가 거치용 치공구(100)의 측면 모서리(112)에 의해 접촉 지지되어, 바닥면(S)에 세워진 상태로 거치용 치공구(1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회동바(120)는 직각 회동 상태로 회동되어 제 2 끼움홈(121)을 형성하게 되며, 앵글(A)은 세로 방향의 상단 일부가 이와 같은 제 2 끼움홈(121)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거치용 치공구(100)는 저면 모서리(111)가 바닥면(S)에 접촉 지지되어 앵글(A)이 전도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또한, 통상적으로 앵글(A)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바, 이와 같은 거치용 치공구(100)가 앵글(A)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됨으로써, 앵글(A)이 바닥면(S)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거치용 치공구(10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자세로 앵글(A)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A)은 절곡부(A1)가 바닥면(S)을 향해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거치용 치공구(100)는 앵글(A)의 측면부(A2) 상단이 제 1 끼움홈(113)에 끼움 결합된 상태로, 앵글(A)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부재 거치용 치공구가 티바의 거치에 사용된 모습 및 보관을 위해 적층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4의 (a)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거치용 치공구(100)는 전술한 앵글(A)뿐만 아니라, 티바(T) 형태의 부재를 거치하는데도 사용이 가능하다. 티바(T)를 거치 또는 지지하는 경우, 회동바(120)는 전술한 도 3과 같은 직각 회동 상태에서 평행 전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즉, 회동바(120)는 작업자 등에 의해 제 1 끼움홈(113)과 평행한 상태로 소정정도 회동 조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티바(T)의 플랜지(T1) 일부가 제 1 끼움홈(113)으로 삽입되도록 거치용 치공구(100)를 티바(T) 측면부(T2)에 설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거치용 치공구(100)가 티바(T)에 설치되면, 티바(T)는 상단의 플랜지(T1)가 제 1 끼움홈(113)에 일부 끼움 결합되고, 측면부(T2)가 거치용 치공구(100)의 측면 모서리(112)에 접촉 지지된 형태로, 거치용 치공구(1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티바(T)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게 되는바, 필요에 따라, 이러한 거치용 치공구(100)가 티바(T)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이격 설치됨으로써, 티바(T)가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거치용 치공구(100)의 설치나 설치 위치까지의 운반은 작업자가 바디 플레이트(110)에 관통 형성된 손잡이홀(114)을 파지함으로써 보다 쉽게 이뤄질 수 있으며, 불사용시에는 도 4의 (b)와 같은 형태로 복수개의 거치용 치공구(100)가 적층됨으로써, 보다 쉽고 안전하게 보관이 가능하게 된다.
거치용 치공구(100)의 보관과 관련하여 부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거치용 치공구(100)는 전체적으로 플레이트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다수의 거치용 치공구(100)를 나란히 쌓아둔 형태로 보관이나 적치가 가능하게 된다. 이는 다수의 설치 장비나 조립 부품이 혼재하는 작업장 내 공간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거치용 치공구(100)는 바디 플레이트(110)에 마련된 정렬돌기(115) 및 정렬홈(미도시)에 의해 다수의 거치용 치공구(100)가 적층되는 경우에도 각 거치용 치공구(100)가 정위치에 나란하게 정렬된 상태로 적층될 수 있다. 즉, 거치용 치공구(100')의 일면에 돌출 형성된 정렬돌기(115')가 다른 거치용 치공구(100)의 정렬홈과 결합됨으로써, 복수의 거치용 치공구(110, 110')가 보다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도 5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부재 거치용 치공구의 변형예들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변형예들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5 및 6을 참고하면, 본 변형예들에 따른 거치용 치공구(100a, 100b)는 받침 브라켓(130a, 130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받침 브라켓(130a, 130b)은 거치용 치공구(100a, 100b)가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앵글, 티바 등의 부재에 대한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의 (a)를 참고하면, 받침 브라켓(130a)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바(bar) 또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받침 브라켓(130a)은 바디 플레이트(110)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예컨대, 받침 브라켓(130a)은 회동축(131a)을 가지고 바디 플레이트(1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받침 브라켓(130a)은 필요에 따라 바디 플레이트(110)에 거의 직교하는 형태로 펼쳐지거나(즉, 도 5의 (a)와 같은 형태), 바디 플레이트(110)의 일면에 접하도록 접힘(folding)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받침 브라켓(130a)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S)에 접촉 지지되는 저면 모서리(131a)를 구비하고, 거치용 치공구(100a)가 보다 안정적으로 바닥면(S) 등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5의 (b)를 참고하면, 받침 브라켓(130b)은 회동축(131b)을 가지고 바디 플레이트(11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되, 강판 등의 바닥면 모서리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장착홈(132b)을 구비한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 브라켓(130b)은 바닥면(S) 모서리 부위에 장착홈(132b)이 끼움 결합되어 거치용 치공구(100b)의 지지를 보조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거치용 치공구(100)는 부재를 안정적으로 지지 및 거치하여, 작업장이나 조립 위치에 거치된 부재가 전도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들에 따른 거치용 치공구(100)는 앵글, 티바 등의 다양한 부재를 다양한 자세로 거치 및 지지시킬 수 있어 그 활용도가 높다고 할 것이며, 불사용시에는 작업장 등의 일측에 적층된 형태로 적치 및 보관될 수 있어 관리가 매우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부재 거치용 치공구 110: 바디 플레이트
120: 회동바 130a, 130b: 받침 브라켓

Claims (5)

  1. 바닥면에 접촉 지지되는 저면 모서리와, 상기 저면 모서리와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부재 측면부를 접촉 지지하는 측면 모서리를 구비하며, 상기 부재 일측이 끼움 결합 가능한 가로 방향의 제 1 끼움홈이 마련된 바디 플레이트; 및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제 1 끼움홈과 평행하도록 펼침되거나, 상기 제 1 끼움홈과 직교하도록 회동되어 상기 측면 모서리와의 사이에 세로 방향의 제 2 끼움홈을 형성하는 회동바;를 포함하여,
    상기 회동바가 상기 제1끼움홈과 평행하는 위치에서는 상기 제2끼움홈은 형성되지 않고, 상기 회동바가 상기 제1끼움홈과 직교하는 위치에서는 상기 제2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일면에는 하나 이상의 정렬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일면의 반대면에는 상기 정렬돌기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정렬홈이 마련된, 부재 거치용 치공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 플레이트 및 상기 회동바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plate) 형상으로 형성되어, 다른 부재 거치용 치공구에 적층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바디 플레이트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손잡이 홀이 관통 형성되는, 부재 거치용 치공구.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렬돌기 및 상기 정렬홈은, 각각 복수개가 상기 바디 플레이트에 이격 배치되는, 부재 거치용 치공구.
  5. 바닥면에 접촉 지지되는 저면 모서리와, 상기 저면 모서리와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부재 측면부를 접촉 지지하는 측면 모서리를 구비하며, 상기 부재 일측이 끼움 결합 가능한 가로 방향의 제 1 끼움홈이 마련된 바디 플레이트; 및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제 1 끼움홈과 평행하도록 펼침되거나, 상기 제 1 끼움홈과 직교하도록 회동되어 상기 측면 모서리와의 사이에 세로 방향의 제 2 끼움홈을 형성하는 회동바;를 포함하여,
    상기 회동바가 상기 제1끼움홈과 평행하는 위치에서는 상기 제2끼움홈은 형성되지 않고, 상기 회동바가 상기 제1끼움홈과 직교하는 위치에서는 상기 제2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일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바디 플레이트와 직교하도록 펼침되거나,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일면에 접하도록 접힘 가능한 받침 브라켓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받침 브라켓은, 상기 바닥면에 접촉 지지되는 저면 모서리 또는, 상기 바닥면의 모서리에 끼움 결합되는 장착홈을 구비하는, 부재 거치용 치공구.
KR2020140004798U 2014-06-25 2014-06-25 부재 거치용 치공구 KR2004804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798U KR200480481Y1 (ko) 2014-06-25 2014-06-25 부재 거치용 치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798U KR200480481Y1 (ko) 2014-06-25 2014-06-25 부재 거치용 치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030U KR20160000030U (ko) 2016-01-06
KR200480481Y1 true KR200480481Y1 (ko) 2016-06-01

Family

ID=55174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798U KR200480481Y1 (ko) 2014-06-25 2014-06-25 부재 거치용 치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48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20564B (zh) * 2017-08-29 2024-04-23 张家港凯航通力船用设备有限公司 一种船舶甲板焊接用的焊接定位装置
CN110682046A (zh) * 2019-10-31 2020-01-14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壁板和加强排的紧固工装
CN112192075A (zh) * 2020-10-22 2021-01-08 唐山贺祥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机器人焊接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756B1 (ko) 2006-08-25 2007-10-23 박재홍 선박용 쥐막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2599U (ko) 2011-10-21 2013-05-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티 바 고정 지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756B1 (ko) 2006-08-25 2007-10-23 박재홍 선박용 쥐막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030U (ko) 201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6307B2 (en) Foldable stand for a portable power tool
KR200480481Y1 (ko) 부재 거치용 치공구
CN103097200A (zh) 负载承载器支脚及用于车辆的车辆行李架装置
US10864625B2 (en) Sawhorse
JP2007302103A (ja) 産業用無人ヘリコプターの車載固定具
US20120102687A1 (en) Clip
JP4819111B2 (ja) 消火設備格納箱のフレーム取付構造
US20170108166A1 (en) Device for mounting wall objects
US20170021479A1 (en) Positioning foot attachment for a fastener driving tool
JP6525690B2 (ja) 仮設足場用幅木の取付具
JP5401484B2 (ja) アンダーカバー装置
JP3777190B1 (ja) 足場用の幅木取付金具
KR200467776Y1 (ko) 선박 블록의 전도 방지용 고정 지그
JP5949821B2 (ja) 建設機械
JP2017206833A (ja) 床材の固定構造
JP6277244B1 (ja) 軒樋支持具
JP2020142592A (ja) パネル保持アッセンブリ
JP2009113137A (ja) 手工具用ホルダー
JP2021171079A (ja) 貨物自動車用の親綱架設支柱
KR20160024057A (ko) 화물창 코너부 하부단열보드 지그장치
KR101497392B1 (ko) 선박용 작업대
JP2013121257A (ja) 配電盤用転倒防止具及びそれに用いる固定治具
JP5292496B2 (ja) 足場用幅木
KR101792209B1 (ko) Lng 운반선 화물창 작업용 코너 가압 장치
KR20120001525U (ko) 클로버리프 소켓 설치용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