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4057A - 화물창 코너부 하부단열보드 지그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창 코너부 하부단열보드 지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4057A
KR20160024057A KR1020140109647A KR20140109647A KR20160024057A KR 20160024057 A KR20160024057 A KR 20160024057A KR 1020140109647 A KR1020140109647 A KR 1020140109647A KR 20140109647 A KR20140109647 A KR 20140109647A KR 20160024057 A KR20160024057 A KR 20160024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
insulating board
insulation board
board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9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4360B1 (ko
Inventor
이민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9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360B1/ko
Publication of KR20160024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4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6Coverings, e.g. for insul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0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 F17C1/12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화물창 코너부 하부단열보드 지그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단일체로 분리 제작되어 서로 교차하게 배치되는 제1코너부 단열보드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를 포함하는 화물창 코너부 하부단열보드를 가결합하기 위한 지그장치로서, 코너부 하부단열보드의 좌우측면 귀퉁이 부분을 덮도록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며, 제1코너부 단열보드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의 교차각도를 유지시키는 각도유지캡 및 제1코너부 단열보드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의 가결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지그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화물창 코너부 하부단열보드 지그장치{ZIG APPARATUS FOR SETTING BOTTOM INSULATION BOARD OF CARGO CORNER PART}
본 발명은 화물창 코너부 하부단열보드 설치를 위한 지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극저온 유체(예컨대, LNG)를 운반하는 선박 화물창의 방벽구조는 통상적으로 1차방벽, 상부단열보드, 2차방벽 및 하부단열보드가 결합된 구조이다. 이는, 1차방벽에 소량의 극저온 유체의 누출이 있을 경우, 2차방벽에서 해당 유체의 추가적인 누출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화물창 코너부에는 코너부 형태에 따라 제작된 하부단열보드 및 2차방벽 및 상부단열보드가 설치된다. 이때, 코너부 하부단열보드는 통상적으로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코너부에 설치되며, 코너부 상부단열보드 또한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코너부 하부단열보드 상부에 배치된 2차방벽 위에 설치된다. 이와 관련된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81314호(2010.03.03. 공개)를 참조하기 바란다.
그러나, 일체형 하부 코너단열보드는 분리형 단열보드와 비교하여 극저온 유체에 의한 열응력과 선체(hull) 변형에 따른 박리응력(peel stress) 및 전단응력(shear stress) 등에 더 취약성을 나타낸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81314호(2010.03.03.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화물창 코너부 하부단열보드를 분리 제작하고, 이에 대한 효율적인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화물창 코너부 하부단열보드 지그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단일체로 분리 제작되어 서로 교차하게 배치되는 제1코너부 단열보드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를 포함하는 화물창 코너부 하부단열보드를 가결합하기 위한 지그장치로서, 상기 코너부 하부단열보드의 좌우측면 귀퉁이 부분을 덮도록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며, 상기 제1코너부 단열보드와 상기 제2코너부 단열보드의 교차각도를 유지시키는 각도유지캡 및 상기 제1코너부 단열보드와 상기 제2코너부 단열보드의 가결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지그프레임을 포함하는 화물창 코너부 하부단열보드의 지그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그프레임은 상기 제1코너부 단열보드와 상기 제2코너부 단열보드의 각 상면에 지지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교차각도와 대응하게 교차 배치되는 제1지지프레임과 제2지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프레임은 좌우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제1측방지지바와, 상기 한 쌍의 제1측방지지바를 연결하는 제1연결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은 상기 교차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한 쌍의 제1측방지지바와 연결된 한 쌍의 제2측방지지바와, 상기 한 쌍의 제2측방지지바를 연결하는 제2연결지지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1측방지지바와 상기 한 쌍의 제2측방지지바는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지지바와 상기 제2연결지지바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상기 교차각도를 유지시키는 각도조절바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그프레임은 상기 제1연결지지바와 상기 제2연결지지바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지그프레임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지지바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그프레임은 상기 지그프레임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코너부 하부단열보드에 삽입 설치된 인서트너트에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상기 코너부 하부단열보드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유지캡은 상기 코너부 하부단열보드의 좌우 귀퉁이 부분의 측면을 덮는 측면덮개와, 상기 코너부 하부단열보드의 좌우 귀퉁이 부분의 각진 내측면을 덮는 내측덮개와, 상기 코너부 하부단열보드의 좌우 귀퉁이 부분의 각진 외측면을 덮는 외측덮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그장치를 이용하여 화물창 코너부 하부단열보드를 설치하는 경우 단차 조정이 용이하고 설치 시공소요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방벽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벽구조 중 코너부 및 평탄부에 하부단열보드 및 그 일부에 2차방벽이 설치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분리 제작된 코너부 하부단열보드가 도 2에 도시된 화물창 코너부에 설치되기 전의 모습을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코너부 하부단열보드가 화물창 코너부에 설치된 모습을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코너부 하부단열보드를 스터드볼트를 이용하여 선체 내벽에 고정시킨 모습을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코너부 하부단열보드 상부에 지지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지지부재 상부에 곡면형 2차방벽을 배치시킨 모습을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곡면형 2차방벽과 연결되도록 평판형 2차방벽과 조인트 2차방벽을 설치한 모습을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2차방벽 상부에 결합볼트를 이용하여 코너부 상부단열보드를 설치한 모습을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부 하부단열보드에 지그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도유지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그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그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부 하부단열보드의 설치 후 각도유지캡이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부 하부단열보드의 설치 후 지그프레임이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서 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발명을 제한 및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 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극저온 유체(예컨대, 액화천연가스(LNG))를 저장하는 화물창의 방벽구조는 평탄부 및 코너부에 설치된다. 화물창의 코너부에 설치되는 방벽구조는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 코너부 2차방벽, 코너부 상부단열보드(160) 및 결합장치를 포함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는 각각 단일체로 분리 제작된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를 포함한다.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는 화물창의 코너부 바닥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는 화물창의 코너부 측면에 종방향으로 배치된다. 화물창 측면 쪽으로 경사면(G1)을 형성하는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의 일측에는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의 경사면(G2)이 밀착되어 계면(B)을 형성한다. 화물창 코너부위 형태에 따라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는 예컨대, 90도, 135도 각도 등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가 90도 각도로 배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는 각각 하부보호판(111), 하부단열부재(112) 및 하부보조패널(113)이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이는 화물창 평탄부에 설치되는 평탄부 하부단열보드(10) 또한 동일하다. 하부보호판(111)은 예컨대, 플라이우드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하부단열부재(112)는 하부보호판(111) 상부에 접착제(예컨대 글루 등)에 의해 접합될 수 있으며, 폴리우레탄폼(PUF, Polyurethane Foam), 강화 폴리우레탄폼(RPUF, Reinforced PUF) 등으로 제작되어 극저온 상태의 유체로부터 선체를 보호할 수 있다. 하부단열부재(112) 상부의 하부보조패널(113)은 플라이우드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하부단열부재(112)와 하부보조패널(113)는 상부 모서리 부위가 경사진 형태로 모따기(C) 처리되어, 2차방벽 주름부의 교차되는 부위가 해당 부위에 적합하게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는 선체 내벽(2)에 매스틱(3), 스터드볼트(4)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스터드볼트(4)는 선체 내벽(2)에 수직 고정되며,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에 형성된 내부홀(S1)에 끼워진다. 스터드볼트(4) 하부는 선체 내벽(2)에 용접 접합될 수 있다. 스터드볼트(4)에 체결되는 와셔(5)는 하부보호판(111)에 의해 지지되고, 와셔(5) 상부에 너트(6)가 체결되어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스터드볼트(4)가 설치된 하부단열보드(110) 내부홀(S1)에는 예컨대 폼 재질의 플러그부재(7)가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130)는 계면(B)을 중심으로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 상부에 배치된다. 지지부재(130)는 상부에 배치되는 곡면형 2차방벽(121)을 지지하도록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에 걸쳐서 계면(B)을 중심으로 밀착되게 배치된다. 지지부재(130)는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 간 결합각도에 대응되는 후면 모서리부(130a)와, 곡면형 2차방벽(121)의 코너부위(121a) 형상에 대응되는 오목 형상의 상단부(130b)를 가진다. 이러한 지지부재(130)는 곡면형 2차방벽(121)의 코너부위(121a)와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 간의 틈새에 밀착되게 배치되므로, 곡면형 2차방벽(121)과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 간 보다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여러 조건에서 작용하는 하중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코너부 2차방벽은 곡면형 2차방벽(121)과 조인트 2차방벽(123, 도 8 참조)을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곡면형 2차방벽(121)은 지지부재(130) 상부에 배치되되, 계면(B)을 중심으로 곡면 형상의 코너부위(121a)가 배치된다. 곡면형 2차방벽(121)은 곡면형의 코너부위(121a)로부터 양측으로 평탄부위(121b)를 연장 형성하며,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 간 결합각도에 따라 코너부위(121a)의 굽어진 정도가 미리 설계 및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곡면형 2차방벽(121)은 평탄부위(121b) 간 형성되는 각도가 90도 각도를 이루도록 제작될 수 있다. 곡면형 2차방벽(121)은 리벳 등을 포함하는 체결부재(R1)에 의해 양쪽 평탄부위(121b)의 단부 측이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 상부에 각각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는 상부에 배치되는 곡면형 2차방벽(121)에 의해 서로의 경사면(G1,G2, 도 3 참조)이 밀착된 상태로 효과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화물창의 평탄부에 설치되는 평탄부 하부단열보드(10) 및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에 걸쳐서 상부에 곡면형 2차방벽(121)과 연결되는 평판형 2차방벽(122)이 배치된다. 평탄부 하부단열보드(10)는 상부홈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스트립부재(12)를 마련할 수 있다. 평탄부 하부단열보드(10)는 설명의 편의상 도 8에서는 도시하지 않았다.
평판형 2차방벽(122)은 평탄부 하부단열보드(10) 상부 및 이들(10) 간의 공간을 커버할 수 있다. 또 평판형 2차방벽(122)은 양측의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에 각각 배치된 곡면형 2차방벽(121)과 주변부가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화물창 코너부와 평탄부의 하부단열보드(110,10) 상부 및 이들 하부단열보드(110,10) 간의 공간을 커버할 수 있다. 평판형 2차방벽(122)은 평탄부 하부단열보드(10) 상부 및 이들(10) 간의 공간을 커버하도록 평탄부 하부단열보드(10) 상부에 마련된 스터드볼트(15)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스터드볼트(15)는 정사각형 형태로 배열된 평탄부 하부단열보드(10) 상부의 중심 부위에 마련될 수 있으며, 평판형 2차방벽(122)은 2개 이상의 평탄부 하부단열보드(10)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 또, 평판형 2차방벽(122)은 화물창 코너부와 평탄부의 하부단열보드(110,10) 상부 및 이들 하부단열보드(110,10) 간의 공간을 커버하도록 평탄부 하부단열보드(10) 상부에 마련된 스터드볼트(15) 및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에 마련된 결합볼트(170)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결합볼트(170)에 대해서는 도 9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평탄부 하부단열보드(10) 상부에 마련된 스터드볼트(15)와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에 마련된 결합볼트(170)는 동일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조인트 2차방벽(123)은 곡면형 2차방벽(121) 간의 공간을 커버하며, 곡면형 2차방벽(121) 및 평판형 2차방벽(122)과 연결되도록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 간에 걸쳐서 배치된다. 조인트 2차방벽(123)은 곡면형 2차방벽(121)과 대응되는 각도로 굽어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곡면형 2차방벽(121), 평판형 2차방벽(122) 및 조인트 2차방벽(123)의 서로 겹쳐지는 부위는 용접 접합될 수 있다.
도 1과 도 9를 참조하면, 코너부 상부단열보드(160)는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와 대응되도록 2차방벽 상부에 배치된다. 코너부 상부단열보드(160)는 충격흡수층(161), 상부보조패널(162), 상부단열부재(163) 및 상부보호판(164)이 적층된 형태일 수 있다. 이는 화물창 평탄부에 설치되는 평탄부 상부단열보드(20) 또한 동일하다. 코너부 상부단열보드(160) 상부에는 코너부 1차방벽(190)이 설치될 수 있다. 코너부 1차방벽(190)은 평탄부 상부단열보드(20) 상부에 설치되는 평탄부 1차방벽(30)과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평탄부 상부단열보드(20)는 하측의 평탄부 하부단열보드(10)를 2개 이상 커버하도록 직사각형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평탄부 상부단열보드(20)와 평탄부 하부단열보드(10) 사이에는 평판형 2차방벽(122)이 개재되며, 평탄부 상부단열보드(20)의 크기는 예컨대 평탄부 하부단열보드(10)와 1:2 비율로 제작될 수 있다. 평탄부 상부단열보드(20)는 상술한 스터드볼트(15)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평탄부 상부단열보드(20)는 상부홈에 열응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스트립부재(23)를 마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결합장치는 결합볼트(170) 및 체결유닛(180)을 포함한다. 하부보조패널(113)의 상부홈(113a)에는 리벳 등과 같은 체결부재(R2)에 의해 결합되는 고정편(140, 도3 참조)이 마련된다. 고정편(140)과 하부보조패널(113)의 상부홈(113a)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열응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함이다. 고정편(140)은 예컨대 금속 재질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결합볼트(170)는 고정편(140)의 결합홈(140a)에 수직 결합되어 코너부 상부단열보드(160)의 내부홀(S2) 쪽으로 돌출된다. 결합볼트(170)에 결합된 평판형 2차방벽(122)의 관통홀 주변부는 고정편(140)에 원호용접 방식으로 용접(W) 접합될 수 있다. 고정편(140)의 결합홈(140a)은 일정 깊이의 홈 형태일 수 있다.
체결유닛(180)은 상부단열보드(160) 내부홀(S2)로 돌출된 결합볼트(170)에 결합되어, 상부보조패널(162)에 의해 지지되는 와셔(181)와, 결합볼트(170)에 결합되어 와셔(181) 상부에서 하방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조여지는 너트(182)를 포함한다. 코너부 상부단열보드(160)의 내부홀(S2) 상단은 마개(미도시)에 의해 마감 처리될 수 있다.
이하, 화물창 코너부 하부단열보드의 설치 과정에 사용되는 지그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는 단일체로 분리 제작된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를 화물창 설치장소로 운반한 후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창 측면 쪽으로 경사면(G1)이 향하도록 횡방향으로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를 설치한 후, 해당 경사면(G1)에 밀착되도록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를 종방향으로 설치하여,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의 경사면(G2)이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 경사면(G1)에 밀착되도록 하고, 선체 내벽(2)에 수직 고정된 스터드볼트(4)에 각 단열보드(110a,110b)의 내부홀(S1)이 끼워지도록 하여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를 각각 설치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다른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를 나란히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부재(130)를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에 걸쳐서 계면(B)을 중심으로 배치시킨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곡면형 2차방벽(121)을 지지부재(130) 상부에 배치시키고, 체결부재(R1)에 의해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 상부에 걸쳐서 양측 단부를 결합시킨다. 여기서, 계면(B)을 중심으로 곡면형 2차방벽(121)의 곡면 형상의 코너부위(121a)가 배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이루어지는 화물창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의 설치과정은 서로 교차하게 배치되는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의 단차 조정이 어려워 작업 시공에 따른 시간 및 효율이 저하될 수 있고, 현장에서 설치오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분리 후 재결합에 따른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와 곡면형 2차방벽(121)의 변형이 발생될 우려가 있게 된다.
이를 해소하고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를 미리 가조립한 상태로 운반한 후 가조립된 일체형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를 설치하도록 함에 따른 단차 조정 및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지그장치를 제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부 하부단열보드에 지그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도유지캡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그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그장치는 각도유지캡(200)과 지그프레임(300)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가 직각을 이루도록 배열된 구조에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다.
각도유지캡(200)은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의 좌우측면 귀퉁이 부분을 덮도록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서로 교차하게 배치되는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의 교차각도를 유지시킨다. 이러한 각도유지캡(200)은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의 좌우 귀퉁이 부분의 측면을 덮는 측면덮개(210)와,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의 좌우 귀퉁이 부분의 각진 내측면 부분을 덮도록 측면덮개(210)의 선단 상측 모서리 부분에서 내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내측덮개(220)와,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의 좌우 귀퉁이 부분의 각진 외측면 부분을 덮도록 측면덮개(210)의 후단 및 하단의 두 변에서 내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외측덮개(230)를 포함한다. 내측덮개(220)는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의 각진 내측면의 서로 이웃하는 두 면을 지지하고, 외측덮개(230)는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의 각진 외측면의 서로 이웃하는 두 면을 지지한다. 각도유지캡(200)은 내측덮개(220)와 외측덮개(230)에 의해 형성되는 끼움홈(240)이 마련되고, 끼움홈(240)은 전방, 상방 및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와 마주하는 측면이 개구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에 각도유지캡(200)이 장착되는 경우 각도유지캡(200)에 형성된 끼움홈(240)은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의 좌우 귀퉁이 부분에 압입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각도유지캡(200)이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에 장착된 경우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의 경사면(G1,G2)은 서로 밀착되어 계면(B)을 형성한 상태로 배치된다.
지그프레임(300)은 각도유지캡(200)에 의해 계면(B)을 유지한 상태로 배치되는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의 가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의 교차각도와 대응하게 교차 배치되는 제1지지프레임(310)과 제2지지프레임(330)을 포함한다.
제1지지프레임(310)은 횡방향으로 배치된 제1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a)의 상면에 지지되어 결합되는 각관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강철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소재 또는 목재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처럼 강성이 높은 복합수지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지지프레임(310)은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의 상면에서 좌우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제1측방지지바(311,312)와, 한 쌍의 제1측방지지바(311,312)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지지바(313)를 포함한다.
제2지지프레임(330)은 종방향으로 배치된 제2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b)의 상면에 지지되어 결합되는 각관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강철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소재 또는 목재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처럼 강성이 높은 복합수지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지지프레임(330)은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의 상면에서 좌우로 이격 배치되며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의 교차각도와 대응하는 각도를 이루도록 한 쌍의 제1측방지지바(311,312)의 각 단부와 연결되는 한 쌍의 제2측방지지바(331,332)와, 한 쌍의 제2측방지지바(331,332)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지지바(333)를 포함한다.
즉 제1지지프레임(310)과 제2지지프레임(330)은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의 교차각도와 대응하는 각도를 형성하도록 마련되어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의 상면에 각각 지지 결합됨에 따라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의 가결합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프레임(310)과 제2지지프레임(330)은 대응하는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의 상면에 삽입 설치되는 인서트너트(400)에 체결되는 볼트(410)에 의해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지그프레임(300)의 제1지지프레임(310)과 제2지지프레임(330)은 서로 용접 결합되거나, 하나의 부재를 벤딩 가공하여 형성한 전체적으로 L자 형상의 고정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이와 같은 경우 지그프레임(300)은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제1연결지지바(313)와 제2연결지지바(333)를 서로 연결하는 다수의 보강지지바(35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지그프레임(300)의 제1지지프레임(310)과 제2지지프레임(33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20)을 기준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다른 교차각도(예를 들면 135도)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에 적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1지지프레임(310)과 제2지지프레임(330)의 교차각도를 유지하기 위해 제1연결지지바(313)와 제2연결지지바(333)를 서로 연결하는 각도조절바(36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각도조절바(360)는 제1연결지지바(313)와 제2연결지지바(333)의 교차각도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막대 형상으로 마련되어, 양단에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제1연결지지바(313)와 제2연결지지바(333)를 서로 연결함에 의해 제1지지프레임(310)과 제2지지프레임(330)이 회전축(320)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구속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지그장치를 이용한 화물창 코너부 하부단열보드의 설치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체로 분리 제작된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는 화물창 설치장소에 운반되기 전 지그장치(200,300)에 의하여 미리 가조립된 상태로 마련된다. 이 경우, 전술한 지지부재(130)와 곡면형 2차방벽(121)은 선조립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지그장치(200,300)에 의해 가조립된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00)를 설치장소에 운반한 후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 내벽(2)의 코너부에 정렬시킨다. 이때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스틱(3)과 스터드 볼트(4)에 의해 선체 내벽(2)의 코너부에 결합된다.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00)의 고정이 완료된 후에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장치(200,300)를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00)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단일체로 분리 제작된 제1코너부 단열보드(110a)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110b)를 화물창 코너부에 설치하는 경우 단차 조정 및 설치 시공소요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면, 곡면형 2차방벽(121)과 연결되도록 평탄부 하부단열보드(10, 도 2 참조) 상부의 평판형 2차방벽(122)을 배치시킨다.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평탄부 하부단열보드(10)는 도시하지 않았다.
다음으로, 곡면형 2차방벽(121) 간의 공간을 커버하며, 곡면형 2차방벽(121) 및 평판형 2차방벽(122)과 연결되도록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 간에 걸쳐서 조인트 2차방벽(123)을 설치한다. 곡면형 2차방벽(121)과 평판형 2차방벽(122) 및 조인트 2차방벽(123) 간 서로 겹쳐지는 주변부는 용접 접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과 도 9를 참조하면, 코너부 하부단열보드(110)와 대응되도록 2차방벽 상부에 코너부 상부단열보드(160)를 배치시킨다.
다음으로, 코너부 상부단열보드(160) 내부홀(S2)로 돌출된 결합볼트(170)에 와셔(181)와 너트(182)를 각각 체결하고, 와셔(181)가 상부보조패널(162)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너트(182)를 조여 하방으로 가압한다. 내부홀(S2) 상단은 마개(미도시)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이후, 코너부 상부단열보드(160) 상부에 코너부 1차방벽(190) 설치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코너부 하부단열보드 110a: 제1코너부 단열보드
110b: 제2코너부 단열보드 121: 곡면형 2차방벽
122: 조인트 2차방벽 123: 평판형 2차방벽
130: 지지부재 140: 고정편
160: 코너부 상부단열보드 170: 결합볼트
180: 체결유닛 200: 각도유지캡
300: 지그프레임

Claims (7)

  1. 단일체로 분리 제작되어 서로 교차하게 배치되는 제1코너부 단열보드와 제2코너부 단열보드를 포함하는 화물창 코너부 하부단열보드를 가결합하기 위한 지그장치로서,
    상기 코너부 하부단열보드의 좌우측면 귀퉁이 부분을 덮도록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며, 상기 제1코너부 단열보드와 상기 제2코너부 단열보드의 교차각도를 유지시키는 각도유지캡; 및
    상기 제1코너부 단열보드와 상기 제2코너부 단열보드의 가결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지그프레임;을 포함하는 화물창 코너부 하부단열보드의 지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프레임은 상기 제1코너부 단열보드와 상기 제2코너부 단열보드의 각 상면에 지지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교차각도와 대응하게 교차 배치되는 제1지지프레임과 제2지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프레임은 좌우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제1측방지지바와, 상기 한 쌍의 제1측방지지바를 연결하는 제1연결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은 상기 교차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한 쌍의 제1측방지지바와 연결된 한 쌍의 제2측방지지바와, 상기 한 쌍의 제2측방지지바를 연결하는 제2연결지지바를 포함하는 화물창 코너부 하부단열보드의 지그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측방지지바와 상기 한 쌍의 제2측방지지바는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화물창 코너부 하부단열보드의 지그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지지바와 상기 제2연결지지바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상기 교차각도를 유지시키는 각도조절바를 더 포함하는 화물창 코너부 하부단열보드의 지그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프레임은 상기 제1연결지지바와 상기 제2연결지지바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지그프레임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지지바를 더 포함하는 화물창 코너부 하부단열보드의 지그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프레임은 상기 지그프레임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코너부 하부단열보드에 삽입 설치된 인서트너트에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상기 코너부 하부단열보드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화물창 코너부 하부단열보드의 지그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유지캡은 상기 코너부 하부단열보드의 좌우 귀퉁이 부분의 측면을 덮는 측면덮개와, 상기 코너부 하부단열보드의 좌우 귀퉁이 부분의 각진 내측면을 덮는 내측덮개와, 상기 코너부 하부단열보드의 좌우 귀퉁이 부분의 각진 외측면을 덮는 외측덮개를 포함하는 화물창 코너부 하부단열보드의 지그장치.
KR1020140109647A 2014-08-22 2014-08-22 화물창 코너부 하부단열보드 지그장치 KR101644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647A KR101644360B1 (ko) 2014-08-22 2014-08-22 화물창 코너부 하부단열보드 지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647A KR101644360B1 (ko) 2014-08-22 2014-08-22 화물창 코너부 하부단열보드 지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057A true KR20160024057A (ko) 2016-03-04
KR101644360B1 KR101644360B1 (ko) 2016-08-08

Family

ID=55535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647A KR101644360B1 (ko) 2014-08-22 2014-08-22 화물창 코너부 하부단열보드 지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3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03024A1 (fr) * 2019-11-13 2021-05-14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é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054B1 (ko) * 2017-12-01 2019-09-03 (주)동성화인텍 단열 패널 보호용 지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985B1 (ko) * 2007-06-07 2008-08-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물창 코너부의 시트 가압장치
KR20080081314A (ko) 2006-01-20 2008-09-09 모리나가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장질환을 위한 의약 조성물, 음식품, 또는 사료
KR100955042B1 (ko) * 2008-01-22 2010-04-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물창 시트 부착용 코너형 가압장치
KR101217699B1 (ko) * 2010-06-03 2013-01-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슬로싱 저감용 탱크를 가지는 선박
KR101381221B1 (ko) * 2012-05-25 2014-04-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압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1314A (ko) 2006-01-20 2008-09-09 모리나가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장질환을 위한 의약 조성물, 음식품, 또는 사료
KR100853985B1 (ko) * 2007-06-07 2008-08-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물창 코너부의 시트 가압장치
KR100955042B1 (ko) * 2008-01-22 2010-04-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물창 시트 부착용 코너형 가압장치
KR101217699B1 (ko) * 2010-06-03 2013-01-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슬로싱 저감용 탱크를 가지는 선박
KR101381221B1 (ko) * 2012-05-25 2014-04-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03024A1 (fr) * 2019-11-13 2021-05-14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é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4360B1 (ko) 2016-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56831B2 (ja) 貨物倉コーナー部防壁構造および貨物倉コーナー部防壁設置方法
KR101661927B1 (ko) 화물창 코너부 방벽구조
WO2012081697A1 (ja) コンテナと、コンテナ用の連結治具
KR101644360B1 (ko) 화물창 코너부 하부단열보드 지그장치
KR101337638B1 (ko)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의 고정 스트립
KR101617031B1 (ko) 화물창 방벽구조
KR101216184B1 (ko) 선박의 단열패널 설치용 결합구
KR101644350B1 (ko) 화물창 방벽구조
KR101617032B1 (ko) 화물창 방벽구조
KR101865162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KR101635019B1 (ko) 하부단열보드 결합장치
KR20150142468A (ko) 화물창 인슐레이션 패널
KR101661953B1 (ko) 화물창 코너부 방벽 설치방법
KR101625867B1 (ko) 액화가스 화물창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24015A (ko) 화물창 코너부 하부단열보드 설치장치
KR101690933B1 (ko) 화물창 방벽 설치용 결합장치
KR101661947B1 (ko) 화물창 코너부 방벽구조
KR101617037B1 (ko) 화물창 방벽구조
KR101399888B1 (ko) 화물창 방벽구조
KR101563859B1 (ko) 화물창 방벽구조
KR101774780B1 (ko) 화물창 코너부 방벽 고정장치 및 이의 설치 지그
KR20120013213A (ko)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
KR20160024059A (ko) 화물창 방벽구조
KR20150129892A (ko) 화물창 방벽구조
KR101444352B1 (ko) 선박의 구조물 결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