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7032B1 - 화물창 방벽구조 - Google Patents
화물창 방벽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17032B1 KR101617032B1 KR1020140056373A KR20140056373A KR101617032B1 KR 101617032 B1 KR101617032 B1 KR 101617032B1 KR 1020140056373 A KR1020140056373 A KR 1020140056373A KR 20140056373 A KR20140056373 A KR 20140056373A KR 101617032 B1 KR101617032 B1 KR 1016170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rrier
- fastening
- board
- insulation
- insulating boar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화물창 방벽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방벽구조는 2차방벽과 1차방벽 사이에 개재되며, 상부보호판과 그 하부의 상부단열부재를 포함하는 상부단열보드; 및 상부에 1차방벽이 용접 접합되며, 상부보호판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된 복수의 스트립부재;를 포함하되, 스트립부재 중 1차방벽의 수축팽창에 따라 슬라이딩되는 스트립부재는 상부단열보드와의 결합을 위해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복수의 체결홀을 형성하고, 체결홀은 스트립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체결부재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고, 체결부재는 1차방벽의 수축팽창에 따라 스트립부재의 슬라이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체결홀의 일측에 결합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물창 방벽구조에 관한 것이다.
운반선의 액화천연가스(LNG) 화물창은 대략 -163℃로 냉각된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하므로, 극저온에 견딜 수 있는 재료로 제작되며, 열응력 및 열수축에 강하고, 열침입을 차단할 수 있는 인슐레이션 구조로 이루어진다. 화물창은 내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1차방벽, 상부단열보드, 2차방벽 및 하부단열보드를 구비하고, 내부선체(inner hull)와 결합된 상태로 제공된다.
여기서, 1차방벽은 주름진 형태의 코러게이션을 갖도록 형성되며, 코러게이션은 열수축 발생 시 일정량 변형됨으로써 용접 부위에서의 열응력을 줄여준다. 이때, 상부단열보드 상단에 형성된 홈에는 코러게이션의 수축 변형량에 따라 슬라이딩되며, 1차방벽과 용접 접합되는 스트립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예컨대,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99899호(2013.09.06. 공개)(이하, 선행기술이라 함)는 스트립부재가 설치된 화물창 방벽구조에 관한 기술을 공개한 바 있다. 해당 선행기술은 스트립부재와 1차방벽 간 용접작업을 위해, 세로방향으로 설치된 스트립부재가 자체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미끄러져 내려가지 않도록 보조플레이트에 형성된 쓰레드홀에 리벳 등의 체결수단을 임시 체결한다.
그러나, 스트립부재와 1차방벽 간 용접을 위해 쓰레드홀에 체결수단을 체결 및 체결해제하는 등의 추가 작업이 필요하고, 스트립부재 고정을 위해 보조플레이트가 필요하므로 제작비용 증가 및 결과적으로 화물창 방벽설치 작업의 효율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스트립부재 설치 및 스트립부재와 1차방벽 간의 용접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화물창 방벽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2차방벽과 1차방벽 사이에 개재되며, 상부보호판과 그 하부의 상부단열부재를 포함하는 상부단열보드; 및 상부에 상기 1차방벽이 용접 접합되며, 상기 상부보호판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된 복수의 스트립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스트립부재 중 상기 1차방벽의 수축팽창에 따라 슬라이딩되는 스트립부재는 상기 상부단열보드와의 결합을 위해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복수의 체결홀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홀은 상기 스트립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체결부재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1차방벽의 수축팽창에 따라 상기 스트립부재의 슬라이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체결홀의 일측에 결합된 화물창 방벽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홀 중 하나 이상의 제1체결홀은 다른 체결홀보다 큰 너비로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홀은 상기 체결부재가 일측에 체결된 상태에서 남은 빈 영역에 수축 가능한 탄성물질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탄성물질은 폼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화물창 내벽 상부에 복수의 열과 행으로 나란히 배열되고, 하부보호판과 그 상부의 하부단열부재 및 상기 2차방벽과 상기 하부단열부재 사이에 개재된 하부보조패널을 포함하는 하부단열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보조패널의 중심부위에는 스터드볼트가 수직 고정된 고정편이 마련되고, 상기 2차방벽은 양측의 상기 하부단열보드 간에 형성된 공간을 커버하도록 상기 하부단열보드 상부에 서로 연결되게 나란히 배치되되, 상기 스터드볼트를 중심으로 이웃하는 다른 2차방벽과 연결되고, 상기 스터드볼트가 설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주변부에 상기 고정편에 원용접 방식으로 접합되는 접합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단열보드는 일정 두께를 가지고, 가로와 세로 길이가 동일한 정사각형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기 상부단열보드는 양측의 상기 하부단열보드에 걸쳐지는 형태로 배치되되, 상기 스터드볼트에 각 모서리 부위가 결합되는 방식으로 상기 2차방벽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상부단열보드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상부단열보드 간에 형성된 공간에 연결보드가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방벽구조는 스트립부재 설치 및 스트립부재와 1차방벽 간의 용접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 효율적인 화물창 방벽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 화물창 방벽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방벽구조 중 하부단열보드 배치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하부단열보드 상부에 2차방벽이 설치된 형태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2차방벽 상부에 상부단열보드가 설치된 형태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상부단열보드와 하부단열보드에 마련된 스터드볼트 간의 결합관계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4의 상부단열보드 사이에 연결보드가 설치된 형태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1의 방벽구조 중 상부단열보드 상부에 스트립부재가 설치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스트립부재 중 상부단열보드의 중앙부위에 설치된 고정 스트립부재의 설치 형태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스트립부재 중 슬라이딩 가능한 스트립부재를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스트립부재의 설치 형태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방벽구조 중 하부단열보드 배치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하부단열보드 상부에 2차방벽이 설치된 형태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2차방벽 상부에 상부단열보드가 설치된 형태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상부단열보드와 하부단열보드에 마련된 스터드볼트 간의 결합관계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4의 상부단열보드 사이에 연결보드가 설치된 형태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1의 방벽구조 중 상부단열보드 상부에 스트립부재가 설치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스트립부재 중 상부단열보드의 중앙부위에 설치된 고정 스트립부재의 설치 형태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스트립부재 중 슬라이딩 가능한 스트립부재를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스트립부재의 설치 형태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극저온 유체(예컨대, 액화천연가스(LNG))를 저장하는 선박 화물창의 방벽구조는 하부단열보드(110), 2차방벽(120), 상부단열보드(130) 및 연결보드(135)를 포함한다.
하부단열보드(110)는 화물창 내벽 상부에 복수의 열과 행으로 나란히 배열되고, 하부보호판(111), 하부단열부재(112), 2차방벽(120)과 하부단열부재(112) 사이에 개재된 하부보조패널(113)을 포함한다. 하부단열보드(110)는 일체형의 단일체로 제작되어 화물창 내벽에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하부단열보드(110)는 일정 두께를 가지며, 가로와 세로 길이가 동일한 정사각형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컨대, 하부단열보드(110)는 가로와 세로 길이가 동일한 1m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하부보호판(111)은 화물창 내벽에 매스틱, 스터드볼트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하부보호판(111)은 예컨대, 플라이우드 등의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하부단열부재(112)는 하부보호판(111) 상부에 배치되며, 폴리우레탄폼 재질(PUF, Polyurethane Form), 강화 폴리우레탄폼(RPUF, Reinforced PUF) 등으로 제작되어 극저온 상태의 유체로부터 선체를 보호할 수 있다. 하부단열부재(112)는 하부보호판(111)의 상부에 접착제(예컨대 글루 등)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부보조패널(113)의 중심부위에는 스터드볼트(211)가 수직 고정된 고정편(210)이 마련된다. 고정편(210)은 예컨대, 스테인리스 스틸 등을 포함하는 금속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고정편(210)은 하부보조패널(113)에 형성된 결합홈(113a)에 결합되어 리벳 등과 같은 체결부재(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고정편(210)은 원형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하부보조패널(113)은 플라이우드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2차방벽(120)은 양측의 하부단열보드(110) 간에 형성된 공간을 커버하도록 하부단열보드(110) 상부에 배치되되, 상술한 스터드볼트(211)를 중심으로 이웃하는 다른 2차방벽(120)과 연결되도록 나란히 배치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하부단열보드(110) 간에 형성된 공간에는 글라스 울(glass wool)과 같은 충진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이웃하는 하부단열보드(110)가 서로 밀착되도록 배열된 경우나, 이러한 밀착된 형태로 하부단열보드(110)가 여러 개 묶여져 일체형으로 제작된 경우에는 충진부재가 생략될 수도 있다.
2차방벽(120)은 스터드볼트(211)가 설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주변부에 고정편(210)에 용접(W, 도 5 참조) 접합되는 접합면(120a,120b)을 형성한다. 이때, 접합면(120a,120b)은 고정편(210)에 원용접 방식으로 접합될 수 있다. 접합면(120a,120b) 중 양측 단부에 형성된 접합면(120a)은 반원 형상의 홈을 형성하여 스터드볼트(211)를 중심으로 이웃하는 다른 2차방벽(120)의 접합면(120a)과 원 형상을 이루고, 모서리에 형성된 접합면(120b)은 모따기 처리되어 비스듬하게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서로 이웃하는 2차방벽(120)의 주변부는 스터드볼트(211)를 중심으로 서로 일부분이 겹쳐지게 용접될 수 있다. 종래의 화물창 방벽구조는 통상적으로 하부단열보드가 직사각형 형태로 크게 제작되어 있고, 그에 따라 주2차방벽과 보조2차방벽 간 용접장 길이가 길어 설치 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기술적으로도 설치 작업하기 어려운 면이 있었다. 하부단열보드(110)를 상술한 형태로 제작하여 화물창 내벽 상부에 배치시키고, 그 위에 2차방벽(120)을 상술한 방법으로 설치함으로써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다. 또 종래의 주2차방벽과 보조2차방벽을 이용한 방벽설치 상의 한계를 극복하고,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단일 제품의 2차방벽(120)을 일률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2차방벽(120)은 하부단열보드(110) 간에 형성된 공간을 커버하는 부위(120c)가 하방으로 볼록한 코러게이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는 극저온 유체에 의한 열수축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2차방벽(120)은 가로 길이가 하부단열보드(110)의 가로 길이와 동일하고, 세로 길이가 하부단열보드(110)의 세로 길이의 3배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2차방벽(120)은 종방향으로 배치된 하부단열보드(110)를 4개 커버하고, 횡방향으로 배치된 하부단열보드(110)를 2개 커버할 수 있다. 예컨대, 2차방벽(120)은 가로 1m, 세로 3m 길이로 제작될 수 있다. 2차방벽(120)은 예컨대,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황동, 아연 등의 금속 재료로 제작된 복수의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금속 시트와 섬유 강화복합재료로 구성된 복합재료시트로 마련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부단열보드(130)는 2차방벽(120)과 극저온 유체에 접촉되는 1차방벽(170, 도 8 참조) 사이에 개재되며, 상부보호판(131)과 그 하부의 상부단열부재(132)를 포함한다. 상부단열보드(130)는 일정 두께를 가지며, 가로와 세로 길이가 동일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 상부단열보드(130)는 하부단열보드(110)와 동일한 형태 및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상부보호판(131)은 플라이우드(Plywood) 등의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상부단열부재(132)는 폴리우레탄폼 재질, 강화 폴리우레탄폼 등으로 제작되어 극저온 상태의 유체로부터 선체를 보호할 수 있다. 상술한 1차방벽은 극저온 유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며, 스테인리스 스틸(SUS) 등과 같은 금속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상부단열보드(130)는 양측의 하부단열보드(110)에 걸쳐지는 형태로 배치되되, 스터드볼트(211)에 각 모서리 부위가 결합되는 방식으로 2차방벽(120)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단열보드(130)는 양측의 하부단열보드(110) 2개씩을 커버하는 형태로 각 하부단열보드(110)의 스터드볼트(211)에 각 모서리 부위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부단열보드(110) 간에 형성된 공간이 상부단열보드(130)에 의해 커버되어, 극저온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고, 단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부단열보드(130)는 상부단열부재(132)와 2차방벽(120) 사이에 개재된 상부보조패널(134)과, 상부보조패널(134)과 2차방벽(120) 사이에 개재되어 화물창 내부에 저장되는 액화가스에 의한 슬로싱(sloshing) 충격으로부터 화물창 방벽을 보호하는 충격흡수층(1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충격흡수층(133)은 다른 예에서 생략될 수도 있다. 상부보조패널(134)은 플라이우드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충격흡수층(133)은 예컨대 폼 재료로서 멜라민폼(melamine foam)으로 제작될 수 있다. 멜라민폼은 아미노수지 계열인 멜라민 수지를 기반으로 한 개방형 폼으로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열 성능도 우수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충격흡수층(133)은 화물창 내부에 저장되는 액화가스에 의한 슬로싱 충격으로부터 화물창 방벽을 보호할 수 있는 다양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상부단열보드(130), 상부보조패널(134) 및 충격흡수층(133)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부단열보드(130)의 각 모서리에는 내부홀(130a)이 가공되어 있어 내부홀(130a)을 통해 삽입된 와셔(212)와 너트(213)가 충격흡수층(133)과 상부보조패널(134)의 관통홀을 통해 내부홀(130a) 쪽으로 돌출된 스터드볼트(211)에 체결되어, 너트(213)의 조임에 의해 와셔(212)가 상부보조패널(134)을 가압하게 된다. 내부홀(130a)에는 폼(Form) 등으로 충진된 플러그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고, 플라이우드 등으로 제작된 커버(미도시)에 의해 마감 처리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연결보드(135)는 상부단열보드(130) 간에 형성된 공간에 개재된다. 이를 통해, 상부단열보드(130)에 의해 커버되지 못한 하부단열보드(110) 간에 형성된 공간이 연결보드(135)에 의해 커버된다. 연결보드(135)는 상부단열보드(130) 사이에 끼워지고, 후술할 앵커플레이트(150)에 의해 이웃하는 상부단열보드(130)와 결속된다. 연결보드(135)는 양측의 하부단열보드(110) 2개씩을 커버하는 형태로 상부단열보드(130) 사이에 끼워진다.
연결보드(135)는 상부단열보드(130)와 동일 평면 상에 놓이도록 연결보호판(136)과 그 하부의 연결단열부재(137)를 포함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연결보드(135)는 상부단열보드(130)와 동일 평면 상에 놓이도록, 상부단열보드(130)가 충격흡수층(133)과 상부보조패널(134)을 더 포함할 경우, 그에 대응되는 부재를 각각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부재는 충격흡수층(133)과 상부보조패널(134)과 동일한 재질 및 두께로 제작될 수 있다.
상술한 연결보호판(136)과 연결단열부재(137)는 각각 상부보호판(131)과 상부단열부재(132)와 동일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부단열보드(130)와 연결보드(135) 간의 이웃하는 일면에 걸쳐서 형성된 홈에 삽입되며, 양단부 중 어느 한쪽이 고정되어 다른 쪽이 상부단열보드(130)와 연결보드(135) 중 어느 하나를 가압하는 방식으로 상부단열보드(130)와 연결보드(135)를 결속시키는 앵커플레이트(150)가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앵커플레이트(150)의 일측이 상부단열보드(130)에 리벳 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면, 앵커플레이트(150)의 타측은 이웃하는 연결보드(135)를 가압하게 된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상부보호판(131)에 형성된 결합홈(D1)에 스트립부재(160,161)가 설치되며, 스트립부재(160,161)의 상부에는 1차방벽(170, 도 8 참조)이 배치된다. 여기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보호판(131)의 중앙에 배치된 고정 스트립부재(161)는 리벳 등을 포함하는 체결부재(12)에 의해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나머지 스트립부재(160)는 열응력에 의해 수축팽창하는 1차방벽(170)의 움직임에 따라 슬라이딩된다. 1차방벽(17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스트립부재(160)의 상부를 가압하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1차방벽의 수축팽창에 따라 스트립부재(160)가 함께 슬라이딩될 수 있다. 스트립부재(160,161)는 예컨대,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도 7,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스트립부재(160,161) 중 1차방벽(170)의 수축팽창에 따라 슬라이딩되는 스트립부재(160)는 상부단열보드(130)와의 결합을 위해 체결부재(12)가 결합되는 복수의 체결홀(S1,S2)을 형성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체결홀(S1,S2)은 스트립부재(160)의 양단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체결부재(12)의 너비보다 크게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12)는 1차방벽(170)의 수축팽창에 따라 스트립부재(160)의 슬라이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체결홀(S1,S2)의 일측에 결합된다.
체결홀(S1,S2) 중 하나 이상의 제1체결홀(S1)은 다른 체결홀(S2)보다 큰 너비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재(12)가 제1체결홀(S1)의 일측에 체결된 상태에서 제1체결홀(S1)의 남은 빈 영역에 수축 가능한 탄성물질(160a)이 삽입된다. 탄성물질(160a)은 폼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폼 재질 이외에도 수축량(CTE)이 크고, 강성이 작은 다양한 물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탄성물질(160a)이 삽입되어 있으므로, 세로방향으로 설치된 스트립부재(160)가 자체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미끄러져 내려가지 않으면서 1차방벽(170)과의 용접 작업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제1체결홀(S1)에 채워진 탄성물질(160a)은 극저온 상태에서 어느 정도 수축이 이루어지므로, 탄성물질(160a)의 수축이 이루어진 만큼 제1체결홀(S1)에 빈 영역이 생기게 된다. 이를 통해 스트립부재(160)가 1차방벽(170)의 움직임에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어, 열응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10: 하부단열보드 111: 하부보호판
112: 하부단열부재 113: 하부보조패널
120: 2차방벽 130: 상부단열보드
131: 상부보호판 132: 상부단열부재
133: 충격흡수층 134: 상부보조패널
135: 연결보드 136: 연결보호판
137: 연결단열부재 150: 앵커플레이트
160,161: 스트립부재 170: 1차방벽
210: 고정편 S1,S2: 체결홀
112: 하부단열부재 113: 하부보조패널
120: 2차방벽 130: 상부단열보드
131: 상부보호판 132: 상부단열부재
133: 충격흡수층 134: 상부보조패널
135: 연결보드 136: 연결보호판
137: 연결단열부재 150: 앵커플레이트
160,161: 스트립부재 170: 1차방벽
210: 고정편 S1,S2: 체결홀
Claims (5)
- 2차방벽과 1차방벽 사이에 개재되며, 상부보호판과 그 하부의 상부단열부재를 포함하는 상부단열보드; 및
상부에 상기 1차방벽이 용접 접합되며, 상기 상부보호판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된 복수의 스트립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스트립부재 중 상기 1차방벽의 수축팽창에 따라 슬라이딩되는 스트립부재는 상기 상부단열보드와의 결합을 위해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복수의 체결홀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홀은 상기 스트립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체결부재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1차방벽의 수축팽창에 따라 상기 스트립부재의 슬라이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체결홀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체결홀 중 하나 이상의 제1체결홀은 다른 체결홀보다 큰 너비로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홀은 상기 체결부재가 일측에 체결된 상태에서 남은 빈 영역에 수축 가능한 탄성물질이 삽입된 화물창 방벽구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물질은 폼 재질로 제작된 화물창 방벽구조. - 제1항에 있어서,
화물창 내벽 상부에 복수의 열과 행으로 나란히 배열되고, 하부보호판과 그 상부의 하부단열부재 및 상기 2차방벽과 상기 하부단열부재 사이에 개재된 하부보조패널을 포함하는 하부단열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보조패널의 중심부위에는 스터드볼트가 수직 고정된 고정편이 마련되고,
상기 2차방벽은 양측의 상기 하부단열보드 간에 형성된 공간을 커버하도록 상기 하부단열보드 상부에 서로 연결되게 나란히 배치되되, 상기 스터드볼트를 중심으로 이웃하는 다른 2차방벽과 연결되고, 상기 스터드볼트가 설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주변부에 상기 고정편에 원용접 방식으로 접합되는 접합면을 형성한 화물창 방벽구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단열보드는 일정 두께를 가지고, 가로와 세로 길이가 동일한 정사각형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기 상부단열보드는 양측의 상기 하부단열보드에 걸쳐지는 형태로 배치되되, 상기 스터드볼트에 각 모서리 부위가 결합되는 방식으로 상기 2차방벽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상부단열보드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상부단열보드 간에 형성된 공간에 연결보드가 개재된 화물창 방벽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6373A KR101617032B1 (ko) | 2014-05-12 | 2014-05-12 | 화물창 방벽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6373A KR101617032B1 (ko) | 2014-05-12 | 2014-05-12 | 화물창 방벽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9894A KR20150129894A (ko) | 2015-11-23 |
KR101617032B1 true KR101617032B1 (ko) | 2016-05-02 |
Family
ID=54844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56373A KR101617032B1 (ko) | 2014-05-12 | 2014-05-12 | 화물창 방벽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1703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08563B1 (ko) * | 2016-11-04 | 2018-10-16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의 단열 구조체 및 단열 구조체 설치 방법 |
KR101876975B1 (ko) * | 2016-11-30 | 2018-07-10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의 단열 구조체 및 단열 구조체 설치 방법 |
FR3080905B1 (fr) * | 2018-05-07 | 2021-01-08 | Gaztransport Et Technigaz | Paroi de cuve etanche comprenant une membrane d'etancheite |
FR3144643A1 (fr) * | 2023-06-07 | 2024-07-05 | Gaztransport Et Technigaz | Procédé d’assemblage de plaques pour réaliser une membrane étanch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518724A (ja) * | 2008-05-02 | 2011-06-30 | サムスン ヘヴィ インダストリ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貨物倉インシュレーションパネルの固定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インシュレーションパネル |
-
2014
- 2014-05-12 KR KR1020140056373A patent/KR10161703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518724A (ja) * | 2008-05-02 | 2011-06-30 | サムスン ヘヴィ インダストリ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貨物倉インシュレーションパネルの固定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インシュレーションパネル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9894A (ko) | 2015-11-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16552B1 (ko) | 화물창 방벽구조 | |
KR101399843B1 (ko) | 화물창 방열 시스템 | |
JP6556831B2 (ja) | 貨物倉コーナー部防壁構造および貨物倉コーナー部防壁設置方法 | |
KR101617032B1 (ko) | 화물창 방벽구조 | |
KR20130099900A (ko) | 화물창 방벽구조 | |
KR101531494B1 (ko) | 화물창 방벽구조 | |
KR101617031B1 (ko) | 화물창 방벽구조 | |
KR101661927B1 (ko) | 화물창 코너부 방벽구조 | |
KR101644350B1 (ko) | 화물창 방벽구조 | |
KR101563859B1 (ko) | 화물창 방벽구조 | |
KR101865162B1 (ko) |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 |
KR101792475B1 (ko) | 액화가스 화물창 및 그의 시공방법 | |
KR101625862B1 (ko) | 화물창 방벽구조 | |
KR101617037B1 (ko) | 화물창 방벽구조 | |
KR101617029B1 (ko) | 화물창 방벽구조 | |
KR101571416B1 (ko) | 보강부재의 결합구조 | |
KR101487674B1 (ko) | 화물창 방벽구조 | |
KR20150129892A (ko) | 화물창 방벽구조 | |
KR101571426B1 (ko) | 1차방벽용 보강유닛 | |
KR101337645B1 (ko) |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 | |
KR101652218B1 (ko) | 화물창 방벽구조 | |
KR101690933B1 (ko) | 화물창 방벽 설치용 결합장치 | |
KR101635019B1 (ko) | 하부단열보드 결합장치 | |
KR101661947B1 (ko) | 화물창 코너부 방벽구조 | |
KR101399888B1 (ko) | 화물창 방벽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