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038Y1 - 터미널 박스 - Google Patents

터미널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038Y1
KR200480038Y1 KR2020150007563U KR20150007563U KR200480038Y1 KR 200480038 Y1 KR200480038 Y1 KR 200480038Y1 KR 2020150007563 U KR2020150007563 U KR 2020150007563U KR 20150007563 U KR20150007563 U KR 20150007563U KR 200480038 Y1 KR200480038 Y1 KR 2004800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ody
terminal block
terminal
rail
placement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5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우
Original Assignee
이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우 filed Critical 이상우
Priority to KR20201500075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0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0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0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6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 H01R9/2608Fastening means for mounting on support rail or stri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터미널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외관을 형성하는 박스 바디; 및 상기 박스 바디의 바닥부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배치 위치의 가변이 가능한 터미널 블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터미널 박스{Terminal box}
본 고안은, 터미널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박스 바디에 대해 터미널 블록이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용도, 혹은 전선의 인입 위치에 따라 터미널 블록을 다양하게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터미널 박스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전기 배선 시 사용되는 단자함, 즉 박스(box)의 종류로서 풀 박스(pull box), 정션 박스(junction box), 터미널 박스(terminal box) 등이 있다.
풀 박스(pull box)는 박스 내부에 터미널, 단자대가 없는 기구이다. 케이블을 배관 속에 넣어 시공할 경우, 배관이 너무 길면 당기기 어려운데, 이때 풀 박스를 중간 중간에 배치하여 케이블을 당기기 위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정션 박스(junction box)는 전선이나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기구이다. 박스의 내부에 단자대가 설치되어 접속하는 경우도 있는데, 굵기가 큰 경우에는 단자대 없이 직결 처리하기도 한다.
한편, 터미널 박스(terminal box)는 실질적으로 정션 박스와 혼용하여 사용하는 기구이다. 다만, 사이즈 면에서 터미널 박스가 정션 박스보가 약간 큰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현장에서는 한 개의 터미널 박스에서 분기하여 몇 개의 정션 박스로 나눠지고 각 정션 박스들에서 부하로 연결되는 형태가 가장 흔하다.
한편, 기존에 알려지고 있는 터미널 박스의 경우, 일체형의 사출물로 제작되기 때문에 박스 바디 내에 터미널 블록이 고정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처럼 박스 바디 내에 터미널 블록이 고정되어 있게 되면 사용자의 용도, 혹은 전선의 인입 위치에 맞게 터미널 블록을 제대로 활용할 수 없어 작업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4-002454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5-011811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87-001891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6-0059058호
본 고안의 목적은, 박스 바디에 대해 터미널 블록이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용도, 혹은 전선의 인입 위치에 따라 터미널 블록을 다양하게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터미널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외관을 형성하는 박스 바디; 및 상기 박스 바디의 바닥부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배치 위치의 가변이 가능한 터미널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박스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박스 바디의 바닥부 영역에는 상기 터미널 블록의 배치 위치를 임의로 가변시키는 다수의 배치 위치 가변용 보스가 마련되며, 상기 터미널 블록은 다수의 배치 위치 가변용 보스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한 쌍의 배치 위치 가변용 보스 상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터미널 블록에는 상기 배치 위치 가변용 보스 상에 배치되어 상기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날개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배치 위치 가변용 보스는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절두원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박스 바디의 바닥부 영역에는 슬릿이 형성되는 채널이 상호 대칭되게 한 쌍으로 배치되며, 상기 박스 바디의 측벽에는 전선의 인입을 위한 다수의 전선 인입용 너트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박스 바디의 측벽에는 전선의 인입을 위해 개폐 가능한 개폐식 플립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박스 바디의 바닥부 영역에는 상기 터미널 블록이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레일이 마련되며, 상기 터미널 블록에는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 블록이 결합되며, 상기 레일 상에는 상기 레일 블록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다수의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박스 바디에 대해 터미널 블록이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용도, 혹은 전선의 인입 위치에 따라 터미널 블록을 다양하게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을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들이다.
도 4는 도 1의 평면 구조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터미널 블록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터미널 박스의 여러 사용 예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박스의 평면 구조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적용되는 레일과 레일 블록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3 시예에 따른 터미널 박스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박스의 평면 구조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박스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을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들, 도 4는 도 1의 평면 구조도, 도 5는 도 4에서 터미널 블록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 도 6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배면 사시도, 그리고 도 8은 도 1의 터미널 박스의 여러 사용 예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박스(100)는 박스 바디(110)와 터미널 블록(160)을 포함하며, 박스 바디(110)에 대해 터미널 블록(160)이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용도, 혹은 전선의 인입 위치에 따라 터미널 블록(160)을 다양하게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우선, 박스 바디(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박스(100)의 외관 구조를 형성한다. 용어 그대로 박스 바디(110)는 일측이 개방된 박스(box) 타입의 구조물이다. 개방된 개구에는 도시 않은 덮개가 결합될 수 있다.
박스 바디(110)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즉 플라스틱의 사출 성형에 의해 도면과 같은 형상과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박스 바디(110)의 하부에는 다수의 나사(B1)가 삽입되어 연결된다. 이와 같은 나사(B1)를 이용해서 박스 바디(110)를 원하는 장소에 고정시킬 수 있다. 박스 바디(110)의 코너(corner) 영역에는 나사(B1)의 삽입을 위한 다수의 홀(H1)이 형성될 수 있다.
박스 바디(110)의 측벽에는 전선의 인입을 위한 다수의 전선 인입용 너트(140)가 마련된다.
작업자는 전선 인입용 너트(140)를 풀어 전선을 끼운 후, 다시 전선 인입용 너트(140)를 조여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선 인입용 너트(140)들은 박스 바디(110)의 측벽 3군데 모두 마련되는데, 전선 인입용 너트(140)가 마련되지 않은 박스 바디(110)의 측벽에는 개폐식 플립(150)이 마련된다.
개폐식 플립(150)은 일부분만이 박스 바디(110)에 약한 강도로 결합된 것으로서, 이 곳을 통해 전선을 인입시키고자 할 때, 사용될 수 있는 장소를 이룬다.
부연하면, 개폐식 플립(150)이 위치되는 측벽을 통해 전선을 인입시키려 할 경우, 개폐식 플립(150)이 없는 경우라면 해당 측벽을 뚫어야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개폐식 플립(150)을 간편하게 떼어내어 사용하면 된다. 개폐식 플립(150)을 떼어내면 그 자리에 관통공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곳을 통해 전선을 인입시키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본 실시예에서 개폐식 플립(150)은 박스 바디(110)의 일측 벽에 3개 마련되고 있으나 개폐식 플립(150)의 개수와 위치는 충분히 다를 수 있다.
한편, 상기 박스 바디(110)의 바닥부(111) 영역에는 터미널 블록(160)의 배치 위치를 임의로 가변시키는 다수의 배치 위치 가변용 보스(120)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배치 위치 가변용 보스(120)는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절두원추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이곳으로 나사(B2)가 결합되면서 터미널 블록(160)이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터미널 블록(160)은 다수의 배치 위치 가변용 보스(120)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한 쌍의 배치 위치 가변용 보스(120) 상에 나사(B2) 결합될 수 있다. 즉 도 8처럼 터미널 블록(160)은 다수의 배치 위치 가변용 보스(120)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것들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물론, 도 8의 경우, 터미널 블록(160)의 사이즈는 서로 다를 수 있으나 그 배치가 사용자의 임의대로 조정이 가능하다.
이처럼 사용자의 용도, 혹은 전선의 인입 위치에 따라 터미널 블록(160)을 다양하게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박스 바디(110)의 바닥부(111) 영역에는 슬릿(131)이 형성되는 채널(130)이 상호 대칭되게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터미널 블록(160)은 박스 바디(110)의 바닥부(111) 영역에 마련되는 배치 위치 가변용 보스(120) 상에 나사(B2)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물이다. 도 8처럼 터미널 블록(160)의 배치 위치, 혹은 방향은 임의로 가변이 가능하다.
이러한 터미널 블록(160)에는 전선의 고정을 위한 다수의 단자볼트(B)가 마련된다. 그리고 터미널 블록(160)에는 배치 위치 가변용 보스(120) 상에 배치되어 나사(B2) 결합되기 위한 날개 플랜지(161)가 형성된다. 날개 플랜지(161)는 날개 플랜지(161)의 양측에 상호 대칭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종전과 달리 터미널 블록(160)이 분리형으로 적용되어 도 8처럼 박스 바디(110)의 바닥부(111) 영역에 임의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용도, 혹은 전선의 인입 위치에 따라 터미널 블록(160)을 다양하게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박스 바디(110)에 대해 터미널 블록(160)이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용도, 혹은 전선의 인입 위치에 따라 터미널 블록(160)을 다양하게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박스의 평면 구조도, 도 10은 도 9의 요부 확대도, 그리고 도 11은 도 10에 적용되는 레일과 레일 블록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박스(200) 역시, 박스 바디(210)와, 박스 바디(2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터미널 블록(2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박스 바디(210)의 바닥부(211) 영역에는 터미널 블록(160)이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레일(271)이 마련되며, 터미널 블록(260)의 날개 플랜지(261)에는 레일(27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 블록(272)이 결합될 수 있다.
레일(271)과 레일 블록(272)은 상호 도브 테일(dove tail) 형태로 결합됨으로써, 터미널 블록(260)이 레일(27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레일(271) 상에는 레일 블록(272)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다수의 스토퍼(28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사용자의 용도, 혹은 전선의 인입 위치에 따라 터미널 블록(260)을 다양하게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3 시예에 따른 터미널 박스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요부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박스(300) 역시, 박스 바디(310)와, 박스 바디(3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터미널 블록(3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박스 바디(310)의 바닥부(311) 영역에는 터미널 블록(360)이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이드(371)가 마련된다. 슬라이딩 가이드(371)에는 다수의 통공(371a)이 형성된다.
그리고 터미널 블록(360)의 날개 플랜지(361)에는 슬라이딩 가이드(371)에 연결되어 슬라이딩 가이드(371)를 따라 이동되는 무버(372, mover)가 연결부(373)에 의해 연결된다. 무버(372)에는 통공(371a)들과 선택적으로 연통 가능한 연통공(372a)이 형성된다.
연통공(372a)에는 체결부재(375)가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재(375)는 드라이버 없이도 손으로 조작이 가능한 것이면 더욱 좋다.
이러한 구조가 적용될 경우, 터미널 블록(360)을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박스 바디(310) 상의 적당한 위치에 터미널 블록(360)을 배치하고, 이 지점에서 통공(371a)과 연통공(372a)이 상호 연통될 수 있게끔 약간 조정한 후, 상호 연통된 연통공(372a)과 통공(371a)에 체결부재(375)를 체결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터미널 블록(360)을 배치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사용자의 용도, 혹은 전선의 인입 위치에 따라 터미널 블록(360)을 다양하게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박스의 평면 구조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박스(400) 역시, 박스 바디(410)와, 박스 바디(4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터미널 블록(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박스 바디(410)의 바닥부(411) 영역에는 터미널 블록이 위치 고정되도록 하는 다수의 배치 위치 가변용 보스(420)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배치 위치 가변용 보스(420)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이동식으로 마련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배치 위치 가변용 보스(420)는 박스 바디(410)의 바닥부(411) 영역에 마련되는 보스 이동 레일(490) 상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보스 이동 레일(490)은 폐루프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보스 이동 레일(490)에는 군데군데에 배치 위치 가변용 보스(420)가 위치 고정되기 위한 다수의 스토핑 홈(491)이 형성된다.
따라서 예컨대 2개의 배치 위치 가변용 보스(420)를 보스 이동 레일(490)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원하는 스토핑 홈(491)에 고정시켜 둘 수 있는데, 이 상태에서 나사를 이용해서 터미널 블록을 배치 위치 가변용 보스(4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이동식 배치 위치 가변용 보스(420) 몇 개만을 사용하면 되는 이점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사용자의 용도, 혹은 전선의 인입 위치에 따라 터미널 블록을 다양하게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터미널 박스 110 : 박스 바디
111 : 바닥부 120 : 배치 위치 가변용 보스
130 : 채널 131 : 슬릿
140 : 전선 인입용 너트 150 : 개폐식 플립
160 : 터미널 블록 161 : 날개 플랜지

Claims (5)

  1. 외관을 형성하는 박스 바디; 및
    상기 박스 바디의 바닥부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배치 위치의 가변이 가능한 터미널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박스 바디의 바닥부 영역에는 슬릿이 형성되는 채널이 상호 대칭되게 한 쌍으로 배치되며,
    상기 박스 바디의 측벽에는 전선의 인입을 위한 다수의 전선 인입용 너트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바디의 바닥부 영역에는 상기 터미널 블록의 배치 위치를 임의로 가변시키는 다수의 배치 위치 가변용 보스가 마련되며,
    상기 터미널 블록은 다수의 배치 위치 가변용 보스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한 쌍의 배치 위치 가변용 보스 상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터미널 블록에는 상기 배치 위치 가변용 보스 상에 배치되어 상기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날개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배치 위치 가변용 보스는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절두원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박스.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바디의 측벽에는 전선의 인입을 위해 개폐 가능한 개폐식 플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박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바디의 바닥부 영역에는 상기 터미널 블록이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레일이 마련되며,
    상기 터미널 블록에는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 블록이 결합되며,
    상기 레일 상에는 상기 레일 블록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다수의 스토퍼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박스.
KR2020150007563U 2015-11-20 2015-11-20 터미널 박스 KR2004800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563U KR200480038Y1 (ko) 2015-11-20 2015-11-20 터미널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563U KR200480038Y1 (ko) 2015-11-20 2015-11-20 터미널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038Y1 true KR200480038Y1 (ko) 2016-04-05

Family

ID=55790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563U KR200480038Y1 (ko) 2015-11-20 2015-11-20 터미널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0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9246A (ko) * 2020-10-14 2022-04-21 주식회사 한화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구조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858B1 (ko) 2012-05-07 2013-05-15 주식회사 경신 터미널 단자 고정용 지그
CN202949181U (zh) 2012-11-27 2013-05-22 罗森伯格亚太电子有限公司 光电接线盒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858B1 (ko) 2012-05-07 2013-05-15 주식회사 경신 터미널 단자 고정용 지그
CN202949181U (zh) 2012-11-27 2013-05-22 罗森伯格亚太电子有限公司 光电接线盒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9246A (ko) * 2020-10-14 2022-04-21 주식회사 한화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구조체
KR102407938B1 (ko) * 2020-10-14 2022-06-10 주식회사 한화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7243B1 (en) Wireway system having a pivotable cover
US7078617B1 (en) Computer cable organizer
DE60207165T2 (de) Zweiteilige Tüllebefestigung für Kabelkanal
KR200480038Y1 (ko) 터미널 박스
US2299696A (en) Outlet box
US20060240707A1 (en) Device for supporting electrical components and wiring accessories
US8415563B1 (en) Adjustable electrical box
US20120159745A1 (en) Cord end
US9543744B1 (en) Sealed cable conduit electrical box
US7207830B2 (en) Electrical box
KR20190136296A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US9871362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9236719B1 (en) Cable rail system
CN204362473U (zh) 电路板的固定装置
JP5514515B2 (ja) 配電函
US2480522A (en) Cable clamp
JPH0321143Y2 (ko)
CN203419388U (zh) 一种可解锁结构的扎带
KR20190073068A (ko) 케이블 트레이
KR101369645B1 (ko) 배선용 케이블 가이드
JPH083302Y2 (ja) 机における配線ダクトの支持構造
KR20160000849U (ko) 슬라이딩형 포장 상자
KR20100008125U (ko) 조립조정식배선용닥트
KR101826160B1 (ko) 지그
KR200437895Y1 (ko) 칸막이용 보조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