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849U - 슬라이딩형 포장 상자 - Google Patents

슬라이딩형 포장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849U
KR20160000849U KR2020140006510U KR20140006510U KR20160000849U KR 20160000849 U KR20160000849 U KR 20160000849U KR 2020140006510 U KR2020140006510 U KR 2020140006510U KR 20140006510 U KR20140006510 U KR 20140006510U KR 20160000849 U KR20160000849 U KR 201600008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liding box
hole
slid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5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7073Y1 (ko
Inventor
김봉손
조준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조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조준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201400065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073Y1/ko
Publication of KR201600008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8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0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0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8Drawer-and-shell typ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95Ventilating arrangements, e.g. openings, spac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08Handle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46024Straps used as handles with anchoring elements fixed in sl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품의 포장과 운반을 용이하게 하고 미관을 개선시킨 슬라이딩형 포장 상자에 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제품 수용부가 형성되는 제품 수용본체; 적어도 측면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제품 수용본체의 양측에서 상기 제품 수용본체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제1 슬라이딩 상자와 제2 슬라이딩 상자; 및 상기 제1 슬라이딩 상자와 상기 제2 슬라이딩 상자를 상기 제품 수용본체에 함께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를 포함하는 슬라이딩형 포장 상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슬라이딩형 포장 상자 {Sliding Type Packaging Box}
본 고안은 슬라이딩형 포장 상자에 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제품의 포장과 운반을 용이하게 하고 미관을 개선시킨 슬라이딩형 포장 상자에 대한 것이다.
제품의 수납과 포장을 위하여 종이나 플라스틱 재질의 포장 상자가 많이 사용된다. 또한, 선물 세트와 같은 경우에는 운반 편리성과 함께 포장의 고급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통상적인 포장 상자는 상부가 개방된 하부 상자와 하방이 개방되어 상기 하부 상자의 위쪽을 덮도록 결합되는 상부 상자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쇼핑백과 유사한 구조로 포장 상자를 제공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의 포장 상자는 내용물의 확인이 곤란하거나, 제품 미감이 고급스럽지 않다는 등의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포장 상자에 운반을 위한 손잡이를 구비하는 경우에도 쇼핑백과 같은 형태로만 제공될 뿐이어서 포장 상자의 다양성을 제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0668호 (2013.04.24. 공개)
본 고안은 제품 수용본체와 상기 제품 수용본체의 양측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1 슬라이딩 상자와 제2 슬라이딩 상자를 포함하여 제품 포장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손잡이를 구비하여 운반 편리성을 향상시킨 슬라이딩형 포장 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제품 수용부가 형성되는 제품 수용본체; 적어도 측면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제품 수용본체의 양측에서 상기 제품 수용본체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제1 슬라이딩 상자와 제2 슬라이딩 상자; 및 상기 제1 슬라이딩 상자와 상기 제2 슬라이딩 상자를 상기 제품 수용본체에 함께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를 포함하는 슬라이딩형 포장 상자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딩 상자에는 전면을 관통하는 제1 전면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슬라이딩 상자에는 전면을 관통하는 제2 전면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를 이루는 제1 손잡이의 단부 중 하나는 상기 제1 전면 통공을 통해 상기 제품 수용본체의 상단에 형성된 제1 손잡이 결합공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손잡이의 단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전면 통공을 통해 상기 제품 수용본체의 상단에 형성된 제2 손잡이 결합공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슬라이딩 상자에는 후면을 관통하는 제1 후면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슬라이딩 상자에는 후면을 관통하는 제2 후면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제2 손잡이가 추가로 포함되어, 상기 제2 손잡이의 단부 중 하나는 상기 제1 후면 통공을 통해 상기 제품 수용본체의 후면 상단에 형성된 제3 손잡이 결합공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손잡이의 단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후면 통공을 통해 상기 제품 수용본체의 후면 상단에 형성된 제4 손잡이 결합공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손잡이 결합공, 상기 제2 손잡이 결합공, 상기 제3 손잡이 결합공 및 상기 제4 손잡이 결합공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장공 형태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 손잡이의 단부에는 제1 손잡이 고정구와 제2 손잡이 고정구가 구비되어 상기 제1 손잡이 결합공과 상기 제2 손잡이 결합공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제2 손잡이의 단부에는 제3 손잡이 고정구와 제4 손잡이 고정구가 구비되어 상기 제3 손잡이 결합공과 상기 제4 손잡이 결합공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제품을 수용하는 제품 수용본체의 양측으로 개폐되는 제1 슬라이딩 상자와 제2 슬라이딩 상자를 구비하여 개폐가 용이하고, 제품의 포장 및 포장된 제품의 확인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제품 수용본체와 제1, 2 슬라이딩 상자가 운반을 위한 손잡이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분리가 방지되는 한편, 손잡이를 잡는 동작만으로도 제품 수용본체에 제1 슬라이딩 상자와 제2 슬라이딩 상자가 안정적으로 결합을 유지하여 운반 편리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형 포장 상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형 포장 상자의 정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형 포장 상자의 후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형 포장 상자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형 포장 상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형 포장 상자의 정면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형 포장 상자의 후면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형 포장 상자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형 포장 상자(10)는, 전면이 개방된 형태의 제품 수용부(26)가 형성된 제품 수용본체(20)와, 상기 제품 수용본체(20)의 양측에서 각각 슬라이딩된 형태로 결합되는 제1 슬라이딩 상자(30) 및 제2 슬라이딩 상자(3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슬라딩 상자(30)의 상부 일단을 관통하여 상기 제품 수용본체(20)에 형성된 손잡이 결합공(24a, 24b, 24c, 24d)에 결합되는 손잡이(40, 40')를 포함한다.
제품 수용본체(20)는 사각 형태의 테두리부(22)와 상기 테두리부(22)의 일면을 폐쇄하며 상기 제품 수용본체(20)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판(28)을 포함한다. 테두리부(22)와 상기 후면판(28)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전면이 개방된 형태의 제품 수용부(26)를 형성한다. 제품 수용부(26)에는 포장되는 제품이 수용된다. 이러한 제품 수용본체(20)는 종이 재질을 이용하여 절첩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품 수용본체(20)는 종이 재질이 아니라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테두리부(22) 상단의 전면과 후면에는 상기 손잡이 결합공(24a, 24b, 24c, 24d)이 형성된다. 손잡이 결합공(24a, 24b, 24c, 24d)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장공(長孔) 형태로서 소정 길이를 가지며, 테두리부(22) 상단의 외측과 내측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손잡이 결합공(24a)과 제2 손잡이 결합공(24b)은 테두리부(22) 상단의 전면에 구비된다. 또한 제3 손잡이 결합공(24c)과 제4 손잡이 결합공(24d)는 테두리부(22)상단의 후면에 구비된다.
제1 슬라이딩 상자(30)와 제2 슬라이딩 상자(34)는 각각 일측면이 개방된 형태의 상자 구조를 갖는다. 제품 수용본체(20)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갖으며, 제1 슬라이딩 상자(30)와 제2 슬라이딩 상자(34)는 상기 제품 수용본체(20)의 좌우측에서 상기 제품 수용본체(20)를 내장하는 형태로 슬라이딩하여 결합된다.
제1 슬라이딩 상자(30)의 상단에는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제1 전면 통공(32a)과 제1 후면 통공(32b)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제2 슬라이딩 상자(34)의 상단에는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제2 전면 통공(36a)과 제2 후면 통공(36b)이 관통 형성된다.
손잡이(40, 40')는 제1 손잡이(40)와 제2 손잡이(40')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손잡이(40)는 손잡이 끈(42)과 손잡이 끈(42)의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1 손잡이 고정구(44a) 및 제2 손잡이 고정구(44b)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제2 손잡이(40')는 손잡이 끈(42')과 손잡이 끈(42')의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3 손잡이 고정구(44c) 및 제4 손잡이 고정구(44d)를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 고정구(44a, 44b, 44c, 44d)는 뭉치 형태 또는 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 끈(42, 42')의 단부가 상기 제1 내지 4 손잡이 결합공(24a, 24b, 24c, 24d)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면 어떤 형태이든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손잡이(40)의 손잡이 끈(42)의 단부 중 하나는 제1 슬라이딩 상자(30)의 제1 전면 통공(32a)을 통해 제품 수용본체(20)의 제1 손잡이 결합공(24a)으로 삽입되고, 다른 하나는 제2 슬라이딩 상자(34)의 제2 전면 통공(36a)을 통해 제품 수용본체(20)의 제2 손잡이 결합공(24b)으로 삽입된다. 이 때, 제1 손잡이 고정구(44a)와 제2 손잡이 고정구(44b)에 의해 손잡이 끈(42)의 단부들이 상기 제1 손잡이 결합공(24a)과 제2 손잡이 결합공(24b)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같은 방식으로, 제2 손잡이(40')의 손잡이 끈(42')의 단부 중 하나는 제1 슬라이딩 상자(30)의 제1 후면 통공(32b)을 통해 제품 수용본체(20)의 제3 손잡이 결합공(24c)으로 삽입되고, 다른 하나는 제2 슬라이딩 상자(34)의 제2 후면 통공(36b)을 통해 제품 수용본체(20)의 제4 손잡이 결합공(24d)으로 삽입된다. 이 때, 제3 손잡이 고정구(44c)와 제4 손잡이 고정구(44d)에 의해 손잡이 끈(42)의 단부들이 상기 제3 손잡이 결합공(24c)과 제2 손잡이 결합공(24d)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4와 같이 제1 슬라이딩 상자(30)와 제2 슬라이딩 상자(34)를 제품 수용본체(20)로부터 좌우측으로 여는 경우, 상기 제1 손잡이(40)의 양측은 각각 제1 전면 통공(32a)과 제2 전면 통공(36a)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손잡이 결합공(24a)과 제2 손잡이 결합공(24b)을 따라 상기 제1 손잡이 고정구(44a)와 제2 손잡이 고정구(44b)가 슬라이드 이동되며 벌려진다. 또한, 상기 제2 손잡이(40')의 양측은 각각 제1 후면 통공(32b)과 제2 후면 통공(36b)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3 손잡이 결합공(24c)과 제4 손잡이 결합공(24d)을 따라 상기 제3 손잡이 고정구(44c)와 제4 손잡이 고정구(44d)가 슬라이드 이동되며 벌려진다.
도 4의 상태에서는 제품을 제품 수용본체(20)의 제품 수용부(26)에 넣거나, 제품 수용부(26)에 수용된 제품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상자(30)와 제2 슬라이딩 상자(34)를 중앙으로 이동시키면 도 1과 같이 닫힌 상태로 된다. 제1 슬라이딩 상자(30)와 제2 슬라이딩 상자(34) 각각은 제품 수용본체(20)의 외부를 지지하는 구성이므로,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손잡이(40, 40')를 잡는 경우, 제1 슬라이딩 상자(30)와 제2 슬라이딩 상자(34)는 열리지 않고, 제품 수용본체(20)와 일체를 이룬다.
이러한 본원 고안에 의하면, 제1 슬라이딩 상자(30)와 제2 슬라이딩 상자(34)를 제품 수용본체(20)와 일체를 이루도록 슬라이딩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며, 손잡이(40, 40')에 의해 그 결합이 유지되는 한편, 운반 편리성도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슬라이딩형 포장 상자
20 : 제품 수용본체
22 : 테두리부
24a, 24b, 24c, 24d : 제1, 2, 3, 4 손잡이 결합공
26 : 제품 수용부
28 : 후면판
30 : 제1 슬라이딩 상자
32a, 32b : 제1 전면, 후면 통공
34 : 제2 슬라이딩 상자
36a, 36b : 제2 전면, 후면 통공
40, 40' : 손잡이
42, 42' : 손잡이 끈
44a, 44b, 44c, 44d : 제1, 2, 3, 4 손잡이 고정구

Claims (5)

  1. 제품 수용부가 형성되는 제품 수용본체;
    적어도 측면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제품 수용본체의 양측에서 상기 제품 수용본체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제1 슬라이딩 상자와 제2 슬라이딩 상자; 및
    상기 제1 슬라이딩 상자와 상기 제2 슬라이딩 상자를 상기 제품 수용본체에 함께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
    를 포함하는 슬라이딩형 포장 상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딩 상자에는 전면을 관통하는 제1 전면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슬라이딩 상자에는 전면을 관통하는 제2 전면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를 이루는 제1 손잡이의 단부 중 하나는 상기 제1 전면 통공을 통해 상기 제품 수용본체의 상단에 형성된 제1 손잡이 결합공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손잡이의 단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전면 통공을 통해 상기 제품 수용본체의 상단에 형성된 제2 손잡이 결합공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형 포장 상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딩 상자에는 후면을 관통하는 제1 후면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슬라이딩 상자에는 후면을 관통하는 제2 후면 통공이 형성되며, 제2 손잡이가 추가로 포함되어, 상기 제2 손잡이의 단부 중 하나는 상기 제1 후면 통공을 통해 상기 제품 수용본체의 후면 상단에 형성된 제3 손잡이 결합공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손잡이의 단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후면 통공을 통해 상기 제품 수용본체의 후면 상단에 형성된 제4 손잡이 결합공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형 포장 상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손잡이 결합공, 상기 제2 손잡이 결합공, 상기 제3 손잡이 결합공 및 상기 제4 손잡이 결합공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장공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형 포장 상자.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손잡이의 단부에는 제1 손잡이 고정구와 제2 손잡이 고정구가 구비되어 상기 제1 손잡이 결합공과 상기 제2 손잡이 결합공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제2 손잡이의 단부에는 제3 손잡이 고정구와 제4 손잡이 고정구가 구비되어 상기 제3 손잡이 결합공과 상기 제4 손잡이 결합공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형 포장 상자.
KR2020140006510U 2014-09-02 2014-09-02 슬라이딩형 포장 상자 KR2004870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510U KR200487073Y1 (ko) 2014-09-02 2014-09-02 슬라이딩형 포장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510U KR200487073Y1 (ko) 2014-09-02 2014-09-02 슬라이딩형 포장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849U true KR20160000849U (ko) 2016-03-10
KR200487073Y1 KR200487073Y1 (ko) 2018-07-31

Family

ID=55531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510U KR200487073Y1 (ko) 2014-09-02 2014-09-02 슬라이딩형 포장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07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467B1 (ko) * 2018-07-13 2019-11-06 장기환 재활용이 가능한 낚시대 포장 케이스
KR102090136B1 (ko) * 2019-04-11 2020-03-25 이충진 미닫이형 포장상자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256B1 (ko) * 2006-09-16 2008-01-16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서랍형 포장박스
KR100971682B1 (ko) * 2008-02-05 2010-07-22 (주) 대림칼라 슬라이드형 포장박스
KR101003527B1 (ko) * 2010-06-17 2010-12-29 주식회사 올리브디앤피 서랍형 포장 박스
KR101117777B1 (ko) * 2009-09-16 2012-03-21 주식회사 유앤아이위드 슬라이드형 다용도 수납함
KR20130040668A (ko) 2011-10-15 2013-04-24 (주)해성에이스 포장용 종이상자
WO2014064795A1 (ja) * 2012-10-25 2014-05-0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スライドボックス型パッケー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256B1 (ko) * 2006-09-16 2008-01-16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서랍형 포장박스
KR100971682B1 (ko) * 2008-02-05 2010-07-22 (주) 대림칼라 슬라이드형 포장박스
KR101117777B1 (ko) * 2009-09-16 2012-03-21 주식회사 유앤아이위드 슬라이드형 다용도 수납함
KR101003527B1 (ko) * 2010-06-17 2010-12-29 주식회사 올리브디앤피 서랍형 포장 박스
KR20130040668A (ko) 2011-10-15 2013-04-24 (주)해성에이스 포장용 종이상자
WO2014064795A1 (ja) * 2012-10-25 2014-05-0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スライドボックス型パッケー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467B1 (ko) * 2018-07-13 2019-11-06 장기환 재활용이 가능한 낚시대 포장 케이스
WO2020013653A1 (ko) * 2018-07-13 2020-01-16 장기환 재활용이 가능한 낚시대 포장 케이스
KR102090136B1 (ko) * 2019-04-11 2020-03-25 이충진 미닫이형 포장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073Y1 (ko) 201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769671S1 (en) Double lid with strap
USD740562S1 (en) Nested containers
CA2688726A1 (en) Carton with increased width access opening
US20150125096A1 (en) Collapsible and Selectively Compartmentalized Bag
TW201628937A (zh) 收納容器
US20160150916A1 (en) Cutting Board
KR200487073Y1 (ko) 슬라이딩형 포장 상자
USD801040S1 (en) Foldable backpack
KR200468138Y1 (ko) 손잡이 일체형 포장박스
US20140166415A1 (en) Luggage with a structure to accommodate a computer
KR101713020B1 (ko) 포장용 종이박스
KR101003527B1 (ko) 서랍형 포장 박스
KR200446805Y1 (ko) 다용도 포장박스
KR101735937B1 (ko) 포장용 박스
US3201028A (en) Container
KR200478871Y1 (ko) 포장 상자
KR20110035369A (ko) 분말형 세제 포장 용기
KR101716213B1 (ko) 밀폐용기를 갖는 서랍장
KR200477582Y1 (ko) 양문형 종이상자
CN204624076U (zh) 纸盒
KR200447274Y1 (ko) 술병 포장케이스
KR20060125300A (ko) 물품 포장용 단열박스
USD859835S1 (en) Pouch
KR200471856Y1 (ko)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
JP3170127U (ja) 手提げ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