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9246A -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구조체 - Google Patents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9246A
KR20220049246A KR1020200132656A KR20200132656A KR20220049246A KR 20220049246 A KR20220049246 A KR 20220049246A KR 1020200132656 A KR1020200132656 A KR 1020200132656A KR 20200132656 A KR20200132656 A KR 20200132656A KR 20220049246 A KR20220049246 A KR 20220049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adapter
connector
cable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2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7938B1 (ko
Inventor
이기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1020200132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938B1/ko
Publication of KR20220049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9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2개의 케이블 커넥터를 결합시켜 2개의 케이블을 연결할 때 케이블 커넥터의 종류에 따라 키 결합 위치를 가변하여 케이블의 폴라리제이션을 가변할 수 있어 다양한 폴라리제이션 타입으로 케이블 커넥터를 체결하는데 공용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각기 케이블 커넥터를 체결하기 위한 별도의 폴라리제이션 어댑터를 제작할 필요가 없어 비용이 절감되며 작업 시 작업자의 실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케이블 점검을 위한 공용 점검 장비를 개발할 수 있어 케이블 점검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구조체{VARIABLE ADAPTER FOR CABLE CONNECTION AND VARIABLE ADAPTER FOR CABLE CONNECTION STRUCTUR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구조체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유도탄은 단면적에 대한 길이의 비율인 세장비가 큰 형태로 제조되고, 이에 분할된 복수의 유도탄 몸체를 유도탄 조립대 상에서 일렬로 위치시킨 후 분할된 복수의 몸체를 직선 이동시켜 조립하고 있다.
즉, 종래의 유도탄 조립대는 분할된 복수의 유도탄 몸체를 지지하며 조립대 상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고 상, 하 이동 가능한 복수의 유도탄 지지대를 구비하여 유도탄 지지대 상에 각각의 유도탄 몸체를 올려놓고 정렬한 후 분할된 유도탄 몸체를 직선 이동시켜 조립하고 있다.
종래의 유도탄 조립 시 분할된 유도탄 몸체를 조립함에 있어 각 유도탄 몸체 내에 위치된 전자 부품을 케이블로 연결해야 하는 케이블 연결 과정이 포함된다.
유도탄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케이블이 포함된 장비는 케이블 연결용 어댑터를 통해 연결된다.
즉, 유도탄과 같은 여러 케이블이 포함된 장비를 서로 다른 연결기를 적용하여 장비 제작 시 해당 연결기를 제외한 다른 연결기와 물리적으로 체결되지 않도록 설계하여 휴먼에러 최소화하고 있다.
그러나, 유도탄과 같은 여러 케이블이 포함된 장비를 서로 다른 연결기를 적용하여 연결하는 경우 주문접수 후 제작에 들어가기 때문에 장납기 품목으로 장비 개발 일정에 차질이 생기게 된다.
또한, 유도탄과 같은 여러 케이블이 포함된 장비를 서로 다른 연결기를 적용하여 연결하는 경우 유도탄 케이블 점검을 위한 별도의 어댑터박스 제작 필요하고, 단순 케이블 연결기 변경 시에도 어댑터박스 수정/보완에 따른 비용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0001)한국특허등록 제0618109호 "엇갈림 홀드-다운 탭을 갖는 전기 커넥터"(2006.08.23.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2개의 케이블 커넥터를 결합시켜 2개의 케이블을 연결할 때 케이블 커넥터의 종류에 따라 키 결합 위치를 가변하여 케이블의 폴라리제이션을 가변할 수 있어 다양한 폴라리제이션 타입을 가지는 케이블 커넥터를 체결하는데 공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의 일 실시예는 양측에 각각 제1케이블의 단부에 위치되는 제1케이블 커넥터와 제2케이블의 단부에 위치되는 제2케이블 커넥터가 결합되어 제1케이블과 제2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이며, 일측에 상기 제1케이블 커넥터가 결합되는 제1커넥터 결합부가 위치되고, 타측에 상기 제2케이블 커넥터가 결합되는 제2커넥터 결합부가 위치되어 2개의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어댑터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케이블 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 및 상기 제2케이블 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 결합부는 키홈에 키가 삽입되는 키결합 구조로 결합 위치가 안내되되, 상기 키와 상기 키홈 중 어느 한 측의 위치를 가변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위치되고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이동되어 위치 조절이 가능한 제1어댑터 키와 제2어댑터 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의 위치를 고정하는 키 위치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위치되는 복수의 제1키 고정용 구멍 및 복수의 제2키 고정용 구멍이 위치되고, 상기 키 위치 고정부는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에 각각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기 제1키 고정용 구멍과 상기 제2키 고정용 구멍을 관통하는 키 일체형 볼트; 및 상기 키 일체형 볼트에 체결되는 키 고정용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위치되는 복수의 제1키 고정용 구멍 및 복수의 제2키 고정용 구멍이 위치되고, 상기 키 위치 고정부는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의 외측에서 상기 제1키 고정용 구멍과 상기 제2키 고정용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에 각각 체결되는 키 위치 고정용 볼트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커넥터 결합부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제1어댑터 키홈과 복수의 제2어댑터 키홈이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제1어댑터 키홈 중 어느 하나만 상기 제2케이블 커넥터의 결합 방향으로 개방되고, 복수의 상기 제2어댑터 키홈 중 어느 하나만 상기 제2케이블 커넥터의 결합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2커넥터 결합부의 선단부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복수의 제1어댑터 키홈 중 어느 하나만 개방시키는 제1키홈 커버부재 및 상기 제2커넥터 결합부의 선단부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복수의 제2어댑터 키홈 중 어느 하나만 개방시키는 제2키홈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의 이동된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로 결합 가능한 제1케이블 커넥터의 종류를 표시하는 커넥터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의 위치를 고정하는 키 스토퍼부를 각각 구비하여 제1케이블 커넥터의 종류에 따라 지정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키 스토퍼부는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에 이격되게 위치되는 복수의 스토퍼 삽입홈부,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의 외측면에 각각 돌출되게 위치되어 복수의 상기 스토퍼 홈부 중 어느 하나의 내부로 삽입되는 볼 형상의 스토퍼부재 및 상기 스토퍼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커넥터 표시부는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에 각각 위치되는 제1위치 감지 단자부 및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에 이격되게 위치되고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위치 감지 단자부에 접속되는 복수의 제2위치 감지 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위치 감지 단자부는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가 각각 이동될 때 복수의 상기 제2위치 감지 단자부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가변된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의 위치를 각각 상기 커넥터 표시부로 전달하여 상기 커넥터 표시부에서 가변된 상기 제1어댑터 키의 위치와 상기 제2어댑터 키의 위치에 맞는 제1케이블 커넥터의 종류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가 각각 이동 가능한 여유 공간을 제공하는 키 이동공간이 양 쪽에 위치되고,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의 외측면에는 키 이동공간과 연결되며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키 이동 슬릿부가 양 쪽에 위치되며,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키 이동공간과 연결되며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키 이동 슬릿부가 양 쪽에 위치되고,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는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의 내측면에 위치되는 키본체, 상기 제2키 이동 슬릿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2키 이동 슬릿부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 안내몸체 및 상기 이동 안내몸체와 연결되고 이동 공간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1키 이동 슬릿부를 통해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키 돌출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구조체의 일 실시예는, 제1케이블의 단부에 위치되는 제1케이블 커넥터; 제2케이블의 단부에 위치되는 제2케이블 커넥터, 일측에 상기 제1케이블 커넥터가 결합되는 제1커넥터 결합부가 위치되고, 타측에 상기 제2케이블 커넥터가 결합되는 제2커넥터 결합부가 위치되어 2개의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어댑터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케이블 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 및 상기 제2케이블 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 결합부는 키홈에 키가 삽입되는 키결합 구조로 결합 위치가 안내되되, 상기 키와 상기 키홈 중 어느 한 측의 위치를 가변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구조체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위치되고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이동되어 위치 조절이 가능한 제1어댑터 키와 제2어댑터 키를 더 포함하며,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케이블 커넥터에는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가 삽입되는 제1커넥터 키홈과 제2커넥터 키홈이 외측면에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는 상기 제1커넥터 키홈과 상기 제2커넥터 키홈의 위치에 맞게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구조체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의 위치를 고정하는 키 위치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위치되는 복수의 제1키 고정용 구멍 및 복수의 제2키 고정용 구멍이 위치되고, 상기 키 위치 고정부는,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에 각각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기 제1키 고정용 구멍과 상기 제2키 고정용 구멍을 관통하는 키 일체형 볼트 및 상기 키 일체형 볼트에 체결되는 키 고정용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위치되는 복수의 제1키 고정용 구멍 및 복수의 제2키 고정용 구멍이 위치되고,
상기 키 위치 고정부는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의 외측에서 상기 제1키 고정용 구멍과 상기 제2키 고정용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에 각각 체결되는 키 위치 고정용 볼트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제2커넥터 결합부 내로 삽입되는 커넥터 삽입몸체 및 상기 커넥터 삽입몸체를 감싸도록 위치되고, 상기 커넥터 삽입몸체와의 사이에 상기 제2커넥터 결합부가 삽입되는 어댑터 삽입부가 위치되는 결합 안내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안내몸체의 내주면에는 제1커넥터 키와 제2커넥터 키가 각각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기 제2커넥터 결합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커넥터 키가 삽입되는 복수의 제1어댑터 키홈과 상기 제2커넥커 키가 삽입되는 복수의 제2어댑터 키홈이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제1어댑터 키홈은 상기 제1커넥터 키의 위치에 맞는 어느 하나만 상기 제2케이블 커넥터의 결합 방향으로 개방되고, 복수의 상기 제2어댑터 키홈은 상기 제2커넥터 키의 위치에 맞는 어느 하나만 상기 제2케이블 커넥터의 결합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구조체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2커넥터 결합부의 선단부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복수의 제1어댑터 키홈 중 상기 제1커넥터 키의 위치에 맞는 어느 하나만 개방시키는 제1키홈 커버부재 및 상기 제2커넥터 결합부의 선단부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복수의 제2어댑터 키홈 중 상기 제2커넥터 키의 위치에 맞는 어느 하나만 개방시키는 제2키홈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구조체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의 이동된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로 결합 가능한 제1케이블 커넥터의 종류를 표시하는 커넥터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의 위치를 고정하는 키 스토퍼부를 각각 구비하여 제1케이블 커넥터의 종류에 따라 지정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키 스토퍼부는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에 이격되게 위치되는 복수의 스토퍼 삽입홈부,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의 외측면에 각각 돌출되게 위치되어 복수의 상기 스토퍼 홈부 중 어느 하나의 내부로 삽입되는 볼 형상의 스토퍼부재 및 상기 스토퍼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커넥터 표시부는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에 각각 위치되는 제1위치 감지 단자부 및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에 이격되게 위치되고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위치 감지 단자부에 접속되는 복수의 제2위치 감지 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위치 감지 단자부는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가 각각 이동될 때 복수의 상기 제2위치 감지 단자부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가변된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의 위치를 각각 상기 커넥터 표시부로 전달하여 상기 커넥터 표시부에서 가변된 상기 제1어댑터 키의 위치와 상기 제2어댑터 키의 위치에 맞는 제1케이블 커넥터의 종류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가 각각 이동 가능한 여유 공간을 제공하는 키 이동공간이 양 쪽에 위치되고,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의 외측면에는 키 이동공간과 연결되며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키 이동 슬릿부가 양 쪽에 위치되며,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키 이동공간과 연결되며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키 이동 슬릿부가 양 쪽에 위치되고,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는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의 내측면에 위치되는 키본체, 상기 제2키 이동 슬릿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2키 이동 슬릿부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 안내몸체 및 상기 이동 안내몸체와 연결되고 이동 공간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1키 이동 슬릿부를 통해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키 돌출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2개의 케이블 커넥터를 결합시켜 2개의 케이블을 연결할 때 케이블 커넥터의 종류에 따라 키 결합 위치를 가변하여 케이블의 폴라리제이션을 가변할 수 있어 다양한 폴라리제이션 타입으로 케이블 커넥터를 체결하는데 공용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각기 케이블 커넥터를 체결하기 위한 별도의 폴라리제이션 어댑터를 제작할 필요가 없어 비용이 절감되며 작업 시 작업자의 실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 점검을 위한 공용 점검 장비를 개발할 수 있어 케이블 점검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구조체에서 어댑터 몸체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구조체에서 가변되는 폴라리제이션의 종류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구조체에서 어댑터 몸체부(3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구조체의 일 실시예에서 제1커넥터 결합부(400)가 위치되는 어댑터 몸체부(300)의 일 측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구조체의 일 실시예에서 제2커넥터 결합부(500)가 위치되는 어댑터 몸체부(300)의 타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구조체의 일 실시예는 양 측에 각각 케이블 커넥터가 결합되는 제1커넥터 결합부(400)와 제2커넥터 결합부(500)가 위치되는 어댑터 몸체부(300)를 포함하여 2개의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 연결용 어댑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구조체의 일 실시예는 제1케이블(100a)의 단부에 위치되는 제1케이블 커넥터(100) 및 제2케이블(200a)의 단부에 위치되는 제2케이블 커넥터(200), 제1케이블 커넥터(100) 및 제2케이블 커넥터(200)가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제1케이블(100a)과 제2케이블(200a)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를 포함한다.
제1케이블 커넥터(100)는 제1케이블(100a)의 단부에 위치되고 ,제2케이블 커넥터(200)는 제2케이블(200a)의 단부에 위치된다.
제1케이블 커넥터(100)와 제2케이블 커넥터(200)는 키홈에 키가 삽입되는 키결합 구조로 결합 위치가 안내되고, 키 또는 키홈의 위치에 따라 케이블 연결 시 케이블의 폴라리제이션을 가변할 수 있고, 다양한 종류의 폴라리제이션 타입으로 구분되는 공지의 케이블 커넥터로 이에 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함을 밝혀둔다.
제1케이블 커넥터(100)와 제2케이블 커넥터(200)는 키 또는 키홈의 위치에 따라 케이블의 폴라리제이션(N, A, B, C, D, K, L, M, R, U)이 변경되는 공지의 케이블 연결기이고,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용 어댑터는 키 결합구조에서 키 또는 키홈의 위치에 따라 양 측에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의 폴라리제이션(N, A, B, C, D, K, L, M, R, U)을 가변하는 폴라리제이션 어댑터인 것을 일 예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의 일 실시예에서 어댑터 몸체부(300)의 일측에는 제1케이블 커넥터(100)가 결합되는 제1커넥터 결합부(400)가 위치되고, 어댑터 몸체부(300)의 타측에는 제2케이블 커넥터(200)가 결합되는 제2커넥터 결합부(500)가 위치된다.
제1케이블 커넥터(100)는 돌출된 복수의 제1케이블 연결용 돌출단자가 구비된 플러그형 커넥터이고, 제1커넥터 결합부(400)는 복수의 제1케이블 연결용 돌출단자가 끼워져 결합되는 복수의 제1케이블 연결용 삽입단자(410)가 구비된 리셉터클부인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제2커넥터 결합부(500)는 돌출된 복수의 제2케이블 연결용 돌출단자(510)가 구비된 플러그부이고, 제2케이블 커넥터(200)는 복수의 제2케이블 연결용 돌출단자(510)가 끼워져 결합되는 복수의 제2케이블 연결용 삽입단자(210)가 구비된 리셉터클형 커넥터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제1커넥터 결합부(400)는 제1케이블 커넥터(1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제1커넥터 삽입부가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의 일 실시예는 제1커넥터 삽입부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위치되고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제1어댑터 키(420)와 제2어댑터 키(430)를 포함하고, 제1어댑터 키(420)와 제2어댑터 키(430)의 위치가 가변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한다.
그리고, 제1케이블 커넥터(100)에는 제1어댑터 키(420)와 제2어댑터 키(430)가 삽입되는 제1커넥터 키홈(120)과 제2커넥터 키홈(130)이 위치된다.
제1어댑터 키(420)와 제2어댑터 키(430)의 위치를 가변하여 해당 제1케이블 커넥터(100)에 맞는 폴라리제이션으로 가변할 수 있다.
제1케이블 커넥터(100)는 원통형 몸체를 가지고, 외주면에 제1커넥터 키홈(120)과 제2커넥터 키홈(130)이 위치되고, 제1커넥터 삽입부는 원통형 몸체를 가지는 제1케이블 커넥터(1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케이블 커넥터(100)와 대응되는 원통형 삽입부로 형성된다.
제1커넥터 삽입부의 바닥면에는 제1케이블 커넥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1케이블 연결용 돌출단자가 끼워져 결합되는 복수의 제1케이블 연결용 삽입단자(410)가 위치된다.
제1커넥터 결합부(400)에는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위치되는 복수의 제1키 고정용 구멍(400a) 및 복수의 제2키 고정용 구멍(400b)이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의 일 실시예는 가변되는 제1어댑터 키(420)와 제2어댑터 키(430)의 위치를 고정하는 키 위치 고정부(440)를 더 포함한다.
키 위치 고정부(440)는 제1어댑터 키(420)와 제2어댑터 키(430)에 각각 돌출되게 위치되고 제1키 고정용 구멍(400a)과 제2키 고정용 구멍(400b)을 관통하는 키 일체형 볼트(441), 키 일체형 볼트(441)에 체결되는 키 고정용 너트(4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어댑터 키(420)와 제2어댑터 키(430)에는 각각 키 일체형 볼트(441)가 돌출되게 위치되고, 키 일체형 볼트(441)는 제1커넥터 결합부(400)의 내부 즉, 제1커넥터 삽입부의 내부에서 제1키 고정용 구멍(400a)과 제2키 고정용 구멍(400b) 중 어느 한 구멍을 통과하여 제1커넥터 결합부(40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고 단부 측에 키 고정용 너트(442)가 체결됨으로써 제1어댑터 키(420)와 제2어댑터 키(430)의 위치를 각각 고정시킬 수 있다.
제1어댑터 키(420)는 복수의 제1키 고정용 구멍(400a) 중 어느 하나에 키 일체형 볼트(441)가 관통되고 키 고정용 너트(442)가 체결됨으로써 위치가 가변될 수 있고, 제2어댑터 키(430)는 복수의 제2키 고정용 구멍(400b) 중 어느 하나에 키 일체형 볼트(441)가 관통되고 키 고정용 너트(442)가 체결됨으로써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키 위치 고정부(44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커넥터 결합부(400)의 외측에서 제1키 고정용 구멍(400a)과 제2키 고정용 구멍(400b)을 관통하여 제1어댑터 키(420)와 제2어댑터 키(430)에 각각 체결되는 키 위치 고정용 볼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2커넥터 결합부(500)는 내부에 제2케이블 커넥터(200)가 삽입되는 제2커넥터 삽입부가 구비되는 링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제2커넥터 삽입부의 바닥면에는 제2케이블 커넥터(2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2케이블 연결용 삽입단자(210)에 삽입되는 복수의 제2케이블 연결용 돌출단자(510)가 돌출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어댑터 몸체부(300)의 내부에는 제1케이블 연결용 삽입단자(410)와 제2케이블 연결용 돌출단자(5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조가 구비되어 있고, 제1케이블 연결용 삽입단자(410)와 제2케이블 연결용 돌출단자(5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1케이블(100a)과 제2케이블(200a)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조는 공지의 어댑터 구조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제2케이블 커넥터(200)는 제2커넥터 삽입부로 삽입되며 전면에 복수의 제2케이블 연결용 삽입단자(210)가 위치된 커넥터 삽입몸체(200b), 커넥터 삽입몸체(200b)를 감싸도록 위치되고, 커넥터 삽입몸체(200b)와의 사이에 제2커넥터 결합부(500)가 삽입되는 어댑터 삽입부(200d)가 위치되는 결합 안내몸체(200c)를 포함한다.
커넥터 삽입몸체(200b)는 원통형 몸체이고, 결합 안내몸체(200c)는 커넥터 삽입몸체(200b)와 이격되게 커넥터 삽입몸체(200b)를 감싸는 링형상 몸체를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한다.
결합 안내몸체(200c)의 내주면에는 제1커넥터 키(220)와 제2커넥터 키(230)가 위치되고, 제2커넥터 결합부(500)의 외주면에는 제1커넥터 키(220)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이격되게 위치된 복수의 제1어댑터 키홈(520)과 제2커넥터 키(230)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이격되게 위치된 복수의 제2어댑터 키홈(530)이 구비된다.
복수의 제1어댑터 키홈(520)과 복수의 제2어댑터 키홈(530)은 제2커넥터 결합부(500)의 선단부 측으로 개방되게 위치되어 결합 안내몸체(200c)의 내주면에 위치된 제1커넥터 키(220)와 제2커넥터 키(230)가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및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구조체는 제2커넥터 결합부(500)의 선단부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복수의 제1어댑터 키홈(520) 중 어느 하나만 개방시키는 제1키홈 커버부재(600)와 제2커넥터 결합부(500)의 선단부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복수의 제2어댑터 키홈(530) 중 어느 하나만 개방시키는 제2키홈 커버부재(700)를 포함한다.
제1키홈 커버부재(600)는 복수의 제1어댑터 키홈(520) 중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제1어댑터 키홈(520) 중 어느 하나를 개방시키는 제1키 개방부(610)가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된 복수의 종류로 구비된다.
또한, 제2키홈 커버부재(700)는 복수의 제2어댑터 키홈(530) 중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제2어댑터 키홈(530) 중 어느 하나를 개방시키는 제2키 개방부(710)가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된 복수의 종류로 구비된다.
제1키홈 커버부재(600)와 제2키홈 커버부재(700)는 볼트 체결구조로 제2커넥터 결합부(5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교체될 수 있는 것을 일 예로 하고, 분리 가능한 공지의 결합 구조로 제2커넥터 결합부(5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는 제1커텍터 키와 제2커넥터 키(230)의 위치에 맞게 제1키홈 커버부재(600)와 제2키홈 커버부재(700)를 선택해서 제2커넥터 결합부(500)의 선단부 측에 결합시킴으로써 개방되는 키홈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다.
제2케이블 커넥터(200)는 커넥터 삽입몸체(200b)가 제2커넥터 결합부(500)의 제2커넥터 삽입부 내로 삽입되면서 제2커넥터 결합부(500)가 커넥터 삽입몸체(200b)와 결합 안내몸체(200c)의 사이 즉, 어댑터 삽입부(200d)로 삽입되면서 제2커넥터 결합부(500)에 결합된다.
이 때 제1케이블 연결용 삽입단자(410) 내로 제2케이블 연결용 돌출단자(510)가 삽입됨과 아울러 제1커텍터 키와 제2커넥터 키(230)가 각각 개방된 제1어댑터 키홈(520)과 개방된 제2어댑터 키홈(530)에 삽입되게 된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는 제1케이블 커넥터(100)의 종류에 맞게 제1어댑터 키(420)와 제2어댑터 키(430)의 위치를 조절하고, 제2케이블 커넥터(200)의 종류에 맞게 개방되는 제1어댑터 키홈(520)과 제2어댑터 키홈(530)을 선택함으로써 키 홈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키홈의 위치로 구분되는 다양한 종류의 제1케이블 커넥터(100)와 키의 위치로 구분되는 제2케이블 커넥터(200)를 각각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구조체에서 가변되는 폴라리제이션의 종류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4의 (a)는 제1커넥터 결합부(400)에서 제1어댑터 키(420)와 제2어댑터 키(430)의 위치에 따라 결합될 수 있는 제1케이블 커넥터(100)의 종류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4의 (b)는 제2커넥터 결합부(500)에서 제1어댑터 키홈(520)과 제2어댑터 키홈(530)의 위치에 따라 결합될 수 있는 제2케이블 커넥터(200)의 종류를 예시한 도면이다.
즉,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제1케이블 커넥터(100)는 제1커넥터 키홈(120)과 제2커넥터 키홈(130)의 위치에 따라 폴라리제이션 N, A, B, C, D, K, L, M, R, U 타입으로 구분되고, 제2케이블 커넥터(200)는 제1커넥터 키(220)와 제2커넥터 키(230)의 위치에 따라 폴라리제이션 N, A, B, C, D, K, L, M, R, U 타입으로 구분된다.
더 상세하게 제1케이블 커넥터(100)는 기준 지점에서 제1커넥터 키홈(120)이 위치되는 지점 간의 각도(XX°)와 기준 지점에서 제2커넥터 키홈(130)이 위치되는 지점 간의 각도(YY°)로 폴라리제이션 N, A, B, C, D, K, L, M, R, U 타입으로 구분되며, 제2케이블 커넥터(200)는 기준 지점에서 제2커넥터 키(230)가 위치되는 지점 간의 각도(XX°)와 기준 지점에서 제2커넥터 키(230)가 위치되는 지점 간의 각도(YY°)로 폴라리제이션 N, A, B, C, D, K, L, M, R, U 타입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제1커넥터 결합부(400)는 제1케이블 커넥터(100)의 폴라리제이션 타입에 맞게 제1어댑터 키(420)와 제2어댑터 키(430)의 위치를 조절하고, 제2커넥터 결합부(500)는 제1케이블 커넥터(100)의 폴라리제이션 타입에 맞게 제1어댑터 키홈(520)과 제2어댑터 키홈(5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는 제1어댑터 키(420)와 제2어댑터 키(430)가 각각 제1커넥터 결합부(400)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이동된 위치를 감지하여 제1커넥터 결합부(400)로 결합 가능한 제1케이블 커넥터(100)의 종류를 표시하는 커넥터 표시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는 제1어댑터 키(420)와 제2어댑터 키(430)의 위치를 고정하는 키 스토퍼부(900)를 각각 구비하여 제1케이블 커넥터(100)의 종류에 따라 지정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키 스토퍼부(900)는 제1어댑터 키(420)와 제2어댑터 키(430)의 이동 방향으로 제1커넥터 결합부(400)에 이격되게 위치되는 복수의 스토퍼 삽입홈부(910), 제1어댑터 키(420)와 제2어댑터 키(430)의 외측면에 각각 돌출되게 위치되어 복수의 스토퍼 홈부 중 어느 하나의 내부로 삽입되는 볼 형상의 스토퍼부재(920), 스토퍼부재(920)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930)를 포함한다.
제1어댑터 키(420)와 제2어댑터 키(430)는 각각 기설정된 힘 이상이 이동 방향으로 가해지는 경우에 스토퍼부재(920)가 스토퍼 삽입홈부(910)에서 이탈되어 이동되고, 스토퍼부재(920)는 제1어댑터 키(420)와 제2어댑터 키(430)가 이동되면서 이격된 스토퍼 삽입홈부(910)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면서 제1어댑터 키(420)와 제2어댑터 키(430)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키 스토퍼부(900)는 제1어댑터 키(420)와 제2어댑터 키(430)에 각각 기설정된 힘 이상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볼형상의 스토퍼부재(920)가 스토퍼홈부 내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되어 제1어댑터 키(420)와 제2어댑터 키(430)가 이동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위치시키게 된다.
또한, 커넥터 표시부(800)는 제1어댑터 키(420)와 제2어댑터 키(430)에 각각 위치되는 제1위치 감지 단자부(810), 제1어댑터 키(420)와 제2어댑터 키(430)의 이동 방향으로 제1커넥터 결합부(400)에 이격되게 위치되고 적어도 하나가 제1위치 감지 단자부(810)에 접속되는 복수의 제2위치 감지 단자부(820)를 포함한다.
제1위치 감지 단자부(810)는 제1어댑터 키(420)와 제2어댑터 키(430)가 각각 이동될 때 복수의 제2위치 감지 단자부(820)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가변된 제1어댑터 키(420)와 제2어댑터 키(430)의 위치를 각각 커넥터 표시부(800)로 전달하여 커넥터 표시부(800)에서 가변된 제1어댑터 키(420)와 제2어댑터 키(430)에 맞는 제1케이블 커넥터(100)의 종류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1커넥터 결합부(400)의 내부에는 제1어댑터 키(420)와 제2어댑터 키(430)가 각각 이동 가능한 여유 공간을 제공하는 키 이동공간(450)이 양 쪽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1커넥터 결합부(400)의 외측면에는 키 이동공간(450)과 연결되며 제1어댑터 키(420)와 제2어댑터 키(43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키 이동 슬릿부(451)가 양 쪽에 위치되고, 제1커넥터 결합부(400)의 내측면에는 키 이동공간(450)과 연결되며 제1어댑터 키(420)와 제2어댑터 키(43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키 이동 슬릿부(452)가 양 쪽에 위치된다.
제1어댑터 키(420)와 제2어댑터 키(430)는 제1커넥터 결합부(400)의 내측면에 위치되는 키본체(401), 제2키 이동 슬릿부(452)를 통과하여 제2키 이동 슬릿부(452)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 안내몸체(402), 이동 안내몸체(402)와 연결되고 이동 공간을 따라 이동하고 제1키 이동 슬릿부(451)를 통해 제1커넥터 결합부(4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키 돌출 몸체부(403)를 포함한다.
작업자는 제1커넥터 결합부(400)의 외측으로 돌출된 키 돌출 몸체부(403)를 잡거나 걸어 제1어댑터 키(420)와 제2어댑터 키(430)를 이동시켜 제1어댑터 키(420)와 제2어댑터 키(430)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다.
커넥터 표시부(800)는 작업자에 의해 조절된 제1어댑터 키(420)와 제2어댑터 키(430)의 위치에 따라 제1커넥터 결합부(400)로 결합될 수 있는 제1케이블 커넥터(100)의 종류를 표시하여 작업자가 결합되는 해당 제1케이블 커넥터(100)에 맞게 제1어댑터 키(420)와 제2어댑터 키(430)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고, 제1어댑터 키(420)와 제2어댑터 키(430)의 조절하는 데 있어 편의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작업 시 실수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커넥터 결합부(500)의 제1어댑터 키홈(520)과 제2어댑터 키홈(530)의 위치는 커넥터 표시부(800)에서 표시된 케이블 커넥터의 종류에 맞는 제1어댑터 키홈(520)과 제2어댑터 키홈(530)을 개방시킴으써 결합되는 해당 제2케이블 커넥터(200)를 결합시키는 데 있어 편의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작업 시 실수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2개의 케이블 커넥터를 결합시켜 2개의 케이블을 연결할 때 케이블 커넥터의 종류에 따라 키 결합 위치를 가변하여 케이블의 폴라리제이션을 가변할 수 있어 다양한 폴라리제이션 타입으로 케이블 커넥터를 체결하는데 공용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각기 케이블 커넥터를 체결하기 위한 별도의 폴라리제이션 어댑터를 제작할 필요가 없어 비용이 절감되며 작업 시 작업자의 실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 점검을 위한 공용 점검 장비를 개발할 수 있어 케이블 점검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0 : 제1케이블 커넥터 100a : 제1케이블
110 : 제1케이블 연결용 돌출단자 120 : 제1커넥터 키홈
130 : 제2커넥터 키홈 200 : 제2케이블 커넥터
200a : 제2케이블 200b : 커넥터 삽입몸체
200c : 결합 안내몸체 200d : 어댑터 삽입부
210 : 제2케이블 연결용 삽입단자 220 : 제1커넥터 키
230 : 제2커넥터 키 300 : 어댑터 몸체부
400 : 제1커넥터 결합부 400a : 제1키 고정용 구멍
400b : 제2키 고정용 구멍 401 : 키본체
402 : 이동 안내몸체 403 : 키 돌출 몸체부
410 : 제1케이블 연결용 삽입단자 420 : 제1어댑터 키
430 : 제2어댑터 키 440 : 키 위치 고정부
441 : 키 일체형 볼트 442 : 키 고정용 너트
450 : 키 이동공간 451 : 제1키 이동 슬릿부
452 : 제2키 이동 슬릿부 500 : 제2커넥터 결합부
510 : 제2케이블 연결용 돌출단자 520 : 제1어댑터 키홈
530 : 제2어댑터 키홈 600 : 제1키홈 커버부재
610 : 제1키 개방부 700 : 제2키홈 커버부재
710 : 제2키 개방부 800 : 커넥터 표시부
810 : 제1위치 감지 단자부 820 : 제2위치 감지 단자부
900 : 키 스토퍼부 910 : 스토퍼 삽입홈부
920 : 스토퍼부재 930 : 스프링부재

Claims (24)

  1.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는 양측에 각각 제1케이블의 단부에 위치되는 제1케이블 커넥터와 제2케이블의 단부에 위치되는 제2케이블 커넥터가 결합되어 제1케이블과 제2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이며,
    일측에 상기 제1케이블 커넥터가 결합되는 제1커넥터 결합부가 위치되고, 타측에 상기 제2케이블 커넥터가 결합되는 제2커넥터 결합부가 위치되어 2개의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어댑터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케이블 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 및 상기 제2케이블 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 결합부는 키홈에 키가 삽입되는 키결합 구조로 결합 위치가 안내되되, 상기 키와 상기 키홈 중 어느 한 측의 위치를 가변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위치되고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이동되어 위치 조절이 가능한 제1어댑터 키와 제2어댑터 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의 위치를 고정하는 키 위치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위치되는 복수의 제1키 고정용 구멍 및 복수의 제2키 고정용 구멍이 위치되고,
    상기 키 위치 고정부는,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에 각각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기 제1키 고정용 구멍과 상기 제2키 고정용 구멍을 관통하는 키 일체형 볼트; 및
    상기 키 일체형 볼트에 체결되는 키 고정용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위치되는 복수의 제1키 고정용 구멍 및 복수의 제2키 고정용 구멍이 위치되고,
    상기 키 위치 고정부는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의 외측에서 상기 제1키 고정용 구멍과 상기 제2키 고정용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에 각각 체결되는 키 위치 고정용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 결합부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제1어댑터 키홈과 복수의 제2어댑터 키홈이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제1어댑터 키홈 중 어느 하나만 상기 제2케이블 커넥터의 결합 방향으로 개방되고, 복수의 상기 제2어댑터 키홈 중 어느 하나만 상기 제2케이블 커넥터의 결합 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 결합부의 선단부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복수의 제1어댑터 키홈 중 어느 하나만 개방시키는 제1키홈 커버부재; 및
    상기 제2커넥터 결합부의 선단부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복수의 제2어댑터 키홈 중 어느 하나만 개방시키는 제2키홈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의 이동된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로 결합 가능한 제1케이블 커넥터의 종류를 표시하는 커넥터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의 위치를 고정하는 키 스토퍼부를 각각 구비하여 제1케이블 커넥터의 종류에 따라 지정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키 스토퍼부는,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에 이격되게 위치되는 복수의 스토퍼 삽입홈부;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의 외측면에 각각 돌출되게 위치되어 복수의 상기 스토퍼 홈부 중 어느 하나의 내부로 삽입되는 볼 형상의 스토퍼부재; 및
    상기 스토퍼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표시부는,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에 각각 위치되는 제1위치 감지 단자부; 및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에 이격되게 위치되고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위치 감지 단자부에 접속되는 복수의 제2위치 감지 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위치 감지 단자부는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가 각각 이동될 때 복수의 상기 제2위치 감지 단자부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가변된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의 위치를 각각 상기 커넥터 표시부로 전달하여 상기 커넥터 표시부에서 가변된 상기 제1어댑터 키의 위치와 상기 제2어댑터 키의 위치에 맞는 제1케이블 커넥터의 종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가 각각 이동 가능한 여유 공간을 제공하는 키 이동공간이 양 쪽에 위치되고,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의 외측면에는 키 이동공간과 연결되며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키 이동 슬릿부가 양 쪽에 위치되며,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키 이동공간과 연결되며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키 이동 슬릿부가 양 쪽에 위치되고,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는,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의 내측면에 위치되는 키본체;
    상기 제2키 이동 슬릿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2키 이동 슬릿부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 안내몸체; 및
    상기 이동 안내몸체와 연결되고 이동 공간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1키 이동 슬릿부를 통해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키 돌출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13. 제1케이블의 단부에 위치되는 제1케이블 커넥터;
    제2케이블의 단부에 위치되는 제2케이블 커넥터; 및
    일측에 상기 제1케이블 커넥터가 결합되는 제1커넥터 결합부가 위치되고, 타측에 상기 제2케이블 커넥터가 결합되는 제2커넥터 결합부가 위치되어 2개의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어댑터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케이블 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 및 상기 제2케이블 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 결합부는 키홈에 키가 삽입되는 키결합 구조로 결합 위치가 안내되되, 상기 키와 상기 키홈 중 어느 한 측의 위치를 가변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구조체.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위치되고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이동되어 위치 조절이 가능한 제1어댑터 키와 제2어댑터 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케이블 커넥터에는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제2어댑터 키가 삽입되는 제1커넥터 키홈과 제2커넥터 키홈이 외측면에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는 상기 제1커넥터 키홈과 상기 제2커넥터 키홈의 위치에 맞게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구조체.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의 위치를 고정하는 키 위치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구조체.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위치되는 복수의 제1키 고정용 구멍 및 복수의 제2키 고정용 구멍이 위치되고,
    상기 키 위치 고정부는,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에 각각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기 제1키 고정용 구멍과 상기 제2키 고정용 구멍을 관통하는 키 일체형 볼트; 및
    상기 키 일체형 볼트에 체결되는 키 고정용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구조체.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위치되는 복수의 제1키 고정용 구멍 및 복수의 제2키 고정용 구멍이 위치되고,
    상기 키 위치 고정부는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의 외측에서 상기 제1키 고정용 구멍과 상기 제2키 고정용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에 각각 체결되는 키 위치 고정용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구조체.
  18.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제2커넥터 결합부 내로 삽입되는 커넥터 삽입몸체;
    상기 커넥터 삽입몸체를 감싸도록 위치되고, 상기 커넥터 삽입몸체와의 사이에 상기 제2커넥터 결합부가 삽입되는 어댑터 삽입부가 위치되는 결합 안내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안내몸체의 내주면에는 제1커넥터 키와 제2커넥터 키가 각각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기 제2커넥터 결합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커넥터 키가 삽입되는 복수의 제1어댑터 키홈과 상기 제2커넥커 키가 삽입되는 복수의 제2어댑터 키홈이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제1어댑터 키홈은 상기 제1커넥터 키의 위치에 맞는 어느 하나만 상기 제2케이블 커넥터의 결합 방향으로 개방되고, 복수의 상기 제2어댑터 키홈은 상기 제2커넥터 키의 위치에 맞는 어느 하나만 상기 제2케이블 커넥터의 결합 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구조체.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 결합부의 선단부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복수의 제1어댑터 키홈 중 상기 제1커넥터 키의 위치에 맞는 어느 하나만 개방시키는 제1키홈 커버부재; 및
    상기 제2커넥터 결합부의 선단부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복수의 제2어댑터 키홈 중 상기 제2커넥터 키의 위치에 맞는 어느 하나만 개방시키는 제2키홈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구조체.
  20.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의 이동된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로 결합 가능한 제1케이블 커넥터의 종류를 표시하는 커넥터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구조체.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의 위치를 고정하는 키 스토퍼부를 각각 구비하여 제1케이블 커넥터의 종류에 따라 지정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구조체.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키 스토퍼부는,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에 이격되게 위치되는 복수의 스토퍼 삽입홈부;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의 외측면에 각각 돌출되게 위치되어 복수의 상기 스토퍼 홈부 중 어느 하나의 내부로 삽입되는 볼 형상의 스토퍼부재; 및
    상기 스토퍼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구조체.
  23.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표시부는,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에 각각 위치되는 제1위치 감지 단자부; 및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에 이격되게 위치되고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위치 감지 단자부에 접속되는 복수의 제2위치 감지 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위치 감지 단자부는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가 각각 이동될 때 복수의 상기 제2위치 감지 단자부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가변된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의 위치를 각각 상기 커넥터 표시부로 전달하여 상기 커넥터 표시부에서 가변된 상기 제1어댑터 키의 위치와 상기 제2어댑터 키의 위치에 맞는 제1케이블 커넥터의 종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구조체.
  24.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가 각각 이동 가능한 여유 공간을 제공하는 키 이동공간이 양 쪽에 위치되고,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의 외측면에는 키 이동공간과 연결되며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키 이동 슬릿부가 양 쪽에 위치되며,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키 이동공간과 연결되며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키 이동 슬릿부가 양 쪽에 위치되고,
    상기 제1어댑터 키와 상기 제2어댑터 키는,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의 내측면에 위치되는 키본체;
    상기 제2키 이동 슬릿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2키 이동 슬릿부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 안내몸체; 및
    상기 이동 안내몸체와 연결되고 이동 공간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1키 이동 슬릿부를 통해 상기 제1커넥터 결합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키 돌출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구조체.
KR1020200132656A 2020-10-14 2020-10-14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구조체 KR102407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656A KR102407938B1 (ko) 2020-10-14 2020-10-14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656A KR102407938B1 (ko) 2020-10-14 2020-10-14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246A true KR20220049246A (ko) 2022-04-21
KR102407938B1 KR102407938B1 (ko) 2022-06-10

Family

ID=81437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656A KR102407938B1 (ko) 2020-10-14 2020-10-14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79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274B1 (ko) * 2023-05-25 2023-08-17 홍민기 케이블 외부 돌출을 방지하는 어댑터 구조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074U (ja) * 1992-07-06 1994-02-04 本多通信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誤嵌合防止構造
JP2005116221A (ja) * 2003-10-03 2005-04-28 Yazaki Corp 中継コネクタ及びこれを用いたワイヤハーネス間の接続構造
KR100618109B1 (ko) 1997-08-14 2006-08-30 더 판다 프로젝트 엇갈림 홀드-다운 탭을 갖는 전기 커넥터
KR200456794Y1 (ko) * 2010-05-24 2011-11-21 (주) 아진엔지니어링 비엔씨 커넥터를 내부에 고정한 멀티핀 연결장치
KR20120136864A (ko) * 2011-06-10 2012-1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KR200480038Y1 (ko) * 2015-11-20 2016-04-05 이상우 터미널 박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074U (ja) * 1992-07-06 1994-02-04 本多通信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誤嵌合防止構造
KR100618109B1 (ko) 1997-08-14 2006-08-30 더 판다 프로젝트 엇갈림 홀드-다운 탭을 갖는 전기 커넥터
JP2005116221A (ja) * 2003-10-03 2005-04-28 Yazaki Corp 中継コネクタ及びこれを用いたワイヤハーネス間の接続構造
KR200456794Y1 (ko) * 2010-05-24 2011-11-21 (주) 아진엔지니어링 비엔씨 커넥터를 내부에 고정한 멀티핀 연결장치
KR20120136864A (ko) * 2011-06-10 2012-1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KR200480038Y1 (ko) * 2015-11-20 2016-04-05 이상우 터미널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7938B1 (ko) 202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7859A (en) Floating coaxial connector
US7438596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EMI gasket
US7118383B2 (en) Coaxial connector for board-to-board connection
AU2013209121B2 (en) RF connector
US8690583B2 (en) Probe connector
US5746617A (en) Self aligning coaxial connector assembly
US6224421B1 (en) Multi-part connector
US11056807B2 (en) Float connector for interconnecting printed circuit boards
US7766696B2 (en) Coaxial cable connector assembly
US10367305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high speed signal transmission with a high-density structure
US9614317B2 (en) Connector support structure and adaptor
US6824427B1 (en) Coaxial probe interconnection system
US11437760B2 (en) Floating coaxial connector with a stabilizing ring at the mating end
EP3048673B1 (en) Low passive intermodulation coaxial connector test interface
US5074796A (en) Stacking and orientation independent electrical connector
US9240643B2 (en) Device for contacting a circuit board
KR102407938B1 (ko)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연결용 가변형 어댑터 구조체
US6695650B2 (en) Plug-type connector for simultaneously connecting several coaxial cables
JP7181769B2 (ja) コネクタ
US20230352874A1 (en) Plug-in connector arrangement and electrical plug-in connector
US5239606A (en) Optical connector comprising an optical connection adapter with means for connection/disconnection of an optical contact
US4451103A (en) Connector assembly
CN114747303A (zh) 用于自动化组装的电子器件壳体
US11404819B2 (en) Contact device, contact system having such a contact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contact system
JP7226260B2 (ja) コネ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