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904Y1 - 건축용 동바리 - Google Patents
건축용 동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9904Y1 KR200479904Y1 KR2020150001628U KR20150001628U KR200479904Y1 KR 200479904 Y1 KR200479904 Y1 KR 200479904Y1 KR 2020150001628 U KR2020150001628 U KR 2020150001628U KR 20150001628 U KR20150001628 U KR 20150001628U KR 200479904 Y1 KR200479904 Y1 KR 20047990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support
- support plate
- construction
-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483—Supporting head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2—Shores or struts; Chocks non-telescop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동바리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동바리는 거푸집의 하면을 받치는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평판형상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측면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판에는 하부로 함몰하는 엠보싱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과 상기 측면판에는 못이 관통하는 못구멍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측면판에 의하여 멍에목에 정확하게 안착되고, 상기 못구멍을 관통하는 못에 의하여 멍에목에 단단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측면판에 의하여 멍에목에 정확하게 안착되고, 상기 못구멍을 관통하는 못에 의하여 멍에목에 단단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의 거푸집을 지지하는 동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푸집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또한 각목 형상의 멍에목이나 평판 형상의 판넬을 선택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건축용 동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천정을 형성을 하는 작업에서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하여서는 상기 거푸집의 하측에 다수의 멍에목을 설치하고, 동바리에 의하여 거푸집의 판넬이나 상기 멍에목을 지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동바리는 환봉 형상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평판형상의 받침대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받침대를 상기 멍에목을 지지하는 경우에는 불안전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평판의 상기 받침대가 폭이 좁은 상기 멍에목의 하부면에 밀착되면서 정확하게 고정되지 못하므로 상기 지지대가 연직방향으로 똑바로 지지되지 못하고 경사지게 지지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불안정하게 지지되는 경우에는 조그만 외력에 의해서도 상기 동바리가 전도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가 항기 멍에목에서 미끄러지면서 거푸집에서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받침대가 거푸집의 멍에목의 하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지지대가 연직방향으로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으며, 특히 작업현장에 따라서 각목 형상의 멍에목이나 평판 형상의 판넬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는 건축용 동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의해 달성되며,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건축용 동바리는 거푸집의 하면을 받치는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평판형상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측면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판에는 하부로 함몰하는 엠보싱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과 상기 측면판에는 못이 관통하는 못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상부로 이격된 위치에는 평판형상의 제1삽입판이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의 하부로 이격된 위치에는 평판형상의 제2삽입판이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측면판은 상기 제2삽입판과 상기 측면판과 상기 제2삽입판의 각각의 측면 가장자리와 연결되고, 상기 제1삽입판의 측면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판과 상기 제2삽입판의 중심에는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하부면과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는 용접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그리고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는 상기 제1삽입판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이나 상기 제2삽입판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서 상기 지지판에 접촉되게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홀과 상기 지지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와 상기 받침부재는 나사산에 의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지지판의 표면에는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널링(Knurling) 처리된 널링부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 측면판에 의하여 멍에목에 정확하게 안착되고, 상기 못구멍을 관통하는 못에 의하여 멍에목에 단단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1삽입판과 상기 제2삽입판에 의하여 멍에목이나 평판 형상의 판넬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동바리의 요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동바리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동바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동바리의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바리의 요부 사시도.
도 6과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동바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바리의 요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동바리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동바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동바리의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바리의 요부 사시도.
도 6과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동바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바리의 요부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동바리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동바리의 요부 단면도와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으로 도시한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동바리는 지지대(20)와 받침부재(30)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부재(30)는 거푸집의 하면에 안착되고, 상기 지지대(20)는 상기 받침부재(30)와 지면(바닥면) 사이에 연직방향으로 위치하여 상기 받침부재(30)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20)는 환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필요에 따라서는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20)의 하단부에는 하중을 분산 시키기 위하여 평판 형상의 지지판이 장착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재(30)는 지지판(31)과 한 쌍의 측면판(33)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33)은 평판 형상이고 엠보싱(35)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엠보싱(35)은 하부로 함몰되게 형성되어서 상기 지지판(31)의 강성을 증대시키게 된다.(도 2 참조)
그리고 상기 지지판(31)의 양단부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판(3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31)과 상기 측면판(33)에는 복수의 못구멍(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못구멍(3)을 이용하여서 상기 받침부재(30)가 목재로 이루어진 멍에목(100)의 하면과 측면을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도 3 참조)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동바리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는 상기 받치부재(30)의 측면판(33)이 제1안내판과 제2안내판으로 구성된다. 도면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상기 제1안내판은 도면부호 33a와 33d로 표시하였고, 상기 제2안내판은 33b와 33c로 표시하였다.
즉 상기 측면판(33)의 중앙부위가 절개되어 상기 제1안내판(33a, 33d)과 상기 제2안내판(33b, 33c) 사이가 이격되어서 멍에목(100)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멍에목(100)의 굵기가 큰 경우에는 제1안내판(33a)과 제1안내판(33d) 사이의 공간과, 제2안내판(33b)과 제2안내판(33c) 사이의 공간을 가로지르면서 안착되게 된다.
만약 멍에목(100)의 굵기가 상대적으로 좁은 경우에는 제1안내판(33a)과 제2안내판(33b) 사이의 공간과, 제1안내판(33d)과 제2안내판(33c)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이용하여서 안착되게 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동바리는 도 5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삽입판(311)과 제2삽입판(312)이 추가로 구성된다.
상기 제1삽입판(311)은 평판형상이고, 중앙에는 관통홀(3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삽입판(311)은 상기 지지판(31)의 상부로 이격된 위치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삽입판(312)도 평판형상이고, 중앙에는 관통홀(320)이 형성되어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31)의 하부로 이격된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측면판(33)은 상기 제1삽입판(311)과 상기 지지판(31)과 상기 제2삽입판(312)의 각각의 측면 가장자리와 연결되고, 상기 제1삽입판(311)의 측면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삽입판(311)의 상부로 상기 측면판(33)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삽입판(312)의 하부면에는 상기 측면판(33)이 돌출되지 않는 형상이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320)과 상기 지지대(2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서로 체결된다. 즉 상기 지지대(20)의 상단부는 상기 제1삽입판(311)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320)을 관통하여 안착될 수 있고, 상기 제2삽입판(312)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320)을 관통하여서 상기 지지판(31)에 접촉되게 안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서, 사용자는 본 고안에 의한 건축용 동바리(10)가 멍에목(100)을 지지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상태로 상기 받침부재(30)를 상기 지지대(20)에 체결하여 사용하고, 만약에 평판 형상의 판넬을 지지하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상태로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8에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바리의 요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의 표면에는 널링(Knurling) 처리된 널링부(222)가 추가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널링부(222)에 의하여 마찰력이 증대되므로 상기 멍에목(100)과 접촉하는 경우에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삽입판(312)의 하면에도 널링(Knurling) 처리하여 널링부(미도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동바리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건축용 동바리, 20: 지지대,
30: 받침부재, 31: 지지판,
33: 측면판, 33a: 제1안내판,
33b: 제2안내판, 35: 엠보싱,
311: 제1삽입판, 312: 제2삽입판
30: 받침부재, 31: 지지판,
33: 측면판, 33a: 제1안내판,
33b: 제2안내판, 35: 엠보싱,
311: 제1삽입판, 312: 제2삽입판
Claims (8)
- 거푸집의 하면을 받치는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대로 이루어지는 건축용 동바리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평판형상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측면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판에는 하부로 함몰하는 엠보싱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과 상기 측면판에는 못이 관통하는 못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상부로 이격된 위치에는 평판형상의 제1삽입판이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의 하부로 이격된 위치에는 평판형상의 제2삽입판이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측면판은 상기 제2삽입판과 상기 측면판과 상기 제2삽입판의 각각의 측면 가장자리와 연결되고, 상기 제1삽입판의 측면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판과 상기 제2삽입판의 중심에는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동바리.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하부면과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는 용접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동바리.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는 상기 제1삽입판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이나 상기 제2삽입판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서 상기 지지판에 접촉되게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동바리.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과 상기 지지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와 상기 받침부재는 나사산에 의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동바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표면에는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널링(Knurling) 처리된 널링부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동바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1628U KR200479904Y1 (ko) | 2015-03-16 | 2015-03-16 | 건축용 동바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1628U KR200479904Y1 (ko) | 2015-03-16 | 2015-03-16 | 건축용 동바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9904Y1 true KR200479904Y1 (ko) | 2016-03-21 |
Family
ID=55645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1628U KR200479904Y1 (ko) | 2015-03-16 | 2015-03-16 | 건축용 동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9904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401209A (zh) * | 2016-05-26 | 2017-02-15 | 南京长江都市建筑设计股份有限公司 | 装配整体式框架防屈曲支撑结构 |
KR102060811B1 (ko) * | 2017-06-14 | 2019-12-30 | 한림기업(유) | 슬래브 브라켓 및 패널 구조체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4531Y1 (ko) * | 2004-04-09 | 2004-06-30 | 한화콘판넬판매(주) | 강관써포트용 받침판 |
-
2015
- 2015-03-16 KR KR2020150001628U patent/KR200479904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4531Y1 (ko) * | 2004-04-09 | 2004-06-30 | 한화콘판넬판매(주) | 강관써포트용 받침판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401209A (zh) * | 2016-05-26 | 2017-02-15 | 南京长江都市建筑设计股份有限公司 | 装配整体式框架防屈曲支撑结构 |
KR102060811B1 (ko) * | 2017-06-14 | 2019-12-30 | 한림기업(유) | 슬래브 브라켓 및 패널 구조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79904Y1 (ko) | 건축용 동바리 | |
JP2017507264A (ja) | 型枠支持構造のためのアダプタ | |
KR200484942Y1 (ko) | 빔 브라켓 | |
KR102221243B1 (ko) |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 | |
KR200484346Y1 (ko) | 창틀 고정용 브라켓 | |
JP3202842U (ja) | 振れ止め金具 | |
KR101902412B1 (ko) |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 | |
KR20090028398A (ko) | 서포트의 멍에 지지방법 및 지지시스템 | |
KR200481132Y1 (ko) | 거푸집 지지 및 조립을 위한 장치 | |
KR200484593Y1 (ko) | 동바리에 탈부착되는 커버 | |
JP3209749U (ja) | 制御装置 | |
KR102098792B1 (ko) | 테이블 | |
JP2015168938A (ja) | 板状体設置ブロック | |
JP6719944B2 (ja) | 支柱受け床下地構造および支持部材 | |
US800031A (en) | Street-sign. | |
KR200294360Y1 (ko) |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 | |
JP3204411U (ja) | 足場用幅木および幅木固定構造 | |
JP2015188408A (ja) | 猫用爪とぎ器 | |
JP2007031969A (ja) | 下地補強材取付金物 | |
JP3206554U (ja) | グレーチングの固定金具および固定構造 | |
JP3207707U (ja) | 野縁取付装置 | |
KR20120006373U (ko) | 건축용 서포트 | |
KR101470988B1 (ko) | 물탱크 안치 구조체 | |
JP5119950B2 (ja) | 軒樋支持具装置 | |
JP4452645B2 (ja) | 際根太支持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