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817Y1 - 이중벽 용기 - Google Patents
이중벽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9817Y1 KR200479817Y1 KR2020150000751U KR20150000751U KR200479817Y1 KR 200479817 Y1 KR200479817 Y1 KR 200479817Y1 KR 2020150000751 U KR2020150000751 U KR 2020150000751U KR 20150000751 U KR20150000751 U KR 20150000751U KR 200479817 Y1 KR200479817 Y1 KR 20047981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d
- container
- cover
- inner end
- inner contain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decoration, information or contents indicating devices, lab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벽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외측으로 말아진 형태로 절곡되어 있는 상단부 테두리를 갖는 금속 재질의 내부용기 및 상기 내부용기의 외측 및 바닥에 밀착되도록 사출 성형되어 있는 외부용기를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를 구비한 이중벽 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의 상기 상단부 테두리의 내측에 마련된 열차단부; 상기 내부용기의 바닥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절곡되어 있는 중앙돌출부; 상기 상단부 테두리에 끼워지도록 상기 덮개의 저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고 하향으로 돌출된 덮개저면끼움부; 상기 덮개저면끼움부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상기 덮개의 외측으로 돌출된 덮개테두리부; 및 상기 덮개저면끼움부의 외주면과 상기 덮개테두리부의 저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기체배기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이중벽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재질의 외벽과 금속 재질의 내벽을 구비하여, 밥그릇, 국그릇, 유아용 그릇, 캐릭터 상품 등으로 이용되는 이중벽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중벽 용기는 단열 기능과 함께 플라스틱 재질에서 발생되는 환경 호르몬이 그릇 내용물 쪽으로 영향을 가하지 못하도록 열차단 기능을 제공한다.
종래로부터 제안되고 있는 단열 기능 또는 열차단 기능의 이중벽 용기는 내벽과 외벽 사이의 공간부에 공기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저열전도율 가스를 봉입하거나, 또는 내벽과 외벽을 밀착시키되, 열전도율이 서로 다른 재질, 예컨대 금속 재질과 플라스틱 재질, 혹은 동일 재질을 서로 밀착한 상태에서 용기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보온 식기, 단열 식기 또는 유아용 식기로 사용되고 있다.
고안의 배경이 되는 종래 기술의 특허문헌 1은 플라스틱제 이중 단열용기로서, 에어포켓(AIR POCKET)을 갖도록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를 겹쳐서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합성수지, 즉 플라스틱 재질로서 고열의 내용물을 내부용기에 담을 경우, 열을 전달받은 플라스틱 재질의 내부용기에서 환경 호르몬이 더욱 원활하게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유아용 식기, 환경 호르몬에 취약한 사용자들을 위한 식기로서 사용하기 매우 부적합한 단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은 별도의 뚜껑을 사용하지 않아서, 내부용기의 내부에 담을 음식, 내용물 등을 안전하게 덮어 보호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용기에 따르면, 뚜껑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내부용기의 내부에 담김 내용물에 대한 식별력을 좋아질 수 있지만, 뚜껑에 표시되는 캐릭터형상에 대한 인식률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반대로 뚜껑 자체를 불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만들 경우, 뚜껑을 열지 않고서는 내부용기의 내부에 담긴 내용물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고, 캐릭터형상을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는 수단의 부재로 인하여, 캐릭터 용기 제품으로서 상품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질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단순히 뚜껑을 덮어 사용하더라도, 내부용기의 내부에 고온 습기 및 수증기가 많이 발생되는 내용물을 담을 때, 내용물에서 발생되는 고온 습기 및 수증기의 작용으로 인하여, 내부용기의 내부 압력과 대기압 사이의 압력차가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뚜껑이 용기의 상단부 테두리에서 들림 현상이 발생되거나, 뚜껑과 용기간 삽입 상태가 불량한 상태로 변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고안의 배경이 되는 다른 종래 기술의 특허문헌 2는 외지의 강도를 보강하고 단열성을 향상시키며 뜨거운 내용물이 담겨진 용기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외지 또는 내지가 종이 재질로만 이루어져서 내구성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다른 종래 기술에 해당하는 특허문헌 3에 따르면, 내측으로는 내용물이 담겨지는 금속용기가 형성되고 그 외측으로는 외부로의 열전달 방지를 위한 플라스틱용기가 끼움 결합되어 이중의 구조를 갖도록 된 이중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3은 기밀 유지용 뚜껑을 사용하기 위해 금속용기의 외주면에 내측으로 말림되어지는 후렌지(flange)를 형성하고 있을 뿐, 금속용기와 플라스틱용기를 서로 강하게 결합시켜주는 물리적인 고정 수단이 미흡하고, 캐릭터 상품으로써 용기에 인쇄되어 있는 캐릭터부를 부각시킬 수 있는 수단이 부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은 플라스틱용기의 재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원자재 가격이 비싼 금속용기의 재질과 플라스틱용기의 재질을 함께 사용하되, 단열 기능 확보를 위하여 금속용기의 두께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수단이 부재되어 있어서, 용기의 전체 제조 비용이 상대적으로 증대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즉, 특허문헌 3은 금속용기의 벽두께를 최소화시킬 수 없는 수단의 부재로 인하여, 전체 용기 중량이 플라스틱 재질로만 성형된 용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겁고, 손잡이가 용기 자체에 구비되어 있지 않아서, 힘이 약하고 부주의한 유아들이 사용하는 유아 또는 소아용 용기로서 사용되기 부적합한 단점이 있다.
또한, 손잡이가 부착된 용기가 있는 경우에도, 힘이 약하고 산만하여 집중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유아, 유치원생, 혹은 이유식이 필요한 소아 등의 사용자가 뜨거운 음식을 담고 있는 용기의 손잡이를 놓치는 경우 화상 등의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뜨거운 음식이 아니더라도 이유식 등을 담고 있는 용기 자체가 무겁고 미끄러운 경우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에서 손잡이가 미끄러져서 용기 자체를 떨어뜨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금속용기와 플라스틱용기만으로 이루어진 종래 기술의 이중 용기는 상대적으로 무거워서 사용이 불편하고, 캐릭터 상품 또는 유아용 식기로서 상품성이 매우 떨어진다.
또한, 종래 기술의 이중 단열용기는 금속 재질의 내부용기의 상단부 테두리가 외부용기의 상부에서 그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금속 재질의 내부용기에 뜨거운 음식을 담을 경우, 열전달을 통해서 내부용기의 상단부 테두리가 과열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피부가 약한 유아, 소아 등의 사용자에게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염려가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플라스틱 재질의 외부용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금속 재질의 내부용기와, 내부용기의 상부를 덮을 때 수분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테두리통로부를 구비한 뚜껑을 제공함으로써, 유아용 식기로서 상품성이 매우 뛰어나고, 손잡이에 미끄럼방지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중벽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외측으로 말아진 형태로 절곡되어 있는 상단부 테두리를 갖는 금속 재질의 내부용기 및 상기 내부용기의 외측 및 바닥에 밀착되도록 사출 성형되어 있는 외부용기를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를 구비한 이중벽 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의 상기 상단부 테두리의 내측에 마련된 열차단부; 상기 내부용기의 바닥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절곡되어 있는 중앙돌출부; 상기 상단부 테두리에 끼워지도록 상기 덮개의 저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고 하향으로 돌출된 덮개저면끼움부; 상기 덮개저면끼움부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상기 덮개의 외측으로 돌출된 덮개테두리부; 및 상기 덮개저면끼움부의 외주면과 상기 덮개테두리부의 저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기체배기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체배기홈부는, 상기 덮개저면끼움부의 외주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덮개저면끼움부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수직홈부; 및 상기 수직홈부에 각각 연결되도록 상기 덮개테두리부의 저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덮개테두리부의 저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수평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 용기가 제공된다.
삭제
또한, 상기 덮개는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의 중앙에 위치된 덮개투명부; 상기 덮개투명부와 상기 덮개테두리부의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덮개의 저면에 형성된 덮개반투명부; 및 상기 덮개투명부의 상부 표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서 프린트되어 있는 캐릭터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캐릭터부는, 상기 덮개투명부의 상부 표면에 인쇄된 프라이머층; 및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인쇄된 캐릭터형상층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열차단부는 상기 내부용기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열흡수 소재로서,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 블록 공중합체,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외부용기의 저면에 이름을 표시하기 위한 이름기재부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이중벽 용기에 의하면, 내부용기의 바닥에 중앙돌출부를 형성하여 내부용기의 구조적 강성을 증대시킴으로써, 내부용기의 두께를 줄이더라도 구조적 강성을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내부용기가 기존의 내부용기의 두께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외부용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게 되고, 결과적으로 이중벽 용기의 전체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음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가볍고 견고한 유아용 식기로서 상품성이 매우 뛰어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외부용기의 테두리 양측에 손잡이를 구비하되, 손잡이의 상면에 미끄럼방지부를 구비하고, 손잡이의 저면 중앙에 손잡이홈부를 구비하고, 손잡이홈부의 외곽을 이루도록 손잡이의 저면 테두리에 정지턱부를 형성함으로써, 유아, 소아 등의 사용자가 안전하게 잡고 사용할 수 있고, 유아용 식기로서 상품성이 매우 뛰어나다.
또한, 본 고안의 정지턱부의 상하 두께는 손잡이홈부의 상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어 보강리브의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서, 외부용기와 내부용기가 인접하고 손잡이가 형성된 부위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내부용기의 상단부 테두리에 끼워질 수 있는 규격으로 제작되어 있는 덮개를 제공하되, 그 덮개가 덮개투명부, 덮개반투명부, 덮개테두리부, 덮개저면끼움부, 기체배기홈부 및 캐릭터부를 구비함으로써, 캐릭터부가 덮개투명부의 외표면에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서, 내부용기의 내부공간에 담아 보관할 음식 또는 내용물을 육안으로 식별하면서 자연스럽고 용이하게 캐릭터부의 형상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덮개의 기체배기홈부를 통해서, 수분 또는 수증기가 많은 내용물로부터 생성된 수분을 이중벽 용기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내부용기의 내부 압력과 대기압과의 압력차가 줄어들거나 동일하게 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덮개가 내부용기의 상단부 테두리에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이중벽 용기의 본체의 저면에 이름을 표시하기 위한 이름기재부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가 이름기재부에 자신의 이름을 용이하게 표시할 수 있는 분실 방지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열차단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뜨거운 음식을 담은 상태로서 금속 재질의 내부용기의 상단부 테두리가 외부용기에 비하여 과도하게 과열되지 않게 함으로써, 피부가 약한 유아, 소아 등의 사용자에 대한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벽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중벽 용기의 본체와 덮개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덮개의 저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본체와 덮개를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본체의 저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중벽 용기의 본체와 덮개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덮개의 저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본체와 덮개를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본체의 저면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벽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음식, 내용물 등을 담아 보관하기 위해서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있고 이중벽을 갖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상기 본체(100)에 결합되는 덮개(200)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중벽 용기의 본체와 덮개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체(100)는 내부용기(110)와 외부용기(120)에 의해서 이중벽을 갖는 이중단열체가 된다.
내부용기(11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본체(100)의 내부용기(110)는 수분을 포함하는 음식물을 담거나 음식물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스테인리스강 등과 같이 내식성이 있으며 오염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성질의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100)는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고 있고, 외측으로 말아진 형태로 절곡되어 있는 상단부 테두리(111)를 구비한 내부용기(110)를 포함한다.
상단부 테두리(111)는 외부용기(120)에 의해 감싸져 있지 않는 노출된 부분이다.
뜨거운 음식 혹은 국물, 고열수 등과 같은 내용물이 금속 재질의 내부용기(110)에 담겨질 경우, 외부용기(120)의 상단부 테두리(111)가 과열되어서, 피부가 약한 사용자에게 화상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체(100)는 내부용기(110)의 외측 및 바닥에 밀착되도록 사출 성형되어 있는 외부용기(120)를 구비한다.
외부용기(120)는 상기 내부용기(110)에 비하여 열전달계수가 낮아 열전달이 급속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비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외부용기(120)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의 재질로서 사출 성형시 열변형 및 수축율이 낮은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수지 재질일 수 있다. 그리고, 외부용기(120)는 식기 또는 그릇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용기(120)의 재질은 상기 ABS 수지 재질로만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덮개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본체와 덮개를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본체의 저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내부용기(110)의 상기 상단부 테두리(111)의 내측에 마련된 열차단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열차단부(130)는 외부용기(120)의 상부 내측 코너부(121)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링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즉, 열차단부(130)는 내부용기(110)의 상기 상단부 테두리(111)의 내측과 외부용기(120)의 상부 내측 코너부(121)의 상측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여기서, 내부용기(110)는 뜨거운 음식 등의 열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구성품일 수 있다.
특히, 열차단부(130)는 상기 내부용기(110)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열흡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열흡수 소재는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 블록 공중합체,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열차단부(130)가 열을 안정화시킨다는 의미는 상기 언급된 소재의 특성에 의해서 내부용기(110)의 열에 의한 열하중을 흡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열차단부(130)는 외부용기(120)의 상부 내측 코너부(121)의 열하중을 흡수하여 내부용기(110)의 상단부 테두리(111) 쪽으로 전달되지 않게 억제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부연 설명하면, 금속 재질의 내부용기(110)의 상단부 테두리(111)는 외부용기의 상부에서 그대로 노출되어 있다.
만일, 열차단부(130)가 본 실시예와 같이 구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뜨거운 음식이 금속 재질의 내부용기(110)에 담겨질 경우, 열전달을 통해서 내부용기(110)의 상단부 테두리(111)가 과열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 경우, 피부가 약한 유아, 소아 등의 사용자는 과열된 내부용기(110)의 상단부 테두리(111)로 인하여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겪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열차단부(130)를 구비하고 있고, 열차단부(130)를 통해서 금속 재질의 내부용기(110)의 상단부 테두리(111) 쪽으로 전달되는 열을 흡수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외부용기(120)에 비하여 내부용기(110)의 상단부 테두리(111)가 과도하게 과열되지 않게 함으로써, 피부가 약한 유아, 소아 등의 사용자에 대한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 또는 도 5를 참조하면, 본체(100)는 내부용기(110)의 바닥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절곡되어 있는 중앙돌출부(112)를 포함한다.
내부용기(110)의 중앙돌출부(112)는 내부용기(110)의 구조적 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중앙돌출부(112)가 내부용기(11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굴곡 구조 또는 보강 리브의 역할을 담당한다.
중앙돌출부(112)를 가지고 있지 않는 종래의 용기에 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내부용기(110)는 상대적으로 증가된 구조적 강도를 가질 수 있거나, 혹은 내부용기(110)의 바닥쪽 또는 벽쪽 두께를 줄이더라도 종래의 용기와 동일 또는 유사한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용기(110)는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금속 재질로서 감소된 내부용기(110)의 중량을 가지고 있고, 결과적으로 이중벽 용기의 전체 중량을 상대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내부용기(110)의 중앙돌출부(112)는 외부용기(120)의 중앙지지부(123)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외부용기(120)의 중앙지지부(123)의 바닥 두께(t1)는 외부용기(120)의 벽 두께(t2) 또는 상기 중앙지지부(123)를 제외한 외부용기(120)의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또는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즉, 중앙지지부(123)의 바닥 두께(t1)로 인하여 외부용기(120)의 바닥에서 열차단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이를 부연 설명하면, 외부용기(120)의 저부공간(124)은 외부용기(120)의 저면과, 그 외부용기(120)의 저면에서 하향으로 돌출된 일체형의 링형 받침부(122)에 의해 구획된다.
이러한 외부용기(120)의 저부공간(123)의 공기는 내부용기(110) 및 외부용기(120)를 통해 전달된 열에 의해서 팽창되고, 이렇게 팽창된 공기의 압력은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의 따른 이중벽 용기를 상향으로 들어올리는 힘으로 작용한다.
즉, 상기 팽창된 공기의 압력에 의해서 이중벽 용기와 지면간 마찰력이 감소되어서, 결과적으로 이중벽 용기가 지면에서 쉽게 미끄러질 수 있고, 이는 이중벽 용기의 사용을 불편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링형 받침부(122)의 저면홈에 결합된 미끄럼방지링(125)과 상기 상대적으로 두꺼운 바닥 두께(t1)를 갖는 중앙지지부(123)에 의해서 상기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을 정도로 뛰어난 용기 미끄러짐 방지 기능(non-slip function)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미끄럼방지링(125)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고, 링형 받침부(122)의 저면홈에 억지끼움 방식, 접착제 방식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미끄럼방지링(125)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빈틈 없이 원주 방향을 따라 링형 받침부(122)의 저면홈에 구비되어서, 빈틈 또는 돌기를 갖는 링구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 미끄럼 방지 기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덮개(200)는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덮개(200)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고, 덮개(200)의 중앙에 위치된 덮개투명부(210)와, 상기 덮개투명부(210)와 덮개테두리부(250)의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덮개(200)의 저면에 형성된 덮개반투명부(220)를 갖는다.
여기서, 덮개반투명부(220)는 표면열처리 또는 미세레이저가공을 통해서 형성된 복수개의 하향미세돌기에 의해서 광학적으로 반투명 영역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덮개반투명부(220)는 덮개(200)의 저면에 응결되기 쉬운 물방울이 본체(100)의 내부용기(110)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담당한다.
또한, 덮개반투명부(220)는 미끄러운 플라스틱 재질의 덮개(200)에 대하여 마찰력을 받을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함으로써, 설거지 또는 세척시 사용자가 덮개(200)를 편리하게 잡을 수 있도록, 그립력(grip)을 제공할 수 있다.
덮개(200)는 덮개투명부(210)의 상부 표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서 프린트되어 있는 캐릭터부(230)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시선 방향은 본체(100)의 내부용기(110)의 내부에 위치한 내용물을 확인하기 위하여, 자연스럽게 덮개반투명부(220)가 아닌 덮개투명부(210)를 향하게 되고, 그러한 덮개투명부(210)에 캐릭터부(230)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캐릭터부(230)의 캐릭터형상이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자에게 노출되어서, 캐릭터형상을 더욱 확실하게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물론, 덮개(200)의 캐릭터부(230)의 캐릭터형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외부용기(120)의 외표면에도 동일 또는 대등하게 표현되어 있다. 이러한 특징에 의해서, 사용자는 덮개(200)와 본체(100)가 하나의 세트 제품이라는 것을 자연스럽게 받아 드릴 수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여기서, 캐릭터부(230)는 덮개투명부(230)의 상부 표면에 인쇄된 프라이머층(231)과, 상기 프라이머층(231)의 상부에 인쇄된 캐릭터형상층(232)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프라이머층(231)은 캐릭터형상층(232)의 배색이 되어서, 캐릭터형상층(232)을 더욱 또렷하게 표출시킬 수 있는 역할과, 고온 상태에서도 캐릭터형상층(232)의 변형을 방지하는 차단막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또한, 덮개(200)는 내부용기(110)의 상단부 테두리(111)에 끼워지도록 덮개(200)의 저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고 하향으로 돌출된 링 형태의 덮개저면끼움부(240)와, 상기 덮개저면끼움부(240)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상기 덮개(200)의 외측으로 돌출된 덮개테두리부(250)와, 상기 덮개저면끼움부(240)의 외주면과 상기 덮개테두리부(250)의 저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기체배기홈부(260)를 포함한다.
도 5의 점선원을 통해 확대하여 표시되거나 도 3의 저면도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기체배기홈부(260)는 상기 덮개저면끼움부(240)의 외주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덮개저면끼움부(240)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수직홈부(261)와, 상기 수직홈부(261)에 각각 연결되도록 상기 덮개테두리부(250)의 저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덮개테두리부(250)의 저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수평홈부(262)로 이루어져 있다.
덮개(200)와 본체(100)가 서로 결합되어 있을 때, 본체(100)의 내부용기(110)의 내부에 담겨진 내용물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는 기체배기홈부(260)를 통해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수증기 등에 의해 발생된 압력, 혹은 덮개(200)를 본체(100)에 결합시킬 때 내부용기(110)의 공기가 압축되면서 발생되는 압력은 덮개(200)를 본체(100)로 분리시키거나 덮개(200)와 본체(100)간 결합을 방해하는 저항력으로 작용하지 않게 된다.
즉, 기체배기홈부(260)를 통해서, 내부용기(110)의 내부 압력과 대기압과의 압력차가 줄어들거나 동일하게 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덮개(200)가 본체(100)의 내부용기(110)의 상단부 테두리(111)에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체(100)는 사용자 편의성을 위하여 외부용기(12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손잡이(126)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외부용기(120)의 테두리 양측에 구비된 손잡이(126)는 그의 상면에 미끄럼방지부(127)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미끄럼방지부(127)는 사출 성형, 표면열처리, 미세레이저가공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형성된 복수개의 상향미세돌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미끄럼방지부(127)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한 마찰력을 증대시키고, 그 결과, 사용자는 손잡이(126)를 견고하게 안전하게 잡고 사용할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127)는 별도로 부착되는 요소가 아니라, 손잡이(126)에 일체형으로 제작된 부분으로서, 별도의 미끄럼방지 부품을 결합한 제품에 비하여 제조 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손잡이(126)는 그의 저면 중앙에 손잡이홈부(128)를 구비하고, 손잡이홈부(128)의 외곽을 이루도록 손잡이(126)의 저면 테두리에 정지턱부(129)를 형성하고 있다. 이를 통해서, 유아, 소아 등의 사용자는 미끄러짐 없이 안전하게 손잡이(126)를 잡고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정지턱부(129)의 상하 두께는 손잡이홈부(128)를 형성하는 부위의 상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고, 외부용기(120)와 손잡이(126)간 강성을 증대시키는 보강리브의 역할도 수행한다. 그 결과, 정지턱부(129)는 보강리브로서 외부용기(120)와 내부용기(110)가 서로 인접하여 두께면에서 다소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한 부위와 같은 구조상의 취약점을 보안할 수 있고, 손잡이(126)와 외부용기(120)가 연결된 부위의 강도 또는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체(100)는 상기 외부용기(120)의 저면에 이름을 표시하기 위한 이름기재부(140)를 더 포함한다.
이름기재부(140)는 외부용기(120)의 사출 성형시 양각 형태로 돌출되거나, 혹은 음각 형태로 함몰되어 사용자에게 이름을 적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이름을 미리 적어놓게 하여서, 이중벽 용기의 분실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100 : 본체 110 : 내부용기
120 : 외부용기 126 : 손잡이
127 : 미끄럼방지부 128 : 손잡이홈부
129 : 정지턱부 130 : 열차단부
140 : 이름기재부 200 : 덮개
210 : 덮개투명부 220 : 덮개반투명부
230 : 캐릭터부 240 : 덮개저면끼움부
250 : 덮개테두리부 260 : 기체배기홈부
120 : 외부용기 126 : 손잡이
127 : 미끄럼방지부 128 : 손잡이홈부
129 : 정지턱부 130 : 열차단부
140 : 이름기재부 200 : 덮개
210 : 덮개투명부 220 : 덮개반투명부
230 : 캐릭터부 240 : 덮개저면끼움부
250 : 덮개테두리부 260 : 기체배기홈부
Claims (6)
-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외측으로 말아진 형태로 절곡되어 있는 상단부 테두리(111)를 갖는 금속 재질의 내부용기(110) 및 상기 내부용기의 외측 및 바닥에 밀착되도록 사출 성형되어 있는 외부용기(120)를 구비한 본체(100)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200)를 구비한 이중벽 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의 상기 상단부 테두리의 내측에 마련된 열차단부(130);
상기 내부용기의 바닥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절곡되어 있는 중앙돌출부(112);
상기 상단부 테두리에 끼워지도록 상기 덮개의 저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고 하향으로 돌출된 덮개저면끼움부(240);
상기 덮개저면끼움부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상기 덮개의 외측으로 돌출된 덮개테두리부(250); 및
상기 덮개저면끼움부의 외주면과 상기 덮개테두리부의 저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기체배기홈부(260)를 포함하며,
상기 기체배기홈부(260)는,
상기 덮개저면끼움부의 외주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덮개저면끼움부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수직홈부(261); 및
상기 수직홈부에 각각 연결되도록 상기 덮개테두리부의 저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덮개테두리부의 저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수평홈부(2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 용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의 중앙에 위치된 덮개투명부;
상기 덮개투명부와 상기 덮개테두리부의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덮개의 저면에 형성된 덮개반투명부; 및
상기 덮개투명부의 상부 표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서 프린트되어 있는 캐릭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 용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부(230)는,
상기 덮개투명부의 상부 표면에 인쇄된 프라이머층(231); 및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인쇄된 캐릭터형상층(23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단부(130)는 상기 내부용기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열흡수 소재로서,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 블록 공중합체,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상기 외부용기(120)의 저면에 이름을 표시하기 위한 이름기재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 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0751U KR200479817Y1 (ko) | 2015-02-02 | 2015-02-02 | 이중벽 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0751U KR200479817Y1 (ko) | 2015-02-02 | 2015-02-02 | 이중벽 용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9817Y1 true KR200479817Y1 (ko) | 2016-03-09 |
Family
ID=55531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0751U KR200479817Y1 (ko) | 2015-02-02 | 2015-02-02 | 이중벽 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9817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34777B1 (ko) * | 2016-07-08 | 2017-05-11 | 조문식 | 간식기 |
KR20220056221A (ko) * | 2019-08-30 | 2022-05-04 | 마이어 인텔렉츄얼 프로퍼티즈 리미티드 | 밸브를 구비하는 음식 저장 및 조리 용기 |
US11607075B2 (en) | 2018-04-17 | 2023-03-21 | Meyer Intellectual Properties, Ltd. | Food storage and cooking vessel with a valv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30937A (ja) * | 2005-07-27 | 2007-02-08 | ▲奇▼美興業股▲分▼有限公司 | メラミン容器の構造 |
KR200466709Y1 (ko) * | 2011-09-19 | 2013-05-06 | 조문식 | 이중 단열용기 |
KR101260701B1 (ko) * | 2010-11-05 | 2013-05-10 | 서진욱 | 메모판이 설치된 음식물 보관용기 |
-
2015
- 2015-02-02 KR KR2020150000751U patent/KR20047981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30937A (ja) * | 2005-07-27 | 2007-02-08 | ▲奇▼美興業股▲分▼有限公司 | メラミン容器の構造 |
KR101260701B1 (ko) * | 2010-11-05 | 2013-05-10 | 서진욱 | 메모판이 설치된 음식물 보관용기 |
KR200466709Y1 (ko) * | 2011-09-19 | 2013-05-06 | 조문식 | 이중 단열용기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34777B1 (ko) * | 2016-07-08 | 2017-05-11 | 조문식 | 간식기 |
US11607075B2 (en) | 2018-04-17 | 2023-03-21 | Meyer Intellectual Properties, Ltd. | Food storage and cooking vessel with a valve |
US12053119B2 (en) | 2018-04-17 | 2024-08-06 | Meyer Intellectual Properties Ltd. | Food storage and cooking vessel with a valve |
KR20220056221A (ko) * | 2019-08-30 | 2022-05-04 | 마이어 인텔렉츄얼 프로퍼티즈 리미티드 | 밸브를 구비하는 음식 저장 및 조리 용기 |
KR102506105B1 (ko) * | 2019-08-30 | 2023-03-13 | 마이어 인텔렉츄얼 프로퍼티즈 리미티드 | 밸브를 구비하는 음식 저장 및 조리 용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50014322A1 (en) | Cup lid and portable protection case therefor | |
US8783490B2 (en) | Composite microwave and oven safe food container system | |
KR200479817Y1 (ko) | 이중벽 용기 | |
US20180014674A1 (en) | Assembled cup structure | |
KR200466709Y1 (ko) | 이중 단열용기 | |
JP5308823B2 (ja) | 即席食品用の二重容器 | |
US20150096956A1 (en) | Baby bottle cover with tactile stimulation design | |
JP5495999B2 (ja) | 飲料容器 | |
JP3171600U (ja) | 蓋体 | |
JP6291383B2 (ja) | 飲料缶の飲み口キャップ | |
JP3195580U (ja) | 厚紙製外被を備えた包装用容器の構造 | |
JP3173094U (ja) | 合成樹脂コップ | |
US20090242574A1 (en) | Heat-insulating cup | |
JP7144029B2 (ja) | 包装用容器 | |
JP2017128348A (ja) | 手で持ち上げやすい大型ペットボトル | |
CN204617750U (zh) | 双层壁容器 | |
JP6108777B2 (ja) | 乳幼児用飲料容器 | |
JP2008155971A (ja) | 蓋 | |
US20070267427A1 (en) | Burn-proof cup | |
JP3187699U (ja) | 鍋蓋 | |
JP4830586B2 (ja) | 食品容器 | |
JP3186596U (ja) | 蓋留め具 | |
JP7493779B2 (ja) | 包装用容器 | |
JP3115427U (ja) | 凹み飲み口椀体 | |
JP2008189337A (ja) | 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