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4777B1 - 간식기 - Google Patents

간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4777B1
KR101734777B1 KR1020160086541A KR20160086541A KR101734777B1 KR 101734777 B1 KR101734777 B1 KR 101734777B1 KR 1020160086541 A KR1020160086541 A KR 1020160086541A KR 20160086541 A KR20160086541 A KR 20160086541A KR 101734777 B1 KR101734777 B1 KR 101734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wl
outer plate
polyethylene
portions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6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문식
Original Assignee
조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문식 filed Critical 조문식
Priority to KR1020160086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47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8Plate-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4External fittings for spacing bases of containers from supporting surfaces, e.g. l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82Integral handles
    • B65D25/2888Integral handles provided near to or at the upper edge or ri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식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외부식판부(300)의 상단이 타원 형태의 볼록부(310)를 구성하고 하단이 물결 형태의 오목부(320)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그릇부(100) 및 제2그릇부(200)가 외부식판부(300)에 포함되어 구성되어 있는 간식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간식기는 상부가 개구되고 바닥부(110, 210)와 벽부(120, 220)로 구성된 제1그릇부(100), 제2그릇부(200) 및 외부식판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식판부(300)의 상단이 타원 형태의 볼록부(310)로 구성되고 하단이 물결 형태의 오목부(32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간식기는 제1그릇부(100), 제2그릇부(200)의 테두리가 결합절곡부(130, 230)를 형성하면서 외부식판부(300)와 고정되고, 사출 성형 결합되며, 상기 제1그릇부(100) 및 제2그릇부(200)의 바닥부(110, 210)가 상기 외부식판부(300)의 바닥부(330)와 5°내지 15°의 예각의 수평각을 이룸으로서 경사지게 되어 음식물이 바닥부(110, 210)에 고이게 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식기는 제1그릇부(100) 및 제2그릇부(200)와 외부식판부(300)를 결합하여 제조함으로써 내구성을 높인 효과가 있으며, 상기 제1그릇부(100) 및 제2그릇부(200)의 바닥부(110, 210)가 상기 외부식판부(300)의 바닥부(330)와 예각의 수평각을 이룸으로서 경사지게 되어 음식물이 남았을 때 바닥부(110, 210)에 고이게 되며 그에 따라 섭취 용이성을 높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간식기{THE FOOD TRAY}
본 발명은 간식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외부식판부(300)의 상단이 타원 형태의 볼록부(310)를 구성하고 하단이 물결 형태의 오목부(320)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그릇부(100) 및 제2그릇부(200)가 외부식판부(300)에 포함되어 구성되어 있는 간식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간식기는 상부가 개구되고 바닥부(110, 210)와 벽부(120, 220)로 구성된 제1그릇부(100), 제2그릇부(200) 및 외부식판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식판부(300)의 상단이 타원 형태의 볼록부(310)로 구성되고 하단이 물결 형태의 오목부(32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간식기는 제1그릇부(100), 제2그릇부(200)의 테두리가 결합절곡부(130, 230)를 형성하면서 외부식판부(300)와 고정되고, 사출 성형 결합되며, 상기 제1그릇부(100) 및 제2그릇부(200)의 바닥부(110, 210)가 상기 외부식판부(300)의 바닥부(330)와 5°내지 15°의 예각의 수평각을 이룸으로서 경사지게 되어 음식물이 바닥부(110, 210)에 고이게 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간식기는 외부식판부(300)의 양 좌우에 만곡면의 돌출부(341)가 있고, 상기 돌출부(341)의 상단에는 손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실리콘 고무 재질의 돌기부(342)가 있어 돌출부(341) 및 돌기부(342)가 손잡이부(340)를 이루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간식기는 외부식판부(300)의 바닥부(330)에 실리콘 고무 재질의 미끄럼방지부(350)가 둘러져 있으며, 제1그릇부(100)와 제2그릇부(200)에 각각 제1뚜껑부(160)와 제2뚜껑부(260)를 구비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제1뚜껑부(160) 및 제2뚜껑부(260)의 내측 테두리에는 안착면(170, 270)과 고정부(180, 280)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면(170, 270)의 길이와 결합절곡부(130, 230)의 두께 길이의 비율은 결합절곡부(130, 230) 두께 길이를 1로 가정하였을 때 1~5배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제1그릇부(100) 및 제2그릇부(200)의 지름비가 1:1 내지 1:1.5를 가지며, 제2그릇부(200) 및 제1그릇부(100)의 지름비는 1:1 내지 1:1.5를 가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간식기는 스테인리스, 세라믹 소재, 열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결합에서 선택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식기는 제1그릇부(100) 및 제2그릇부(200)와 외부식판부(300)를 결합하여 제조함으로써 내구성을 높인 효과가 있으며, 상기 제1그릇부(100) 및 제2그릇부(200)의 바닥부(110, 210)가 상기 외부식판부(300)의 바닥부(330)와 예각의 수평각을 이룸으로서 경사지게 되어 음식물이 남았을 때 바닥부(110, 210)에 고이게 되며 그에 따라 섭취 용이성을 높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간식기는 돌출부(341)에 돌기부(342)를 덧대어 손잡이부(340)를 이룸으로서 성인보다 근력이 약하고 주의력이 부족한 유아가 본 간식기를 손에 쥘 때 유아의 손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외부식판부(300)의 상단 및 하단이 모두 곡선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유아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주고, 지루할 수 있는 식사 시간에 흥미를 돋우는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는 식사 준비시 주로 식탁 한가운데에 반찬을 놓으며, 통상적으로 밥그릇과 국그릇이 분리되어 있다. 그러나 유아가 식탁에 앉아 식사할 때 유아는 성인에 비해 팔 길이가 짧고 근력이 약하여 식탁 한가운데의 반찬을 섭취하기가 어려우며, 국, 수프 등의 액체류 음식물을 섭취할 때도 흘릴 때가 많다.
식판은 밥, 국 등을 담을 수 있도록 오목하게 칸을 나누어 만든 식기로 종래에는 학교, 군대 등 단체 생활을 하는 장소에서만 사용되었으나, 근래에는 가정 내에서 유아가 용이하게 식사하기 위하여 식판을 찾는 주부들이 많아지면서 시중에 다양한 소재와 디자인의 식판이 널리 유통되고 있다.
그런데 액체는 평평한 그릇에 조금 담겨있을시 그 특성상 그릇 바닥에 퍼지게 된다. 기존의 식판은 바닥부가 경사가 없고 평평하여, 액체류 음식물인 국, 수프 등을 거의 다 섭취하고 얼마 남지 않게 되면 바닥에 퍼지게 되어 식판을 기울여 섭취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유아들은 성인에 비하여 근력이 약하므로, 식판을 기울이다가 식판을 엎을 소지가 높다. 따라서 식판을 기울이지 않아도 액체류 음식물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는 식판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하겠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이 되는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44844호(2013. 12. 26., 이하 ‘선행기술 1’)에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 1은 ‘유아용 식기’로, 구조를 변형하여 보호자가 별도로 음식을 식히기 위해 다른 도구를 이용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음식물을 식혀 유아에게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조되었으며, 상부가 개구된 수용부를 구비하는 외부몸체; 및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내부 몸체를 포함하고 내부몸체의 측벽면은 내부몸체의 바닥부가 형성하는 수평선과 상기 내부몸체의 측벽면이 형성하는 연장선이 이루는 각도가 예각을 형성하도록 구현되는 유아용 식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선행기술 1은 외부몸체와 내부몸체의 아래에 빈 공간이 있어 내구성이 낮을 소지가 높은데, 유아들은 판단력과 주의력이 매우 미숙하므로 식사시 식기를 엎고 던지는 행동, 밥그릇 바닥을 숟가락으로 휘젓거나 밥그릇 바닥에 숟가락을 세게 부딪치는 행동 등을 한다. 따라서 유아들의 식기는 성인들의 식기보다 특히 더 내구성이 필요하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이 되는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7079호(2015. 08. 26., 이하 ‘선행기술 2’)에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 2에는 하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밥을 담도록 된 밥수용부, 상기 밥수용부의 일측에서 하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국을 담도록 된 국수용부, 상기 밥수용부 및 국수용부 후방으로 위치되어 반찬을 수용하도록 하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다수 개의 반찬수용부를 갖도록 PLA 또는 사탕수수 바이오-폴리에틸렌(PE)으로 사출 성형되며; 좌우 양측에는 상향으로 돌출되거나 하향으로 함몰되는 촉감발달돌기 또는 촉감 발달 홈이 상면에 형성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가 구비되고; 상기 반찬수용부 중 어느 하나의 바닥에는 강판용 돌기가 구비된 식판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 2는 식판의 국수용부 바닥부가 경사져 있지 않아서 액체류 음식물을 먹다가 바닥부에 남은 음식을 먹을 때 식판 몸체를 손으로 들고 기울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이 되는 선행기술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026137호(2006. 02. 02., 이하 ‘선행기술 3’)에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 3에는 바닥이 평평한 제1오목부와 바닥 주변에서 제1오목부의 외측 가장자리를 향한 바닥이 상향 경사를 갖는 제2오목부가 있는 식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 3은 양념과 함께 제공되는 튀김, 구이류의 음식을 놓는 용도의 식기이며, 제1오목부는 개구부가 원형이나 경사진 제2오목부는 개구부가 부채꼴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경사진 식판 내부에 빈 공간 없이 그릇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내구성이 높으며, 그릇의 바닥부가 경사가 있어 음식물이 고이고, 그에 따라 음식물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는 간식기를 제공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본 발명을 안출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44844호(2013. 12. 26.)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7079호(2015. 08. 26.)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026137호(2006. 02. 02.)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인식하여 내구성을 높이고, 음식물의 섭취 용이성을 높이며, 유아의 식사 시간에 흥미를 돋울 수 있는 간식기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부가 개구되고 바닥부(110, 210)와 벽부(120, 220)로 구성된 제1그릇부(100), 제2그릇부(200) 및 외부식판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식판부(300)의 상단이 타원 형태의 볼록부(310)로 구성되고 하단이 물결 형태의 오목부(32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간식기를 제공함으로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그릇부(100), 제2그릇부(200) 및 외부식판부(300)는 제1그릇부(100), 제2그릇부(200)의 테두리가 결합절곡부(130, 230)를 형성하면서 외부식판부(300)와 고정되고, 사출 성형 결합되며, 상기 제1그릇부(100) 및 제2그릇부(200)의 바닥부(110, 210)가 상기 외부식판부(300)의 바닥부(330)와 5°내지 15°의 예각의 수평각을 이룸으로서 경사지게 되어 음식물이 바닥부(110, 210)에 고이게 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간식기를 제공함으로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식판부(300)의 양 좌우에 만곡면의 돌출부(341)가 있고, 상기 돌출부(341)의 상단에는 손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실리콘 고무 재질의 돌기부(342)가 있어 돌출부(341) 및 돌기부(342)가 손잡이부(340)를 이루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간식기를 제공함으로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식판부(300)의 바닥부(330)에 실리콘 고무 재질의 미끄럼방지부(350)가 둘러져 있으며, 제1뚜껑부(160) 및 제2뚜껑부(260)의 내측 테두리에는 안착면(170, 270)과 고정부(180, 280)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면(170, 270)의 길이와 결합절곡부(130, 230)의 두께 길이의 비율은 결합절곡부(130, 230) 두께 길이를 1로 가정하였을 때 1~5배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간식기를 제공함으로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그릇부(100) 및 제2그릇부(200)의 지름비가 1:1 내지 1:1.5를 가지며, 제2그릇부(200) 및 제1그릇부(100)의 지름비는 1:1 내지 1:1.5를 가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간식기를 제공함으로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테인리스, 세라믹 소재, 열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결합에서 선택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간식기를 제공함으로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간식기는 제1그릇부(100) 및 제2그릇부(200)와 외부식판부(300)를 결합하여 제조함으로써 내구성을 높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식기는 제1그릇부(100) 및 제2그릇부(200)의 바닥부(110, 210)가 외부식판부(300)의 바닥부(330)와 예각의 수평각을 이룸으로서 바닥부(110, 210)가 경사져 있어 음식물이 바닥부(110, 210)에 고이게 되고, 그에 따라 섭취 용이성을 높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식기는 돌출부(341)에 돌기부(342)를 덧대어 손잡이부(340)를 이룸으로서 성인보다 근력이 약하고 주의력이 부족한 유아가 본 간식기를 손에 쥘 때 유아의 손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식기는 외부식판부(300)의 상단 및 하단이 모두 곡선 형태로, 상단이 타원 형태의 볼록부(310)를 구성하고 하단이 물결 형태의 오목부(320)로 구성되어 있어 외부식판부(300)를 손으로 잡기 용이하고, 유아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주며, 지루할 수 있는 식사 시간에 흥미를 돋우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간식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간식기를 나타낸 조립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그릇부, 제2그릇부 및 외부식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그릇부, 제2그릇부 및 외부식판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그릇부, 제2그릇부 및 외부식판부를 나타낸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그릇부, 제2그릇부 및 외부식판부를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간식기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간식기를 나타낸 좌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간식기를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또는 대체물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이 가해질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간식기는 상부가 개구된 바닥부(110, 210)와 벽부(120, 220)로 구성되는 제1그릇부(100) 및 제2그릇부(200)를 포함하는 외부식판부(300)로 구성되며, 외부식판부(300)의 상단은 타원 형태로 제조되는 한편, 하단은 물결 형태로 제조되어 가운데가 오목하게 들어가는 구조로 구성된다.
제1그릇부(100) 및 제2그릇부(200)는 각각 밥, 국 등의 음식물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며, 외부식판부(300)는 그릇부(100, 2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외부식판부(300)의 상단은 타원 형태로 제조되는 한편, 하단은 물결 형태로 제조되어 가운데가 오목하게 들어가 있으므로 간식기를 손으로 잡기에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타원 및 물결 형태 등의 곡선은 정서적으로 장애가 있는 아동의 심리를 안정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있는바, 산만하여 식사에 집중하지 못하는 아동이 본 간식기로 식사를 수행할시 유아의 심리 안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본 간식기의 구조는 만화영화 캐릭터의 돼지코를 연상되게 하여, 시각적 요소에 민감한 유아들이 식사 시간에 더 흥미를 붙이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본 간식기의 성형 방법은 사출 성형, 열 성형, 열 용융 성형 등에서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출 성형은 플라스틱 용융액을 수송기로 밀어내고 노즐을 통하여 용융액을 형틀에 채워 성형하는 방식으로서, 빠른 속도로 제품생산이 가능하고, 다양하고 복잡한 모양의 제품생산이 가능하며, 제품을 정교하게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1그릇부(100), 제2그릇부(200) 및 외부식판부(300)는 도시된 것과 같이 결합되는 구조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그릇부(100), 제2그릇부(200) 및 외부식판부(300)는 가능한 구조로 결합할 수 있는 공지의 구조물의 일체의 유형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본 간식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그릇부(100) 및 제2그릇부(200)의 바닥부(110, 210)가 상기 외부식판부(300)의 바닥부(330)와 5°내지 15°의 예각 수평각을 이루는 구조로 구현되어, 상기 제1그릇부(100) 및 제2그릇부(200)에 수용되는 음식물이 경사 아래쪽으로 모이므로 음식물의 섭취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 수평각이 5°미만이 되면 경사가 지나치게 완만해져 음식물이 경사 아래쪽으로 모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가 없게 되며, 15°이상이 되면 경사가 지나치게 가파르게 되어 손놀림이 부주의한 유아가 음식물을 섭취하던 중 음식물이 식판 밖으로 새어나올 소지가 높아진다.
외부식판부(300)의 양쪽 좌우에는 만곡면의 돌출부(341)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341)의 상단에는 바람직하게 손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부(342)가 함입 또는 부착되어 손잡이부(340)가 구성된다.
돌기부의 소재는 실리콘 고무, NR(천연 고무/Natural Rubber), BR(부타디엔 고무/Butadiene Rubber), SBR(스틸렌부타디엔 고무/Styrene Butadiene Rubber), NBR(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Acrylonitrile Butadiene Rubber) 등에서 1종 이상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고무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리콘 고무는 내열 사용 온도 범위가 일반적으로 150~250℃이며, 간헐적으로 단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는 350℃에서도 사용 가능할 정도로 내열성이 높다. 또한 실리콘 고무는 다른 유기고무와는 달리 분자 구조 내 대기 중의 산소, 오존, 자외선 등과 반응하여 균열을 발생케 하는 이중결합이 없기 때문에 내후성이 매우 양호하고, 생리적으로 불활성 물질이므로 인체에 무해하여 식품 및 의료용품 제조에 가장 적합하다.
실리콘 고무의 포화점은 60˚C~-70˚C로 일반 유기계 고무의 포화점인 -20˚C~-40˚C에 비해 높으며, 일반 유기계 고무가 파괴되는 저온에서도 변함없이 탄성을 유지함으로서 모든 종류의 고무 중에서도 내한성이 가장 우수하다.
외부식판부(300)의 바닥에는 미끄럼방지부(350)가 구비되어 식사시 본 발명에 따른 식판이 유아의 부주의한 손놀림에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350)의 재질은 실리콘 고무, NR(천연 고무/Natural Rubber), BR(부타디엔 고무/Butadiene Rubber), SBR(스틸렌부타디엔 고무/Styrene Butadiene Rubber), NBR(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Acrylonitrile Butadiene Rubber) 등에서 1종 이상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고무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그릇부(100) 및 제2그릇부(200)에는 각각 제1뚜껑부(160) 및 제2뚜껑부(26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밥, 국, 수프 등의 음식이 식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뚜껑부(160, 260)의 내측 테두리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안착면(170, 270)과, 그릇부(100, 200)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180, 280)가 형성되어 있으며 안착면(170, 270)과 고정부(180, 280)는 90°의 각도를 이룬다. 또한 그릇부(100, 200)의 테두리는 융기되어 외부식판부(300)에 고정되어있는데, 이 부분은 결합절곡부(130, 230)로서 90°보다 작은 각도의 예각을 이룬다. 안착면(170, 270)과 고정부(180, 280)가 각도를 이루는 부분이 결합절곡부(130, 230) 위에 겹쳐지는 원리로 뚜껑부(160, 260)가 그릇부(100, 200)에 덮이게 되는데, 이 때 결합절곡부(130, 230)의 각도는 90°보다 작은 예각이며, 안착면(170, 270)과 고정부(180, 280)가 이루는 각도는 90°이므로 안착면(170, 270)과 고정부(180, 280)의 각도가 더 커서 외부공간부(140)가 형성되게 된다. 외부공간부(140)가 형성되면서 안착면(170, 270)이 외부로 노출되고, 그에 따라 안착면(170, 270)을 들어올리기가 용이하게 되므로 뚜껑부(160, 260)가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다.
또한 그릇부(100, 200)의 결합절곡부(130, 230)는 곡선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뚜껑부(160, 260)의 고정부(180, 280)는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부(180, 280)가 결합절곡부(130, 230)를 덮었을 때 내부공간부(150)가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뚜껑부(160, 260)를 개방할 때 고정부(180, 280)와 결합절곡부(130, 230)의 마찰력이 감소되게 되므로 뚜껑부(160, 260)가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안착면(170, 270)의 길이와 결합절곡부(130, 230)의 두께 길이의 비율은 결합절곡부(130, 230) 두께 길이를 1로 가정하였을 때 1~5배로 형성되어, 외부공간부(140)의 크기를 더 크게 할 수 있다.
결합절곡부(130, 230) 두께 길이 1 기준으로 안착면(170, 270)의 길이가 1 미만일 경우에는 외부공간부(140)가 작아지므로, 사용자가 뚜껑부(160, 260)를 의도적으로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도 개방이 용이하지 않게 될 수 있으며, 결합절곡부(130, 230) 두께 길이 1 기준으로 안착면(170, 270)의 길이가 6 이상인 경우에는 주변 장애물 또는 신체의 일부 등 임의의 대상체가 의도치 않게 안착면(170, 270)과 접촉되어 뚜껑부(160, 260)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1그릇부(100)와 제2그릇부(200)의 두 부 중 어느 한 부의 지름비가 1:1 내지 1:1.5인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구조는 제1그릇부(100) 및 제2그릇부(200)의 섭취하고자 하는 음식 종류의 기호성 또는 필요성의 차등에 따라 음식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목적이다.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오른손잡이 유아는 오른손을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식판을 사용할시 밥을 좌측에, 국을 우측에 담아두고 식사를 수행하는 것을 편안하게 느끼나, 왼손잡이 유아의 경우는 왼손을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반대로 밥을 우측에, 국을 좌측에 담아두고 식사를 수행하는 것을 편안하게 느낄 수 있다. 통상적으로 식판에서는 국수용부의 크기가 밥수용부의 크기보다 크므로, 왼손잡이 유아의 경우 제1그릇부(100)의 지름이 제2그릇부(200)의 지름보다 더 큰 식판을 사용하는 것이 좀 더 용이하게 식사를 수행할 수 있다.
제1그릇부(100) 및 제2그릇부(200)의 소재는 스테인리스나 PLA(Poly Lactic Acid), 사탕수수 바이오-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멜라민 수지, 페놀 수지, 알릴 플라스틱, 아미노 수지 및 셀룰로이스 등의 플라스틱, 세라믹 소재, 나무, 놋쇠 등에서 1종 이상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테인리스에는 진공 2중 구조 스테인리스가 포함될 수 있다.
PLA는 생분해성 수지로서 환경 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환경 호르몬이 배출되지 않으므로 인체에도 무해하다. 또한, 사탕수수 바이오-폴리에틸렌(PE)은 사탕수수에서 즙을 채취한 후 발생되는 부산물인 바이오에탄올을 탈수 처리한 다음, 에틸렌중합을 거쳐 합성한 것으로서, 석유를 원료로 하지 않고 식물을 원료로 한 제품이라는 점에서 환경 친화적이다. 또한, 이러한 사탕수수 바이오-폴리에틸렌(PE) 역시 환경 호르몬이 배출되지 않으므로 인체에 무해하다.
외부식판부(300)의 소재 역시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ABS 수지, PLA(Poly Lactic Acid), 사탕수수 바이오-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멜라민 수지, 페놀 수지, 알릴플라스틱, 아미노수지 및 셀룰로이스 등의 플라스틱, 나무 등에서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제1뚜껑부(160) 및 제2뚜껑부(260)의 소재 역시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AS 수지, PLA(Poly Lactic Acid), 사탕수수 바이오-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멜라민 수지, 페놀 수지, 알릴플라스틱, 아미노수지 및 셀룰로이스 등의 플라스틱, 진공 2중 구조 스테인리스를 포함하는 스테인리스, 나무, 놋쇠 등에서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100: 제1그릇부
110: 제1그릇부 바닥부
120: 제1그릇부 벽부
130: 제1그릇부 결합절곡부
140: 제1그릇부 외부공간부
150: 제1그릇부 내부공간부
160: 제1뚜껑부
170: 제1뚜껑부 안착면
180: 제1뚜껑부 고정부
200: 제2그릇부
210: 제2그릇부 바닥부
220: 제2그릇부 벽부
230: 제2그릇부 결합절곡부
240: 제2그릇부 외부공간부
250: 제2그릇부 내부공간부
260: 제2뚜껑부
270: 제2뚜껑부 안착면
280: 제2뚜껑부 고정부
300: 외부식판부
310: 외부식판부 볼록부
320: 외부식판부 오목부
330: 외부식판부 바닥부
340: 손잡이부
341: 돌출부
342: 돌기부
350: 미끄럼방지부

Claims (8)

  1. 제1그릇부(100)와 제2그릇부(200)를 구비하는 외부식판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식판부(300)의 상단은 타원 형태의 볼록부(310)로 구성되며 하단은 물결 형태의 오목부(320)로 구성되어 돼지코를 연상하는 형상을 통해 유아에게 식사 시간의 흥미와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고,
    상기 제1그릇부(100), 제2그릇부(200)의 테두리는 결합절곡부(130, 230)를 형성하면서 외부식판부(300)와 고정되고, 사출 성형 결합되고,
    상기 제1그릇부(100) 및 제2그릇부(200)의 바닥부(110, 210)는 상기 외부식판부(300)의 바닥부(330)와 5° 내지 15° 의 예각의 수평각을 이룸으로서 경사지게 되어 음식물이 바닥부에 고이게 되고,
    만곡면의 손잡이부(340)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부(340)의 상단에는 손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실리콘 고무 재질의 돌기부(342)가 있고,
    상기 외부식판부(300)의 바닥부에는 실리콘 고무 재질의 미끄럼방지부(350)가 둘러져 있고,
    상기 제1그릇부(100) 및 제2그릇부(200)에는 각각 제1뚜껑부(160) 및 제2뚜껑부(260)가 구비되며, 제1뚜껑부(160) 및 제2뚜껑부(260)의 내측 테두리에는 안착면(170,270)과 고정부(180, 280)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면(170, 270)의 길이와 결합절곡부(130, 230)의 두께 길이의 비율은 결합절곡부(130, 230) 두께 길이를 1로 가정하였을 때 1~5배를 적용하여 뚜껑부(160, 260)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고 안정적인 결합을 통해 상기 뚜껑부(160, 260)의 의도치 않은 개방을 방지하고,
    상기 제1그릇부(100) 및 제2그릇부(200)의 지름비는 1:1 내지 1:1.5를 가지거나, 상기 제2그릇부(200) 및 제1그릇부(100)의 지름비는 1:1 내지 1:1.5를 적용하여 밥, 국과 같은 음식 종류의 기호성 또는 필요성의 차등에 따른 음식을 양을 조절하고,
    제1그릇부(100) 및 제2그릇부(200)의 재질은 스테인리스, PLA(Poly Lactic Acid), 사탕수수 바이오-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멜라민 수지, 페놀 수지, 알릴 플라스틱, 아미노 수지 및 셀룰로이스의 플라스틱, 세라믹 소재, 나무, 놋쇠에서 1종 이상 다양하게 선택되고,
    제1뚜껑부(160) 및 제2뚜껑부(260)의 재질은 AS 수지, PLA(Poly Lactic Acid), 사탕수수 바이오-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멜라민 수지, 페놀 수지, 알릴플라스틱, 아미노수지 및 셀룰로이스, 스테인리스, 진공 2중 구조 스테인리스, 나무, 놋쇠에서 1종 이상 선택되고, 외부식판부(300)의 재질은 ABS 수지, PLA(Poly Lactic Acid), 사탕수수 바이오-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멜라민 수지, 페놀 수지, 알릴플라스틱, 아미노수지 및 셀룰로이스, 나무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식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086541A 2016-07-08 2016-07-08 간식기 KR101734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541A KR101734777B1 (ko) 2016-07-08 2016-07-08 간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541A KR101734777B1 (ko) 2016-07-08 2016-07-08 간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4777B1 true KR101734777B1 (ko) 2017-05-11

Family

ID=58740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6541A KR101734777B1 (ko) 2016-07-08 2016-07-08 간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47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125B1 (ko) * 2017-08-28 2018-11-08 조문식 밀폐형 용기
WO2021177477A1 (ko) * 2020-03-02 2021-09-10 주식회사 화진몰테크 유아용 식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844B1 (ko) * 2012-06-15 2013-12-26 주식회사 아이엔피 유아용 식기
KR200479817Y1 (ko) * 2015-02-02 2016-03-09 문동준 이중벽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844B1 (ko) * 2012-06-15 2013-12-26 주식회사 아이엔피 유아용 식기
KR200479817Y1 (ko) * 2015-02-02 2016-03-09 문동준 이중벽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125B1 (ko) * 2017-08-28 2018-11-08 조문식 밀폐형 용기
WO2021177477A1 (ko) * 2020-03-02 2021-09-10 주식회사 화진몰테크 유아용 식판
CN113692242A (zh) * 2020-03-02 2021-11-23 和进有限公司 儿童餐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47519C2 (ru) Одноразовая тарелка с улучшенными эргономическими характеристиками
US9771188B2 (en) Personal utensil and container
TWM598645U (zh) 易於連同吸管成型脫模的杯子
KR20150097079A (ko) 유아용 식판
KR101734777B1 (ko) 간식기
KR200487784Y1 (ko) 식사용 도구
US20110214300A1 (en) Baby Spoon
JP2017515625A (ja) 障害者向けの食器
US9204743B2 (en) Reversible food plate having a slop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090179038A1 (en) Spill guard for dishware
US10206531B2 (en) Bowl assembly with masher
US9968210B2 (en) Composite structure of fixable food container
CN209376935U (zh) 一种便携套装餐具盒
US20230024771A1 (en) Ergonomic bowls and other vessels for water and foodstuff
USD500635S1 (en) Taco server
US8690002B1 (en) Bowl with spill-catching body
US20120128922A1 (en) Self-clinging mat for eating assistance
JP3226254U (ja) 木製食器
KR101648691B1 (ko) 유아용 식판
US20210007522A1 (en) Surface suctioning receptacle for container
JP3178009U (ja) 匙部の周辺に曲面のカール縁を設けた縁カールスプーン
US20220000290A1 (en) Drop-proof and easy-to-detach double-layer bowl
CN217390382U (zh) 一种儿童注水碗
JP3115427U (ja) 凹み飲み口椀体
US20070267427A1 (en) Burn-proof c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