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211Y1 - 유아용 전동차의 구동 절환 장치 - Google Patents

유아용 전동차의 구동 절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211Y1
KR200479211Y1 KR2020150006051U KR20150006051U KR200479211Y1 KR 200479211 Y1 KR200479211 Y1 KR 200479211Y1 KR 2020150006051 U KR2020150006051 U KR 2020150006051U KR 20150006051 U KR20150006051 U KR 20150006051U KR 200479211 Y1 KR200479211 Y1 KR 2004792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gear
gear box
drive
wheel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0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재국
Original Assignee
소재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재국 filed Critical 소재국
Priority to KR20201500060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2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2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2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63H17/264Coupl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63H17/36Steering-mechanisms for toy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4Details or accessories for drive mechanisms, e.g. means for winding-up or starting toy engi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1/00Gearing for toys
    • A63H31/08Gear-control mechanisms; Gears for imparting a reciprocating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용 전동차의 차체에 구비된 기어 박스; 기어 박스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휠 어셈블리; 휠 어셈블리에 구비되어 기어 박스와 연결 또는 연결 해제 가능하며, 기어 박스로부터 휠 어셈블리로 구동력이 전달되게 하거나 차단하는 제1 스위칭 유닛; 및 기어 박스에 구비되어 제1 스위칭 유닛과 동시에 또는 별개로 가동되며, 기어 박스로부터 휠 어셈블리로 구동력이 전달되게 하거나 차단하는 제2 스위칭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힘들이지 않고도 간단하고 신속하게 구동 전달 상태 및 구동 전달 해제 상태의 절환이 가능하도록 한 유아용 전동차의 구동 절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아용 전동차의 구동 절환 장치{DRVIE SWITCHING APPARATUS OF VEHICLE FOR CHILDREN}
본 고안은 유아용 전동차의 구동 절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힘들이지 않고도 간단하고 신속하게 구동 전달 상태 및 구동 전달 해제 상태의 절환이 가능하도록 한 유아용 전동차의 구동 절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이 향상되어 여가 생활에 관심을 가지는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유아가 있는 가정에서는 나들이용으로 유아를 탑승시켜 리모콘을 조작하여 자동으로 운전케 하거나, 수동으로 전환시켜 유모차처럼 끌고 다니도록 하는 유아용 전동차가 많이 판매되며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유아용 전동차는 뒷바퀴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기어박스 형태의 모터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모터는 통상적으로 배터리로부터 전달받은 전원으로 작동되지만, 배터리 전원이 없을 때에는, 탑승한 유아의 안전을 위하여, 자동적으로 브레이크가 걸리도록 하거나, 기어가 맞물려 회전이 되지 않게 되어 있다.
따라서,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경우에는 유아용 전동차 자체를 들고 이동해야 하지만, 통상 기어박스나 차체 자체의 안정성 및 내구성을 위하여 비교적 중량체인 유아용 전동차 자체를 들고 이동하기에는 많은 부담과 피로도가 가중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공고특허 제10-1982-0000685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힘들이지 않고도 간단하고 신속하게 구동 전달 상태 및 구동 전달 해제 상태의 절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유아용 전동차의 구동 절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유아용 전동차의 차체에 구비된 기어 박스; 상기 기어 박스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휠 어셈블리; 상기 휠 어셈블리에 구비되어 상기 기어 박스와 연결 또는 연결 해제 가능하며, 상기 기어 박스로부터 상기 휠 어셈블리로 구동력이 전달되게 하거나 차단하는 제1 스위칭 유닛; 및 상기 기어 박스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스위칭 유닛과 동시에 또는 별개로 가동되며, 상기 기어 박스로부터 상기 휠 어셈블리로 구동력이 전달되게 하거나 차단하는 제2 스위칭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전동차의 구동 절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어 박스는, 상기 차체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구동 모터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고,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축 단부에 결합되는 구동부와, 상기 휠 어셈블리와 축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 전달부와, 상기 구동 전달부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 전달부로부터 상기 휠 어셈블리로 구동력이 전달되게 하거나 차단되도록, 상기 제1 스위칭 유닛의 단부가 탈착 결합되는 스위칭 홈이 형성된 스위칭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스위칭 유닛은 상기 구동부와 상기 구동 전달부를 상호 연결시키거나 연결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휠 어셈블리는, 상기 기어 박스의 종동축과 결합되는 휠 본체와, 상기 휠 본체의 외측면에 탈착 결합되는 휠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위칭 유닛은 상기 휠 본체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스위칭 유닛의 내측 단부는 상기 기어 박스와 탈착 가능하게 출입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스위칭 유닛의 외측 단부는 상기 휠 커버에 걸림 고정 또는 해제 가능하게 출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스위칭 유닛은, 내측 단부는 상기 기어 박스에 구비된 스위칭 브라켓의 스위칭 홈에 탈착 결합되고, 외측 단부는 상기 휠 어셈블리의 휠 커버의 중심부에 걸림 고정 또는 해제되는 스위칭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스위칭 유닛은, 상기 기어 박스에 내장되는 구동 모터의 구동축 단부에 결합된 구동부와, 상기 기어 박스에 내장되어 상기 휠 어셈블리와 축 결합되는 구동 전달부를, 서로 연결하거나 연결 해제하는 것으로, 상기 기어 박스에 내장되어 정, 역회전하며 상기 구동부 및 상기 구동 전달부와 동시에 맞물리거나 분리되는 구동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스위칭 유닛은, 상기 휠 어셈블리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일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정, 역회전 가능하며 일정 길이의 범위 내에서 상기 종동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한 스위칭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바디는, 상기 기어 박스에 구비된 스위칭 브라켓과 대면되게 상기 휠 어셈블리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스위칭 브라켓측을 향하여 출입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스위칭 브라켓에 형성된 스위칭 홈과 대응하는 형상의 외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 홈에 탈착 결합되는 내부 스위칭 기어와, 상기 내부 스위칭 기어와 연결되고, 상기 휠 어셈블리의 외측면에 정, 역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스위칭 브라켓측을 향하여 출입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휠 커버 중심부를 관통하는 출입홀의 가장자리에 걸림 고정 또는 해제되는 외부 스위칭 레버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스위칭 기어와 상기 스위칭 홈의 상호 결합은, 상기 외부 스위칭 레버 어셈블리가 상기 기어 박스측으로 밀어눌려져 일정 각도만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함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스위칭 유닛은, 상기 기어 박스에 내장되어 정, 역회전하며, 상기 구동축 단부의 구동 기어및 상기 구동 전달부의 종동 기어와 동시에 맞물리거나 분리되는 구동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연결부는, 상기 기어 박스에 내장되고, 상기 구동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절환축에 결합되어 상기 절환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구동 기어와 맞물리거나 맞물림 해제되는 제1 연결 기어와, 상기 기어 박스에 내장되고, 상기 제1 연결 기어의 중심부로부터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 기어와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절환축을 따라 상기 제1 연결 기어와 일체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종동 기어와 맞물리거나 맞물림 해제되는 제2 연결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제1 스위칭 유닛이 기어 박스와 연결된 휠 어셈블리에 구비되고, 제2 스위칭 유닛이 차체에 구비된 기어 박스에 구비된는 구조로부터, 힘들이지 않고도 간단하고 신속하게 구동 전달 상태 및 구동 전달 해제 상태의 절환이 가능하게 되므로, 배터리 방전 등의 비상시에 운반 또는 이동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전동차의 구동 절환 장치 중 제2 스위칭 유닛이 기어 박스 내부의 구동부와 구동 전달부를 상호 연결하고 제1 스위칭 유닛은 기어 박스와 체결되기 전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전동차의 구동 절환 장치 중 제2 스위칭 유닛이 기어 박스 내부의 구동부와 구동 전달부 사이의 연결을 해제하고 제1 스위칭 유닛은 기어 박스와 체결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전동차의 구동 절환 장치 중 제1 스위칭 유닛과 휠 커버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전동차의 구동 절환 장치 중 제2 스위칭 유닛의 스위칭 레버와 스위칭 슬롯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전동차의 구동 절환 장치 중 제2 스위칭 유닛이 기어 박스 내부의 구동부와 구동 전달부를 상호 연결하고 제1 스위칭 유닛은 기어 박스와 체결되기 전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전동차의 구동 절환 장치 중 제2 스위칭 유닛이 기어 박스 내부의 구동부와 구동 전달부 사이의 연결을 해제하고 제1 스위칭 유닛은 기어 박스와 체결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전동차의 구동 절환 장치 중 제1 스위칭 유닛과 휠 커버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전동차의 구동 절환 장치 중 제2 스위칭 유닛의 스위칭 레버와 스위칭 슬롯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위칭 유닛(100)이 기어 박스(300)와 연결된 휠 어셈블리(500)에 구비되고, 제2 스위칭 유닛(200)이 차체(400)에 구비된 기어 박스(300)에 구비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기어 박스(300)는 유아용 전동차의 차체(400)에 구비된 것이며, 휠 어셈블리(500)는 기어 박스(300)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것이다.
제1 스위칭 유닛(100)은 휠 어셈블리(500)에 구비되어 기어 박스(300)와 연결 또는 연결 해제 가능하며, 기어 박스(300)로부터 휠 어셈블리(500)로 구동력이 전달되게 하거나 차단하는 것이다.
제2 스위칭 유닛(200)은 기어 박스(300)에 구비되어 제1 스위칭 유닛(100)과 동시에 또는 별개로 가동되며, 기어 박스(300)로부터 휠 어셈블리(500)로 구동력이 전달되게 하거나 차단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힘들이지 않고도 간단하고 신속하게 구동 전달 상태 및 구동 전달 해제 상태의 절환이 가능하게 되므로, 배터리 방전 등의 비상시에 운반 또는 이동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기어 박스(300)는, 차체(400)에 결합되는 하우징(310)과, 하우징(310)에 내장되는 구동 모터(320)와, 하우징(310)에 내장되고 구동 모터(320)의 구동축(321) 단부에 결합되는 구동부(330)와, 휠 어셈블리(500)와 축 결합되며 구동부(33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 전달부(340)를 포함한다.
그리고, 기어 박스(300)는, 구동 전달부(340)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구동 전달부(340)로부터 휠 어셈블리(500)로 구동력이 전달되게 하거나 차단되도록, 제1 스위칭 유닛(100)의 단부가 탈착 결합되는 스위칭 홈(351)이 형성된 스위칭 브라켓(350)을 포함한다.
따라서, 후술할 제2 스위칭 유닛(200)은 구동부(330)와 구동 전달부(340)를 도 1과 같이 상호 연결시키거나 도 2와 같이 연결 해제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구동부(330)는, 구동축(321)의 단부에 결합되는 구동 기어(330)를 포함하며, 후술할 제2 스위칭 유닛(200)의 일단부는 도 1과 같이 구동 기어(330)와 맞물리거나 도 2와 같이 분리되며, 제2 스위칭 유닛(200)의 타단부는 구동 전달부(340)와 도 1과 같이 맞물리거나 도 2와 같이 분리됨으로써, 구동력이 전달 또는 전달 해제된다.
이때, 구동 전달부(340)는, 구동축(321)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정, 역회전 가능한 종동축(341)에 결합되는 종동 기어(342)와, 종동 기어(342)의 중심부로부터 단차지게 돌출되며 중심부에 종동축(341)이 관통하는 연결통부(344)를 포함한다.
따라서, 후술할 제2 스위칭 유닛(200)의 일단부는 구동부(330)와 도 1과 같이 맞물리거나 도 2와 같이 분리되고, 제2 스위칭 유닛(200)의 타단부는 종동 기어(342)와 도 1과 같이 맞물리거나 도 2와 같이 분리된다.
또한, 전술한 스위칭 브라켓(350)은 연결통부(344)의 단부에 형성되고, 종동축(341)은 스위칭 브라켓(35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후술할 휠 어셈블리(500)와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휠 어셈블리(500)는, 기어 박스(300)의 종동축(341)과 결합되는 휠 본체(510)와, 휠 본체(510)의 외측면에 탈착 결합되는 휠 커버(520)를 포함한다.
후술할 제1 스위칭 유닛(100)은 휠 본체(510)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제1 스위칭 유닛(100)의 내측 단부는 기어 박스(300)와 탈착 가능하게 출입됨과 동시에, 제1 스위칭 유닛(100)의 외측 단부는 휠 커버(520)에 걸림 고정 또는 해제 가능하게 출입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1 스위칭 유닛(100)은, 내측 단부는 기어 박스(300)에 구비된 스위칭 브라켓(350)의 스위칭 홈(351)에 탈착 결합되고, 외측 단부는 휠 어셈블리(500)의 휠 커버(520)의 중심부에 걸림 고정 또는 해제되는 스위칭 바디를 포함한다.
이때, 스위칭 바디는 휠 어셈블리(500)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일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정, 역회전 가능하며 일정 길이의 범위 내에서 종동축(3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제1 스위칭 유닛(100)의 스위칭 바디는, 크게 내부 스위칭 기어(110)와 외부 스위칭 레버 어셈블리(12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내부 스위칭 기어(110)는 기어 박스(300)에 구비된 스위칭 브라켓(350)과 대면되게 휠 어셈블리(500)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스위칭 브라켓(350)측을 향하여 출입 가능하게 구비되며, 스위칭 브라켓(350)에 형성된 스위칭 홈(351)과 대응하는 형상의 외측면을 구비하고, 스위칭 홈(351)에 탈착 결합되는 것이다.
외부 스위칭 레버 어셈블리(120)는 내부 스위칭 기어(110)와 연결되고, 휠 어셈블리(500)의 외측면에 정, 역회전함과 동시에 스위칭 브라켓(350)측을 향하여 출입 가능하게 구비되며, 휠 커버(520) 중심부를 관통하는 출입홀(521)의 가장자리에 걸림 고정 또는 해제되는 것이다.
여기서, 내부 스위칭 기어(110)와 스위칭 홈(351)의 상호 결합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외부 스위칭 레버 어셈블리(120)가 기어 박스(300)측으로 밀어눌려져 일정 각도만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함에 따라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절환 동작이 가능하도록, 도 3과 같이, 외부 스위칭 레버 어셈블리(120)의 노출부 외주면을 따라 복수로 돌출된 일정 길이의 걸림 리브(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출입홀(521)의 가장자리를 따라 걸림 리브(122)의 형상에 대응되게 내측으로 절개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홈(522)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걸림 리브(122) 각각의 외측 단부가 출입홀(521)의 가장자리에 걸림 고정된 상태를 유지 가능하도록, 휠 커버(520)의 중심부 내측에 형성된 걸림 공간부(124)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1 스위칭 유닛(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스위칭 레버 어셈블리(120)가 기어 박스(300)측으로 밀어눌려져 일정 각도만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등의 일련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바이어싱 수단(이하 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바이어싱 수단은 내부 스위칭 기어(110)와 외부 스위칭 레버 어셈블리(12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고, 외부 스위칭 레버 어셈블리(120)를 휠 어셈블리(500)의 외측면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반발력을 작용하는 것이다.
한편, 제2 스위칭 유닛(200)은, 구동부(330)와 구동 전달부(340)를, 서로 연결하거나 연결 해제하는 것으로, 기어 박스(300)에 내장되어 정, 역회전하며 구동부(330) 및 구동 전달부(340)와 동시에 맞물리거나 분리되는 구동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구동 연결부는 기어 박스(300)에 내장되어 정, 역회전하며, 구동축(321) 단부의 구동 기어(330)및 구동 전달부(340)의 종동 기어(342)와 도 1과 같이 동시에 맞물리거나 도 2와 같이 분리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동 연결부는, 기어 박스(300)에 내장되고, 구동축(321)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절환축(201)에 결합되어 절환축(201)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구동 기어(330)와 맞물리거나 맞물림 해제되는 제1 연결 기어(210)를 포함한다.
그리고, 구동 연결부는, 기어 박스(300)에 내장되고, 제1 연결 기어(210)의 중심부로부터 단차지게 형성되어 제1 연결 기어(210)와 일체로 회전하고 절환축(201)을 따라 제1 연결 기어(210)와 일체로 이동 가능하며 종동 기어(342)와 맞물리거나 맞물림 해제되는 제2 연결 기어(220)를 포함한다.
또한, 제2 스위칭 유닛(200)은, 도 1 및 도 2와 함께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스위칭 레버(230)와 스위칭 슬롯(240)을 더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 또한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스위칭 레버(230)는 제1 연결 기어(210) 또는 제2 연결 기어(220)와 연결되고, 제1 연결 기어(210)를 절환축(201)을 따라 왕복시키면서, 구동 기어(330)와 종동 기어(342)를 상호 연결시키거나 연결 해제하는 것이다.
스위칭 슬롯(240)은 기어 박스(300)의 일측에 스위칭 레버(230)가 왕복 가능하게 일정 길이로 관통되는 것이다.
여기서, 스위칭 레버(230)는, 스위칭 슬롯(240)의 양측 가장자리에 접촉 가능한 외주면을 가지며, 외측 단부에 손잡이편(231)이 구비된 레버 몸체(232)와, 레버 몸체(2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관통되는 변형 슬롯(233)을 포함한다.
이때, 스위칭 슬롯(240)의 양단부 폭에 대하여 스위칭 슬롯(240)의 중심부 폭은 좁게 형성되며, 스위칭 슬롯(240)은 중심부로부터 양단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레버 몸체(232)는 중심부를 통과하면서 변형 슬롯(233)의 폭이 변형되는 것을 허용하며, 스위칭 슬롯(240)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에 레버 몸체(232)가 위치함에 따라 구동 기어(330)와 종동 기어(342)는 상호 연결되거나 연결 해제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외부 스위칭 레버 어셈블리(120)를 도 1의 상태에서 도 2의 상태로 돌려서 밀어 넣으면 내부 스위칭 기어(110)는 기어 박스(300)의 스위칭 홈(351)과 맞물리게 되고, 배터리 전원이 충분할 경우, 사용자는 유아를 차체(400)에 탑승시킨 상태에서 리모콘(이하 미도시)을 조작하여 구동 모터(320)로부터 구동력을 휠 어셈블리(500)에 전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한편, 배터리 전원이 부족하거나 방전된 경우, 도 2와 같이 내부 스위칭 기어(110)가 스위칭 홈(351)과 맞물린 상태에서는 휠 어셈블리(500)가 회전하기 힘든 상태이므로, 종동축(341)을 아이들(idle) 상태로 만들 필요가 있다.
이때, 사용자는 외부 스위칭 레버 어셈블리(120)를 도 2의 상태에서 도 1의 상태로 돌리면, 휠 어셈블리(500)의 중심부에 내장된 바이어싱 수단이 외부 스위칭 레버 어셈블리(120)를 휠 어셈블리(500)의 외부로 밀어냄과 동시에 내부 스위칭 기어(110)가 스위칭 홈(351)과 맞물린 상태는 해제됨으로써, 아이들 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동작과 별도로 사용자는 스위칭 레버(230)를 도 1의 상태에서 도 2의 상태로 밀어서, 스위칭 레버(230)와 연결된 제2 스위칭 유닛(200)의 제1, 2 연결 기어(210, 220)의 연결 상태, 즉 구동 기어(330)와 종동 기어(342) 상호간의 결합 상태를 도 1로부터 도 2의 상태와 같이 해제하여도 아이들 상태를 만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힘들이지 않고도 간단하고 신속하게 구동 전달 상태 및 구동 전달 해제 상태의 절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유아용 전동차의 구동 절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제1 스위칭 유닛
110...내부 스위칭 기어
120...외부 스위칭 레버 어셈블리
122...걸림 리브
124...걸림 공간부
200...제2 스위칭 유닛
201...절환축
210...제1 연결 기어
220...제2 연결 기어
230...스위칭 레버
231...손잡이편
232...레버 몸체
233...변형 슬롯
240...스위칭 슬롯
300...기어 박스
310...하우징
320...구동 모터
321...구동축
330...구동부(구동 기어)
340...구동 전달부
341...종동축
342...종동 기어
344...연결통부
350...스위칭 브라켓
351...스위칭 홈
400...차체
500...휠 어셈블리
510...휠 본체
520...휠 커버
521...출입홀
522...걸림홈

Claims (7)

  1. 유아용 전동차의 차체에 구비된 기어 박스;
    상기 기어 박스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휠 어셈블리;
    상기 휠 어셈블리에 구비되어 상기 기어 박스와 연결 또는 연결 해제 가능하며, 상기 기어 박스로부터 상기 휠 어셈블리로 구동력이 전달되게 하거나 차단하는 제1 스위칭 유닛; 및
    상기 기어 박스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스위칭 유닛과 동시에 또는 별개로 가동되며, 상기 기어 박스로부터 상기 휠 어셈블리로 구동력이 전달되게 하거나 차단하는 제2 스위칭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기어 박스는,
    상기 차체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구동 모터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고,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축 단부에 결합되는 구동부와,
    상기 휠 어셈블리와 축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 전달부와,
    상기 구동 전달부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 전달부로부터 상기 휠 어셈블리로 구동력이 전달되게 하거나 차단되도록, 상기 제1 스위칭 유닛의 단부가 탈착 결합되는 스위칭 홈이 형성된 스위칭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스위칭 유닛은 상기 구동부와 상기 구동 전달부를 상호 연결시키거나 연결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전동차의 구동 절환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휠 어셈블리는,
    상기 기어 박스의 종동축과 결합되는 휠 본체와,
    상기 휠 본체의 외측면에 탈착 결합되는 휠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위칭 유닛은 상기 휠 본체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스위칭 유닛의 내측 단부는 상기 기어 박스와 탈착 가능하게 출입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스위칭 유닛의 외측 단부는 상기 휠 커버에 걸림 고정 또는 해제 가능하게 출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전동차의 구동 절환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유닛은,
    내측 단부는 상기 기어 박스에 구비된 스위칭 브라켓의 스위칭 홈에 탈착 결합되고, 외측 단부는 상기 휠 어셈블리의 휠 커버의 중심부에 걸림 고정 또는 해제되는 스위칭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전동차의 구동 절환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 유닛은,
    상기 기어 박스에 내장되는 구동 모터의 구동축 단부에 결합된 구동부와, 상기 기어 박스에 내장되어 상기 휠 어셈블리와 축 결합되는 구동 전달부를, 서로 연결하거나 연결 해제하는 것으로, 상기 기어 박스에 내장되어 정, 역회전하며 상기 구동부 및 상기 구동 전달부와 동시에 맞물리거나 분리되는 구동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전동차의 구동 절환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유닛은,
    상기 휠 어셈블리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일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정, 역회전 가능하며 일정 길이의 범위 내에서 상기 종동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한 스위칭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바디는,
    상기 기어 박스에 구비된 스위칭 브라켓과 대면되게 상기 휠 어셈블리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스위칭 브라켓측을 향하여 출입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스위칭 브라켓에 형성된 스위칭 홈과 대응하는 형상의 외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 홈에 탈착 결합되는 내부 스위칭 기어와,
    상기 내부 스위칭 기어와 연결되고, 상기 휠 어셈블리의 외측면에 정, 역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스위칭 브라켓측을 향하여 출입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휠 커버 중심부를 관통하는 출입홀의 가장자리에 걸림 고정 또는 해제되는 외부 스위칭 레버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스위칭 기어와 상기 스위칭 홈의 상호 결합은, 상기 외부 스위칭 레버 어셈블리가 상기 기어 박스측으로 밀어눌려져 일정 각도만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함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전동차의 구동 절환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 유닛은,
    상기 기어 박스에 내장되어 정, 역회전하며, 상기 구동축 단부의 구동 기어및 상기 구동 전달부의 종동 기어와 동시에 맞물리거나 분리되는 구동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연결부는,
    상기 기어 박스에 내장되고, 상기 구동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절환축에 결합되어 상기 절환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구동 기어와 맞물리거나 맞물림 해제되는 제1 연결 기어와,
    상기 기어 박스에 내장되고, 상기 제1 연결 기어의 중심부로부터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 기어와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절환축을 따라 상기 제1 연결 기어와 일체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종동 기어와 맞물리거나 맞물림 해제되는 제2 연결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전동차의 구동 절환 장치.
KR2020150006051U 2015-09-10 2015-09-10 유아용 전동차의 구동 절환 장치 KR2004792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051U KR200479211Y1 (ko) 2015-09-10 2015-09-10 유아용 전동차의 구동 절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051U KR200479211Y1 (ko) 2015-09-10 2015-09-10 유아용 전동차의 구동 절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211Y1 true KR200479211Y1 (ko) 2016-01-04

Family

ID=55174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051U KR200479211Y1 (ko) 2015-09-10 2015-09-10 유아용 전동차의 구동 절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2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40774A1 (en) * 2017-01-27 2018-08-02 Traxxas Lp Portal gear for model vehicl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6245A (ja) * 2003-08-20 2005-03-17 Mizukoshi Keiki Kk 電動車椅子用のクラッチ機構およびクラッチ操作機構
JP2005349108A (ja) * 2004-06-14 2005-12-22 Nonaka Seisakusho:Kk 幼児用電動乗り物
KR101543987B1 (ko) * 2015-03-25 2015-08-11 이호주 유아용 전동차의 제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6245A (ja) * 2003-08-20 2005-03-17 Mizukoshi Keiki Kk 電動車椅子用のクラッチ機構およびクラッチ操作機構
JP2005349108A (ja) * 2004-06-14 2005-12-22 Nonaka Seisakusho:Kk 幼児用電動乗り物
KR101543987B1 (ko) * 2015-03-25 2015-08-11 이호주 유아용 전동차의 제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40774A1 (en) * 2017-01-27 2018-08-02 Traxxas Lp Portal gear for model vehicles
US11207975B2 (en) 2017-01-27 2021-12-28 Traxxas Lp Portal gear for model vehic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8620B2 (en) Disconnector-type clutch for rear wheel-driving device in four-wheel driving electric vehicle
JP6371382B2 (ja) 車両のオートマチ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操作要素をパーキングポジションへ変位させるための装置、このような装置を運転するための方法及び車両のオートマチ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をシフトするためのシフト装置
CN211336155U (zh) 车辆、车辆转向系统及其离合机构
WO2016015682A1 (zh) 便于切换的可超越式传动装置
JP2006322489A (ja) 電動パーキングロック装置
JP2016539836A (ja) 車両のオートマチ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操作要素をロックするための装置、このような装置を運転するための方法及び車両のオートマチ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をシフトするためのシフト装置
KR200479211Y1 (ko) 유아용 전동차의 구동 절환 장치
WO2017206770A1 (zh) 一种摇摆车
US20230202061A1 (en) Retractable knife with speed enhancement transmission mechanism for enhanced speed of discharging and withdrawing a blade thereof
CN104453525A (zh) 一种自锁式手动驱动装置及飞行器舱门机构
JP6663758B2 (ja) 歩行型芝刈機
KR20140080267A (ko) 전기자동차용 파킹 장치
JP6379171B2 (ja) ユニバーサル電動ローラー
CN104870150A (zh) 具有安全控制装置的往复运动式食物切割设备
US2860522A (en) Shifting mechanism for transmission
JP2008208856A (ja) 動力伝達切換機構
KR101520739B1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용 모터
CN215154924U (zh) 一种手推车辆的传动装置
KR101551239B1 (ko) 무체인 자전거용 기어변속장치
KR101606137B1 (ko) 주차 차량 이동장치
JP2003272487A (ja) 複合操作型電気部品
KR20140129901A (ko) 자동화 수동 변속기의 파킹 장치
JP7095946B2 (ja) スプライン嵌合装置
JP2006336663A (ja) クラッチ機構及びこれを具えた移動体
JPS63348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5